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6126A -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126A
KR20050076126A KR1020040003943A KR20040003943A KR20050076126A KR 20050076126 A KR20050076126 A KR 20050076126A KR 1020040003943 A KR1020040003943 A KR 1020040003943A KR 20040003943 A KR20040003943 A KR 20040003943A KR 20050076126 A KR20050076126 A KR 20050076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ront cover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6126A/ko
Publication of KR20050076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12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04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fastening to a post
    • G09F2007/1821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fastening to a post the post having slots or flanges to fasten the 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 G09F2007/1878Traffic orientation, street mar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의 프론트 커버는 레버설치바에 레버를 힌지결합하고, 이러한 힌지결합부에 작동스프링을 게재하여, 프론트 커버의 개폐시 레버가 힌지결합부를 축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며 전진 또는 후진작동하여 액츄에이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므로써 간섭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FRONT COVER OF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 예컨대 팩시밀리,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등은 인쇄원본의 비디오(Video)신호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빔(laser beam)을 감광드럼(Drum) 상에 결상시킨 다음, 감광드럼 상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을 인쇄용지에 전사하므로써 소정 화상이미지(Image)를 재현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현상기를 교체하거나 또는 걸림된 용지를 제거하기 위해 개폐가능한 프론트 커버(FRONT COVER)가 구비되는데, 상기 프론트 커버는 레버(LEVER)를 포함하고 있어, 이러한 레버를 통해 개폐작동시 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커버오픈센서(COVER OPEN SENSOR)를 작동시키므로써 프론트 커버의 개폐여부를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에 알리게 된다.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프론트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론트 커버(100)는 그 일단이 화상형성장치(200) 본체(210)의 소정부에 힌지결합되어 개폐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10)에는 커버오픈센서(220 : 마이크로스위치 등) 및 이 커버오픈센서(220)를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230 : ACTUATOR)가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100)의 내측에는 상기 액츄에이터(230)를 동작시키기 위한 레버(110)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프론트 커버(100)를 본체(210)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프론트 커버(100)에 부착되어 있는 레버(110)가 액츄에이터(230)를 밀게 되고, 이 액츄에이터(230)는 커버오픈센서(220)를 누르게 되어 프론트 커버(10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하지만, 기존 프론트 커버(100)는 본체(210)와 힌지결합되는 부위가 액츄에이터(230)로 부터 멀어지게 되면 레버(110)의 길이가 그만큼 길어지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레버(110)의 길이가 길어지면 프론트 커버(100)의 개폐시 간섭되는 부위가 과다하게 발생되고, 이러한 간섭부위를 제거하게 되면 본체의 강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재료비 절감차원에서 지향하고 있는 부품 공용화를 수행할 수 없는 또 다른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 프론트 커버의 레바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버의 간섭부위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레버의 간섭제거에 따른 구조물의 강도저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르게는 간섭부위를 최소화하므로써, 구조물을 변형시켜야하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부품의 공용화를 지향할 수 있는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커버오픈센서와 이 커버오픈센서를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개폐작동되는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레버설치바; 및
상기 레버설치바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레버설치바는 그 끝단에 스프링스토퍼와 힌지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레버는 그 일단이 상기 힌지결합부에 힌지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구비하므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결합부에는 작동스프링이 게재된다.
또한, 상기 작동스프링은 그 일단이 상기 레버의 소정부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스프링스토퍼에 고정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의 개폐작동시 압축, 이완된다.
또한, 상기 레버는 하부면이 곡선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설치바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본체에는 상기 레버의 하부면을 가이드하기 위한 안내면이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프론트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프론트 커버에 있어, 레버설치바와 레버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프론트 커버(1)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소정부에 힌지결합되어 개폐작동되며, 그 내측면에는 레버설치바(2)가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은 레버설치바(2)에는 레버(3)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레버(3)는 프론트 커버(1)의 개폐작동시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12)를 밀게 되고, 상기 액츄에이터(12)가 커버오픈센서(11)를 작동시켜 프론트 커버(1)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프론트 커버(1)에 레버(3)를 설치함에 있어,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레버설치바(2)의 끝단에 힌지결합부(21)를 마련하여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결합부(21)에는 작동스프링(4)이 게재되는데, 이와 같은 작동스프링(4)은 이완, 압축작용을 수행하는 각종 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2b에서와 같이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을 적용한다. 이때, 상기 작동스프링(4)의 일단은 상기 레버(3)의 소정부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레버설치바(2)에 마련되는 스프링스토퍼(22)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시 압축, 이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프론트 커버(1)에 설치되는 레버(3)는 도 2b에서와 같이 하부면(31)이 곡선형태로 구성되는 판상체로써, 상기와 같이 작동스프링(4)이 고정되는 일측면에는 상기 레버설치바(2)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3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레버설치바(2)는 홈형태로 구성되는 스프링스토퍼(22)의 상부에 보호덮개(23)가 연장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보호덮개(23)는 상기 작동스프링(4)을 외부와 격리시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프론트 커버(1)가 설치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는 도 2a에서와 같이 안내면(13)이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안내면(13)은 상기 레버(3)의 하부면(31)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프론트 커버가 본체에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프론트 커버가 닫힌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레버설치바(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레버(3)는 프론트 커버(1)의 개방시 작동스프링(4)의 벌어지려는 힘에 의해 힌지결합부(21)를 축으로 하여 소정각도로 회동한다. 이때, 레버(3)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구비되는 안내면(13)에 그 하부면(31)이 접촉되며 후방으로 이동하는 형태로써 회동하고, 이러한 레버(3)에 구비된 스토퍼(32)는 레버설치바(2)를 고정하므로써, 레버(3)가 더 이상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구비된 액츄에이터(도면에 미도시됨.)는 레버(3)와 비접촉된 상태가 되어 커버오픈센서(도면에 미도시됨.)를 누르고 있던 힘이 해제되므로 프론트 커버(1)가 개방된 상태를 감지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서 개방된 프론트 커버(1)를 닫게 되면, 레버(3)는 도 4에서와 같이 힌지결합부(21)를 축으로 하여 원위치로 회동되는데, 이때, 레버(3)는 그 하부면(31)이 안내면(13)에 접촉한 상태로 가이드되어 안내면(13)과 수평상태, 즉 전방으로 이동하는 형태로써 회동되며, 작동스프링(4)은 사용자가 프론트 커버(1)를 닫는 힘에 의해 압축된다. 이에 따라, 레버(3)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구비된 액츄에이터(도면에 미도시됨.)를 밀게 되고, 엑츄에이터(도면에 미도시됨.)는 커버오픈센서(도면에 미도시됨.)를 누르게 되어 프론트 커버(1)가 닫힌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론트 커버(1)는 레버설치바(2)에 레버(3)를 힌지결합하고, 이러한 힌지결합부(21)에 작동스프링(4)을 게재하여, 프론트 커버(1)의 개폐시 레버(3)가 힌지결합부(21)를 축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며 전진 또는 후진작동하여 액츄에이터(12)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므로써 간섭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존에 비해 레버(3)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고도 액츄에이터(12)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레버(3)의 전,후진작동시 간섭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간섭부위를 최소화하므로써 기존과 같이 간섭제거를 위한 구조물의 강도약화를 방지할 수 있고, 구조물을 변형시켜야하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므로써 부품의 공용화를 저해하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는 프론트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레버를 레버설치바에 힌지결합하여, 프론트 커버의 개폐시 레버가 힌지결합부를 축으로 전진 또는 후진작동하며 액츄에이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토록하므로써, 그만큼 레버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어, 간섭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섭부위를 최소화함에 따라 기존의 문제점, 즉 간섭제거에 따른 구조물의 강도저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부품을 공용화할 수 있어 재료비의 절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프론트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프론트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프론트 커버에 있어, 레버설치바와 레버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프론트 커버가 본체에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프론트 커버가 닫힌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론트 커버 2 : 레버설치바
3 : 레버 4 : 작동스프링
10 : 화상형성장치 본체 11 : 커버오픈센서
12 : 액츄에이터 13 : 안내면
21 : 힌지결합부 22 : 스프링스토퍼
23 : 보호덮개 31 : 하부면
32 : 스토퍼

Claims (5)

  1. 커버오픈센서와 이 커버오픈센서를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개폐작동되는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레버설치바; 및
    상기 레버설치바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레버설치바는 그 끝단에 스프링스토퍼와 힌지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레버는 그 일단이 상기 힌지결합부에 힌지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에는 작동스프링이 게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스프링은 그 일단이 상기 레버의 소정부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스프링스토퍼에 고정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의 개폐작동시 압축,이완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하부면이 곡선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설치바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레버의 하부면을 가이드하기 위한 안내면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03943A 2004-01-19 2004-01-19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20050076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943A KR20050076126A (ko) 2004-01-19 2004-01-19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943A KR20050076126A (ko) 2004-01-19 2004-01-19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126A true KR20050076126A (ko) 2005-07-26

Family

ID=37264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943A KR20050076126A (ko) 2004-01-19 2004-01-19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61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647B1 (ko) * 2006-05-17 2007-05-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2단락구조
US7903997B2 (en) 2006-12-06 2011-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upl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11046099B2 (en) 2016-09-12 2021-06-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oor assembly for serviceable machi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647B1 (ko) * 2006-05-17 2007-05-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2단락구조
US7891551B2 (en) 2006-05-17 2011-02-22 Nautilus Hyosung Inc. Two-stage lock structur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US7903997B2 (en) 2006-12-06 2011-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upl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11046099B2 (en) 2016-09-12 2021-06-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oor assembly for serviceable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8586B2 (ja) 画像記録装置
US77040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113220A (en) Drum cartridge for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with two-piece protected shutter covering the drum
KR100324099B1 (ko) 신뢰성 있는 커버스위치를 사용한 장치
US8315539B2 (en)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outer cover and jam cover linked to the outer cover
US8311438B2 (en) Interlock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20190227478A1 (en) Cabinet, electronic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448994B1 (en) Laser printer
JP5148228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US7512362B2 (en) Photosensitive drum with improved shutter structur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11653402U (zh) 一种处理盒
KR20050076126A (ko)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US5752135A (en) Door operated charge member positioning
EP0905585B1 (en) A process cartridge having a shutter to cover the surface of a photoconduc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artridge
JP362886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シャッター機構、これを用い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4462921B2 (ja) 画像形成装置
JP4417617B2 (ja) インタロックスイッチ機構・画像形成装置
JP3682250B2 (ja) ペーパー解除機構付き軸受
JP282307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107782A (ja) 駆動装置
JP4657682B2 (ja) 画像形成装置
JPH0844161A (ja) 電子写真装置
JP3427143B2 (ja) 電子写真装置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構造
JP2514666Y2 (ja) インターロックスイッチ装置
JPH1016353A (ja) 開閉カバー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