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006A - 광 디스크의 유실된 트랙 포커싱의 복원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의 유실된 트랙 포커싱의 복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006A
KR20070058006A KR1020077010184A KR20077010184A KR20070058006A KR 20070058006 A KR20070058006 A KR 20070058006A KR 1020077010184 A KR1020077010184 A KR 1020077010184A KR 20077010184 A KR20077010184 A KR 20077010184A KR 20070058006 A KR20070058006 A KR 20070058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category
lost
laser beam
ro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로엔 에이. 엘. 제이. 라아이마커스
데르 마아덴 마르티엔 반
스테판 구센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70058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on during external perturbations not related to the carrier or servo beam, e.g. vibration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레이저 빔을 트랙에 포커싱하는 것을 잃어버린 경우 트랙으로부터/에 데이터를 판독 또는 기록하기 위해 광 디스크의 트랙에 레이저 빔을 포커싱하는 것을 복원하는 방법에는, 포커스 로스트 원인의 2개의 카테고리 A, B가 정의되어 있고, A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것이고, B는 다른 원인으로 인한 것이며, 포커스 재포획은, 카테고리 B 포커스 로스트에 대해 메모리에만 저장된 포커스 제어 정보로 수행된다.
광 디스크, 포커스 로스트, 복원, 레이저 빔.

Description

광 디스크의 유실된 트랙 포커싱의 복원{RECOVERY OF LOST TRACK FOCUSING ON AN OPTICAL DISC}
본 발명은, 데이터를 정보매체로부터/에 데이터를 판독 또는 기록하기 위한 광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정보매체는, 이를테면 CD, 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 등의 광 디스크이다. 특히,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을 서로 다른 동기로 상기 트랙에 포커싱하는 것을 잃어버린 경우 그 트랙으로부터/에 데이터를 판독 또는 기록하기 위해 정보매체의 트랙에 레이저 빔을 포커싱하는 것을 복원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정보는, 광 드라이브를 사용하여 광 디스크의 트랙을 따라서 광 디스크로부터 판독되거나 광 디스크에 기록된다. 광 드라이브에 있는 포커스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레이저 스폿을 광 디스크에 포커싱한다. 레이저 스폿은, 레이저 빔을 디스크의 데이터 저장층에 포커싱하는 대물렌즈에 의해 포커싱된 레이저 빔으로 제공된다. 일례로서, 포커싱 액추에이터 코일은, 대물렌즈가 디스크의 데이터 저장층에 레이저 빔의 초점을 포커싱하고 있도록 대물렌즈를 구동한다. 제 2 코일인 트랙킹 액추에이터 코일은, 그 레이저 빔이 디스크의 트랙을 따라 추적되도록 대물렌즈를 구동한다.
광 드라이브에서는, 서보 시스템을 사용하여 레이저 빔, 레이저 스폿의 초점을 그 디스크의 데이터 저장층에 포커싱한다. 상기 서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루 프를 포커스 제어루프라고 한다. 적절한 광 드라이브 성능을 보증하기 위해서, 상기 포커스 제어루프는 폐쇄되어야 한다. 그 서보 시스템에서의 레이저 빔의 안내를 제어하는 오차신호는, 상기 데이터 저장층으로부터 레이저 빔용 광원을 갖는 슬레지 상의 검출기로 다시 반사된 광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포커스를 포획하기 위해서, 액추에이터는, 디스크를 향하여 이동된다. 디스크를 향하여 이동할 때, 중심 개구(CA)라고 불리는 반사된 신호를 감시한다. 그 신호가 특정 임계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액추에이터는 초점에 근접한 후, 포커스 오차신호는 감시된다.
그러나, 최적의 초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포커스 오차신호는, 트랙 상의 빔의 최적의 초점 근처에 수 um의 제한된 거리만 한정된다. 트랙킹 오차가 이러한 제한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서보 시스템에서의 폐쇄루프 동작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이것이 발생하는 경우, 포커스 로스트(focus lost)라고 한다.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포커스 로스트에 대한 원인을 2개의 카테고리:
카테고리 A: 외부 충격으로 인한 포커스 로스트
카테고리 B: 반경방향 문제점, 디스크의 긁힘, 디스크의 검은 점, 슬레지의 짧은 점프 등등의 다른 원인으로 인한 포커스 로스트로 나눈다.
반경방향의 문제점은, 예를 들면, 긁힘, 검은 점 또는 지문 등과 같은 디스크의 표면의 울퉁불퉁한 상태로 인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높은 반경방향 편심률을 갖는 디스크 상에서 액추에이터가 짧게 점프하면, 그 반경방향으로 이동된 액추 에이터는 그 하우징에 부딪힌다. 후자의 경우에 액추에이터의 이동 부분과 (접촉하고 있는) 하우징간의 마찰에 의해, 포커스 로스트의 경우가 된다.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 후, 구동부는, 포커스 제어 루프가 다시 안정한 상태로 되는 트랙의 포커스를 복원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포커스 재포획(focus re-capture)이라고 한다.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를 검출하고 드라이브가 다시 상기 재포획에 의한 안정한 포커스 트랙킹 상태로 되게 하는 전체 시퀀스를, 포커스 복원이라고 한다.
종래 기술의 드라이브에서, 상기 포커스 복원 시퀀스는, 포커스 로스트의 카테고리인 특징에 상관없이 항상 동일하다. 대부분의 드라이브에서는, 동기화된 반복 제어(SRC)라고 하는 메모리 루프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초기의 디스크 회전으로부터 얻어진 반복적인 포커스 제어 정보를 저장한다.
공보 WO 01/67444(P1)에는, 포커스 로스트를 피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여기서 2개의 오차신호는 디스크의 약간 서로 다른 위치, 예를 들면 메인 스폿과 위성 스폿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 2개의 오차신호들간의 차이에 관한 정보에 따라, 충격이 일어나는지(이 경우에, 그 오차신호들은 거의 동일하다) 또는 긁힘이 디스크에 존재하는지(그래서 그 오차신호들은 시간에 있어서 변경된다)를 판정한다. 이러한 검출에 의거하여, 특정한 조치를 취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충격이 일어난 경우, 서보 시스템에서의 이득은 증가될 수 있다.
US 6046967(P2)에는, 레이저 빔의 포커싱을 제어하는 서보 시스템에서의 비선형 이득의 사용을 제안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다 큰 대역폭은, 오차가 큰 경우 서보 시스템에서 달성된다. 결함이 검출될 때 악영향을 상쇄하기 위해서, 비선형/선형 이득회로는, 결함이 검출되는 경우 선형이득 동작으로 대체된다.
결함은, 예를 들면, 긁힘, 검은점, 지문 등일 수 있다.
상기 공보 P1에서 2 스폿을 사용하는 아이디어는 필수적이다. 그래서, 상기 시스템은, 디스크의 전체 판독/기록 동안에 트랙킹하고 있다. 공보 P2에는, 공지된 해결책이 개시되어 있다. 공보 P1 및 P2 모두에는, 오차원인(충격 또는 긁힘)의 종류가 공지되는 경우 트랙킹 성능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아울러, P1에는, 그 취해진 방법의 설명(선형과 비선형 이득간의 전환)으로 한정된 P2에 나타낸 개시내용에서 가능하지 않은 오차 원인을 구별하는 방법의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양쪽의 경우에, 그 시스템의 포커스가 손실된 후 복원하는 방법을 구별하지 못한다. P1 및 P2의 회로는, 간단히 포커스 복원을 제거하려고 한다.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의 근본적인 원인에 따라, 최적의 포커스 복원 시퀀스는 다르다. 예를 들면, 외부 충격 후(카테고리 A), 디스크 드라이브는, 심하게 이동하고 있어도 된다. 서보 메모리에 저장된 반복적인 포커스 제어 정보(SRC)는 이들 외란에 의해 변화된다.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 후, 드라이브와 디스크는, 그래도 심하게 방해받는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카테고리, 즉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의 근본적인 원인을 간단히 검출하고, 그 검출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로스트 포커스 후 복원 알고리즘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청구항 1에 특정된 것과 같은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청구항 1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포함한 독립적인 광 드라이브 청구항에 특정된 것과 같은 광 드라이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는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카테고리 A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 후, 드라이브와 디스크는 설명된 것처럼 심하게 방해받는다. 이러한 경우에, SRC 메모리 콘텐트는 포커스 재포획동안 더 이상 사용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SRC를 사용하지 않고 SRC메모리를 리셋한다. 지연은, 서보 시스템의 제어루프에서 포커스 재포획전에 상기 시스템(드라이브 및 디스크)이 충분히 그 움직임을 멈추게 하는 더 필요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 디스크 회전속도는 낮게 될 수 있거나, 슬레지는 내경으로 점프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때 포커스 포획은 일반적으로 보다 강건하거나 다른 대안을 취할 수 있고, 모두 포커스 로스트의 특정 카테고리에 적합하다.
카테고리 B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 후, 엔진과 디스크는, 동적으로 방해받지 않는다. 포커싱 메모리(SRC)의 콘텐트는, SRC 학습속도가 카테고리 B의 단시간 외란에 반응할 만큼 빠르지 않기 때문에 유효하다. 이 때문에, 그 SRC 메모리 정보를 사용하여 포커스 복원 동안에 포커스를 다시 재포획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 루프에서의 지연은 필요하지 않다. 레이저 빔을 상기 결함으로부터 떨어지게 디스크를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레이저 빔의 광원을 반경방향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운반하는 슬레지에 의한 짧은 점프(전형적으로 1mm)는, 상기 복원에 더 도 움이 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공된 이점은, 복원 시퀀스가 카테고리 A 포커스 로스트에 대해 개시된 복원과 비교하여 보다 빠르고 보다 강건하다는 것이다. 포커스 로스트 후의 복원 과정은 모든 외란에 대해 동일한 종래기술의 장치처럼, 이것은 소비자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특성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국면은, 이후 설명된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해지고 이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포커스 로스트 원인의 평가의 흐름도의 개략적인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포커싱의 복원에 사용된 알고리즘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다수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지원된 아래에서 설명된다.
종래기술의 장치에서, 포커스 복원은, 로스트 포커스 원인의 카테고리 모두에 대해 동일하다. 이 때문에, 포커스 복원은, 항상 최적이 아니다. 본 개시내용에서 제공된 방법에는, 포커스 로스트 원인의 검출된 특성에 의거하여 서로 다른 복원 시퀀스의 사용을 위한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의 이점이 기재되어 있고 일부의 중요한 쟁점에 관해 요약되어 있다.
포커스 재포획전의 지연이 시작될 수 있다
종래기술의 장치에서, 포커스 재포획전의 지연은, 모든 경우에 있어서, 외부 충격의 가능성을 해결하는데 필요하다. 카테고리 B 경우에도, 상기 지연을 수행한다. 이 때문에, 포커스 복원은,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 처리율(성능)이 손실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연은, 포커스 로스트가 카테고리 A 이벤트에 기인하는 경우만 제어루프에 추가된다.
SRC 메모리 보조 포커스 재포획
종래기술의 장치에서, SRC 메모리 콘텐트는, SRC 메모리 콘텐트가 카테고리 A 이벤트에 기인하여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될 수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SRC 메모리 보조 포커스 재포획은, 외부 충격 후 사용되지 않지만, 카테고리 B 이벤트에 대해 사용된다. 이 때문에, 포커스 복원은, 보다 강건하고 모든(고) 디스크 회전속도에서 실행될 수 있다.
디스크의 액추에이터의 긁힘을 막기 위해서 레이저 빔 제어 액추에이터에 공급된 전압의 감소.
종래기술에서는, 큰 전압 강하를 사용하여, 외부 충격으로 인한 가능한 높은 초점 이동을 해결한다. 상기 인가된 전압 강하로 인해, 액추에이터는 디스크로부터 세게 아래로 당겨진다. 그 큰 전압 강하는, 카테고리 B 이벤트에도 사용된다. 이것에 의해 소리(액추에이터가 하우징에 부딪히는 똑딱소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큰 액추에이터 전압 강하는, 외부 충격이 일어난 후(카테고리 A)에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점은, 보다 완만한 전압 강하가 충분하다는 것이다.
여기서, 전압 강하는, 포커스 액추에이터 코일에 인가된 전압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 포커스 액추에이터 코일은, 인가된 전압을 증가시키는 것이 디스크로 향한 액추에이터에 관한 힘을 증가시키고, 인가된 전압을 감소시키는 것이 디스크를 향한 액추에이터에 관한 힘을 감소시키도록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전압을 감소시켜 액추에이터를 디스크로부터 떨어지게 당기면 포커스 액추에이터에 인가된 전압이 음이 되므로, 그 힘은 액추에이터를 디스크로부터 떨어지게 향하도록(아래로 당김) 한다.
본 발명의 일부의 필수의 특징은, 드라이브가 포커스 로스트를 일으키는 이벤트의 종류들을 구별하고, 상기 이벤트의 특정 형태에 해당하는 포커스 복원 알고리즘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서로 다른 옵션은, 포커스 로스트가 생기게 되는 이벤트의 원인(카테고리들)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2개의 예를 여기서 설명한다:
1) 디스크의 적어도 일부의 회전 기간에서 검출된 평균 포커스 전력 손실의 변경을 감시한다. 전력 손실이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 전에 변경되는 경우, 외부 충격이 일어났다. 이러한 감시는, 검출된 평균 포커스 전력손실을 미분하는 것(dP/dt)에 의해 수행되어도 되어서, 상기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는 상기 미분된 평균 포커스 전력 손실의 값이 소정의 레벨보다 큰 경우 카테고리 A로서 분류되고, 상기 미분된 평균 포커스 전력 손실의 값이 상기 소정의 레벨이하인 경우 카테고리 B로서 분류된다.
2) 디스크의 적어도 일부의 회전 기간에서 SRC 메모리의 콘텐츠의 변경을 감 시한다. SRC 콘텐트가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 전에 변경되는 경우 외부 충격이 일어났다. 상기 감시는, 디스크의 고정된 소정 수의 회전에 대해 SRC 메모리의 콘텐트를 검사하여서 수행되어도 되어서,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는, SRC 메모리의 콘텐트가 포커스 로스트의 시점 이전에 변경되는 경우 카테고리 A로서 분류되고 SRC 메모리의 콘텐트가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은 경우 카테고리 B로서 분류된다.
포커스 로스트 검출 후, 재포획 방식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예로서, 이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1) 카테고리 A로 인한 포커스 로스트 후:
- SRC 메모리 리셋,
- P 볼트의 전압을 액추에이터에 전형적으로 5ms인가하여서(주의: 이것을 여기서는 큰 전압 강하라고 함), 액추에이터는 디스크로부터 아주 먼 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여기서 의미하는 것은, 대물렌즈( 및 포커스 코일)를 이송하는 포커스 액추에이터가 상기 인가된 전압 P 때문에 그 하우징(슬레지)에 세게 아래로 당겨진다는 것이다. 그 목적은, 디스크와 액추에이터간의 접촉을 막는데 있다. 액추에이터와 하우징간의 접촉이 일어나지만, 그것은, 디스크 또는 드라이브의 어떠한 손상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쟁점이 아니다.
- 300ms 대기,
- 필요한 경우 디스크를 보다 낮은 회전속도로 회전시키거나 이와는 달리 액추에이터를 (포커스 재포획이 보다 쉽게 수행되는) 디스크의 중심에 보다 가깝게 이동시키고,
- 비-SRC 메모리 보조 포커스 재포획을 시작한다.
2) 카테고리 B로 인한 포커스 로스트 후:
- P' 볼트의 전압을 액추에이터에 전형적으로 5ms인가하여서(주의: 이것을 여기서는 완만한 전압 강하라고 함), 액추에이터는 디스크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완만하게 이동한다.
- 슬레지가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1mm 점프하고,
- SRC 메모리 보조 포커스 재포획을 시작한다.
도 2에서, 포커스 복원의 시퀀스가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는, 포커스 전력손실의 변경 dP/dT을 사용하여 포커스 로스트의 근본적인 원인을 구별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디스크의 1회전 당 평균화된 손실은, 포커스 이동의 주기적인 특징 때문에 일정하다. 그것이 주기적이 아닌 경우, 예를 들면 그 평균화된 전력이 변경하는 경우, 일부의 과도전압이 일어난다. 이러한 과도전압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발생한다고 한다.
미분 dP/dt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검출회로에 의해 연산되어도 된다. 도 1에서, 검출된 포커싱 전력 손실은, 대응한 신호(1)로서 정확히 1회전당 평균 전력손실을 측정하는 필터에 보내진다. 그 후, 상기 신호는, 하이패스 필터 HP에 보내지고, 그 신호는 미분된다. 이하의 단계에서는, 상기 미분 신호를 평가기 E에서 평가하고, 여기서 신호는, 포커스 전력손실의 도함수가 소정의 레벨보다 큰 경우 카테고리 A 포커스 로스트로서 상기 원인이 분류되는 드라이브의 블록 A에 따른 다. 대신에 도함수가 상기 소정의 레벨(도면들에서 RLIM이라고 불림) 이하인 경우, 신호는 대신에 포커스 로스트 원인이 B 카테고리를 갖는 것을 나타내는 드라이브의 블록 B에 보내진다. 주의: 평가기 E에 사용되는 dP/dt의 샘플은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 바로 직전 또는 직후에 취할 필요가 있다.
광 드라이브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알고리즘을 수행하여서, 상술한 것처럼 도면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방법들의 모든 단계들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모든 광 기록 레코딩 및 기록장치에서 적용될 수 있지만, 높은 충격 요구사항을 갖는 데이터 드라이브 및/또는 낮은 자유작동거리를 갖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특히 유용하다. 그 자유작동거리(FWD)는, 포커스 액추에이터와 광 디스크 사이의 거리이다. 종래의 시스템에서, 이러한 거리는, 전형적으로 1mm이었지만, 이러한 거리는 감소되는 추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포커스 로스트 후 레이저 빔의 포커싱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레이저 빔의 상기 포커싱용 제어 루프에 있는 포커싱 수단, 반복적인 포커스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SRC), 포커스 로스트 원인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상기 나타낸 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청구항에서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는 용어는,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관사 a 또는 an은 복수의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다.
정의:
외부 충격은 변위이므로, 드라이브의 하우징에 인가된 속도 및 가속도이다. 그 결과로서, 드라이브와 디스크는 동적으로 응답하고, 디스크에 광 스폿이 계속 포커싱되어 있도록 별도의 제어 노력이 필요하다.
손실은, 포커스 액추에이터 포커스 코일에서 발생된다(P=U^2/R=I^2*R). 이들 코일은, 자석과 함께 액추에이터용 전자기 모터를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자석은 고정된 계의 일부, 이 경우에는 슬레지이고, 상기 코일들은, 대물렌즈를 이송하는 액추에이터의 이동부의 일부이다. 포커스 손실은, 포커스 제어기 출력을 제곱하고 단부 스테이지 드라이버와 포커스 코일 저항에 대한 결과를 정정하는 것에 의해 드라이브에서 측정될 수 있다.
SRC는 정확히 1 디스크 회전의 포커스 제어기 출력과 공통점이 있는 신호를 저장한다. 이러한 신호는, 디스크의 지난 몇 번의 회전에 의거한다. SRC의 종종 학습속도라고 불리는 변경속도는, 파라미터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높은 변경속도가 의미하는 것은 SRC 콘텐츠가 최근의 회전과 아주 유사하다는 것이고, 낮은 변경속도가 의미하는 것은 보다 많이 평균화를 수행하고 초기의 트랙의 영향이 보다 더 우세하다.
(청구항에서) 레이저 빔 제어용 액추에이터는, 포커스 액추에이터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Claims (13)

  1. 레이저 빔을 트랙에 포커싱하는 것을 잃어버린 경우 정보매체의 트랙으로부터/에 데이터를 판독 또는 기록하기 위해 정보매체의 트랙에 레이저 빔을 포커싱하는 것을 복원하는 방법으로서,
    정보매체의 트랙의 포커스로부터 레이저 빔이 벗어나게 하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포커스 로스트인 카테고리 A와, 다른 원인으로 인한 포커스 로스트인 카테고리 B의 적어도 2종류의 포커스 로스트 원인을 정의하는 단계와,
    제어 루프에서 레이저 빔의 포커싱을 제어하는 단계와,
    메모리(SRC)에 반복적인 포커스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포커스 로스트 원인, 카테고리 A 또는 카테고리 B를 검출하는 단계와,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 후 카테고리 B 포커스 로스트에 대한 메모리(SRC)정보만을 사용하여 포커스 재포획을 시작하여 상기 포커싱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의 포커싱 복원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검출된 평균 포커스 전력손실을 미분하는 것(dP/dt)에 의해 상기 포커스 로스트 원인의 상기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를, 상기 미분된 평균 포커스 전력 손실의 값이 소정의 레벨보다 큰 경우 카테고리 A로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를, 상기 미분된 평균 포커스 전력 손실의 값이 상기 소정의 레벨이하인 경우 카테고리 B로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의 포커싱 복원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정보매체의 다수의 최근의 회전으로서 규정된 시간에 SRC 메모리의 콘텐트를 검사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포커스 로스트 원인의 상기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와,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를, SRC 메모리의 콘텐트가 포커스 로스트의 시점 이전에 변경되는 경우 카테고리 A로서 분류하는 단계와,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를, SRC 메모리의 콘텐트가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은 경우 카테고리 B로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의 포커싱 복원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카테고리 A 포커스 로스트일 경우에, 상기 재포획 스테이지에서,
    SRC 메모리를 리셋하는 단계와,
    액추에이터를 아래로 당기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의 포커싱 복원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포커스 재포획을 시작하기 전에 고정된 시간 간격을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의 포커싱 복원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를 세게 아래로 당기는데 필요한 소정 전압, P 볼트에 의해 레이저 빔 제어용 액추에이터에 공급된 전압을 사전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의 포커싱 복원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포획을 시작하기 전에 정보매체의 회전속도를 낮추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의 포커싱 복원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카테고리 B 포커스 로스트일 경우에, 상기 재포획 스테이지에서,
    정보매체로부터 아주 먼 위치를 의미하는 최저 위치로 레이저 빔 제어용 액추에이터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광원을 이송하는 반경방향 슬레지를, 정보매체에 관련하여 소정의 작은 거리만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점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의 포커싱 복원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를 완만하게 아래로 당기기 위해 카테고리 A 포커스 로스트에서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된 소정 전압 P의 분수인 소정 전압, P'볼트에 의해, 레이저 빔 제어용 액추에이터에 공급된 전압을 사전설정하여서 상기 액추에이터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의 포커싱 복원방법.
  10. 레이저 빔을 트랙에 포커싱하는 것을 잃어버린 경우 트랙으로부터/에 데이터를 판독 또는 기록하기 위해 정보매체의 트랙에 레이저 빔의 포커스를 복원하는 장치를 구비한, 정보를 정보매체로부터/에 판독 또는 기록하기 위한 광 드라이브로서,
    레이저 빔의 상기 포커싱용 제어 루프에 있는 포커싱 수단과,
    반복적인 포커스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SRC)와,
    포커스 로스트 원인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정보매체의 트랙의 포커스로부터 레이저 빔이 벗어나게 하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포커스 로스트인 카테고리 A와, 다른 원인으로 인한 포커스 로스트인 카테고리 B의 적어도 2종류의 포커스 로스트 원인을 정의하고,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 후 카테고리 B 포커스 로스트에 대한 메모리(SRC)정보만을 사용하여 포커스 재포획을 시작하여 상기 포커싱을 복원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드라이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검출된 평균 포커스 전력손실을 미분하는 것(dP/dt)에 의해 상기 포커스 로스트 원인을 검출하고,
    상기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를, 상기 미분된 평균 포커스 전력 손실의 값이 소정의 레벨보다 큰 경우 카테고리 A로서 분류하고,
    상기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를, 상기 미분된 평균 포커스 전력 손실의 값이 상기 소정의 레벨이하인 경우 카테고리 B로서 분류하도록 더 프로그래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드라이브.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정보매체의 다수의 최근의 회전으로서 규정된 시간에 SRC 메모리의 콘텐트를 검사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포커스 로스트 원인을 검출하고,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를, SRC 메모리의 콘텐트가 포커스 로스트의 시점 이전에 변경되는 경우 카테고리 A로서 분류하고,
    포커스 로스트 이벤트를, SRC 메모리의 콘텐트가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은 경우 카테고리 B로서 분류하도록 더 프로그래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드라이브.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카테고리 A 포커스 로스트일 경우에, 상기 재포획 스테이지에서,
    SRC 메모리를 리셋하고 액추에이터를 아래로 당기도록 더 프로그래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드라이브.
KR1020077010184A 2004-10-05 2005-09-22 광 디스크의 유실된 트랙 포커싱의 복원 KR200700580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104867.9 2004-10-05
EP04104867 2004-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006A true KR20070058006A (ko) 2007-06-07

Family

ID=35431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184A KR20070058006A (ko) 2004-10-05 2005-09-22 광 디스크의 유실된 트랙 포커싱의 복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259749A1 (ko)
EP (1) EP1800300A1 (ko)
JP (1) JP2008516361A (ko)
KR (1) KR20070058006A (ko)
CN (1) CN101091211A (ko)
TW (1) TW200627420A (ko)
WO (1) WO20060381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7659A1 (en) 2004-12-24 2006-06-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program search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9074A (en) * 1982-05-19 1987-05-26 Burroughs Corporation Focusing control circuitry for an optical memory system
JPH03130936A (ja) * 1989-07-18 1991-06-04 Canon Inc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US5113384A (en) * 1989-09-25 1992-05-12 Hewlett-Packard Company Focus capture method for magneto-optic disk drives
DE4103974A1 (de) * 1991-02-09 1992-08-13 Thomson Brandt Gmbh Optisches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JPH04364233A (ja) * 1991-06-12 1992-12-16 Alpine Electron Inc 光ディスク装置のピックアップサーボ回路
JPH05182206A (ja) * 1992-01-08 1993-07-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ォーカス制御装置
JP3264385B2 (ja) * 1992-09-09 2002-03-11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イスク記録再生装置
KR0138337B1 (ko) * 1994-07-28 1998-05-15 김광호 포커스 제어방법 및 장치
JP2783185B2 (ja) * 1995-03-22 1998-08-06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H097195A (ja) * 1995-06-15 1997-01-10 Fujitsu Ltd 焦点制御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DE19640870A1 (de) * 1996-10-04 1998-04-09 Thomson Brandt Gmbh Aufzeichnungs- oder Wiedergabegerät für optische Informationsträger mit einem Servo-Regelkreis und Verfahren zur Fehlersignalbehandlung in einem solchen
FR2762412A1 (fr) * 1997-04-22 1998-10-23 Philips Electronics Nv Procede et controleur pour controler un systeme asservi
JP3855401B2 (ja) * 1997-10-16 2006-12-13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及び方法
JPH11149731A (ja) * 1997-11-14 1999-06-02 Toshiba Microelectronics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トラッキングサーボ回路
JPH11232656A (ja) * 1998-02-09 1999-08-27 Sony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0222744A (ja) * 1999-01-29 2000-08-11 Toshiba Corp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フォーカスサーボ制御装置
JP4099560B2 (ja) * 1999-03-10 2008-06-11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US6218317B1 (en) * 1999-04-19 2001-04-17 National Semiconductor Corp. Methylated oxide-type dielectric as a replacement for SiO2 hardmasks used in polymeric low K, dual damascene interconnect integration
KR100371592B1 (ko) * 2000-03-09 2003-02-14 주식회사 씨엔에스 광디스크의 트래킹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서보장치
KR20030084756A (ko) * 2002-04-26 2003-11-0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광디스크 장치, 빔 스폿의 이동 방법 및 광디스크 장치에있어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0300A1 (en) 2007-06-27
JP2008516361A (ja) 2008-05-15
CN101091211A (zh) 2007-12-19
WO2006038138A1 (en) 2006-04-13
TW200627420A (en) 2006-08-01
US20080259749A1 (en)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1001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a servo in reading signals on a defect disc
JP3563239B2 (ja) フォーカス制御装置
US6920093B2 (en)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3945880B2 (ja) 信号補完装置、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装置
US2005019571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he signal on a defect disc
KR20070058006A (ko) 광 디스크의 유실된 트랙 포커싱의 복원
JP4547370B2 (ja) 光ディスク装置
EP1736969A1 (en) Reader and disc deterioration detecting method
JP5587247B2 (ja) 多層光ディスクにおける層間ジャンプ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US64012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error recovery on optical media utilizing hierarchical recovery techniques
JP4451834B2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対物レンズの移動制御方法
US7570550B2 (en) Focus servo recovery processing method for optical disc device and optical disc device
JP3761751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20080065496A (ko) 광정보 저장매체 재생장치의 결함 대응력 향상 방법
JP2008047202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サーボ制御装置及びサーボ制御信号生成方法
JP2008090981A (ja) 記録再生装置
US75120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from and/or writing to optical recording media
JP4725403B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5332501A (ja) 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情報再生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録媒体
JP4951577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方法
KR100675455B1 (ko)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포커스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10055671A (ja) ディフェクト検出回路、光ディスク装置及びディフェクト検出方法
JP2006318616A (ja) 欠陥検出回路及びそれを備えた記憶媒体再生装置
US200803043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racks in an Optical Record Carrier
US20070002709A1 (en) Detection method and control method for rotational speed of disk replaying apparatus, and disk replay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