KR19990023821U -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 - Google Patents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821U
KR19990023821U KR2019970036232U KR19970036232U KR19990023821U KR 19990023821 U KR19990023821 U KR 19990023821U KR 2019970036232 U KR2019970036232 U KR 2019970036232U KR 19970036232 U KR19970036232 U KR 19970036232U KR 19990023821 U KR19990023821 U KR 199900238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il spring
long hole
feed cassette
fastening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길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36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3821U/ko
Priority to US09/208,023 priority patent/US6149147A/en
Publication of KR199900238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821U/ko

Link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간단한 조작만으로 서브플레이트의 가압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급지카세트의 용지 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부품수를 절감하여 제조원가를 감소시키고, 부품에 따른 조립치수의 공차를 줄일 수 있는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압축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용지픽업력을 제공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의 전방하측에는 양단부가 급지카세트의 측면에 형성된 곡형의 제1장공에 노출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조절가능하게 구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급지카세트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일정한 연결체로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체에서 연장되어 녹업플레이트의 하측면에서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서브플레이트와, 상기 연결체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체결단과, 상기 제1체결단에서 수평으로 일정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체결단과, 하측에 일정한 스프링고정부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일측단부에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리브가 상기 급지카세트의 제1장공의 상측에 형성된 곡형의 제2장공의 외측면에서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샤프트형의 링크레버와, 상기 서브플레이트에 의해서 상기 녹업플레이트가 가압되도록 일측은 상기 제1체결단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제1인장코일스프링 및 상기 제1인장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보조하기 위하여 일측은 상기 제2체결단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링크레버의 스프링고정부에 체결되는 제2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

Description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
본 고안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레이져 빔 프린터(LBP)의 급지카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매의 용지가 적재되어 픽업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용지픽업장치에 관한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기기에는 프린터, 복사기, 카피어, 레이져 빔 프린터 및 팩시밀리등을 칭한다. 이러한 기기는 필수적으로 다수매의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가 장착되고, 이러한 급지카세트는 다수매 적재된 용지의 픽업위치를 항시 유지하기 위하여 용지픽업장치를 구비한다.
종래의 용지픽업장치는 국내 특허번호 1997-27888호로 출원된바, 그 구성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장치의 작동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플레이트(110)를 수평위치에 놓이게 하면, 제1인장코일스프링(150)은 연결체의 제1체결단(111)과 샤프트(120)사이에서 인장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힘은 녹업 플레이트(101)을 픽업 위치로 이동시킬려는 힘을 의미한다. 따라서 녹업 플레이트(101)에 적재된 최상단의 용지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픽업 롤러와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가 되어 픽업 롤러의 회전에 따라 급지된다.
한편, 상기 제2인장코일스프링(160)은 원래의 상태를 유지한다. 인장된 상태가 아니다. 이는 상기 장공(103)의 형상이 곡형이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연결체가 회전하여도 연결체의 제2체결단(112)과 레버의 일측단(140)사이의 거리는 변하기 않기 때문에 인장력을 받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레버의 일단(140)이 장공의 일측쪽에 위치하면, 제2인장코일스프링(160)은 아무런 작동을 하지 않고, 오직 픽업력으로서 제1인장코일스프링만 작동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용지가 급지카세트(100)에 최대한으로 적재되어 중량이 최대치에 근접할 경우, 사용자는 임의대로 힌지를 중심으로 로커(130)을 회전시키고, 이어서 상기 레버의 일단(140)을 장공(103)의 타측에 위치시켜 고정시키면, 제2체결단(112)과 레버의 일단(140)과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인장코일스프링(160)이 늘어나게 된다. 즉, 인장력을 받은 상태이다. 이와같은 레버를 곡형의 장공(103)을 따라 위치이동시킴으로서, 제2인장코일스프링(160)의 작동여부를 사용자의지대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커(130)은 스토퍼(131)과 레버의 인장코일스프링(160)의 힘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시 레버 링크는 제2체결단(112)쪽으로 항시 향한 상태를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레버의 일단은 장공을 따라 위치이동 시킴으로서, 제2체결단(112)과 레버간의 거리가 변하게 되어 제2인장코일스프링은 작동여부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샤프트(120)는 장공(102)에서 일측이나 타측으로 선택적으로 위치시킨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120)의 이동에 따라서 용지픽업력을 사용자가 의지대로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용지픽업장치는 조립상 어려움이 많고,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설계적으로 누적된 공차가 많아 부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수를 절감하여 제조원가를 감소시킨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품수를 절감하여 부품에 따른 조립치수의 공차를 줄일 수 있는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압축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용지픽업력을 제공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의 전방하측에는 양단부가 급지카세트의 측면에 형성된 곡형의 제1장공에 노출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조절가능하게 구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급지카세트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일정한 연결체로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체에서 연장되어 녹업플레이트의 하측면에서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서브플레이트와, 상기 연결체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체결단과, 상기 제1체결단에서 수평으로 일정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체결단과, 하측에 일정한 스프링고정부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일측단부에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리브가 상기 급지카세트의 제1장공의 상측에 형성된 곡형의 제2장공의 외측면에서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샤프트형의 링크레버와, 상기 서브플레이트에 의해서 상기 녹업플레이트가 가압되도록 일측은 상기 제1체결단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제1인장코일스프링 및 상기 제1인장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보조하기 위하여 일측은 상기 제2체결단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링크레버의 스프링고정부에 체결되는 제2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탄성체의 탄성을 받도록 구성된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탄성체와 제2탄성체가 동시에 탄성을 받도록 구성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픽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픽업장치가 설치된 급지카세트의 외장을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픽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받는 용지픽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인장스프링과 제2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동시에 받는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급지카세트 11: 제1장공
12: 제2장공 13: 돌기삽입구멍
14: 녹업플레이트 20: 서브플레이트
21: 연결체 22: 제1체결단
23: 제2체결단 30: 샤프트
40: 링크레버 41: 스프링고정부
42: 연장리브 50: 제1인장코일스프링
51: 제2인장코일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픽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픽업장치가 설치된 급지카세트의 외장을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구성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급지카세트(10)의 전방 좌우 측면에는 장착되는 샤프트(30)의 좌우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측에 곡형의 제1장공(1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급지카세트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장공(11)의 상측에는 곡형의 제2장공(12)은 형성하고, 상기 제2장공(12)의 일측에는 소정의 돌기삽입구멍(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급지카세트(10)에 형성된 제1장공(11)의 하측단부는 상기 샤프트(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장공의 폭보다 넓게 형성시킨다.(11a)
그후, 상기 급지카세트(10) 녹업플레이트(14)의 하측에는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서브플레이트(20)를 설치한다. 상기 서브플레이트(20)는 상기 급지카세트의 내측 좌우에 일정한 연결체(21)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24)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체(21)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체결단(22)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1체결단(22)에서 수평으로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제2체결단(23)을 형성한다.
그후, 상기 제2장공(12)에 설치되기 위한 샤프트형상의 링크레버(40)를 형성한다. 상기 링크레버의 하측에는 일정한 스프링고정부(41)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일측단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리브(42)가 상기 급지카세트의 제1장공(11)의 상측에 형성된 곡형의 제2장공(12)의 외측면에서 장착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연장리브(42)의 내측면에는 일정한 돌기(42a)가 형성되어, 상기 급지카세트의 제2장공(12)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삽입구멍(13)에 삽입되어 상기 링크레버(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링크레버(40)의 연장리브(42)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링크레버를 조작하기 수월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손잡이(42b)를 형성시킨다.
그후, 상기 서브플레이트(20)에 의해서 상기 녹업플레이트(14)가 가압되도록 일측은 상기 제1체결단(22)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샤프트(30)에 체결되는 제1인장코일스프링(50)과, 상기 제1인장코일스프링(50)의 탄성력을 보조하기 위하여 일측은 상기 제2체결단(23)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링크레버(40)의 스프링고정부(41)에 체결되는 제2인장코일스프링(60)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서브플레이트(20)의 녹업플레이트(14)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회전가능한 롤러(25)를 설치하여, 상기 롤러(25)가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하측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픽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받는 용지픽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인장스프링과 제2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동시에 받는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작동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30)는 제1장공(11)의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링크레버(40)는 제2장공(12)을 따라 자유운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은 상태는 서브플레이트(20)가 상기 녹업플레이트(14)에 가하는 가압력이 최소가 되는 상태이다.
그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샤프트(30)를 제1장공(11)의 하측(11a)에 고정시키면, 상기 제1인장코일스프링(50)은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는 상태가 되며, 링크레버(40)는 제2장공(12)을 따라 자유운동을 하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상태는 제1인장코일스프링(50)의 인장력이 상기 서브플레이트(20)에 가해지는 상태가 되어 도 5의 상태보다 상기 녹업플레이트(14)가 가압력을 좀더 받는다.
그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샤프트(30)를 제1장공(11)의 하측(11a)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링크레버(40)의 돌기를 상기 제2장공(12)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삽입구멍(13)에 삽입시켜 고정시키면, 상기 제1인장코일스프링(50)과 제2인장코일스프링(60)이 동시에 인장된다. 즉, 상기 서브플레이트(20)는 제1인장코일스프링(50)과 제2인장코일스프링(60)의 인장력을 동시에 받게되므로 녹업플레이트(14)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최대가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픽업장치는 두 개의 부품으로 서브플레이트의 인장력을 단계적으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압축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용지픽업력을 제공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의 전방하측에는 양단부가 급지카세트의 측면에 형성된 곡형의 제1장공에 노출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조절가능하게 구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급지카세트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일정한 연결체로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체에서 연장되어 녹업플레이트의 하측면에서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서브플레이트와;
    상기 연결체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체결단과;
    상기 제1체결단에서 수평으로 일정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체결단과;
    하측에 일정한 스프링고정부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일측단부에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리브가 상기 급지카세트의 제1장공의 상측에 형성된 곡형의 제2장공의 외측면에서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샤프트형의 링크레버와;
    상기 서브플레이트에 의해서 상기 녹업플레이트가 가압되도록 일측은 상기 제1체결단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제1인장코일스프링 및;
    상기 제1인장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보조하기 위하여 일측은 상기 제2체결단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링크레버의 스프링고정부에 체결되는 제2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에 형성된 제1장공의 하측단부는 상기 샤프트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장공의 폭보다 넓게 형성시킴을 특징을 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레버 연장리브의 내측면에는 일정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급지카세트의 제2장공의 일측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링크레버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돌기삽입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리브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링크레버를 조작하기 수월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손잡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플레이트의 녹업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회전가능한 롤러를 설치하여, 상기 롤러가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하측면에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
KR2019970036232U 1997-10-08 1997-12-09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 KR19990023821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232U KR19990023821U (ko) 1997-12-09 1997-12-09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
US09/208,023 US6149147A (en) 1997-10-08 1998-12-09 Paper pickup device in paper feeding casset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232U KR19990023821U (ko) 1997-12-09 1997-12-09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821U true KR19990023821U (ko) 1999-07-05

Family

ID=6967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232U KR19990023821U (ko) 1997-10-08 1997-12-09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382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668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
US7894757B2 (e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biasing member for regulating sheets and image forming method the same
JP4898215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US8511818B2 (en) Multifunction peripheral having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6804858B2 (e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hinged pair of bodies
US7869103B2 (en) Image reading device configuration for an image reading unit and a document holder
US674182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14509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15948A (ja) 開閉支持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装置
JP4898538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US5982512A (en) Document feeder
JPS60116487A (ja) 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
TWI526138B (zh) 原稿壓合板開闔裝置及事務機器
US6149147A (en) Paper pickup device in paper feeding cassette
KR19990023821U (ko)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
JP4898216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JP2021013093A (ja) 画像形成装置
US6581926B2 (en) Structure for fixing roller
US8074983B1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JPH11143257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186325Y1 (ko) 급지카세트의용지픽업장치
KR100663822B1 (ko)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0189812Y1 (ko)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
JP3901864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US20210200131A1 (en) Fix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