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907A -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907A
KR20070066907A KR1020060131481A KR20060131481A KR20070066907A KR 20070066907 A KR20070066907 A KR 20070066907A KR 1020060131481 A KR1020060131481 A KR 1020060131481A KR 20060131481 A KR20060131481 A KR 20060131481A KR 20070066907 A KR20070066907 A KR 20070066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pair
emitting elemen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0797B1 (ko
Inventor
나오야 타케하라
히로시 나카가와
타케시 이소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6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component consisting of a short length of fibre, e.g. fibre stub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6Bidirectionally operating packag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트 가이드와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의 얼라인먼트가 확실히 실시되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연결부(23)를 개재해서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라이트 가이드(21, 22)의, 리셉터클 보디(10)의 배면(13a)으로부터 돌출해서 각각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와 대향하는 일단부측에, 그 주위를 에워 쌓도록 어태치먼트(81)를 각각 장치하고, 이들 어태치먼트(81)가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구멍(31, 41)에 삽입 위치결정되어서, 한 쌍의 라이트 가이드(21, 22)와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와의 광축 맞춤을 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리셉터클 보디(10)나 라이트 가이드 유닛(20)에 성형왜곡이 생겼다 하더라도, 그 성형왜곡에 기인해서 얼라인먼트가 붕괴하는 것과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CONNECTOR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의 일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A는 배면측에서 바라본 도면, B는 전면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의 분해사시도(배면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의 일부 분해한 사시도(전면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연결된 2개의 어태치먼트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단면도, D는 저면도, E는 사시도;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발광소자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A는 정면도, B는 단면도, C는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의 단면도;
도 7은 리셉터클 보디에 라이트 가이드 유닛이 조립되고, 또한 어태치먼트가 장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어태치먼트가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의 가이드구멍에 삽입 위치결정되어서 얼라인먼트가 실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A는 리셉터클 보디에 성 형왜곡이 생기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B는 라이트 가이드 유닛에 성형왜곡이 생기고 있는 경우를 도시함;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의 비공지선행기술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D는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보디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A는 배면도, B는 사시도;
도 13은 도 10의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보디에 라이트 가이드 유닛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A는 리셉터클 보디에 성형왜곡이 생겨서 얼라인먼트가 붕괴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B는 라이트 가이드 유닛에 성형왜곡이 생겨서 얼라인먼트가 붕괴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송신측 광파이버와 수신측 광파이버를 유지한 광플러그와 접속되는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의 커넥터(리셉터클)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와 이들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 상대쪽 광플러그의 송신측 광파이버 및 수신측 광파이버를 광학적으로 접속하는 라이트 가이드(도광부재)가 조립되어서 일반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그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커넥터가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커넥터에서는 커넥터 하우징에 광플러그의 광파이버(선단부에 페룰(ferrule)이 장치되어 있음)가 삽입되는 한 쌍의 수승통(受承筒)이 형성되고, 라이트 가이드(특허문헌 1에서는 슬리브(sleeve)라고 호칭되고 있음)는 그 수승통에 압입되어서 수승통의 안쪽에 고정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라이트 가이드의 고정구조에서는 압입에 의한 응력이 라이트 가이드에 작용하고, 응력의 영향에 의해서 라이트 가이드의 광학특성(광학기능)이 손상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송신용과 수신용의 한 쌍의 라이트 가이드를 연결부를 개재해서 일체화하고, 그 연결부를 압입 고정함으로써 라이트 가이드에는 압입에 의한 응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고, 즉 응력의 영향에 의해서 라이트 가이드의 광학특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하며, 또한 라이트 가이드와 동일한 재료로 일체 형성된 연결부에 광이 누설하는 것에 의한 광의 전송손실 및 송신광이 근거리의 수광소자에 입사하는 크로스 토크를 저감하기 위해, 연결부의 라이트 가이드와의 결합면적을 극력 작게 하고, 또한 광의 누설을 초래하는 구성요소를 극력으로 배제한 라이트 가이드(라이트 가이드 유닛) 및 그것을 이용한 커넥터를 본 출원인은 우선 일본국 특원2005-313275호(비공지)에 의해서 제안하였다.
도 10~도 13은 이 일본국 특원2005-313275호에서 제안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커넥터의 단면구조를 도시하고,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라이트 가이드 유닛(일본국 특원2005-313275호에서는 광학결합부재라고 호칭하고 있음) 및 리셉터클 보디의 구조를 도시한다. 또, 도 13은 라이트 가이드 유닛의 장치구조를 상세히 도시한다. 또한, 도 10에는 상대쪽 광플러그의 페룰에 유지된 광파이버를 아울러 도시하고 있으며, 즉 광플러그가 끼워맞춤 접속된 상태에서의 광파이버 및 페룰을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제의 리셉터클 보디(10)와 라이트 가이드 유닛(20)과 발광소자(30)와 수광소자(40)와 소자홀더(50)와 실드커버(60)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 10 중, (71, 72)는 광플러그의 송신측 광파이버 및 수신측 광파이버를 도시하고, (73, 74)는 이들의 선단부에 각각 장치되어 있는 페룰을 도시한다.
라이트 가이드 유닛(20)은 이 예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기둥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라이트 가이드(21, 22)가 연결부(23)을 개재해서 일체화되어 있는 것으로 되며, 이와 같은 라이트 가이드 유닛(20)은 수지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라이트 가이드(21, 22)의 양단부면에는 각각 평행광 렌즈(21a, 21b 및 22a, 22b)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3)는 평판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되어서, 기체부(基體部)(24)와 그 기체부(24)로부터 판면방향,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연결단부(25, 26)로 이루어지며, 이들 연결단부(25, 26)가 각각 라이트 가이드(21, 22)의 축방향 중 간부분의 측면(둘레면)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단부(25, 26)의, 라이트 가이드(2l, 22)의 둘레면과의 결합영역은 각각 라이트 가이드(21, 22)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그 둘레의 반 이내의 영역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체부(24)에는 V자 형상으로 크게 도려내진 노치(27)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보디(10)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면에 상대쪽 광플러그가 삽입되는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11) 내에 한 쌍의 수승통(12)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수승통(12)은 오목부(11)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리셉터클 보디(10)의 후벽(13)으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수승통(12)은 페룰(73, 74)이 삽입 끼워맞춤되는 구멍(12a)과 그것에 이어지는 관통구멍(14)을 각각 가지는 것으로 되고, 수승통(12)과 연통하는 관통구멍(14)은 후벽(13)을 관통해서 리셉터클 보디(10)의 배면(후벽(13)의 외부측면)(13a)에 개구되어 있다.
리셉터클 보디(10)의 배면(13a)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트 가이드 유닛(20)의 연결부(23)의 외형형상에 대응하는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한 쌍의 관통구멍(14) 서로의 바깥쪽으로, 각각 관통구멍(14)을 둘레의 반을 에워 쌓도록 가이드부(1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반원통형상을 이루는 가이드부(16)는 그 내주면이 관통구멍(14)의 내주면과 동일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오목부(15)의 측벽면에는 6개의 돌기부분(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돌기부분(17)은 오목부(15)의 깊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단면이 반구면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되어 있다.
라이트 가이드 유닛(20)의 리셉터클 보디(10)에의 장치는 리셉터클 보디(10)의 배면(13a)측으로부터 한 쌍의 관통구멍(14)에 라이트 가이드(21, 22)를 삽입하고, 오목부(15)에 연결부(23)를 압입함으로써 실시되며, 이것에 의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분(17)이 연결부(23)와 압접해서 연결부(23)가 위치결정 고정된다. 이때, 라이트 가이드(21, 22)의, 리셉터클 보디(10)의 배면(13a)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단부는 각각 그 둘레의 반이 가이드부(16)에 의해서 유지된 상태로 된다.
발광소자(30)와 수광소자(4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자홀더(50)에 수용되어서 유지되고, 이 예에서는 이 소자홀더(50)가 실드커버(60)에 수용 유지되고 있다. 실드커버(60)는 리셉터클 보디(10)에, 그 배면(13a)측으로부터 장착되고, 이것에 의해 라이트 가이드(21, 22)의 단부면에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가 각각 대향된다. 또한, 이때, 리셉터클 보디(10)의 배면(13a)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부(16)가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구멍(31, 41)에 걸어맞춤해서 위치결정되고, 이것에 의해 라이트 가이드(21, 22)와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와의 광축 맞춤이 실시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페룰(73, 74)에 유지되어서 수승통(12) 내에 삽입된 상대쪽 광플러그의 송신측 광파이버(71) 및 수신측 광파이버(72)는 각각 라이트 가이드(21, 22)를 개재해서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와 광학적으로 접속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커넥터에서는 라이트 가이드 유닛(20)은 그 연결부(23)가 리셉터클 보디(10)의 오목부(15)에 압입 고정됨으로써 리셉터클 보디(10)에 장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라이트 가이드(21, 22)에는 압입에 의한 응력이 작용하지 않고, 응력에 의해서 라이트 가이드(21, 22)의 광학특성이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연결부(23)는 그 연결단부(25, 26)가 라이트 가이드(21, 22)와 연결됨으로써 라이트 가이드(21, 22)와의 결합면적이 작게 억제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연결부(23)에의 광의 누설이 억제되기 때문에, 광의 전송효율이 우수하며, 또한 크로스 토크가 적은 커넥터가 얻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1-133665호 공보
그런데, 도 10~도 13에 도시한 커넥터에서는 리셉터클 보디(10)의 배면(13a)에 한 쌍의 가이드부(16)가 돌출 형성되어서, 이들 가이드부(16)가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구멍(31, 41)에 걸어맞춤함으로써 라이트 가이드(21, 22)와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와의 광축 맞춤(얼라인먼트)이 각각 실시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라이트 가이드(21, 22)간에는 연결부(23)가 존재하며, 또한 라이트 가이드(21, 22)는 리셉터클 보디(10)의 배면(13a)측으로부터 관통구멍(14)에 삽입되기 때문에, 가이드부(16)를 원통형상으로 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연결부(23)를 피하기 위해서, 가이드부(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원통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가이드부(16)에서는 라이트 가이드(21, 22)를, 그 전체둘레에 걸쳐서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리셉터클 보디(10)나 라이트 가이 드 유닛(20)에 성형왜곡이 생겼을 경우, 라이트 가이드(21, 22)와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와의 얼라인먼트가 붕괴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도 14는 이런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4(A)는 리셉터클 보디(10)에 성형왜곡이 생긴 예를 도시하고, 도 14(B)는 라이트 가이드 유닛(20)에 성형왜곡이 생긴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면은 모두 과장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 (32, 42)는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렌즈를 도시한다.
이들 도 14(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보디(10)나 라이트 가이드 유닛(20)에 성형왜곡이 생기면, 리셉터클 보디(10)에 형성되어 있는 반원통형상의 가이드부(16)의 중심과 라이트 가이드(21, 22)의 각 중심과의 사이에 어긋남이 생긴다고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한편, 가이드부(16)는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구멍(31, 41)과 걸어맞춤하기 위해서,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의 렌즈(32, 42)는 각각 가이드부(16)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라이트 가이드(21, 22)의 중심과는 도 14(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긋남, 즉 라이트 가이드(21, 22)와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와의 얼라인먼트가 붕괴한다.
이와 같은 얼라인먼트의 붕괴는 광결합에 큰 손실을 일으켜서, 커넥터의 광학특성의 대폭적인 악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 문제를 감안하여, 라이트 가이드와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의 얼라인먼트(광축 맞춤)가 확실히 실시되도록 하고, 안정적이면서 양호한 광학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송신측 광파이버와 수신측 광파이버를 유지한 광플러그와 접속되는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로서, 전면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송신측 광파이버 및 수신측 광파이버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수승통이 형성되고, 이들 수승통과 각각 연통해서 배면에 개구하는 한 쌍의 관통구멍을 구비한 리셉터클 보디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유지하고, 상기 배면에 장착된 소자홀더와, 원기둥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라이트 가이드가 연결부를 개재해서 일체로 형성되며, 이들 라이트 가이드가 상기 한 쌍의 관통구멍에 각각 삽입되어서, 송신측 광파이버 및 수신측 광파이버와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각각 광학적으로 접속하는 라이트 가이드 유닛을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한 쌍의 라이트 가이드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돌출해서 각각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 대향하는 일단부측에, 그 주위를 에워 쌓도록 어태치먼트가 각각 장치되고, 이들 어태치먼트가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구멍에 삽입 위치결정되어서, 한 쌍의 라이트 가이드와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의 광축 맞춤을 하는 구조로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는 가이드구멍이 어태치먼트에 각각 걸어맞춤하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소자홀더에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어태치먼트가 가이드구멍에 걸어맞춤하도록, 상기 관통구멍의 상기 배면측의 직경이 확장되어서 라이트 가이드의 상기 일단부측이 만곡 가능으로 된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의 발명에 있어서, 2개의 어태치먼트가 유연성을 구비한 결합부를 개재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도 10~도 13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그 커넥터를 각부로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 도 3은 커넥터를 일부 분해하고, 도 2와는 반대로 전방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는 도 10~도 13에 도시한 커넥터와 마찬가지로, 리셉터클 보디(10)와 라이트 가이드 유닛(20)과 발광소자(30)와 수광소자(40)와 소자홀더(50)와 실드커버(60)를 구비하고, 추가로 2개의 어태치먼트(81)를 구비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이들 2개의 어태치먼트(81)는 이 예에서는 결합부(82)를 개재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어태치먼트(81)는 라이트 가이드(21, 22)에 장치되는 것이며, 우선 어태치먼트(81) 및 결합부(82)의 구조를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어태치먼트(81)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되며, 그 중심에는 관통구멍(81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81a)의 일단부측에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유지부(81b)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지부(81b)를 사이에 두는 양측은 접시형 구멍형상으로 되어 있다.
2개의 어태치먼트(81)를 연결하는 결합부(82)는 이 예에서는 コ자 형상으로 연신된 형상으로 되고, 한 쌍의 다리부(82a)와 이들을 잇는 중간부(82b)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다리부(82a)가 각각 어태치먼트(81)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어태치먼트(81) 및 결합부(82)는 사출성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부(82)는 단면적이 충분히 작고, 또한 앵글을 구성하는 것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유연성을 지니는 것으로 된다.
도 5는 발광소자(3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발광소자(30)는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LD)가 수지 밀봉되고, 그 밀봉 수지로부터 단자가 도출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 중, (33)은 밀봉 수지를 도시하고, (34)는 단자를 도시한다. 밀봉 수지(33)에는 가이드구멍(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구멍(31)의 바닥면보다 1단계 내려간 면의 중앙에 반구형상을 이루는 렌즈(32)가 형성되어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렌즈(32)와 광축이 일치되어서 렌즈(32)의 안쪽(아래쪽)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구멍(31)은 테이퍼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되고, 표면을 향해서 직경이 확장되어 있다.
한편, 수광소자(40)는 예를 들면 포토 다이오드(PD)가 수지 밀봉되고, 그 밀봉 수지로부터 발광소자(30)와 마찬가지로, 단자가 도출된 구조로 되며, 이 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소자(30)와 대칭(선대칭)인 외형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된다. 수광소자(40)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구멍(41)은 발광소자(30)의 가이드구멍(31)과 마찬가지로, 테이퍼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된다.
리셉터클 보디(10)의 배면(13a)에는 라이트 가이드 유닛(20)의 연결부(23)의 외형형상에 대응하는 오목부(15)에 부가하여, 이 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어태치먼트(81)를 연결하는 결합부(82)의 외형형상에 대응한 오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한 쌍의 가이드부(16)는 이 예에서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즉 배면(13a) 위로 돌출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각부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라이트 가이드(21, 2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보디(10)의 배면(13a)측으로부터 한 쌍의 관통구멍(14)에 삽입되고, 이때, 연결부(23)가 배면(13a)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5)에 압입되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예(비공지선행기술)와 마찬가지로, 돌기부분(17)에 의해서 위치결정 고정된다.
라이트 가이드(21, 22)는 그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와 대향되는 일단부측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보디(10)의 배면(13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이들 일단부측에 각각 어태치먼트(81)가 장치된다. 어태치먼트(81)는 각각 라이트 가이드(21, 22)에 끼워지고, 그 협소한 유지부(81b)에 의해서 라이트 가이드(21, 22)를 유지하는 구조로 되며, 이들 어태치먼트(81)에 의해 라이트 가이드(21, 22)는 각각 그 일단부측의 주위가 에워 쌓이고, 즉 전체둘레가 유지된다. 또한, 한 쌍의 어태치먼트(81)를 연결하고 있는 결합부(82)는 배면(13a)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8)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된다.
발광소자(30)와 수광소자(40)를 수용 유지한 소자홀더(50)는 실드커버(60)에 수용 유지되고, 이 실드커버(60)가 리셉터클 보디(10)에 그 배면(13a)측으로부터 장착된다. 실드커버(6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걸림부(61)를 구비하 고 있으며, 이들 걸림부(61)가 리셉터클 보디(10)의 양측면에 걸림됨으로써 리셉터클 보디(10)에 장치된다.
한 쌍의 어태치먼트(81)는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의 가이드구멍(31, 41)에 각각 걸어맞춤하고, 이것에 의해 라이트 가이드(21, 22)의 단부면이 각각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와 대향된다.
이와 같이, 이 예에서는 라이트 가이드(21, 22)에 각각 장치한 어태치먼트(81)가 가이드구멍(31, 41)에 삽입 위치결정되어서 라이트 가이드(21, 22)와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와의 광축 맞춤이 실시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는 이들의 가이드구멍(31, 41)이 어태치먼트(81)와 걸어맞춤하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소자홀더(50)에 유지되고, 즉 엄밀히 위치결정 고정되는 일 없이, 어느 정도의 틈을 가지고 소자홀더(50)에 유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에 의하면, 예를 들면 리셉터클 보디(10)나 라이트 가이드 유닛(20)에 성형왜곡이 생겨도, 라이트 가이드(21, 22)의 전체둘레를 유지한 어태치먼트(81)가 각각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의 가이드구멍(31, 41)에 유입되어서 걸어맞춤함으로써, 그와 같은 성형왜곡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라이트 가이드(21, 22)와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와의 양호한 광축 맞춤(얼라인먼트)이 실시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구멍(31, 4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어태치먼트(81)를 양호하게 유입할 수 있다.
도 8(A, B)은 도 14(A, B)에 도시한 종래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리셉터클 보디(10)에 성형왜곡이 생긴 예 및 라이트 가이드 유닛(20)에 성형왜곡이 생긴 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와 같은 성형왜곡이 생겼을 경우일지라도, 도면 중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가 슬라이드하고, 가이드구멍(31, 41)이 각각 어태치먼트(81)와 걸어맞춤함으로써, 라이트 가이드(21, 22)의 중심은 각각 렌즈(32, 42)의 중심과 일치되고, 즉 얼라인먼트가 붕괴한다고 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어태치먼트(81)는 발광소자(30)나 수광소자(40) 이외의 부품에 의해서, 그 작동이 제한되지 않으며, 또 결합부(82)는 유연성을 지니기 때문에, 결합부(82)에 의해서 2개의 어태치먼트(81)가 서로 작동을 제한한다고 하는 일도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어태치먼트(81)는 양호하게 가이드구멍(31, 41)에 걸어맞춤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2개의 어태치먼트(81)는 결합부(82)에 의해서 연결되어서 일체화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일체화하는 일 없이, 별개의(개개 독립한) 것으로 해도 된다. 단, 상술한 예와 같이 일체화함으로써 부품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수지제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금속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어태치먼트(81)는 라이트 가이드(2l, 22)와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의 가이드구멍(31, 41)과의 직경 치수 차이를 벌충하는 외경을 가지는 것으로 되며, 이 예에서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가이드구멍(31, 41)이 원형이 아닌 경우에는 그 형상에 대응한 외형형상으로 된다.
이상, 라이트 가이드(21, 22)에 어태치먼트(81)를 각각 장치하고, 이들 라이 트 가이드(21, 22) 및 어태치먼트(81)는 고정으로 하고,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해서,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가 슬라이드함으로써, 이들의 가이드구멍(31, 41)에 어태치먼트(81)가 각각 걸어맞춤하고, 얼라인먼트되도록 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를 고정으로 해서 라이트 가이드(21, 22)를 유지한 어태치먼트(81)가 작동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가이드구멍(31, 41)에 유입되게 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9는 이와 같은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이 예에서는 라이트 가이드(21, 22)가 삽입되는 리셉터클 보디(10)의 한 쌍의 관통구멍(14)의 배면(13a)측의 부분이 테이퍼형상으로 되고, 즉 배면(13a)을 향해서 직경이 확장하는 테이퍼부(14a)를 관통구멍(14)이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라이트 가이드(21, 22)는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와 대향하는 일단부측과 반대인 타단부측이 관통구멍(14)에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으며, 일단부측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 가능하게 되고, 즉 일단부측이 작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의 가이드구멍(31, 41)에 어태치먼트(81)는 유입되어서 걸어맞춤하고, 따라서 라이트 가이드(21, 22)와 발광소자(30) 및 수광소자(40)와의 광축 맞춤(얼라인먼트)이 양호하게 실시되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라이트 가이드의,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 대향 하는 일단부측에 어태치먼트가 장치되어서, 어태치먼트에 의해 라이트 가이드의 전체둘레가 유지되고, 이들 어태치먼트가 각각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의 가이드구멍에 삽입 위치결정되어서, 한 쌍의 라이트 가이드와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의 광축 맞춤이 실시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면 리셉터클 보디나 라이트 가이드(라이트 가이드 유닛)에 성형왜곡이 생겨도, 종래와 같이 얼라인먼트가 붕괴한다고 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광결합 손실이 적고, 안정적이면서 양호한 광학특성을 지니는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송신측 광파이버와 수신측 광파이버를 유지한 광플러그와 접속되는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로서,
    전면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상기 송신측 광파이버 및 수신측 광파이버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수승통(受承筒)이 형성되고, 이들 수승통과 각각 연통해서 배면에 개구하는 한 쌍의 관통구멍을 구비한 리셉터클 보디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유지하고, 상기 배면에 장착된 소자홀더와,
    원기둥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라이트 가이드가 연결부를 개재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이들 라이트 가이드가 상기 한 쌍의 관통구멍에 각각 삽입되어서, 상기 송신측 광파이버 및 수신측 광파이버와 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각각 광학적으로 접속하는 라이트 가이드 유닛을 구비하는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라이트 가이드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돌출해서 각각 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 대향하는 일단부측에, 그 주위를 에워 쌓도록 어태치먼트가 각각 장치되고,
    이들 어태치먼트가 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구멍에 삽입 위치결정되어서, 상기 한 쌍의 라이트 가이드와 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의 광축 맞춤이 실시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는 상기 가이드구멍이 상기 어태치먼트에 각각 걸어맞춤하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소자홀더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가 상기 가이드구멍에 걸어맞춤하도록, 상기 관통구멍의 상기 배면측의 직경이 확장되어서 상기 라이트 가이드의 상기 일단부측이 만곡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어태치먼트가 유연성을 구비한 결합부를 개재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
KR1020060131481A 2005-12-21 2006-12-21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 KR101060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67844 2005-12-21
JP2005367844A JP4464913B2 (ja) 2005-12-21 2005-12-21 双方向光通信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907A true KR20070066907A (ko) 2007-06-27
KR101060797B1 KR101060797B1 (ko) 2011-08-30

Family

ID=37847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481A KR101060797B1 (ko) 2005-12-21 2006-12-21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71015B2 (ko)
EP (1) EP1801626B1 (ko)
JP (1) JP4464913B2 (ko)
KR (1) KR101060797B1 (ko)
CN (1) CN100474019C (ko)
DE (1) DE602006017161D1 (ko)
TW (1) TWI4071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0178B2 (ja) * 2008-12-24 2011-08-17 ホシデン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6354102B2 (ja) * 2013-05-13 2018-07-11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6190749B2 (ja) * 2014-04-04 2017-08-30 日立金属株式会社 二連型lc用通信光検知用アダプタ及び二連型lc用通信光検知構造
CN106641864A (zh) * 2016-10-12 2017-05-1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产品的led灯罩结构及移动设备、键盘
CN112932339B (zh) * 2021-02-10 2022-08-05 江西欧迈斯微电子有限公司 3d模组及扫地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1407B2 (ja) * 1999-11-08 2008-04-02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用スリーブ、及びレセプタクル
US6499889B1 (en) * 1999-12-08 2002-12-31 Yazaki Corporation Method of assembling optical connector, optical connector and hybrid connector
JP3735011B2 (ja) * 2000-07-03 2006-01-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の組み付け方法
JP3885988B2 (ja) * 2000-07-03 2007-02-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
NL1021205C2 (nl) * 2002-08-02 2004-02-18 Framatome Connectors Int Optisch connector samenstel, koppelstuk en werkwijze voor het positioneren van het koppelstuk en een structuur van golfgeleiders.
JP3926722B2 (ja) 2002-10-21 2007-06-06 矢崎総業株式会社 一芯双方向光送受信コネクタ
JP2005215131A (ja) 2004-01-28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通信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67210B2 (ja) * 2004-09-08 2008-10-15 ホシデン株式会社 スリーブの取り付け構造
JP4559952B2 (ja) * 2004-11-04 2010-10-13 ホシデン株式会社 光通信コネクタ用光学結合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光コネクタ並びに光コネクタの組み立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71463A (ja) 2007-07-05
TW200734708A (en) 2007-09-16
EP1801626A1 (en) 2007-06-27
EP1801626B1 (en) 2010-09-29
TWI407165B (zh) 2013-09-01
DE602006017161D1 (de) 2010-11-11
JP4464913B2 (ja) 2010-05-19
US7371015B2 (en) 2008-05-13
CN100474019C (zh) 2009-04-01
US20070140629A1 (en) 2007-06-21
CN1987541A (zh) 2007-06-27
KR101060797B1 (ko) 201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8401B2 (ja) 浮遊型コネクタ副組み立て体とそれを含むコネクタ
US5867621A (en) Adapter and guide pin assembly for coupling of fiber optic connectors
TWI290243B (en) Optical connector
JP5100869B2 (ja) 光コネクタプラグ
US20040146252A1 (en) Optical fibre connector
KR101060797B1 (ko)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
US6953290B2 (en) Sleeve assembly and optical sub-assembly using the same
US6817783B2 (en) Optical subassembly with replaceable optical sleeve
US7178989B2 (en) Optical receptacle and optical sub-assembly using the same
JP2007011064A (ja) 光コネクタ
JP7102377B2 (ja) 光コネクタ
US7059779B2 (en) Optical fiber receptacle adaptor
JP4964031B2 (ja) 光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光コネクタプラグ、光コネクタ
WO2013100892A1 (en) Optical module
US9594221B2 (en) Optical connector
US20180003903A1 (en) Cable Connector
JP7488098B2 (ja) 光コネクタ装置
JP3101069U (ja) 光送受信モジュールの本体アセンブリ
JP2024044262A (ja) 光コネクタ
JP4843436B2 (ja) サブモジュール
JP2508072Y2 (ja) 光半導体レセプタクル
KR200337923Y1 (ko) 광 송수신 모듈의 본체 어셈블리
JP2011221374A (ja) 光ケーブルコネクタ
JP2005208267A (ja) 光結合モジュール
JP2001235652A (ja) ストップリング及び光コネクタ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