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865A - 통전수단을 갖춘 가전기기용 신축관 - Google Patents

통전수단을 갖춘 가전기기용 신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865A
KR20070046865A KR1020077003835A KR20077003835A KR20070046865A KR 20070046865 A KR20070046865 A KR 20070046865A KR 1020077003835 A KR1020077003835 A KR 1020077003835A KR 20077003835 A KR20077003835 A KR 20077003835A KR 20070046865 A KR20070046865 A KR 20070046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uide body
elongated guide
tubular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쥬세페 카날레
Original Assignee
오멕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멕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오멕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7004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8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6Hose or pipe couplings with 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07Electrical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Amplifier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외부관(2)과, 제 1 수축 구조로부터 제 2 신장 구조로 상기 제 1 외부관(2)내에 활주가능한 제 2 내부관(3)과, 상기 제 1 외부관(2)에서 상기 제 2 내부관(3)으로 통전하기 위한 전기 도전수단(10,18,20)을 구비하는 가전기기용 신축관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 전기 도전수단은 a)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비도전성 재료로 제조된 신장형 가이드 바디(guide body)(7)와, b)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7)가 실질적으로 캔틸레버(cantilever) 식으로 상기 제 2 내부관(3)에 연결되도록 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7)의 제 1 단부를 상기 제 2 내부관(3)에 연결시키기 위한 잠금 부재(5)와, c)상기 제 1 외부관(2)의 외부면에 연결되고 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7)를 활주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외부채널(6)과, d)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7)에 포함된 한 쌍의 관형 전기도체(18)와, e)각각의 막대형 전기도체(10)가 대응하는 관형 전기도체(18)의 내부면과 접촉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관형 전기도체(18)내에 활주할 수 있는 대응하는 한 쌍의 실질적인 막대형 전기도체(10)를 구비한다.
통전수단, 가전기기용 신축관,

Description

통전수단을 갖춘 가전기기용 신축관{Telescopic Tube For Electric Household Appliances Equipped With Electricity Conduction Means}
본 발명은 가전기기용 신축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관을 따른 통전수단을 갖춘 가전기기용 신축관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 카펫청소기(carpet beater) 등과 같은 가전기기 분야에서, 융통성을 높이는 신축관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이른바 "통전 신축관", 즉, 상기 관을 따라 통전수단을 구비한 관이 유리하다. 이들은 예컨대 가전기기의 취급시 온/오프 버튼의 위치를 정하거나 전원 케이블이 흡입노즐(또는 "브러쉬(brush)"라고 함)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하기의 설명에서, "수축 구조"는 신축관이 최소 길이를 갖는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반면에, "신장 구조"는 신축관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신축식으로 확장되는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완전히 신장된 구조"에서, 관은 최대 길이를 갖는다.
통전 신축관은 이미 해당분야의 기술에 알려져 있다. DE 195 35 493은 전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링 덕트가 적합한 고정링에 의해 연결되는 신장가능한 흡입덕트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용 통전 신축관을 기술하고 있다. 케이블링 덕트내 에, 스프링을 구비한 이동가능한 풀리 시스템(pulley system)이 있다; 풀리는 케이블링 덕트내에 횡축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케이블은 풀리 주위에 감겨져 있고 케이블링 덕트내에 가외 벤드(extra bend)를 형성한다. 이런 식으로, 진공청소기 관이 신장되는 경우, 케이블링 덕트내 전기 케이블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려진다. 케이블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인장유지된다. 관이 다시 수축 구조로 되는 경우, 스프링의 복원력 동작은 케이블과 풀리의 원래 구조를 복원되게 하고 동시에 케이블이 인장유지되게 한다.
이 방법은 소정의 단점을 수반한다: 케이블링 덕트내에 풀리 시스템이 있음으로 인해 상기 덕트와 이에 따른 통전 신축관의 치수가 과도히 커지게 된다. 이런 이유로, 이런 타입의 관은 다루기가 매우 쉽지 않고 따라서 가전기기 사용에 적합하지 못하다. 또한, 케이블이 케이블링 덕트내에 수용될 수 있고 풀리 주위로 감겨지므로, 케이블링 덕트내에 굽혀져야만 한다; 이 굽은 부분들은 케이블, 특히 케이블의 절연코팅의 마모를 초래하고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위험한 단락이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이 공지된 통전관은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길고 고가인 어셈블리를 필요로 한다.
EP 0,848,926 B1은 진공청소기용 제 2 타입의 통전 신축관을 개시하고 있다. 이 관은 외부 흡입관, 상기 외부 흡입관내에 부분적으로 활주될 수 있는 내부관, 외부 케이블링 덕트 및 상기 외부 케이블링 덕트내에 부분적으로 활주될 수 있는 내부 케이블링 덕트에 의해 형성된다. 한쪽 케이블링 덕트가 다른 케이블링 덕트내 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케이블링 덕트들은 전기 케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케이블링 덕트들은 내부 흡입관 밖과 외부 흡입관 내에 배열된다. 전기 케이블은 신장된 구조에서는 관의 길이보다 더 긴 직선 길이를 가지므로, 신축적 신장을 돕기 위해 케이블링 덕트 내에 나선형으로 감겨진다.
이 방안은 또한 관의 전체 치수면에서 단점이 있다: 전기 케이블의 나선형 권선은 실제로 위험한 단락을 초래할 수 있는 마모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의 과도한 굽힘을 방지하기 위한 치수를 갖는 케이블링 덕트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이러한 타입의 통전관에서, 외부 흡입관은 내부 흡입관 모두와 케이블링 덕트 모두를 둘러싼다. 외부 흡입관의 횡단면 치수를 줄이기 위해,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횡단면을 갖는 덕트들와 관들이 사용되며, 이는 제조하기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든다.
EP 0 835 632 A는 신축 진공청소기 호스용 조절가능한 전기연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서로 삽입되고 신축관의 섹션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중공관부를 구비한다. 상기 관부는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전기 커넥터장치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는 관부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전기 도체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다른 관부에 대해 정지되어 있는 관부의 내부에 있는 전기 도체의 한 섹션은 코일처럼 배열되어 있다. 탄성 클램프부들이 바람직하게는 도체상에 인장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형 도체와 함께 관부에 형성되며, 이에 의해 한 클램프부가 커넥터의 일단에 배열되고, 타단은 도체가 삽입되는 이동관부의 일단에 배열된다.
EP 0 835 632 A에 따른 배열은 안전하지 못하고 오히려 조립이 복잡하고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불리하다.
EP 0 738 492 A는 전기 진공청소기용 신장 파이프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기술하고 있다. 신장 파이프들은 2개의 말단부를 연결시키는 가요성 컨덕터를 수용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구비한다.
DE 197 31 559 A는 진공청소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진공청소기는 흡입 노즐에 제 3 와이어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브러쉬를 갖는다. 흡입노즐과 핸드그립(handgrip)의 연결 피스들은 중공이며, 먼지를 함유한 공기가 흐르고 흡입 호스의 한 와이어와 연결되어 있는 신장피스에 의해 결합된다. 신장피스의 길이는 제어되는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신장피스는 제일 먼저 핸드그립의 연결피스에 도입된 제 1 와이어를 갖는 제 1 비트(bit)와 제 3 와이어가 도입되고 설계되는 제 2 비트를 가지므로 신장피스의 길이는 상기 제 1 비트와 함께 변경될 수 있다.
US 3 534 317은 진공청소기와 원격 모터구동 브러쉬도구를 전기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기기를 개시하고 있다.
DE 44 04 394 A는 신축식 진공청소기 호스용 조절가능한 전기연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서로 삽입되고 신축관의 섹션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중공관부를 구비한다. 관부는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전기 커넥터장치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는 관부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전기 도체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다른 관부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관부의 내부에 있는 전기 도체의 섹션은 코일처럼 배열된다. 탄성 클램프부가 바람직하게는 도체에 대한 인장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형 도체와 함께 관부내에 형성되며, 이에 의해 한 클램프부가 커넥터의 단부에 배열되고 타단은 상기 도체가 삽입되는 이동관부의 일단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도전수단을 갖춘 향상된 가전기기용 신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가볍고 다룰 수 있으며 따라서 진공청소기 등과 같이 가전기기에 사용하기 적합한 상술한 타입의 신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전수단들이 공지의 관에서의 내마모성보다 더 내마모성이 더 우수하고 일반적으로 단락 및 가정사고 위험성이 줄어든 상술한 타입의 신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지의 관보다 제조하기가 더 단순하고 저렴한 상술한 타입의 신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청구항 1에 따른 신축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적인 특성들은 종속항에 포함되어 있다. 모든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불가결한 부분들을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외부관과 상기 제 1 외부관 내에 활주가능한 제 2 내부관을 구비하는 신축관이 제공된다. 상기 신축관은 상기 제 1 외부관에서 상기 제 2 내부관으로 통전을 위한 전기 도전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기 도전수단은
a)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비도전성 재료로 제조된 신장형 가이드 바디(guide body)와,
b)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가 실질적으로 캔틸레버(cantilever) 식으로 상기 제 2 내부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의 제 1 단부를 상기 제 2 내부관에 연결시키기 위한 잠금부재와,
c)상기 제 1 외부관의 외부면에 연결되고 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를 활주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외부채널과,
d)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에 포함된 한 쌍의 관형 전기도체와,
e)각각의 막대형 전기도체가 대응하는 관형 전기도체의 내부면과 접촉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관형 전기도체내에 활주할 수 있는 대응하는 한 쌍의 실질적인 막대형 전기도체를 구비한다.
상기 신축관이 수축 구조에서 신장 구조로 변환되는 경우, 상기 관형도체와 상기 막대형 도체가 서로에 대해 그리고 각각이 상기 외부관 및 내부관과 각각 일체로 활주한다. 2개 도체들 사이의 전기접촉이 상대 위치에 무관하게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보장된다.
공지의 방안에 비해 이러한 관의 타입의 이점은 여러가지이다. 먼저, 전기접촉이 실질적으로 선형이고, 관의 축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제한된 공간량을 차지하는 도체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의 횡단면 치수는 실제로 공지된 타입의 케이블링 덕트가 갖추어진 신축관의 횡단면 치수보다 작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은 다루기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통전을 위한 실질적인 선형도체의 사용으로 내마모성 면에서 향상이 있으며, 이는 도체 및 관련한 절연코팅이 굽힘으로 인한 어떠한 기계적 인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절연코팅의 마모 및 그에 따른 단락 위험성이 공지의 방안에 비해 제한된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막대형 도체 및 관형도체는 원형 횡단면을 가지며 따라서 제조하기 쉽고 저렴하다; 가이드 바디와 외부 채널의 횡단면은 또한 제조하기 쉽고 저렴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동일한 생각들이 내부관과 외부관의 횡단면 형태에도 적용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막대형 전기도체들은 각각의 막대형 전기도체가 대응하는 환형 전기도체의 내부면에 슬라이딩 전기접촉되도록 접촉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접촉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인 말단부재이다.
이점적으로, 상기 막대형 전기도체는 전기 도전코어와 절연코팅을 갖는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관형 전기도체는 신장형 가이드 바디에 매설된 전기 도전관의 형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형 전기도체는 제 1 길이를 가지며 상기 신장형 가이드 부재는 제 2 길이를 갖고, 상기 제 1 길이는 상기 제 2 길이보다 더 짧다.
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는 고형물일 수 있다. 이점적으로, 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유익하게는, 상기 외부 채널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 1 외부관의 외부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이점적으로, 상기 외부채널은 양면 접착테이프에 의해 상기 제 1 외부관의 외부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의 횡단면의 형태는 실질적으로 상기 외부채널의 내부 횡단면의 형태를 보완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잠금부재는 케이블의 와이어 단부들에 연결되고 상기 관형 전기도체내에 삽입되는 말단부를 구비한다.
이점적으로, 상기 신축관은 또한 전력 케이블을 상기 막대형 전기도체와 연결시키기 위한 접촉블록을 수용하는 또 다른 잠금부재를 구비한다.
제 2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신축관을 구비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결부하여 읽어지는 비제한적인 예로써 제공된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은 수축된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의 일부분에 대한 축측투영(Axonometric)도이다.
도 2는 신장된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의 일부분에 대한 축측투영도이다.
도 3은 신장된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의 일부분에 대한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수축된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의 일부분에 대한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우측단부의 부분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서 좌측단부의 부분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위에서 본 도 면이다.
도 7은 도 4에서 좌측단부의 부분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위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의 도 5의 선 A-A를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의 도 6의 선 B-B를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발명에 따른 신축관의 도 7의 선 C-C를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의 부분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측면도이다.
도 12a, 12b, 12c는 외부관의 칼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a, 13b, 13c는 내부관의 칼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a, 14b, 14c는 개방 접촉블록의 도면이다.
몇몇 도면들은 일정 비율로 도시되지 않았다. 동일 부품들 및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품들을 나타내기 위해 동일한 참조번호가 여러 도면들에서 사용되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수축 및 신장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의 축측투영도(Axonometric)이다. 신축관(1)은 외부관(2), 상기 외부관(2)내에 활주하는 내부관(3), 상기 외부관(2)에 고정된 외부채널(6) 및 상기 내부관에 고정되고 상기 외부채널(6)내에 슬라이딩(sliding)하는 가이드 바디(guide body)(7)를 구비한다. 신축식 신장 구조를 작동시키기 위한 푸쉬버튼(9)이 외부관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외부채널(6)과 가이드 바디(7)는 본 발명에 따르면 신축관(1)을 따라 통전하게 하는 도전수단, 즉, 네트워크로부터 그리고 가전기기의 모터에 2개의 전력 케이블(8' 및 8") 간의 전기접촉을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도전수단이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다른 도면들에 대해서는 아래에 더 설명되어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는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잠금 칼라(locking collar)(4 및 5)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수축 및 신장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의 위에서 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3(수축 구조)과 도 2 및 도 4(신장 구조)를 비교함으로써, 신축관(1)의 신장은 외부관(2)내에 내부관(3) 및 외부채널(6)내에 가이드 바디(7)의 슬라이딩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알게 된다.
도 5 및 도 8에 대해 구체적인 참조가 이루어진다. 외부관(2)은 길이방향 축(SA)을 따라 실질적으로 원형 횡단면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금속재료로 제조된다.
외부채널(6)은 실질적으로 직선축을 가지며 길이방향 축(SA)에 평행한 외부관(2)에 고정된다. 외부채널(6)은 압출 또는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료로 동일하게 제조된다. 이점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채널(6)은 접착에 의해 또는 심지어 더 바람직하게는 양면접착 테이프(6a)에 의해 외부관(2)에 고정된다.
각각이 도전성 코어(10a)와 절연코팅(10b)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원형 횡단면을 갖는 한 쌍의 막대형 도체들(10)이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실질적으로 직선인 상기 막대형 도체들은 길이방향 축(SA)에 평행한 외부채널(6)내에 위치해있 다. 상기 막대형 도체들은 또한 아래에 설명되는 목적들을 위해 적절한 기계적 강성(rigidity)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은 또한 외부관(2)과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은 한 쌍의 막대형 도체들(10)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 칼라(4)와 또한 후술되는 접촉블록(12)을 구비한다.
도 6 및 도 9에 대해 구체적인 참조가 이루어진다. 내부관(3)은 또한 실질적으로 원형 횡단면을 가지며 길이방향 축(SA')을 갖는다. 신축관(1)이 조립되는 경우, SA'은 바람직하게는 SA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관(3)의 실질적으로 원형 횡단면의 일부는 신축식 신장구조로 인해 파상형태(undulating shape)(301)를 가지며, 본 명세서에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겠다. 신축 신장구조는 EP 0,520,534, EP 0,601,620, EP 0,987,976, 또는 EP 1,092,383에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되어 있다.
가이드 바디(7)는 실질적으로 직선축을 가지며 길이방향 축(SA')에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다. 여러 도면들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바디(7)는 잠금 칼라(5)에 의해 내부관(3)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 가이드 바디는 칼라(5)에 대해 돌출되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길이 전체를 통해 관(3)의 표면에서 이격되어 있다. 가이드 바디(7)의 횡단면 형태는 외부채널(6)내에 슬라이딩을 허용하게 한다. 바람직하기로, 가이드 바디(7)의 횡단면 형태는 실질적으로 외부채널(6)의 내부 횡단면의 형태를 보완한다. 길이방향 축(SA')에 평행한 2개의 관통홀(7a)들이 상기 가이드 바디(7)내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은 또한 한 쌍의 관형도체(18)를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관형도체(18)는 가이드 바디(7)에 있는 각각의 관통홀(7a)과 맞물린다. 상기 관형도체(18)는 실질적으로 원형 횡단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관형도체(18)의 길이는 가이드 바디(7)에 있는 관통홀(7a)의 말단 섹션이 상기 관형도체(18)에 의해 맞물리지 않도록 둘러싼 상기 신장된 바디(7)의 길이보다 작다.
도 5 및 도 14a와 도14b를 다시 참조하면, 전원 케이블(8')과 막대형 도체(10)를 연결시키기 위한 접촉블록(12)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상기 접촉블록(12)은 절연재료로 된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은 차례로 힌지부(123)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2개의 하프쉘(half shells)(121 및 122)에 의해 형성된다. 서로 평행하고 실질적으로 반원형 횡단면을 갖는 2개의 형성된 그루브들(12a)이 각각의 하프쉘내에 형성되어 있다. 하프쉘(121)은 2개의 핀(121a)을 갖는다; 하프쉘(122)은 상기 핀(121a)에 의해 맞물려질 수 있는 대응홀(122a)을 갖는다. 힌지부(123) 주위로 선회하면, 하프쉘(121)은 하프쉘(122)에 근접하게 되어 핀(121a)의 삽입에 의해 홀(122a)에 고정될 수 있어 그루브(12a) 쌍들을 정합시키고 따라서 한 쌍의 원형홀을 얻게 된다.
도 14c를 참조하면, 전력 케이블(8')과 막대형 도체(10) 사이의 전기연결이 묘사되어 있다. 전력 케이블(8')의 2개 와이어의 단부들은 벗겨져 있고 관형도체 말단부(13)에 고정된다. 막대형 도체(10)의 단부들도 또한 벗겨져 있고 관형 말단부(13)와 (예컨대 솔더링에 의해) 전기접촉하게 위치되어 있다. 막대형 도체(10)의 한 단부에 고정된 후, 각각의 관형 말단부(13)는 하프쉘(121,122) 중 하나 내에 수 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막대형 도체(10) 및 접촉블록으로부터 돌출한 전력 케이블(8')과 함께 접촉블록(12)이 근접하여 칼라(4)내에 고정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력 케이블(8")과 관형도체(18) 사이의 전기연결이 묘사되어 있다. 전력 케이블(8")의 2개 와이어의 단부들은 벗겨져 있고 도체 말단부(16)에 고정된다. 말단부(16)는 예컨대 환형일 수 있다. 관형도체(18) 쌍을 구비한 가이드 바디(7)가 칼라(5)가 고정되고, 상기 전력 케이블(8")의 와이어의 단부들에 고정된 말단부(16)가 상기 관형도체(18)내에 삽입된다(한 말단부(16)가 각각의 관형도체내에 삽입된다).
도 12 및 도 13은 잠금 칼라(4 및 5)의 다양한 도면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a, 12b, 12c를 참조하면, 잠금 칼라(4)는 실질적인 원형 내부 횡단면을 갖는 분할링(split ring)(41)과 또한 길이방향으로 분할되는 돌출부(41a)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41a)는 탈부착불가한(non-dismountable) 타입의 잠금클립(closing clip)(4a)용 하우징(45)을 구비한다. 분할 돌출부(41a)는 접촉블록(12)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42)를 형성한다. 대향측에 전력 케이블(8')을 수용하기 위한 추가 개구(44)가 있다. 개구(42)와 추가 개구(44)는 덕트(43)를 통해 소통된다.
마찬가지로, 도 13a, 13b, 13c를 참조하면, 잠금 칼라(5)는 실질적인 원형 내부 횡단면을 갖는 분할링(51)과 또한 길이방향으로 분할되는 돌출부(51a)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51a)는 스냅 결합식(snap-engaging) 타입의 잠금클립(closing clip)(5a)용 하우징(55)을 구비한다. 분할 돌출부(51a)는 가이드 바디(7)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52)를 형성한다. 대향측에 전력 케이블(8")을 수용하기 위한 추가 개 구(54)가 있다. 개구(52)와 추가 개구(54)는 덕트(53)를 통해 소통된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51) 일부분의 내부면은 내부관(3)의 파상형태(301)를 실질적으로 보완하는 파상형태(501)를 갖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막대형 도체(10)와 관형도체(18) 간의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부재(20)가 묘사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재(20)는 바람직하게는 포크 형태이며 상기 부재의 갈래(20a,20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재료로 제조되고 "V" 형태로 벌어져 있다.
도 7,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조립된 전체 신축관이 묘사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의 도 7의 선 C-C를 따른 횡단면도이다. 특히 이 도 10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부관(3)이 실질적으로 동심형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관(2)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관내에 활주할 수 있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도 10에서, 가이드 바디(7)가 외부채널내에 활주할 수 있도록 외부채널(6)과 맞물리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더욱이, 가이드 바디(7)는 칼라(5)의 개구(52)내에 삽입되고 내부관(3)에 고정된다; 이런 식으로, 가이드 바디(7)와 내부관(3)이 서로 고정된다.
도 10 및 도 11 모두를 참조하면, 단부에서 포크형태의 접촉부재(20)에 고정되는 각각의 막대형 도체(10)가 각각의 관형부재(18)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접촉부재(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암(elastic arms)(20a 및 20b)에 의해 관형도체의 내벽에 압력을 가한다. 막대형 도체의 기계적 강성은 상기 막대형 도체가 변형없이 관형도체내에 활주하게 한다. 특히, 막대 형 도체는 변형받지 않고 관형도체내에 접촉부재를 밀수 있도록 하는 강성을 갖는다. 상기 막대형 도체의 기계적 강성은 도전성 코어(10a) 및/또는 절연코팅(10b)에 의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신축관에 전력 케이블(8')이 관형 말단부(13)에 의해 막대형 도체(10)와 전기 접촉되어 있는 반면에, 전력 케이블(8")은 환형 말단부(16)에 의해 관형도체(18)와 전기접촉되는 것이 명백해진다. 차례로, 막대형 도체(10)와 관형도체(18)는 접촉부재(20)에 의해 전기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신축관을 따르는, 즉, 케이블(8')과 케이블(8") 사이의 통전은 관형 말단부(13), 환형 말단부(16), 막대형 도체(10), 관형도체(18) 및 포크형태의 접촉부재 쌍(20)으로 구성되는 도전경로에 의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도전경로는 관에 의한 추정, 수축, 신장 또는 보완적으로 신장되는 구조에 무관하게 신축관을 따른 통전을 보장한다. 신축관(1)은 예컨대 수축 구조에서 일반적인 신장 구조로 변환되는 경우, 내부관(3)은 외부관(2)에 대해 활주되고 부분적으로 외부관으로부터 돌출된다. 병행하여, 가이드관(7)이 외부채널(6)에 대해 상기 관(3)과 일체로 이동하며 활주한다; 이는 관형도체(18)에 대해 막대형 도체(10)의 슬라이딩을 수반한다. 활주 할 때, 막대형 도체(10)는 자유단부에 위치된 포크형 접촉부재(20)를 함께 운반한다. 막대형 도체와 함께 내부에서 활주하는 관형도체의 벽에 대해 가압을 하는 이들 접촉부재(20)는 슬라이딩 전기접촉을 관형도체(18)의 내벽에 제공하며, 이에 의해 막대형 및 관형도체의 상대 위치에 무관하게 통전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공지의 방안에 비해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먼저, 공지의 관에 비해 전체 치수면에서 이점이 있다. 신축관을 따른 통전을 수행하는 막대형 및 관형도체는 실제로 직선이며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고 이들(즉, 외부채널(6)과 신장된 바디(7))를 분리시키는 요소들이 나선형으로 감긴 케이블 또는 풀리 시스템을 포함해야 하는 덕트의 횡단면 치수보다 더 작은 횡단면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도전부와 절연부의 향상된 내마모성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전은 실제로 어떤 굽힘으로 인한 임의의 기계적 인장을 받지 않는 실질적인 직선형 도체에 의해 수행된다. 이는 관이 장착되는 가전기기에 손상을 줄 뿐만 아니라 단락과 이에 따른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도체의 절연코팅에 어떠한 파손도 방지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관은 특히 도전부의 절연 안정성 면에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실제로 절연재료를 사용한 관형도체를 포함하는 전체 가이드 바디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수단으로, 절연 가이드 바디보다 길이가 더 짧은 관형도체를 형성하고 상기 관형도체가 양단부를 비워두며 상기 홀의 중앙섹션을 차지하도록 상기 관형도체를 가이드 바디내의 관통홀에 삽입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관형도체의 절연으로 사용자의 우발적 접촉이 방지된다.
또 다른 보호 수단으로, 또한 절연 재료를 사용하여 외부 채널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도체들이 여러 층의 절연 재료에 의해 보호된다; 따라서, 관의 안전도에서 또 다른 향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용이한 제조와 다양한 부품들의 조립에 있다. 특별한 방식으로 형성된 관들이 실제로 필요하지 않다: 관은 실질적으로 관형도체가 또한 그렇듯이 원형 횡단면을 갖는 한편, 막대형 도체는 원형 횡단면을 갖는 통상의 와이어이다. 따라서, 제조 비용 및 단순성면에서, 본 발명은 공지의 방안에 비해 이점이 있다. 조립 관점에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은 특히 간단하고 저렴한데, 이는 작은 개수의 간단한 동작을 수행하여 조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외부 덕트는 양면접착 테이프에 의해 외부관에 고정된다; 이런 식으로, 나사에 의한 고정의 더 복잡한 고비용의 동작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많은 변형, 적응, 변화 및 부분들을 다른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분으로 대체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진다. 그러나, 모든 이러한 변형, 적응, 변화 및 부분들의 대체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됨.

Claims (14)

  1. 제 1 외부관(2)과, 제 1 수축 구조로부터 제 2 신장 구조로 상기 제 1 외부관(2)내에 활주가능한 제 2 내부관(3)과, 상기 제 1 외부관(2)에서 상기 제 2 내부관(3)으로 통전하기 위한 전기 도전수단(10,18,20)을 구비하는 가전기기용 신축관으로서,
    상기 전기 도전수단(10,18,20)은
    a)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비도전성 재료로 제조된 신장형 가이드 바디(guide body)(7)와,
    b)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7)가 실질적으로 캔틸레버(cantilever) 식으로 상기 제 2 내부관(3)에 연결되도록 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7)의 제 1 단부를 상기 제 2 내부관(3)에 연결시키기 위한 잠금 부재(5)와,
    c)상기 제 1 외부관(2)의 외부면에 연결되고 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7)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외부채널(6)과,
    d)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7)에 포함된 한 쌍의 관형 전기도체(18)와,
    e)각각의 막대형 전기도체(10)가 대응하는 관형 전기도체(18)의 내부면과 접촉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관형 전기도체(18)내에 활주할 수 있는 대응하는 한 쌍의 실질적인 막대형 전기도체(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신축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전기도체(10)는 각각의 막대형 전기도체(10)가 상기 대응하는 관형 전기도체(18)의 내부면과 슬라이딩 전기접촉하도록 접촉부재(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신축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인 말단부재(terminal members)(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신축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전기도체(10)는 전기 도전성 코어(10a)와 절연코팅(10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신축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전기도체(18)는 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7)에 매설된 전기 도전성관(18)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신축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전기도체(18)는 제 1 길이를 가지며 상기 신장형 가이드 부재(7)는 제 2 길이를 갖고, 상기 제 1 길이는 상기 제 2 길이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가전기기용 신축관.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7)는 고형물(sol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신축관.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7)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신축관.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채널(6)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 1 외부관(2)의 외부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신축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채널(6)은 양면 접착테이프에 의해 상기 제 1 외부관(2)의 외부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신축관.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형 가이드 바디(7)의 횡단면의 형태는 실질적으로 상기 외부채 널(6)의 내부 횡단면의 형태를 보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신축관.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5)는 케이블(8")의 와이어 단부들에 연결되고 상기 관형 전기도체(18)내에 삽입되는 말단부(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신축관.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력 케이블(8")을 상기 막대형 전기도체(10)와 연결시키기 위한 접촉블록(12)을 수용하는 또 다른 잠금부재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신축관.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축관을 구비하는 가전기기.
KR1020077003835A 2004-07-16 2005-06-27 통전수단을 갖춘 가전기기용 신축관 KR200700468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1429A ITMI20041429A1 (it) 2004-07-16 2004-07-16 Tubo telescopico per elettrodomestici dotato di mezzi per la conduzione di elettricita'
ITMI2004A001429 2004-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865A true KR20070046865A (ko) 2007-05-03

Family

ID=3495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835A KR20070046865A (ko) 2004-07-16 2005-06-27 통전수단을 갖춘 가전기기용 신축관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7883116B2 (ko)
EP (1) EP1768538B1 (ko)
JP (1) JP2008506431A (ko)
KR (1) KR20070046865A (ko)
CN (1) CN100560014C (ko)
AT (1) ATE408363T1 (ko)
AU (1) AU2005263398A1 (ko)
CA (1) CA2573381C (ko)
DE (1) DE602005009832D1 (ko)
DK (1) DK1768538T3 (ko)
EA (1) EA009161B1 (ko)
ES (1) ES2313386T3 (ko)
HK (1) HK1106412A1 (ko)
IT (1) ITMI20041429A1 (ko)
PL (1) PL1768538T3 (ko)
PT (1) PT1768538E (ko)
SI (1) SI1768538T1 (ko)
WO (1) WO20060079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6114B1 (en) * 2008-05-05 2009-01-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ver assemblies for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8030570B2 (en) * 2009-05-01 2011-10-0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ver assemblies for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7858883B2 (en) * 2009-05-01 2010-12-2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s and kits for covering electrical cables and connections
DE102009021596B4 (de) * 2009-05-15 2011-04-28 Fischer Rohrtechnik Gmbh Teleskopierbares Rohrsystem für einen Staubsauger
GB0911016D0 (en) * 2009-06-25 2009-08-12 Airbus Operations Ltd Electrical power transmitting telescopic strut
KR101139503B1 (ko) * 2009-09-29 2012-05-02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연장관조립체
US9675170B2 (en) * 2009-11-28 2017-06-13 Linak A/S Telescopic column, preferably for furniture
IT1401526B1 (it) 2010-08-13 2013-07-26 Omec Spa Prolunga telescopica, in particolare per un elettrodomestico, e relativo elettrodomestico
CN105534410B (zh) * 2016-01-29 2017-11-21 苏州爱建电器有限公司 一种导电伸缩管及手持式吸尘器
ITUB20161063A1 (it) 2016-02-25 2017-08-25 Omec Spa Prolunga telescopica compatta per un elettrodomestico e relativo elettrodomestico
US9960576B2 (en) 2016-04-22 2018-05-0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ver assemblies for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0074965B2 (en) 2016-04-29 2018-09-1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ver assemblies for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0236673B2 (en) 2016-11-04 2019-03-19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ver assemblies for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ions and pre-expanded units and methods including same
EP3545596B1 (en) 2016-11-22 2021-05-26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ver assemblies for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ions and pre-expanded units and methods including same
US10199809B2 (en) 2017-02-17 2019-02-05 Te Connectivity Corporation Holdout supports and pre-expanded units and methods including same
US10283878B2 (en) 2017-09-13 2019-05-0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Neutral conductor connection protection devices and cover assembly kits, electrical connections and methods including same
CN110710923B (zh) * 2018-07-11 2022-04-01 尚科宁家(香港)股份有限公司 吸尘器用延长管
US11685019B2 (en) * 2019-07-02 2023-06-27 National Flooring Equipment Inc. Power cord and vacuum tube manager
WO2021078354A1 (en) 2019-10-21 2021-04-29 Abb Power Grids Switzerland Ag Telescopic electric conductor and high voltage arrangement
EP3812089A1 (en) 2019-10-23 2021-04-28 Black & Decker Inc. Pole sander
US11303049B2 (en) 2020-07-09 2022-04-12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Cable neutral wires connectors and methods and connections including same
US11867224B2 (en) 2021-01-27 2024-01-09 Black & Decker Inc. Locking mechanism for two telescoping poles of a power tool
CN215077997U (zh) * 2021-02-02 2021-12-10 深圳市小摩科技有限公司 一种伸缩导电管
CN215078017U (zh) * 2021-03-22 2021-12-10 深圳市小摩科技有限公司 一种伸缩导电管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4317A (en) * 1968-05-20 1970-10-13 Cons Foods Corp System and apparatu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vacuum cleaner and a remote motor driven brush tool
US3614705A (en) * 1970-01-07 1971-10-19 Cons Foods Corp System and apparatu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vacuum cleaner and a remote motor driven brush tool
JPS5457765A (en) * 1977-10-18 1979-05-09 Nec Corp Plate inversion feeder
JPS5614557A (en) * 1979-07-13 1981-02-12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Asphalt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rubber particle
JPS6239661A (ja) * 1985-08-12 1987-02-20 Mitsubishi Chem Ind Ltd モノアゾ染料
JPH04189337A (ja) * 1990-11-22 1992-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の延長管
US5180316A (en) * 1991-03-25 1993-01-19 Molex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EP0601620B1 (en) 1991-06-28 1997-09-03 OMEC S.p.A. Telescopic extension for a vacuum cleaner
US5289605A (en) * 1991-12-10 1994-03-01 Armbruster Joseph M DC powered scrubber
DE4404394A1 (de) * 1994-02-11 1995-08-17 Dietmar Dipl Ing Berghaenel Teleskopsaugrohr für Staubsauger mit Elektroenergieübertragung
CN1145770A (zh) * 1994-12-26 1997-03-26 大宇电子株式会社 真空吸尘器的装配有辅助刷的吸管
CA2174050C (en) * 1995-04-21 2001-07-17 Sadahiro Shimada Electric vacuum cleaner
JP3299420B2 (ja) * 1995-07-07 2002-07-0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2245953Y (zh) * 1995-09-07 1997-01-29 苏州工业园区娄葑帕雷米电器厂 吸尘器伸缩长接管
JPH0984728A (ja) * 1995-09-20 1997-03-3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DE19535493A1 (de) 1995-09-23 1997-03-27 Stein & Co Gmbh Vorrichtung für Teleskop-Saugrohre von Bodenstaubsaugern
JPH09215642A (ja) * 1996-02-15 1997-08-19 Sharp Corp 電気掃除機
RU2138189C1 (ru) * 1996-07-27 1999-09-27 Квангджу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Чистящий аппарат
DE59711660D1 (de) 1996-08-13 2004-07-01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stellbare Stromübertragungseinrichtung für ein Staubsaugerteleskoprohr
DE19652647C1 (de) 1996-12-18 1997-12-18 Fischer Rohrtechnik Gmbh Teleskopierbares Staubsauger-Saugrohr mit einem darin angeordneten, elektrisch leitenden Kabel
IT1292121B1 (it) 1997-06-10 1999-01-25 Omec Spa Prolunga telescopica per un elettrodomestrico e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di detta prolunga telescopica
US6148474A (en) * 1998-04-22 2000-11-21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Vacuum cleaner and wand assembly
JP3655131B2 (ja) * 1999-08-03 2005-06-0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伸縮延長管およびこの伸縮延長管を用いた電気掃除機
ATE394064T1 (de) 1999-10-11 2008-05-15 Omec Spa Telescopierbare verlängerung für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AU142341S (en) * 1999-12-01 2000-11-21 Dyson Ltd Wand for vacuum cleaner
DE10038740A1 (de) * 2000-08-09 2002-02-21 Stein & Co Gmbh Vorrichtung für Teleskop-Saugrohre von Bodenstaubsaugern
IT249874Y1 (it) 2000-11-07 2003-06-05 Omec Spa Prolunga telescopica per un elettrodomestico
DE10150462A1 (de) 2001-10-16 2003-05-08 Froh House Tech Gmbh & Co Kg Teleskopierbares Staubsauger-Saugrohr
JP2004084793A (ja) * 2002-08-27 2004-03-18 Totaku Industries Inc 可撓性ホース
US7552806B2 (en) * 2006-06-27 2009-06-30 Sammy Fai Sai Tong Extensible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83116B2 (en) 2011-02-08
PL1768538T3 (pl) 2009-03-31
CA2573381C (en) 2013-04-16
CN101018498A (zh) 2007-08-15
WO2006007939A1 (en) 2006-01-26
CA2573381A1 (en) 2006-01-26
ATE408363T1 (de) 2008-10-15
EP1768538B1 (en) 2008-09-17
JP2008506431A (ja) 2008-03-06
CN100560014C (zh) 2009-11-18
DK1768538T3 (da) 2009-02-02
HK1106412A1 (en) 2008-03-14
DE602005009832D1 (de) 2008-10-30
EP1768538A1 (en) 2007-04-04
US20080143097A1 (en) 2008-06-19
PT1768538E (pt) 2008-12-12
ES2313386T3 (es) 2009-03-01
EA200700184A1 (ru) 2007-06-29
ITMI20041429A1 (it) 2004-10-16
SI1768538T1 (sl) 2009-02-28
AU2005263398A1 (en) 2006-01-26
EA009161B1 (ru) 200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6865A (ko) 통전수단을 갖춘 가전기기용 신축관
US7226302B2 (en) Vacuum cleaner current-carrying hose connection system
JPS635190Y2 (ko)
US3534317A (en) System and apparatu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vacuum cleaner and a remote motor driven brush tool
WO2014127780A1 (en) Means for maintaining a tensioned pull-wire in an endoscope
EP1585196A1 (en)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ng arrangement
CN101971436A (zh) 用于电连接家用电器与电动工具的旋转装置
JPH0984728A (ja) 電気掃除機
JP2005174689A (ja) 編組電線及びその配索方法
JP2002373729A (ja) 丸形コネクター
CN105228544A (zh) 高频处置工具
CN116469604A (zh) 伸缩电缆
US317887A (en) Flexible tip for co n du cti n g - co r ds
CN216055613U (zh) 一种单极组合式滑触线装置
JPH10248773A (ja) 電気掃除機用延長管及びこの延長管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H06196223A (ja) ソケツトからの電気プラグの自動切離し
JP3536460B2 (ja) 電気掃除機用延長管およびそれを具備した電気掃除機
KR200380213Y1 (ko) 전선 연결용 단자
JPH0924002A (ja) 電気掃除機
JP4047081B2 (ja) 伸縮アンテナ
JPH11111066A (ja) ケーブル
SE508529C2 (sv) Teleskoprör för en dammsugare
JPH08308776A (ja) 電気掃除機
JPH09220180A (ja) 摺動接点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用吸引パイ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