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028Y1 - 전선 결속구 - Google Patents

전선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028Y1
KR200372028Y1 KR20-2004-0027526U KR20040027526U KR200372028Y1 KR 200372028 Y1 KR200372028 Y1 KR 200372028Y1 KR 20040027526 U KR20040027526 U KR 20040027526U KR 200372028 Y1 KR200372028 Y1 KR 2003720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wire
terminal
contac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 택 임
Original Assignee
상 택 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 택 임 filed Critical 상 택 임
Priority to KR20-2004-0027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0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0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2End pieces terminating in a spring c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5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insertion of a wire only possible by pressing on the spring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전선을 결속시키고 결속된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며, 전선의 결속공정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전선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결속구는 결속구를 전선의 결속부위(100)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하여는 별도의 압착공구가 필요하며, 결속구를 결합시키는데 많은 공정과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탄력단자(3)와 접촉단자(4)가 삽입되는 결속구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상부에 설치되고 몸체(1)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11)을 통하여 상기 탄력단자(3)의 접촉부(30)를 압박하는 누름부(21)를 구비하는 누름손잡이(2)와; 누름손잡이(2)의 하부에 형성되고 탄력단자(3)와 접촉단자(4)에 형성된 각각 결합공(31)(41) 내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구(22)로 구성하여, 별도의 공구 없이도 전선을 결속시키고 결속된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전선의 결속공정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선 결속구{Electric wire binding tool}
본 고안은 전선을 결속시키고 결속된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선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속구를 개량하여 별도의 공구 없이도 전선을 결속시키고 결속된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며, 전선의 결속공정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전선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이음 연결시키기 위하여는 연결할 양측 전선단부의 피복을 제거하여 전선을 노출시키고, 노출된 양측의 전선을 꼬아 묶은 후 결속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켜야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종래에 있어서의 전선 결속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의 전선 결속구는 합성수지 재질의 관체(200) 내부에 도전체링(201)이 삽입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선 결속구는 피복이 제거되어 노출된 양측의 전선을 꼬아 묶여진 결속부위(100)를 관체(200)의 내부에 설치된 도전체링(201)의 내부에 삽입시키고, 관체(200)의 외부에서 압착공구로 상기 도전체링(201)을 압착 변형시켜 결속부위(100)를 고정시키고 결속부위(1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결속구는 결속구를 전선의 결속부위(100)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하여는 별도의 압착공구가 필요하며, 결속구를 결합시키는데 많은 공정과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공구 없이도 전선을 결속시키고 결속된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며, 전선의 결속공정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전선 결속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탄력단자와 접촉단자가 삽입되는 결속구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상기 탄력단자를 압박하는 누름부를 구비하는 누름손잡이와; 누름손잡이의 하부에 형성되고 탄력단자와 접촉단자에 형성된 각각 결합공 내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구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도 1 은 종래에 있어서의 전선 결속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결속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전선 결속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몸체 2. 누름손잡이
3. 탄력단자 4. 접촉단자
21. 누름부 30. 접촉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결속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전선 결속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탄력단자(3)와 접촉단자(4)가 삽입되는 결속구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상부에 설치되고 몸체(1)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11)을 통하여 상기 탄력단자(3)의 접촉부(30)를 압박하는 누름부(21)를 구비하는 누름손잡이(2)와; 누름손잡이(2)의 하부에 형성되고 탄력단자(3)와 접촉단자(4)에 형성된 각각 결합공(31)(41) 내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구(22)로 구성된다.
상기 탄력단자(3)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전선의 결속부위(100)와 접하는 접촉부(30)는 결속부위(100)가 삽입되는 반대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시켜 결속부위(100)의 삽입동작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탄력단자(3)의 후단부에는 절곡부(32)를 형성하여 외력에 대항하는 응력을 크게 하였고, 절곡부(32)의 상면에 결합공(31)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구(2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접촉단자(4)의 선단 양측에는 누름부(21)의 삽입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누름부(21)가 통과되는 홈(42)을 형성하였고, 몸체(1)의 내부에는 접촉단자(4)가 삽입 설치되는 슬라이드홈(12)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22)의 상단부에는 몸체(1)와 견고하게 결합되는 고정돌기부(23)를 형성였고, 몸체(1)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돌기부(23)의 형상에 대응하는 고정삽입부(13)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몸체(1) 내부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2)에 접촉단자(4)를 삽입 설치하고, 이의 하부로 탄력단자(3)를 삽입 설치한다.
이어 몸체(1)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삽입부(13)의 내부로 결합구(22)를 삽입시키면 결합구(22)가 접촉단자(4)와 탄력단자(3)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공(41)(31)에 관통되어 각 단자(4)(3)와 결합되고 계속되는 삽입동작으로 고정돌기부(23)가 고정삽입부(13)에 삽입되면 몸체(1)와 누름손잡이(2)와의 결합이 완료되며, 이때 한쌍의 누름부(21)는 통공(11)을 관통하여 탄력단자(3)의 접촉부(30)와 접촉되는 것으로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선의 결속부위(100)를 결속시키기 위하여는 누름손잡이(2)를 압박하는 것에 의해 누름부(21)가 접촉부(30)를 압박하여 접촉부(30)와 접촉단자(4)와의 사이를 벌리고, 벌어진 틈 사이로 결속부위(100)를 삽입시킨 후 손잡이(2)를 압박하던 외력을 제거하면 접촉부(30)가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면서 누름부(21)를 밀어 올리고 결국 접촉단자(4)와 접촉부(30)의 사이에 결속부위(100)가 물리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별도의 공구 없이도 전선을 결속시키고 결속된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전선의 결속공정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탄력단자(3)와 접촉단자(4)가 삽입되는 결속구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상부에 설치되고 몸체(1)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11)을 통하여 상기 탄력단자(3)의 접촉부(30)를 압박하는 누름부(21)를 구비하는 누름손잡이(2)와;
    누름손잡이(2)의 하부에 형성되고 탄력단자(3)와 접촉단자(4)에 형성된 각각 결합공(31)(41) 내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구(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속구.
KR20-2004-0027526U 2004-09-24 2004-09-24 전선 결속구 KR200372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526U KR200372028Y1 (ko) 2004-09-24 2004-09-24 전선 결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526U KR200372028Y1 (ko) 2004-09-24 2004-09-24 전선 결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028Y1 true KR200372028Y1 (ko) 2005-01-10

Family

ID=4944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526U KR200372028Y1 (ko) 2004-09-24 2004-09-24 전선 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0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537B1 (ko) * 2017-12-20 2018-04-13 주식회사 위즈토리 전선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537B1 (ko) * 2017-12-20 2018-04-13 주식회사 위즈토리 전선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5653B (zh) 用於電子連接終端的致動裝置(三)
US7118409B2 (en) Connector and cable retainer
CN108352636B (zh) 插塞触点
JP2015056209A (ja) 電気コネクタ用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US7063561B2 (en) Clamping connector for flexible ribbon cables
JP2001307789A (ja) 電気コネクタ
KR200372028Y1 (ko) 전선 결속구
US10756478B2 (en) Terminal and method of connecting electric wire to terminal
JP2002222392A5 (ko)
JP2007200785A (ja) モジュラープラグ
JP4039301B2 (ja) モジュラジャック
KR20090009562U (ko) 전선연결구
KR100982942B1 (ko) 커넥터
JP2601193Y2 (ja) 差込形接続端子
JP7287771B2 (ja) コネクタ、及び、カバー
KR200294601Y1 (ko)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
CN111146613B (zh) 端子,将电线连接到端子的方法,以及夹具
GB2083715A (en) An electrical connector
KR20100118437A (ko) 터미널
KR20080003661U (ko) 전선연결장치
JPS6243084A (ja) コネクタ
KR20100003516U (ko) 전선 연결용 단자
KR101556210B1 (ko) 전선 연결구
KR200271204Y1 (ko) 전선 연결구의 고정 해제장치
JPH0822848A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