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040A - 이물제거 기능을 가진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제거 기능을 가진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040A
KR20070049040A KR1020060019115A KR20060019115A KR20070049040A KR 20070049040 A KR20070049040 A KR 20070049040A KR 1020060019115 A KR1020060019115 A KR 1020060019115A KR 20060019115 A KR20060019115 A KR 20060019115A KR 20070049040 A KR20070049040 A KR 20070049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pass
pass filter
piezoelectric element
optical
op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9614B1 (ko
Inventor
쇼지 카이하라
히로시 요시이
에이리 쓰카타니
히로카즈 이치키
후토시 히라이
토시후미 우라카미
히데아키 야마모토
유우키 니와마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9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12Reflex cameras with single objective and a movable reflector or a partly-transmitting mirr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04N23/81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by dust removal, e.g. from surfaces of the image sensor or processing of the image signal output by the electronic image sens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6Filter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4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2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the phase differenc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촬상소자의 피사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로우 패스 필터와 적외선 컷 필터의 적어도 하나로서 기능하는 광학 부재를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광학 부재와 촬상 소자 사이에 탄성 부재를 배치하여, 광학부재의 진동이 촬상 소자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촬상소자, 광학부재, 탄성부재

Description

이물제거 기능을 가진 촬상장치{IMAGE PICKUP APPARATUS WITH FOREIGN OBJECT REMOVAL CAPABILITI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싱글-렌즈 리플렉스 카메라의 전면 사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싱글-렌즈 리플렉스 카메라의 배면 사시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싱글-렌즈 리플렉스 카메라의 전기적 구성의 블럭도다.
도 4는 로우 패스 필터 및 촬상소자 주위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카메라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다.
도 5는 촬상 유닛의 구성요소의 일부의 정면도다.
도 6은 탄성 부재의 상세도다.
도 7은 촬영 유닛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촬상 유닛의 분해 사시도다.
도 8은 고무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다.
도 9는 도 5의 C-C 선에 따른 촬영 유닛의 단면도다.
도 10a 및 도 10b는 발생하는 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도 10a는 압 전 소자와 광학 로우 패스 필터 간의 상대적인 관계와, 발생하는 힘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압전 소자와 광학 로우 패스 필터의 정면도, 도 10b는 그것의 측면도다.
본 발명은 촬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 광축을 따라 배치된 광학부재에 부착되는 먼지 등의 이물을 제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화상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해서 촬상하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소자로 수광하고, 그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되는 광전 변환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며,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이러한 촬상장치에 있어서는, 촬상소자의 피사체에 인접하게, 광학 로우 패스 필터나 적외선 컷 필터가 배치되어 있고, 촬상소자의 커버 글래스나 필터의 표면에 먼지 등의 이물이 부착되면, 그 부착 부분이 검은 점이 되어서 촬영 화상에 찍혀 나온다. 그 결과, 화상의 외관 품질이 저하한다.
특히, 렌즈 교환가능한 디지털 싱글-렌즈 리플렉스 카메라에서는, 셔터, 퀵 리턴 미러(quick return mirror) 등을 포함하는 기계적인 작동부가 촬상소자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작동부에서 발생한 먼지 등의 이물이 촬상소자 혹 은 로우 패스 필터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렌즈 교환 시에, 렌즈 마운트의 통로로부터 먼지 또는 다른 이물이 카메라 본체에 들어가서, 카메라 구성요소들에 부착될 수 있다.
제안되어 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일본 특개 제2003-319222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촬상소자의 피사체 부근에 설치된 촬영 광 빔을 투과시키는 방진막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 등의 이물을, 압전소자로 상기 방지막을 진동시킴으로써 제거하는 것이다.
이 특허 문헌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방진막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방진막에 접속시킨 압전소자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방진막을 광축을 따라 변위시킴으로써 진동시킨다. 그러나, 방진막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물의 부착력보다 큰 힘을 광축 방향으로 인가함으로써 이물을 방진막으로부터 비산시켜야 하므로, 큰 에너지가 필요하다.
또한, 상기 기술에 의하면, 방진막을 광축을 따라 변위시켜 진동시키기 때문에, 방진막의 형상이 원형이 아니면, 진동 모드가 복잡하게 되어 진동 효율이 저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촬상장치의 유효 촬영 범위는 애스펙트 비가 4:3 혹은 3:2인 직사각형 형상을 갖기 때문에, 유효 광 빔의 형상은 단면이 직사각형이다.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 광 빔을 적절하게 투과시키기 위해서는, 원형의 방진막이 유효 광빔에 대하여 대형화한다. 따라서, 촬상장치 내부에 원형의 방진막을 설치하는 것은 레이아웃 면에서 불리하고, 촬상장치의 대형화, 비효율적인 레이아웃 등의 문제점을 유발 한다.
동시에, 상기 기술은 특별한 구성요소(즉, 방지막)를 촬영 광축에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레이아웃에 있어서의 비효율성뿐만 아니라, 촬영 광 빔의 투과율 저하로 인해, 광학 기능 또는 광학 성능 면에서 이 기술은 불리하다.
또한, 유효 광 빔에 대하여 큰 사이즈의 방진막을 진동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전력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촬영 광축에 설치된 광학 부재에 부착되는 먼지 등의 이물을 효율적으로 적은 양의 전력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국면에 따른 촬상장치는, 피사체의 광학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촬상 소자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촬상소자의 전면에 촬영 광축을 따라 설치되며, 입사되는 광 빔을 소정의 광 빔으로 변조해서 상기 소정의 광 빔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광학 부재와, 상기 촬영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진동을 상기 광학 부재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진동 유닛과, 상기 촬상 소자에 대하여 상기 광학 부재를 지지하여 상기 광학 부재를 자유롭게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탄성 지지 부재와, 상기 진동 유닛에 의해 제공된 진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아래의 기술내 용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며,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비슷한 부분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싱글-렌즈 리플렉스 카메라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은 촬영 렌즈 유닛이 분리된 카메라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2는 카메라의 배면 사시도다.
도 1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1)는 사용자가 카메라를 안정하게 잡는 것이 쉽도록 형성된 전방에 돌출한 그립부(grip unit; 1a)를 포함한다. 마운트부(2)는 착탈 가능한 촬영 렌즈 유닛(미도면)을 카메라 본체(1)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마운트 접점(21)은 카메라 본체(1)와 촬영 렌즈 유닛 사이에 제어신호, 상태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개재하는 동시에, 촬영 렌즈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마운트 접점(21)을 전기통신뿐만 아니라, 광통신, 음성 통신 및 그외의 통신을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렌즈 록 해제 버튼(4)은 사용자가 촬영 렌즈 유닛을 분리시킬 때에 눌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러 박스(5)는 카메라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며, 촬영 렌즈 유닛을 통과한 촬영 광 빔을 인도하도록 구성된다. 미러 박스(5) 내부에는, 퀵 리턴 미러(6)가 배치되어 있다. 퀵 리턴 미러(6)는 촬영 광 빔을 펜타프리즘(pentaprism; 22)(도 3 참조)쪽으로 인도하기 위해서 퀵 리턴 미러(6)가 촬영 광축 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유지되는 제1 상태와, 촬상 소자(33)(도 3 참조) 쪽으로 광 빔을 인도하기 위해서 퀵 리턴 미러(6)가 촬영 광빔으로부터 후퇴한 위치에서 유지되는 제2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카메라 본체(1)의 상부에 있는 그립부 부근에는, 촬영 개시의 기동 스위치로서의 셔터 버튼(7)과, 촬영 시의 동작 모드에 따라 셔터 스피드와 f-조리개 값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인 조작 다이얼(8)과, 촬영계의 동작 모드 설정 상부 버튼(10)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조작 구성요소의 조작 결과의 일부는, 액정표시(LCD) 패널(9)에 표시된다.
셔터 버튼(7)은 제1 스트로크(stroke)로 제1 스위치(SW1)(후술의 7a)를 ON 상태로 전환하고, 제2 스트로크로 제2 스위치(SW2)(후술의 7b)를 ON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동작 모드 설정 상부 버튼(10)은 셔터 버튼(7)의 1회의 누름으로 연속 촬영 또는 한 프레임 촬영을 선택하여 셀프-타이머 촬영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LCD 패널(9)에 그 설정 상태가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LCD 패널(9)에 표시되는 설정 상태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도 4를 이용하여,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카메라 본체(1)의 상부 중앙에는, 카메라 본체(1)에서 팝업(pop up)할 수 있는 내부 플래시 유닛(11)과, 외부 플래시 유닛 부착용의 액세서리 슈(accessory shoe;12)와, 플래시 접점(13)이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1) 상부의 우측에는 촬영 모드 설정 다이얼(14)이 배치되어 있다.
그립부(1a)와 반대의 측면에는, 개폐 가능한 외부 단자 덮개(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외부단자 덮개(15)를 열었을 때, 외부 인터페이스로서 각각 기능하는 비디오 신호 출력용 잭(16)과 USB(universal serial bus) 출력용 커넥터(17)가 노출된다.
도 2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1)의 배면 상부에는 파인더 접안창(18)이 설치되고, 카메라 본체(1)의 배면 중앙 부근에는 컬러 액정 모니터(19)가 배치되어 있다. 컬러 액정 모니터(19) 옆에 배치된 서브 조작 다이얼(20)은 메인 조작 다이얼(8)의 보조적인 기능을 행하고, 예를 들면 자동노출(AE) 모드에서 자동노출(AE) 장치에 의해 산출된 적정 노출 값에 대한 노출 보정량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셔터 스피드와 f-조리개 값을 사용자가 설정하는 메뉴얼 모드에 있어서는, 파인더 접안창(18)이 셔터 스피드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서브 조작 다이얼(20)이 f-조리개 값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이 서브 조작 다이얼(20)은 컬러 액정 모니터(19)에 표시되는 촬영 화상을 표시 및 선택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메인 스위치(43)는 카메라를 기동 및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클리닝 지시 조작 부재(44)는 클리닝 모드에서 동작을 개시하며, 로우 패스 필터 등의 광학 소자에 부착된 이물을 로우 패스 필터로부터 비산시키는 동작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싱글-렌즈 리플렉스 카메라의 주요한 전기적 구성의 블럭도다. 도 3에 있어서, 상술한 도면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는 같은 참조번호가 부착되어 있다.
MPU(100)는 카메라 본체(1)에 내장된 마이크로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여러 가지 처리나 지시를 실행하는 기능을 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100a)은 MPU(1OO)에 내장되고, 측정된 시간 정보와 그 외의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MPU(100)는 미러 구동회로(101), 초점 검출 회로(102), 셔터 구동회로(103), 영상 신호 처리회로(104), 스위치 센싱 회로(105), 및 측광 회로(10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MPU(100)는 LCD 구동회로(107), 배터리 체크 회로(108), 시각 계측 회로(109), 전원 공급 회로(110), 및 압전 소자 구동회로(111)에도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회로는 MPU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MPU(100)는 촬영 렌즈 유닛 내에 배치된 렌즈 제어 회로(201)와, 마운트 접점(21)과 통신한다. 마운트 접점(21)은 촬영 렌즈 유닛이 마운트 접점(21)에 접속될 때 MPU(100)에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도 한다. 따라서, 렌즈 제어회로(201)는 MPU(100)와 통신할 수 있어, 촬영 렌즈 유닛 내의 촬영 렌즈(200) 및 조리개(204)를 오토포커스(AF) 구동회로(202) 및 조리개 구동회로(203)를 통해서 구동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1장의 렌즈 소자로서 촬영 렌즈(200)가 표시되어 있다. 실제로는 촬영 렌즈(200)는 다수의 렌즈 소자를 갖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 그룹을 포함해도 된다.
AF 구동회로(202)는 전형적으로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로 구성되며, 렌즈 제어회로(201)의 제어에 의해 촬영 렌즈(200) 내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촬상소자(33)에 촬영 광 빔의 초점을 맞추도록 촬영 렌즈(200)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리개 구동회로(203)는 전형적으로 오토 아이리스(iris) 등으로 구성되며, 렌즈 제어회로(201)에 의해 조리개(204)를 변화시켜서, 광학적인 f-조리개 값을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퀵 리턴 미러(6)는 촬영 렌즈(200)를 통과한 촬영 광 빔을 펜타프리즘(22)으로 인도하는 동시에 그 광 빔의 일부를 투과시켜서 서브 미러(30)로 인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서브 미러(30)는 퀵 리턴 미러(6)를 투과한 촬영 광 빔을 초점 검출용 센서 유닛(31)으로 인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러 구동회로(101)는 파인더로부터 피사체 상을 관찰 가능하게 하는 제1 위치와, 촬영 광 빔으로부터 미러를 대피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퀵 리턴 미러(6)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동시에, 미러 구동회로(101)는 초점 검출용 센서 유닛(31)으로 촬영 광 빔을 인도하는 제1 위치와, 촬영 광 빔으로부터 서브 미러를 대피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서브 미러(30)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미러 구동회로(101)는 전형적으로, DC 모터, 기어 트레인(gear train) 등으로 구성된다.
초점 검출용 센서 유닛(31)은 결상면(미도시) 근방에 배치된 필드 렌즈, 반사 미러, 2차 결상 렌즈, 조리개, 복수개의 CCD로 이루어진 라인 센서 등을 포함하는 주지의 위상차 방식의 초점 검출용 센서이다. 초점 검출용 센서 유닛(31)으로부 터 출력된 신호는 초점 검출 회로(102)에 전달된다. 전달된 신호는 피사체 영상 신호로 변환된 후에 MPU(1OO)로 전달된다. MPU(100)는 피사체 영상 신호에 의거하여 위상차 검출법에 따라 초점 검출 연산을 행하고, 디포커스(defocus) 양과 디포커스 방향을 결정한다. 이것에 근거해서, MPU(100)는 렌즈 제어회로(201) 및 AF 구동회로(202)를 통해서 촬영 렌즈(200) 내의 포커스 렌즈를 인-포커스(in-focus) 위치까지 구동한다.
펜타프리즘(22)은 광 빔이 정립 영상을 생성하도록 퀵 리턴 미러(6)로부터 반사된 촬영 광 빔을 변환하기 위한 광학 부재다. 사용자는 파인더 광학계를 통해서 파인더 접안창(18)으로부터 피사체 상을 관찰할 수 있다.
펜타프리즘(22)은 촬영 광 빔의 일부를 측광 센서(37)로도 인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측광 회로(106)는 측광 센서(37)로부터 출력을 수신하고, 그 출력을 관찰면 상의 각 영역에 대응하는 휘도 신호로 변환하며, 그 휘도 신호를 MPU(100)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PU(100)는 수신한 휘도 신호에 따라 노출 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계 포컬 플레인(focal-plane) 셔터 유닛(32)은 사용자가 파인더로부터 피사체 상을 관찰하고 있는 때에는 촬영 광 빔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촬영 시에는 릴리즈(release) 신호에 근거해서 선 날개군과 후 날개군의 주행하는 시간 차이로부터 원하는 노광 시간을 얻을 수 있다. 포컬 플레인 셔터 유닛(32)은 MPU(100)로부터의 지령을 수신한 셔터 구동회로(103)에 의해 제어된다.
촬상소자(33)는 촬상소자로서 기능하는 CMOS 집적회로를 사용한다. 촬상소자 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CCD형, CMOS형, CID형 및 그 외의 광전 변환 장치 형태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형태를 채용해도 된다.
클램핑/상관 이중 샘플링(클램핑 CDS) 회로(34)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 전의 기본적인 아날로그 처리를 행하는 동시에, 클램핑 레벨의 변경도 가능하다. 자동 이득 조정(AGC) 장치(35)는 A/D 변환 전의 기본적인 아날로그 처리를 행하는 동시에, 기본 AGC 레벨의 변경도 가능하다. A/D 변환기(36)는 촬상소자(33)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는 수정 복굴절판 및 위상판을 교대로 적층하여 적외선 컷 필터에 접착시킨 구조를 갖는다.
적층형의 압전소자(430)는 MPU(lOO)로부터 지령을 받은 압전 소자 구동회로(111)에 의해 진동하여, 그 진동을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촬상 유닛(400)은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 압전소자(430), 촬상소자(33), 및 그 외의 구성요소(후술)가 하나의 유닛에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그 유닛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영상 신호 처리회로(104)는 (감마/니(knee) 보정, 필터링, 및 모니터 표시용의 정보 합성 등),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일반적인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 영상 신호 처리 회로(104)로부터 출력된 모니터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는 컬러 액정 구동 회로(112)를 통해서 컬러 액정 모니터(19)에 표시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 회로(104)는 MPU(lOO)로부터의 지령에 응답하여 메모 리 컨트롤러(38)를 통해서 버퍼 메모리(37)에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 회로(104)는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는 기능도 갖는다. 연사 등 연속해서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버퍼 메모리(37)에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에, 메모리 컨트롤러(38)를 통해서 미처리의 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판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영상 신호 처리 회로(104)는 A/D 변환기(36)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속도에 관계없이 화상 처리 및 화상 압축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모리 컨트롤러(38)는 외부 인터페이스(40)(도 1에 있어서의 비디오 신호 출력용 잭(16) 및 USB 출력용 커넥터(17)에 해당)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39)에 기억시키고, 메모리(39)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외부 인터페이스(40)로부터 출력하는 기능도 갖는다. 또, 메모리(39)는 일반적으로 카메라 본체(1)로부터 착탈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이다.
스위치 센싱 회로(105)는 각 스위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 입력 신호를 MPU(lOO)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SW1(7a)는 셔터 버튼(7)의 제1 스트로크로 ON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SW2(7b)는 셔터 버튼(7)의 제2 스트로크로 ON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SW2(7b)가 ON 상태로 전환되면, 촬영 개시의 지시가 MPU(1OO)로 전송된다. 스위치 센싱 회로(105)는 메인 조작 다이얼(8), 서브 조작 다이얼(20), 촬영 모드 설정 다이얼(14), 메인 스위치(43), 및 클리닝 지시 조작 부재(44)에 접속되어 있다.
LCD 구동회로(107)는 MPU(1OO)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LCD 패널(9) 및 파인더 LCD(41)을 구동하도록 구동되어 있다.
배터리 체크 회로(108)는 소정시간 배터리를 체크하고, 그 검출된 출력을 MPU(100)로 전달한다. 전원부(42)는 카메라의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각 계측 회로(109)는 메인 스위치(43)가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될 때까지의 시간과 날짜를 계측하고, MPU(100)로부터의 지령에 응답하여 계측 값을 MPU(1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촬상 유닛(400)의 상세한 구성을 도 4∼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로우 패스 필터(410) 및 촬상소자(33) 주위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카메라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다.
미러 박스(5)에는, 피사체에서 순차적으로 포컬 플레인 셔터 유닛(32), 카메라 본체의 골격이 되는 본체 섀시(300), 및 촬상 유닛(400)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촬상 유닛(400)은 촬상소자(33)의 촬상면이 소정의 거리를 두고, 촬영 렌즈 유닛을 장착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마운트 유닛(2)의 장착면과 평행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도 5는 촬상 유닛(400)의 구성요소의 일부의 정면도다.
촬상소자 홀딩 부재(510)는 직사각형의 개구부를 가지며, 그 개구부에 촬상소자(33)를 노출시키도록 촬상소자(33)를 고정한다. 또한, 촬상소자 홀딩 부재(510)는 판 형상을 가지며, 외부 영역에서 스크루(screw)에 의해 미러 박스(5)에 고정시키기 위한 3개의 암(arm)을 갖는다. 숄더 스크루(shouler screw; 530)는 도 5의 C-C 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에 설명될 것이다.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는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의 주위를 둘러싸는 프레임(frame; 420a)과,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를 장착 및 홀딩하기 위한 수평으로 연장된 암(420b)을 포함한다. 또한,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는 수지 또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프레임(420a)의 제1 변에는 압전소자(43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421)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420a)과 압전소자(430)의 일 단면은 접착 등에 의해 서로 고착되어 있다.
수납부(421)가 설치된 프레임(420a)의 제1 변과 대향하는 프레임(420a)의 제2 변에 (탄력성을 가진 가압부재(44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422)를 설치하여,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를 압전소자(430)의 방향으로 가압한다.
즉,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는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에서, 압전소자(430)와 가압부재(440)가 함께 동일 평면 내에 있도록 압전소자(430)와 가압부재(440)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는 압전소자(430)의 신장 및 수축 운동을 추종한다.
가압부재(440)가 탄성체이면, 가압부재(440)의 각각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판(leaf)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혹은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고분자 중합체로 구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압부재(440)를 별도의 부재로서 설치했지만, 가압부재(440) 대신에,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가 탄력성을 가짐으로써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가 압전소자(430)의 신장 및 수 축 운동을 추종할 수 있다.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의 4개의 변과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 사이의 갭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형상의 탄성 부재(450)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탄성 부재(450)의 상세도다. 이 탄성 부재(450)는 압전소자(430)의 신장 및 수축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암(450a)과, 제1 암(450a)과 직교하는 제2 암(450b)을 포함한다. 제1 암(450a)의 각각의 강성은 제2 암(450b)의 각각의 강성과 다르다. 즉, 탄성 부재(450)에 있어서는 압전소자(430)의 신장 및 수축 운동을 추종함으로써 로우 패스 필터(410)의 진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신장 및 수축 운동의 영향을 받는 제2 암(450b)의 강성은 제1 암(450a)의 강성보다도 작다. 구체적으로는, A-A 선에 따른 제1 암(450a)의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는 것에 반해, B-B선에 따른 제2 암(450b)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으로부터 중심부가 제거된 형상을 나타낸다.
제1 암(450a)의 강성이 제2 암(450b)의 강성과 다른 구조는 상기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부재로 구성된 암들을 이중사출 성형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서로 일체화시켜도 된다.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의 4개의 변은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에 대하여 압전소자(430)와 탄성 부재(450) 사이에 갭이 없도록 압전소자(430)와 탄성부재(450) 사이에서 밀폐되어 있다.
압전소자(430)는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압전 물질과 내부전극 을 교대로 적층해서 형성된 적층형의 압전소자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압전물질의 적층방향을 따라 전압을 인가하는 d33형의 적층형 압전소자가 압전소자(430)로서 사용된다. 그 결과, 적층방향으로 큰 진폭(변위)을 얻을 수 있다. 즉,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를 진동 방향으로 크게 변위시킬 수 있다. 그 외에도, 압전소자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의 면 수평 방향, 즉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면, 압전소자를 어떤 종류를 사용해도 괜찮다. 압전소자(430)의 형상에 대해서는,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후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와 압전소자(430)가 직접 접촉한다. 택일적으로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와 압전 소자(430) 사이에 스페이서를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 압전소자(430)는 스페이서에 진동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아웃 상의 제약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전소자(430)는 전압 인가에 의해 야기된 신장 및 수축 운동의 방향이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즉, 카메라의 수직방향)으로 홀딩된다. 여기에서는, 압전소자(430)가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에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지만,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에는 압전소자(430)가 접착되어 있지 않으며, 단지 이들이 접촉하고 있을 뿐이다. 즉,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에 대한 압전소자(430)의 진동면은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가 탄성 부재(45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가 압전소자(430)의 신장 및 수축 운동 방향뿐만 아니라, 촬영 광축을 따라 운동하도록 소정량 허용된다. 즉,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가 압전소자(430)의 진동을 받으면,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는 촬영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경사를 허용한다. 따라서, 광학 로우 패스 필터에 부착되는 이물이 촬영 광축 방향으로 가속도를 받을 수 있다. 이것은 이물 제거에 유리하다. 그러나,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가 촬영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에 대한 경사를 허용했을 경우에, 압전소자(430)와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가 함께 접착되어 있으면, 압전소자(430)에 전단 응력(shearing stress)이 생기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적층형의 압전소자를 압전소자(430)로서 사용했을 경우에는, 이러한 전단 응력에 의해 압전소자(430)가 파괴될 수도 있다.
압전소자(430)의 진동면이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에 접착되지 않는 경우, 즉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와 접촉하고만 있는 경우에는,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가 촬영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더라도, 압전소자(430)에는 전단 응력이 생기지 않는다. 왜냐하면,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가 이렇게 경사져 있을 때에는, 압전소자(430)의 진동면을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의 접촉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압전소자(430)가 직접적으로 회전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압전소자(430)의 진동면이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에 접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압전소자(430)의 진동에 대한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의 추종성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전소자(430)와 가압부재(440)가 동일 평면 내에 있도록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가 압전소자(430)과 가압부재(440)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즉,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를 압전소자(430)의 반대측으로부터 스프링, 탄성 부재 등으로 가압함으로써, 압전소자(430)가 수축 방향으로 구동되더라도,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가 압전소자(430)와 항상 접촉한다.
따라서, 전단 응력의 발생에 의한 압전소자(430)의 파괴 혹은 손상을 방지하면서,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가 압전소자(430)의 진동을 만족하게 추종할 수 있다.
도 7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촬상 유닛(400)에 대해서, 이 유닛의 구성요소를 더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다.
촬상소자 유닛(500)은 적어도 촬상소자(33)와 촬상소자 홀딩 부재(510)를 포함한다. 로우 패스 필터 유닛(470)은 적어도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 압전소자(430), 가압부재(440), 탄성 부재(450), 및 규제 부재(460)를 포함한다.
규제 부재(460)는 규제 부재(460)와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 사이에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삽입하여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가 촬영 광축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규제에 의해,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가 촬영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에 대한 소정 각 이상의 각도로 경사지는 것이 방지된다.
규제 부재(460)는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를 규제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개구부 이외의 영역에 입사되는 촬영 광 빔을 차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의 외부 영역으로부터 촬영 광 빔이 촬상소자(33)로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고, 반사광으로부터 고스트 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고무 시트(520)는 탄성(즉, 탄력적으로 변형가능)을 가지고 있다. 고무 시트(520)를 삽입하기 위해,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의 암(420a)을 통해서 촬상소자 홀딩 부재(510)에 숄더 스크루(shoulder screw; 530)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로우 패스 필터 유닛(470)이 촬상소자 유닛(500)에 부착된다.
도 8은 고무 시트(520)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 시트(520)는 프레임(520a)과, 숄더 스크루(5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2개의 대향하는 암(520b)이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촬상소자(33)와 인접한 프레임(520a)의 제1 면은 촬상소자 홀딩 부재(510)와 밀착하여 접촉하고,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와 인접한 프레임(520a)의 제2 면은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의 프레임(420a)과 밀착하여 접촉한다. 따라서,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와 촬상소자(33) 사이의 갭은 고무 시트(520)에 의해 밀봉되고,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와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 사이의 갭은 압전소자(430)와 탄성 부재(450)에 의해 밀봉된다. 그 결과,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와 촬상소자(33) 사이의 갭은 먼지 등의 이물의 침입을 막는 밀폐된 공간이다.
추가로, 압전소자(430)가 진동되어도, 로우 패스 필터 유닛(470)의 진동은 고무 시트(520)의 탄성에 의해 실현되는 부유 지지 구조로 인해 촬상소자(33)에 전달되기 어렵다. 그 구조의 상세한 것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5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가 탄성 부재(450)에 의해 지지되고, 탄성 부재(450)가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에 의해 지지되어 로우 패스 필터 유닛(470)을 구성한다. 촬상소자(33)가 촬상소자 홀딩 부재(510)에 의해 지지되어, 촬상소자 유닛(500)을 구성한다. 고무 시트(520)는 로우 패스 필터 유닛(470)과 촬상소자 유닛(500)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고무 시트(520)가 촬상 홀딩 소자(510)와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숄더 스크루(530)가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를 지지한다. 즉, 탄성 부재가 그들 사이에 삽입되기 때문에,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를 지지하는 구조가 부유 지지 구조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무 시트(520)가 이물의 침입을 막는 밀폐성과,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의 진동을 촬상소자(33)에 전달하지 않는 진동 흡수성을 갖는 또 다른 밀봉 부재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고무 시트(520)는 스폰지로 구성되는 양면 테이프나 겔(gel) 시트일 수도 있는데, 이러한 테이프 및 시트는 소정의 두께를 갖다.
도 10a는 압전소자(430)와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 간의 상대적인 관계와, 발생하는 힘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압전소자(430)와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의 정면도다. 도 10b는 그것의 측면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압전소자(430)의 적층방향(진동 방향)과 직교하는 2변 중에서,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도 10a에 나타낸 제1 변의 길이는 L로 표시되어 있고, 광축과 동일한 방향의 도 10b에 나타낸 제2 변의 길이는 T2로 표시되어 있다.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광축에는,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면 포컬 플레인 셔터 유닛(32) 및 촬상소자(33))가 압전소자(430)에 근접해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길이 T2는 카메라의 대형화를 막하기 위해서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의 두께 T1과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L은 두께 T1보다 크며,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를 진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구동력을 얻기에 적합한 길이다. 왜냐하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에는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의 수납부(42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수납부(421)의 길이가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의 폭 내에 비교적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진동을 위해 필요한 구동력은 L × T2의 압전 소자의 면적에 비례한다. 따라서, 이들 2개의 길이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필요한 구동력을 수득할 수 있다.
광축과 수직한 면 내에서의 회전으로 인해,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에서 큰 모멘트(moment)가 발생해도, 그 길이 L은 압전소자(430)의 좌굴 응력(buckling strees)을 허용 범위 내에서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압전소자(430)의 좌굴 파괴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광축과 수직한 면 내에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 M에 의해, 압전소자(430)의 단부에서 발생하는 응력 F는 이하의 식(1)으로 표현된다.
F = M / (L/2) (1)
식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모멘트 M과,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압전소자(430)의 길이에 의존하여 압전소자(430)의 단부에서 발생하는 응력 F가 변화된 다. 식(1)에 의하면, 길이 L이 최대가 되면, 압전소자(430)의 단부에서 발생하는 응력 F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결과 허용가능한 좌굴 응력의 범위 내에 응력 F를 두는 것이 가능하다.
허용가능한 좌굴 응력은 압전소자(430)를 정상적으로 구동시켜 손상을 막기 위한, 압전소자(430)에 인가된 응력의 상한을 나타낸다.
다음에는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의 진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압전소자(430)에 대하여, 제어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MPU(100)가 소정의 주기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면, 압전소자(430)는 광축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카메라의 수직방향으로 진동한다.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는 압전소자(430)와 가압부재(440)가 동일 평면 내 있도록 압전소자(430)와 가압부재(440)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그 결과,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와 압전소자(430)가 항상 서로 접촉한 상태로 홀딩되기 때문에, 압전소자(430)의 진동이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에 전달된다.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와 촬상소자(33) 사이의 갭은 고무 시트(520)에 의해 밀봉되고,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와 로우 패스 필터 홀딩 부재(420) 사이의 갭은 압전소자(430)와 탄성 부재(450)에 의해 밀봉된다. 그 결과,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와 촬상소자(33) 사이의 갭은 먼지와 같은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밀폐된 공간이다. 동시에,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를 포함하는 로우 패스 필터 유닛(470)과 촬상소자 유닛(500) 사이에는 고무 시트(520)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로우 패스 필터 유닛(470)의 진동은 고무 시트 (520)에 의해 흡수된다. 그 결과, 로우 패스 필터 유닛(470)의 진동은, 촬상소자(33)에는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압전소자(430)가 진동해도, 촬상소자(33)에는 그 진동의 영향이 거의 미치지 않는다. 그 결과, 진동을 받는 구조요소를 한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진동을 일으키고 싶은)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를 선택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진동을 받는 구조요소의 전체 질량을 줄일 수 있으며, 압전소자(430)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의 진동의 대부분이 촬상소자(33)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촬상소자(33)의 접착 벗겨짐이라고 하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그 충격은 압전소자(430)에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압전소자(430)가 카메라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와 압전소자(430)는 접착되지 않으며, 즉, 서로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압전소자(430)에 주기전압을 인가해서 압전소자(430)를 신장 및 수축시켜도, 압전소자(430)에서는,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를 밀어내는 방향으로만 힘이 발생하고,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가 압전소자(430)를 잡아당기는 반대방향으로는 힘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압전소자(430)에 초음파 영역의 고주파 전압을 인가해도, 압전소자(430)에는 과대한 인장력이 부가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적층 부분에 있어서의 박리에 의해 압전소자(4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의 표면으로부터 먼지 또는 다른 이물을 제거하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클리닝 지시 조작 부재(44)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클리닝 개시의 지령에 응답하여 카메라 본체(1)를 클리닝 모드로 이행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리닝 지시 조작 부재(44)를 제공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클리닝 모드로의 이행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 부재는 기계적인 버튼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컬러 액정 모니터(19)에 표시된 메뉴에서 커서 키나 지시 버튼으로 선택함으로써 지시해도 된다.
클리닝 모드로의 이행은, 예를 들면 전원이 ON될 때, 통상의 카메라 시퀸스에서 자동으로 행해져도 되고, 혹은 촬영 동작의 회수나 날짜에 따라 행해져도 된다.
전력 공급 회로(110)는 클리닝 모드에서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필요에 응해서 카메라 본체(1)의 각 구성요소에 공급한다. 이것과 병행되어서, 전력 공급 회로(110)는 전원부(42)의 전지 잔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값을 MPU(100)로 출력한다.
MPU(100)가 클리닝 모드 개시의 신호를 수신하면, MPU(100)는 압전 소자 구동회로(111)로 구동 신호를 전달한다. 압전 소자 구동회로(111)가 MPU(10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면, 압전 소자 구동회로(111)는 압전소자(430)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주기전압을 생성하고, 그 전압을 압전소자(430)에 인가한다. 압전소자(430)는 인가되는 전압에 의존하여 신장 및 수축한다. 압전소자(430)가 신장하면, 광학 로 우 패스 필터(410)는 압전소자(430)에 의해 밀려서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면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압부재(440)는 그 이동량만큼 압축된다. 압전소자(430)가 수축하면,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는 가압부재(440)에 의해 압전소자(430)에 대하여 가압되기 때문에,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가 압전소자(430)의 수축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압전소자(430)에 주기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운동이 반복되고, 광학 로우 패스 필터(410)는 압전소자(430)의 주기적인 신장 및 수축 운동을 추종하여,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한다.
본 발명은 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의 범주는 모든 변경, 등가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 광축에 설치된 광학 부재에 부착되는 먼지 등의 이물을 효율적으로 적은 양의 전력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피사체의 광학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촬상 소자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촬영 광축을 따라 상기 촬상 소자의 전면에 배치되고, 입사되는 광 빔을 소정의 광 빔으로 변조해서 상기 소정의 광 빔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광학 부재와,
    상기 촬영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진동을 상기 광학 부재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진동 유닛과,
    상기 광학 부재를 자유롭게 진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촬상 소자에 대하여 상기 광학 부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탄성 지지 부재와,
    상기 진동 유닛에 의해 제공된 진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를 홀딩하도록 구성된 홀딩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지지 부재는 상기 홀딩 유닛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광학 부재를 자유롭게 진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광학 부재를 간접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유닛은 상기 홀딩 유닛과 상기 광학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유닛은, 적층형의 압전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 부재는 고분자 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광학 로우 패스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적외선 컷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KR1020060019115A 2005-11-07 2006-02-28 이물제거 기능을 가진 촬상장치 KR100769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22375 2005-11-07
JP2005322375A JP4347288B2 (ja) 2005-11-07 2005-11-07 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040A true KR20070049040A (ko) 2007-05-10
KR100769614B1 KR100769614B1 (ko) 2007-10-23

Family

ID=37708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115A KR100769614B1 (ko) 2005-11-07 2006-02-28 이물제거 기능을 가진 촬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19612B2 (ko)
EP (1) EP1783530B1 (ko)
JP (1) JP4347288B2 (ko)
KR (1) KR100769614B1 (ko)
CN (1) CN100571337C (ko)
DE (1) DE602006013571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080B1 (ko) * 2008-11-06 2011-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소자 유니트 및 촬상 장치
KR20120020011A (ko) * 2010-08-27 2012-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5036A1 (en) * 2006-05-18 2009-07-23 Julian Bowron Remote in-ground retractable communication system
JP4691483B2 (ja) * 2006-10-10 2011-06-01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のゴミ取り装置
KR101394150B1 (ko) * 2008-01-11 2014-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의 먼지 제거 장치
JP4769908B2 (ja) * 2008-09-11 2011-09-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JP5154369B2 (ja) * 2008-11-06 2013-02-27 三星電子株式会社 撮像素子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2010119049A (ja) * 2008-11-14 2010-05-27 Samsung Digital Imaging Co Ltd 撮像装置および塵埃除去方法
JP4648986B2 (ja) * 2008-12-26 2011-03-09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振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機器
JP5665421B2 (ja) * 2010-08-24 2015-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ビューファインダおよびそれを備える撮像装置
JP2012050016A (ja) * 2010-08-30 2012-03-08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
JP5675265B2 (ja) * 2010-10-20 2015-02-25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振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機器
JP5693262B2 (ja) * 2011-01-28 2015-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振動体の駆動回路
JP5762034B2 (ja) 2011-02-09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異物除去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光学機器
KR101881923B1 (ko) * 2011-05-13 2018-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US8982267B2 (en) * 2011-07-27 2015-03-17 Flextronics Ap, Llc Camera module with particle trap
JP5965681B2 (ja) * 2012-03-09 2016-08-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振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機器
TW201434789A (zh) * 2013-01-29 2014-09-16 Canon Kk 壓電材料、壓電元件及電子裝備
KR20150115845A (ko) * 2013-01-29 2015-10-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압전 재료, 압전 소자, 적층 압전 소자, 액체 토출 헤드, 액체 토출 장치, 초음파 모터, 광학 장치, 진동 장치, 먼지 제거 장치,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
US20160351789A1 (en) * 2014-01-29 2016-12-01 Canon Kabushiki Kaisha Piezoelectric ceramic,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iezoelectric element, multilayer piezoelectric element, liquid ejection head, liquid ejecting apparatus, ultrasonic motor, optical device, vibrating apparatus, dust-remov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1573871S (ko) * 2016-07-06 2017-04-10
JP1573659S (ko) * 2016-07-06 2017-04-10
US11237387B2 (en) * 2016-12-05 2022-02-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Ultrasonic lens cleaning system with foreign material detection
US10663418B2 (en) 2017-02-03 2020-05-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ducer temperature sensing
US11420238B2 (en) 2017-02-27 2022-08-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ducer-induced heating-facilitated cleaning
US11607704B2 (en) 2017-04-20 2023-03-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lectrostatic control of expelled material for lens cleaners
US10908414B2 (en) 2017-05-10 2021-02-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ens cleaning via electrowetting
CN113452883B (zh) * 2021-06-25 2022-09-23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摄像模组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4281A (ja) * 1990-02-22 1991-10-31 Alpine Electron Inc 光学装置
JPH04275534A (ja) * 1991-03-04 1992-10-01 Nikon Corp 電子スチル用アダプター装着可能な1眼レフカメラ
EP0845699B1 (en) * 1992-09-11 2002-07-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shake correcting device
US6016221A (en) * 1992-09-21 2000-01-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shake preventing device
US6047133A (en) * 1993-03-26 2000-04-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blur prevention apparatus
JPH0723286A (ja) 1993-06-22 1995-01-24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3450449B2 (ja) * 1994-07-18 2003-09-2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撮像方法
JPH0879633A (ja) * 1994-09-01 1996-03-22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装置
US5805212A (en) * 1994-11-17 1998-09-08 Canon Kabushiki Kaisha Vibration correcting apparatus controlling the gain of the control circuit
US5926656A (en) * 1997-03-11 1999-07-20 Nikon Corporation Vibration reducing apparatus and lens barrel
US6734901B1 (en) * 1997-05-20 2004-05-11 Canon Kabushiki Kaisha Vibration correction apparatus
US6747691B1 (en) * 1997-09-09 2004-06-08 Minolta Co., Ltd. Apparatus capable of determining shake of the apparatus relative to an object
JP3911936B2 (ja) * 1999-11-22 2007-05-09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
US6522837B2 (en) * 1999-12-28 2003-02-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blur correcting system
US7113204B2 (en) * 2000-02-04 2006-09-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sens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6717651B2 (en) * 2000-04-12 2004-04-06 Nikon Corporation Exposure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device
JP3762618B2 (ja) 2000-06-19 2006-04-05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4511766B2 (ja) * 2000-07-10 2010-07-28 株式会社リコー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における振れ補正方法
JP4006178B2 (ja) * 2000-12-25 2007-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撮影装置および観察装置
JP4282226B2 (ja) * 2000-12-28 2009-06-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
JP4706105B2 (ja) * 2001-01-09 2011-06-22 株式会社ニコン 撮影装置
JP4109884B2 (ja) * 2002-04-04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US7324148B2 (en) 2002-04-26 2008-01-29 Olympus Optical Co., Ltd. Camera and image pickup device unit used therefor having a sealing structure between a dust proofing member and an image pick up device
JP4028754B2 (ja) 2002-04-26 2007-12-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及びこれに用いるカメラ用アッセンブリ
US7245361B2 (en) * 2002-06-04 2007-07-17 Nikon Corporation Method for evaluating refractive index homogeneity of optical member
JP2004064554A (ja) * 2002-07-30 2004-02-26 Olympus Corp カメラ及びこれに用いる撮像素子ユニット
JP2004133333A (ja) 2002-10-15 2004-04-30 Ricoh Co Ltd 手振れ検知装置及びカメラ
US7365788B2 (en) * 2003-02-07 2008-04-29 Olympus Corporation Imager apparatus
JP2004349738A (ja) * 2003-05-13 2004-12-09 Olympus Corp レンズ交換可能な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ボディおよび交換レンズ
JP2005159711A (ja) 2003-11-26 2005-06-16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
JP4375043B2 (ja) * 2004-02-13 2009-12-02 株式会社ニコン 光学ローパスフィルタおよびカメラ
JP4530691B2 (ja) * 2004-03-17 2010-08-25 Hoya株式会社 像ブレ補正装置
JP2005262088A (ja) * 2004-03-18 2005-09-29 Fuji Photo Film Co Ltd 支持体表面の防塵方法及び装置
JP2005275088A (ja) 2004-03-25 2005-10-06 Nikon Corp 塵除去装置
JP2005331549A (ja) * 2004-05-18 2005-12-02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手振れ補正装置および位置検出装置
JP3952049B2 (ja) * 2004-08-12 2007-08-01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振れ補正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6203776A (ja) * 2005-01-24 2006-08-03 Olympus Corp 防塵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撮像装置、又は投影装置
JP4600754B2 (ja) * 2005-03-28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4886418B2 (ja) * 2006-08-04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080B1 (ko) * 2008-11-06 2011-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소자 유니트 및 촬상 장치
US8299418B2 (en) 2008-11-06 2012-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ing device unit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a piezoelectric element mounted on a plate
KR20120020011A (ko) * 2010-08-27 2012-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47288B2 (ja) 2009-10-21
JP2007129642A (ja) 2007-05-24
CN100571337C (zh) 2009-12-16
US7719612B2 (en) 2010-05-18
EP1783530B1 (en) 2010-04-14
CN1964435A (zh) 2007-05-16
US20070103554A1 (en) 2007-05-10
KR100769614B1 (ko) 2007-10-23
EP1783530A1 (en) 2007-05-09
DE602006013571D1 (de)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614B1 (ko) 이물제거 기능을 가진 촬상장치
KR100918809B1 (ko)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159603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frame for sealing between optical member and image sensor
US7978220B2 (en) Optical apparatus having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
US9897802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ickup unit having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 deposited on surface of optical member
US20080297646A1 (en) Optical apparatus having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
US7969500B2 (en) Optical apparatus having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
US7645079B2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 deposited on surface of optical member
JP200823666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460824B2 (ja) 光学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8028615A (ja) 撮像装置
JP5484077B2 (ja) 撮像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5170991B2 (ja) 撮像装置
JP2008026531A (ja) 撮像装置
JP2007134802A (ja) 撮像装置
JP2008026530A (ja) 撮像装置
JP2010127986A (ja) 撮像装置
JP4697986B2 (ja) 撮像装置
JP5484084B2 (ja) 撮像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5268236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ユニット
JP4652953B2 (ja) 撮像装置
JP2010141574A (ja) 撮像装置
JP2015126420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