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213Y1 - 전선 연결용 단자 - Google Patents

전선 연결용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213Y1
KR200380213Y1 KR20-2004-0037391U KR20040037391U KR200380213Y1 KR 200380213 Y1 KR200380213 Y1 KR 200380213Y1 KR 20040037391 U KR20040037391 U KR 20040037391U KR 200380213 Y1 KR200380213 Y1 KR 200380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ase
connection
wir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욱
Original Assignee
신창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욱 filed Critical 신창욱
Priority to KR20-2004-0037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2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2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5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insertion of a wire only possible by pressing on th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 연결용 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홈이 마련되어 두 개 이상의 전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되고 이 수용홈의 내부에 전원 접속용 접속편이 설치되며 이 접속편에 의해 전선이 연결되어 전원을 접속토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접속편은 기부의 일단에 하나의 전선의 심선을 고정하고 기부의 타단은 절곡되어 탄성을 가지는 접속부로 되어 있으며 기부의 윗면에는 외측으로 걸림편이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접속편의 걸림편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접속편이 끼워지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상기 접속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속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특징을 가지며, 케이스와 접속편의 제작 및 조립이 매우 용이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조립 및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제품에 대한 신뢰감을 높일 수 있으며 간편한 작업을 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선 연결용 단자{terminal for an electric cord connect}
본 고안은 전선 연결용 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의 단부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면서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전선 연결용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장치 및 전기기구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선은 설치위치 및 장소에 따라서 길이가 변경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의 길이를 조절할 때에는 그 전선의 선단부에 또다른 전선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때에는 전선 선단부의 피복을 제거한 후 각 전선의 내부에 내장된 심선을 서로 꼬아서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심선이 꼬여진 상태로 노출된 연결부에는 절연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절연테이프를 이용할 경우에는 장기간 사용시 테이프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연결부가 노출되었고, 각 심선을 꼬아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용 단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케이스(1)의 내부에 판스프링 형태의 접속편(8)이 내장되고 상기 케이스(1)의 상측에는 접속편(8)이 이탈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2)가 이동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2)의 하부면에는 접속편(8)을 선택적으로 압축시키기 위한 이동 돌기(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1)의 양 측면에는 전선(4,6)의 심선(5,7)이 삽입되는 삽입공(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결용 단자는 전선(4) 선단부의 피복을 제거하여 노출되는 심선(5)을 케이스(1)에 형성된 삽입공(1a)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상기 심선(5)에 의해서 접속편(8)이 이동되므로 심선(5)은 케이스(1)의 내부로 삽입되게 되는 것이며, 그 심선(5)은 접속편(8)의 탄성력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전선(6) 선단부의 피복을 제거하어 노출된 심선(7)을 케이스(1)에 형성된 삽입공(1a)의 내부로 밀어 넣을 때에는 케이스(1)를 잡고 커버(2)를 밀면 그 커버(2)에 형성된 이동돌기(3)가 접속편(8)을 압축하게 되므로 케이스(1)의 내부에는 심선(7)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심선(7)을 삽입공(1a)의 내부로 밀어 넣고 커버(2)를 놓으면 상기 커버(2)는 접속편(8)의 복원력에 의해서 초기상태로 복원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심선(7)은 접속편(8)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연결용 단자는 케이스(1)와 커버(2)가 별개로 구성되어 조립됨으로써 제작원가가 높았고, 조립작업이 추가되어 비 능률적인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사용시 자칫 커버가 분리될 수 있어서 사용상의 주의를 요하는 등 제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된 커버(2)에 의해서 접속편(8)이 압축되게 되므로 전선을 연결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부주의로 커버(2)를 이동시키거나, 인접한 사물에 접촉될 경우에는 전선이 단자에서 분리될 수 있었으며, 전선을 끼울 때에는 케이스를 잡으면서 커버를 미는 이중의 동작을 요하게 되므로 조작이 불편한 문제점마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내부에 접속단자로서의 접속편을 선택적으로 눌러주는 버튼을 구비하면서 케이스와 커버를 일체로 구성한 것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제조원가를 일부 절감하기는 하였으나 역시 별도의 버튼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역시 케이스가 분리되어 분리된 상태에서 접속편을 끼운 다음 케이스를 조합하여야 하는 등 비교적 복잡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크게 해소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단자 케이스의 일측으로 접속편을 끼우는 것만으로 케이스와 접속편의 조립이 되도록 함으로서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전선 연결용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선과 접속편의 연결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전선 연결용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전선 연결용 단자는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홈이 마련되어 두 개 이상의 전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되고 이 수용홈의 내부에 전도체로 된 전원 접속용 접속편이 설치되며 이 접속편에 의해 전선이 연결되어 전원을 접속토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수용홈에 끼워지는 상기 접속편은 기부의 일단에 하나의 전선의 심선을 고정하고 기부의 타단은 절곡되어 탄성을 가지는 접속부로 되어 있으며 기부의 윗면에는 외측으로 걸림편이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접속편의 걸림편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접속편이 끼워지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상기 접속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속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접속편의 기부 일단에 하나의 전선을 연결하여 고정하고, 접속편을 케이스의 수용홈에 끼우면 접속편의 걸림편이 케이스의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걸려서 접속편이 이탈됨이 없이 고정되며, 케이스의 접속구멍을 통해 다른 전선의 심선을 끼우면 이 심선이 접속편의 접속부를 밀면서 인입되어 접속부의 탄력에 의해 접속부의 단부에 압입 고정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제조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간편한 조작에 의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접속편의 기부 양 측으로 안내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의 입구에는 상기 안내편이 끼워지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접속편은 안내홈에 정확하게 안내되어 조립됨으로서 정확하고 균일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속편이 케이스 내에서 유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안정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접속편의 접속부 중간에는 일단이 절취되어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된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는 전선의 심선을 접속구멍으로 끼우게 되면 심선이 탄성편을 밀고 인입되어 탄성편의 탄력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따른 접속편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홈(11)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수용홈(11)의 일측은 입구(12)로 개방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전선이 인입될 수 있는 접속구멍(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윗면 일단에는 걸림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의 수용홈(11)에는 접속편(20)이 입구(12)를 통해 끼워지는데, 접속편(20)은 판형의 전도체로 되어 평면의 기부(21)를 형성하고, 기부(21)의 외측 단부는 양 측을 절취하여 말아서 전선(30)의 단부 피복을 제거하여 노출되는 심선(31)을 고정하게 되고, 기부(21)의 타단은 절곡되어 탄성을 가지는 접속부(22)로 되며 이 접속부(22)는 케이스(10)의 접속구멍(13)에 접하도록 된다.
기부(21)의 윗면 일단에는 기부(21)의 일단이 절취되어 이루어진 걸림편(23)이 탄성을 가지고 외측으로 돌출되어 케이스(10)의 걸림홈(14)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 걸림편(23)은 접속편(20)의 인입 방향으로 경사면을 이루고 있어서 접속편(20)이 끼워질 때에는 케이스(10)의 내부 윗면에 탄력적으로 눌려진 상태로 인입되어 걸림홈(14)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적으로 복귀되어 걸림홈(14)에 걸리면서 접속편(2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된다.
이렇게 조립된 케이스(10)의 접속구멍(13)을 통해 또 다른 전선(40)의 피복을 제거한 심선(41)을 밀어 넣게 되는데, 이 심선(41)의 단부가 접속편(20)의 접속부(22)를 밀면서 인입되어 심선(41)이 접속부(22)의 단부와 케이스(10)의 내벽과의 사이에 끼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이미 한 쪽의 전선이 고정된 상태에서 접속편(20)을 케이스(10)에 단순히 밀어 넣는 조립과 케이스(10)의 접속구멍(13)을 통해 또 다른 전선을 밀어 넣는 조작만으로 전원의 접속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걸림홈(14)과 걸림편(23)이 케이스(10)와 접속편(20)에 반대로 설치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걸림편(23)이 케이스(10)의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있고, 걸림홈(14)이 접속편(20)의 기부(21)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이 경우에도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 3 및 도 4에서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도 6의 가-가선 단면도이며, 도 9는 그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홈(11)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수용홈(11)의 일측은 입구(12)로 개방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전선이 인입될 수 있는 접속구멍(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윗면 일단에는 걸림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의 수용홈(11)에는 접속편(20)이 입구(12)를 통해 끼워지는데, 접속편(20)은 판형의 전도체로 되어 평면의 기부(21)를 형성하고, 기부(21)의 외측 단부는 양 측을 절취하여 말아서 전선(30)의 단부 피복을 제거하여 노출되는 심선(31)을 고정하게 되고, 기부(21)의 타단은 절곡되어 탄성을 가지는 접속부(22)로 되는데, 이 접속부(22)는 다단 절곡되어 그 단부는 기부(21)와 대략 평행을 이루게 되면서 케이스(10)의 내면에 밀착된다.
기부(21)의 윗면 일단에는 기부(21)의 일단이 절취되어 이루어진 걸림편(23)이 탄성을 가지고 외측으로 돌출되어 케이스(10)의 걸림홈(14)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 걸림편(23)은 접속편(20)의 인입 방향으로 경사면을 이루고 있어서 접속편(20)이 끼워질 때에는 케이스(10)의 내부 윗면에 탄력적으로 눌려진 상태로 인입되어 걸림홈(14)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적으로 복귀되어 걸림홈(14)에 걸리면서 접속편(2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된다.
상기 접속부(22)의 중간에는 일단이 절취되어 절취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탄성을 가지는 탄성편(24)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이 탄성편(24)이 케이스(10)의 접속구멍(13)에 대응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케이스(10)의 접속구멍(13)을 통해 또 다른 전선(40)의 피복을 제거한 심선(41)을 밀어 넣게 되는데, 이 심선(41)의 단부가 접속편(20)의 탄성편(24)을 밀면서 인입되어 심선(41)이 탄성편(24)의 절취된 주연부와 접속부(22)의 절취된 단면과의 사이에 끼어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편(24)은 도 7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그 중앙 부분이 오목하게 홈(25)이 형성되어 심선(41)과의 접촉시 심선(41)이 중앙으로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25)은 탄성편(24)의 하단으로 이어지는 형태로 되어 심선(41)이 이 홈(25)을 따라 탄성편(24)의 하측으로 미끄러지도록 함으로서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편(24)은 도 8에서와 같이 두 개 이상으로 구비하여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전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서와 같이 걸림편(23)이 케이스(10)의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있고, 걸림홈(14)이 접속편(20)의 기부(21)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접속편(20)의 기부(21) 양 측으로 안내편(26)이 연장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10)의 입구(12)로부터 상기 안내편(26)이 끼워질 수 있는 안내홈(16)이 접속편(20)의 출입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케이스(10)에 접속편(20)을 끼울 때 정확하고 균일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립된 상태에서 접속편(20)이 유동됨이 없이 견고하고 안정적인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케이스(10)와 접속편(20)의 조립이 매우 간단하고, 전선의 접속이 매우 간편하여 전원의 연결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의 형상이나 접속편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전선의 삽입 위치 또한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전선 연결용 단자는 케이스와 접속편의 제작 및 조립이 매우 용이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조립 및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제품에 대한 신뢰감을 높일 수 있으며 간편한 작업을 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전선 연결용 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전선 연결용 단자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에 따른 접속편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6의 가-가선 단면도.
도 8은 상기 도 6의 가-가선 단면도의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상기 도 6에 따른 접속편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연결용 단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스 11 : 수용홈
12 : 입구 13 : 접속구멍
14 : 걸림홈 16 : 안내홈
20 : 접속편 21 : 기부
22 : 접속부 23 : 걸림편
24 : 탄성편 26 : 안내편

Claims (5)

  1.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홈이 마련되어 두 개 이상의 전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되고 이 수용홈의 내부에 전원 접속용 접속편이 설치되며 이 접속편에 의해 전선이 연결되어 전원을 접속토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접속편은 기부의 일단에 하나의 전선의 심선을 고정하고 기부의 타단은 절곡되어 탄성을 가지는 접속부로 되어 있으며 기부의 윗면에는 외측으로 걸림편이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접속편의 걸림편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접속편이 끼워지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상기 접속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속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용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편의 기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접속부 중간에는 일단이 절취되어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된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용 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케이스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홈은 접속편의 기부에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용 단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편의 기부 양 측으로 안내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의 입구에는 상기 안내편이 끼워지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용 단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외측면의 중간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곡되어 전선과의 접촉시 전선의 정확한 접촉을 유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용 단자.
KR20-2004-0037391U 2004-12-30 2004-12-30 전선 연결용 단자 KR200380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391U KR200380213Y1 (ko) 2004-12-30 2004-12-30 전선 연결용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391U KR200380213Y1 (ko) 2004-12-30 2004-12-30 전선 연결용 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213Y1 true KR200380213Y1 (ko) 2005-03-29

Family

ID=4368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391U KR200380213Y1 (ko) 2004-12-30 2004-12-30 전선 연결용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2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699B1 (ko) 2006-12-14 2008-05-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선가이드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699B1 (ko) 2006-12-14 2008-05-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선가이드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305598A (ja) 基板接続コネクタ
KR20130007383U (ko) 형광등 홀더 조립체
JP2015056209A (ja) 電気コネクタ用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CN101192717B (zh) 快速连接端子装置
CN116031686B (zh) 连接器
US7351103B1 (en) Micro-serial port electric connector
US6305974B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conducting wires of ceiling fan
KR200380213Y1 (ko) 전선 연결용 단자
AU2008221634B2 (en) Double screwless terminal for electrical leads
US9929619B2 (en) End cap assembly for an electric motor
US2723382A (en) Current tap for attachment to the end of an extension cord
CN111183557B (zh) 插塞连接部件
CN219040818U (zh) 连接器
US7803007B1 (en) Connecting terminal for a cable
KR100982942B1 (ko) 커넥터
US6722007B2 (en) Electric cord connector kit
KR200352734Y1 (ko) 전선 연결용 단자
KR20100003516U (ko) 전선 연결용 단자
KR101803796B1 (ko)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US7931492B1 (en) Structure of conductive terminal of electrical connector
US20140302695A1 (en) Connector
KR200372008Y1 (ko) 전선 연결용 단자
KR200420046Y1 (ko) 조인트 커넥터
KR200372028Y1 (ko) 전선 결속구
CN213304377U (zh) 一种电器产品的导体便拆装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