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537B1 - 전선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선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537B1
KR101847537B1 KR1020170176387A KR20170176387A KR101847537B1 KR 101847537 B1 KR101847537 B1 KR 101847537B1 KR 1020170176387 A KR1020170176387 A KR 1020170176387A KR 20170176387 A KR20170176387 A KR 20170176387A KR 101847537 B1 KR101847537 B1 KR 101847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using
wire
press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즈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즈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즈토리
Priority to KR1020170176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는, 직육면체 형상으로써 하면의 일부가 개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전선의 도체부를 가압하여 전기적으로 전선과 연결되는 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체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전면 벽, 상기 삽입구로부터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후면 벽 및 상기 전면 벽 및 후면 벽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접촉편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도체부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로부터 연장되는 일단에 형성된 레버를 가지는 제1 플레이트, 회로 기판 상의 회로 선 또는 회로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도체부가 가압되면 상기 도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타단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단을 연결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플레이트는 모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를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향해 가압할 경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상기 가압부에 의한 상기 도체부의 가압이 해제된다.

Description

전선 커넥터{A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전선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 커넥터의 크기 및 부피를 최소화하고, 전선을 커넥터에 직접 연결하여 고정하고 커넥터로부터 전선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전선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커넥터는 전선과 회로 기판의 접속단자를 전기 접속하기 위해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한 부분은 회로 기판 상의 회로 선, 회로 패턴 또는 접속단자 부분에 실장되는 기판용 커넥터이며, 다른 부분은 전선의 일단에 장착되는 전선 단부용 커넥터이다. 이러한, 기판용 커넥터와 전선 단부용 커넥터가 서로 끼워 맞춰짐으로써, 전선과 회로 기판이 전기 접속된다.
그런데, 기판용 커넥터와 전선 단부용 커넥터의 두 부분으로 전체 커넥터가 구성될 경우, 전체 커넥터의 크기와 부피가 커지게 되어 협소한 공간에 전체 커넥터를 배치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선에는 별도의 전선 전선 단부용 커넥터를 장착하지 않고, 일부 피복이 제거된 전선을 바로 기판용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는 Wire to Board 방법의 커넥터가 소개되었다.
종래의 Wire to Board 방법의 커넥터는 전선을 회로 기판의 회로 선, 회로 패턴 또는 접속단자에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피복이 제거된 전선의 도체부가 Wire to Board 방법의 커넥터에 삽입될 때, 이러한 커넥터 내부에 존재하는 전선 접촉부는 전선의 도체부가 삽입되는 힘에 의해서만 움직였다. 즉, 전선의 도체부가 전선 접촉부를 밀면 전선 접촉부가 벌어지거나 뒤로 이동하면서 전선 접촉부가 변형되었고, 이러한 방법은 전선의 도체부의 꺾임 또는 흠집 발생과 같은 손상을 야기했다. 또한, 전선을 커넥터로부터 분리할 때에도 전선 접촉부가 지속적으로 전선의 도체부를 가압하였기 때문에, 전선의 도체부에 손상이 발생했다.
더욱이, 종래의 Wire to Board 방법의 커넥터는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의 수가 많고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협소한 공간에 장착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전선의 도체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전선 커넥터 내부로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전선과 전선 커넥터 사이의 연결을 확실히 고정할 수 있는 전선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 커넥터로부터 전선을 분리하고자 할 때, 전선의 도체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쉽게 커넥터로부터 전선을 분리할 수 있는 전선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크기와 부피, 전고가 최소화된 전선 커넥터를 제공하여 협소한 장소에도 전선 커넥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써 하면의 일부가 개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전선의 도체부를 가압하여 전기적으로 전선과 연결되는 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체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전면 벽, 상기 삽입구로부터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후면 벽 및 상기 전면 벽 및 후면 벽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접촉편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도체부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로부터 연장되는 일단에 형성된 레버를 가지는 제1 플레이트, 회로 기판 상의 회로 선 또는 회로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도체부가 가압되면 상기 도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타단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단을 연결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플레이트는 모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를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향해 가압할 경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상기 가압부에 의한 상기 도체부의 가압이 해제되는 전선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레버는,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후면 벽의 외부로 돌출 연장되고,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중간부에서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폴딩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도체부를 접촉 지지하는 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홈들의 단면은 V자형 또는 U자형일 수 있다.
상기 가압부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가까운 내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를 상기 내벽으로부터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V자형이며, 상기 탄성부재의 양 끝단은 상기 내벽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장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공은, 상기 탄성부재의 중앙부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공이 형성되는 길이와 폭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는 전선의 도체부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전선을 쉽게 커넥터 및 터미널에 연결 또는 분리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는 커넥터에 연결된 전선에 대한 확실한 고정력을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는 전자 제품 내 부품이 밀집 되어 있거나 협소한 공간에서도 커넥터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촉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가 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에 전선이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VI-VI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에 전선이 삽입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촉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커넥터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모든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 예들과 다르게 변형되어 다양한 실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공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기재할 때,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촉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가 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에 전선이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VI-VI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에 전선이 삽입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100)는 하우징(101) 및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전선의 도체부(11)를 가압하여 전기적으로 전선(10)과 연결되는 접촉편(110)를 포함한다.
하우징(101)은 회로 기판(12) 상에 장착되며,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직육면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돔(Dome) 형상, 상부의 일부가 잘려나간 피라미드 형상 또는 직육면체에서 모서리가 모따기 된 형상으로도 하우징(10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의 하면은 그 일부가 개방된다. 이는 전선 커넥터(100)가 회로 기판(12) 상에 장착되어 하우징(101) 내부에 배치되는 접촉편(110)이 회로 기판(12) 상의 회로 선, 회로 패턴 또는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우징(101)은 전면 벽(101a)에 전선의 도체부(11)가 삽입되는 삽입구(102)가 형성된다. 삽입구(102)는 일반적으로 전선(10)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각형으로 삽입구(10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구(102)의 직경은, 피복이 감긴 전선(10)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전선의 도체부(11)가 삽입구(102)에 삽입되면, 전선(10)의 피복 외측면이 삽입구(102)와 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구(102)의 직경은, 피복이 벗겨진 전선의 도체부(11)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지만, 피복이 감긴 전선(10)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전선의 도체부(11)가 삽입구(102)에 삽입되면, 도체부(11)의 외측면이 삽입구(102)와 밀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후면 벽(101b)에는 삽입구(102)와 관통 연결되는 관통구(103)가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관통구(103)는 하우징(101)의 내부에 배치되는 접촉편(110)의 일부가 관통구(103)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전선(10)을 전선 커넥터(100)에 연결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접촉편(110)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의 내부에는 접촉편(110)을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으로써, 수용부(104)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부(104)는 전면 및 후면 벽(101a, 101b) 사이에 형성되며, 삽입구(102)와 관통구(103)를 관통 연결한다.
도 2 및 3을 참조할 때, 접촉편(110)은 모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플레이트(111, 112, 113)를 포함한다.
접촉편(110)은 일반적으로 'ㄷ'자 또는 'ㄹ'자 형상을 가진 단일의 플레이트를 3 부분으로 나누어 2번의 폴딩을 통해, 제1 내지 제3 플레이트(111, 112, 113)를 구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단일의 플레이트 형상은 반드시 ㄷ'자 또는 'ㄹ'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번의 폴딩을 통해 제1 내지 제3 플레이트(111, 112, 113)가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든 관계 없다.
제1 플레이트(111)는 제2 플레이트(112)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 플레이트(113)에 의해 제2 플레이트(112)와 연결된다.
제1 플레이트(111)는 레버(111a)와 가압부(111b)를 포함한다. 이때, 레버(111a)는 제1 플레이트의 일단(111')에 형성된다.
레버(111a)는 하우징(101)의 후면 벽(101b)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전선 커넥터(100)에 전선(10)을 연결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레버(111a)를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1 플레이트의 일단(111')에서 후면 벽(101b)의 외부로 돌출 연장되도록 레버(111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버(111a)는 평면에서 볼 때, 'T'자 형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후면 벽(101b)은 접촉편(110)에서 하우징(101)외부로 돌출된 레버(111a)가 부주의한 조작 또는 다른 부품에 의해 잘못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면 벽(101b)의 상단부에서 레버(111a)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커버부(101d)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커버부(101d)는 레버(111a)가 T자 형상을 이루는 부분의 상면을 덮어서 레버(111a)가 오작동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3, 및 6을 참조할 때, 레버(111a)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하우징(101)의 상면과 하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레버(111a)가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의 일단(111')에는 제3 플레이트(113)가 연결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플레이트의 가압부(111b)는 삽입구(102)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전선의 도체부(11)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하면 및 제2 플레이트(112)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부(111b)는, 제1 플레이트(111)의 중간부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가압부(111b)의 단면이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되도록 제1 플레이트(111)의 중간부를 폴딩하여 가압부(111b)를 형성한다.
다만, 가압부(111b)는 반드시 제1 플레이트(111)의 중간부에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레버(101a) 측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가압부(111b)는 제1 플레이트의 타단(111") 측과 가깝게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1 플레이트의 타단(111") 측에 가깝게 형성되면, 제3 플레이트(113)는 제1 플레이트(111)의 중간부 또는 레버(111a) 측에 연결될 수 밖에 없으므로, 이 경우, 제3 플레이트(113)에 의해 레버(111a)의 상하 움직임이 방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3 플레이트(113)는 가압부(111b)가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의 중간부 및 일단(111')에 연결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플레이트의 타단(111")에 연결되어 제1 플레이트(111)와 제2 플레이트(112)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플레이트(112)는 제1 플레이트(111)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3 플레이트(113)에 의해 제1 플레이트의 타단(111")과 연결된다.
도 6을 참조할 때, 제2 플레이트(112)는 일면은, 하우징(101)의 하면이 일부 개방 됨에 따라, 하우징(101)의 외부로 노출되며, 회로 기판(12) 상의 회로 선, 회로 패턴 또는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2 플레이트(112)는 전선의 도체부(11)와 접촉하여 도체부(11)를 지지하는 지지부(112a)가 형성된다.
지지부(112a)는 제1 플레이트의 가압부(111b)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제2 플레이트(112) 상의 위치에서 제1 플레이트(111)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가압부(111b)가 제1 플레이트(111)의 중간부에서 돌출 형성되므로, 지지부(112a) 역시 제2 플레이트(112)의 중간부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는, 레버(111a)의 조작에 따라 가압부(111b)가 전선의 도체부(11)를 가압하면, 가압부(111b)가 도체부(11)를 확실히 가압하도록 하여, 도체부(11)가 지지부(112a)와 확실히 접촉하도록 하고, 전선(10)이 회로 기판(12)의 회로 선, 회로 패턴 또는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2a)가 제2 플레이트(112)로부터 제1 플레이트(111)를 향해 돌출된 거리(d2)보다, 가압부(111b)가 제1 플레이트(111)로부터 제2플레이트(112)를 향해 돌출된 거리(d1)가 더 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지부(112a)가 돌출 형성되는 거리(d2)가 가압부(111b)가 돌출 형성되는 거리(d1) 보다 더 멀도록 형성될 경우, 가압부(111b)로부터 연장 형성된 레버(111a)의 상하 움직임에 제한을 줄 수 있고, 전선의 도체부(11)가 접촉편(110)로 삽입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지부(112a)는 복수의 홈들(11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홈들(112b)은 지지부(112a)가 도체부(11)와 접촉하는 면에 형성되며, 전선의 도체부(11)가 지지부(112a)로부터 미끄러지거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홈들의 단면이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113)는 제1 플레이트의 타단(111")과 제2 플레이트(112)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단을 연결한다. 이때, 제3 플레이트(113)는 전선(10)이 삽입되는 방향인 A 방향을 가로막지만 않으면, 제2 플레이트(112)의 어느 측면이나 어느 단부에 연결되더라도 상관없다. 즉, 제3 플레이트(113)는 전선(10)이 삽입되는 방향인 A 방향을 가로막지 않는 한에서, 제2 플레이트(112)의 일단, 타단 및 중간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12)는 회로 기판(12) 상의 회로 선, 회로 패턴 또는 접속 단자와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기 위해 회로 선, 회로 패턴 또는 접속 단자와 고정 연결되고,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1 플레이트(111)에 비하여 레버(111a)의 움직임으로부터 영향을 덜 받는다. 따라서, 제3 플레이트(113)가 제2 플레이트(112)의 어느 부분에 연결되더라도 상관 없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1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선의 도체부(11)가 삽입구(102)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레버(111a)는 조작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1 플레이트의 가압부(111b)는 지지부(112a)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된다. 또한, 전선(10)은 일부의 절연 피복이 벗겨진 도체부(11)가 존재하는 상태로 A 방향에서 전선 커넥터(100)를 향해 삽입될 수 있다(도 5 및 6(a) 참조).
전선 커넥터(100)의 삽입구(102)를 통과한 도체부(11)는 전선 커넥터(100) 내부의 수용부(104)에 배치된 접촉편(110)과 접촉하게 된다(도 6(b) 참조). 이때, 접촉편(110)은 제1 플레이트(111)의 중간부에 위치한 가압부(111b)가 도체부(11)의 A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할 정도로 제2 플레이트(112) 상에 가깝게 배치된다. 전선의 도체부(11)는 제2 플레이트의 지지부(112a)에 접촉 연결되어야 회로 기판(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도체부(11)를 지지부(112a)에 접촉시키기 위해, 레버(111a)를 이용하여 제1 플레이트(111)를 들어올린다(도 6(c) 참조).
가압부(111b)로부터 연장 형성된 레버(111a)를 하우징의 상면(101c)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가압부(111b)는 레버(111a)의 움직임에 따라, 하우징의 상면(101c)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손가락이나 마이너스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레버(111a)를 하우징의 상면(101c)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압부(111b)는 지지부(112a)로부터 최대한 멀어지게 되며, 전선의 도체부(11)가 A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접촉편(110)의 제2 플레이트와 접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100)는, 레버(111a)를 하우징의 상면(101c)을 향해 가압할 경우, 가압부(111b)는 지지부(112a)로부터 멀어지게 되며, 가압부(111b)의 도체부(11)에 대한 가압도 해제할 수 있는 구조이다.
전선의 도체부(11)가 접촉편(110)의 내부로 충분히 삽입되고 지지부(112a)에 접촉하게 되면, 하우징의 상면(101c)으로 들어올린 레버(111a)에 가한 힘을 제거한다. 이에 의해, 레버(111a)와 연결된 가압부(111b)를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111)는 탄성에 의해 지지부(112a)와 다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가압부(111b)는 전선의 도체부(11)를 지지부(112a) 쪽으로 가압한다(도 6(d) 참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변형시킨 전선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100)의 변형 실시 예이므로, 대부분의 구성이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서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1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구성은 도시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하우징(101)은 회로 기판(12) 상에 장착되며, 회로 기판(12)은 기판 상에 복수의 회로 선, 회로 패턴 또는 접속단자들을 구비한다. 또한, 회로 기판(12)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100)는 하우징 내부에 중간 벽(101f)이 형성되고, 2개의 수용부가 형성된다. 이 2개의 수용부는 각각 제1 및 제2 수용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중간 벽(101f)에 의해 제1 및 제2 수용부 사이에는 절연이 확보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수용부에는 도 2와 같이, 각각 제1 및 제2 접촉편(110a, 110b)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접촉편(110a, 110b)에는 각각 전선의 도체부(11)가 삽입되어 복수의 전선을 하나의 커넥터(100)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및 제2 접촉편(110a, 110b)은 중간 벽(101f)에 의해 서로 절연이 확보된다.
하우징의 전면 벽(101a)에는 복수의 전선의 도체부(11)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구(102a, 102b)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의 후면 벽(101b)에는 제1 및 제2 삽입구(102a, 102b)로부터 관통 형성되는 제1 및 제2 관통구(103a, 103b)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수용부는 전면 및 후면 벽(101a, 101b) 사이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삽입구(102a, 102b)와 제1 및 제2 관통구(103a, 103b)를 관통 연결한다.
제1 및 제2 접촉편(110a, 110b)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촉편(110)과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다만, 제1 및 제2 접촉편(110a, 110b)이 제1 및 제2 수용부에 배치되기 위하여,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는 있다. 제1 및 제2 접촉편(110a, 110b)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촉편(11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100)는, 레버(111a)와 가압부(111b)를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111)에 의해, 복수의 전선들(10)을 커넥터(100)에 쉽게 연결함과 동시에 강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체부(11)가 전선 커넥터(100) 내부로 삽입될 때, 레버(111a)를 이용해 가압부(111b)를 들어올려 도체부(11)가 접촉편(110) 내부로 쉽게 삽입되도록 하고, 도체부(11)가 지지부(112a)와 접촉하게 되면, 가압부(111b)에 의해 도체부(11)가 강하게 가압되어, 안정적으로 전선(10)과 회로 기판(12)이 전기 연결된다.
또한, 커넥터(100)로부터 복수의 전선(10)들을 분리하고자 할 때에도, 레버(111a)의 조작만으로 가압부(111b)가 도체부(11)에 가하는 가압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도체부(11)의 손상 없이 사용자의 원터치 조작으로 전선(10)을 커넥터(100)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특히, 접촉편(110)을 탄성 변형할 수 있는 레버(111a)가 하우징(101)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레버(111a)를 조작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하우징(101) 내부에 부가되지 않으며, 하우징(101)의 구조가 단순해 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20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100)와 접촉편의 구성만 다른 실시 예로써, 대부분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서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1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구성은 도시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촉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200)는 하우징(201) 내부에 배치되는 접촉편(210) 및 접촉편(210)의 제1 플레이트(211)와 하우징의 상면(201)에 가까운 내벽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촉편(210)은 제1 내지 제3 플레이트(211, 212, 213)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촉편(110)과 동일하게 포함하고 있다.
다만, 제2 플레이트(212)에 형성되는 지지부(212a)는 제2 플레이트(212)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부(212a)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212b)들은 지지부(212a)의 양 측단을 완전히 가로지르지 않고, 지지부(212a)의 중앙부에서만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220)는 제1 플레이트(211)에 형성된, 가압부(211b)의 상면과 하우징(201)의 상면에 가까운 내벽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220)는 V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부재의 양 끝단(221a, 221b)은 하우징의 상면에 가까운 내벽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탄성부재(220)가 V자형으로 구성될 경우, V자형의 탄성부재(220)는, 레버(211a)가 하우징의 상면(201c) 쪽으로 밀려지게 되면, 일자 형태로 변형되면서, 내벽 쪽에 거의 접촉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또한, 레버(211a)가 하우징(201)의 하면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탄성부재(220)는 본래의 V자형으로 복원되면서, 가압부(211b)를 하우징(201)의 내벽으로부터 탄성 지지한다.
하지만, 탄성부재(220)는 반드시 V자형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하우징(201)의 내벽으로부터 가압부(211b)를 탄성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성하여도 상관없다. 따라서, 탄성부재(220)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이러한 판 스프링이 배치된 경우, 레버(211a)를 하우징의 상면(201c)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레버(211a)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판 스프링이 가압부(211b)를 밀어내게 되며, 변형된 제1 플레이트(211)가 본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는 탄성에 판 스프링의 탄성이 더해져서 가압부(211b)가 전선의 도체부(11)를 지지부(212a) 방향으로 최대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220)는 장공(22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공(220a)은, 탄성부재(220)의 중앙부에서 제1 플레이트(211)의 길이 방향 또는 전선의 삽입 방향인 A 방향(도 2 참조)을 따라 형성된다. 장공(220a)은 형성되는 길이와 폭에 따라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을 증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편(210)에 접촉하게 되는 전선의 도체부(11)는 더 강한 압력을 받게 되고, 전선(10)은 커넥터(200)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211a)와 가압부(211b)를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211)의 탄성에 의해, 전선의 도체부(11)가 전선 커넥터(200) 내부로 삽입될 때, 도체부(1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체부(11)가 제2 플레이트(212)의 지지부(212a)와 접촉하게 되면, 가압부(211b) 및 탄성부재(220)에 의해 도체부(11)를 더욱 강하게 가압할 수 있고, 이러한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은 장공(220a)의 길이 및 폭에 의해 설계 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선 커넥터(200)로부터 전선(10)을 분리하고자 할 때에도, 레버(211a)의 조작만으로 가압부(211b)가 도체부(11)에 가하는 가압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전선 커넥터(200)로부터 전선(20)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지지부(212a)는 제2 플레이트(212)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므로 제2 플레이트(212)의 내구도가 향상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과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전선
12: 회로 기판
100: 커넥터
110: 접촉편

Claims (7)

  1. 직육면체 형상으로써 하면의 일부가 개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전선의 도체부를 가압하여 전기적으로 전선과 연결되는 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체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전면 벽;
    상기 삽입구로부터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후면 벽; 및
    상기 전면 벽 및 후면 벽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접촉편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도체부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로부터 연장되는 일단에 형성된 레버를 가지는 제1 플레이트;
    회로 기판 상의 회로 선 또는 회로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도체부가 가압되면 상기 도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도체부를 접촉 지지하는 면에 단면이 V자 또는 U자 형태인 복수의 홈들을 포함하는 지지부를 가지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타단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단을 연결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플레이트는 모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를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향해 가압할 경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상기 가압부에 의한 상기 도체부의 가압이 해제되는, 전선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후면 벽의 외부로 돌출 연장되고, T자 형상을 가지는, 전선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중간부에서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폴딩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을 더 포함하는, 전선 커넥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가까운 내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를 상기 내벽으로부터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선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V자형이며, 상기 탄성부재의 양 끝단은 상기 내벽에 접촉되는, 전선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장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공은,
    상기 탄성부재의 중앙부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공이 형성되는 길이와 폭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증감할 수 있는, 전선 커넥터.
KR1020170176387A 2017-12-20 2017-12-20 전선 커넥터 KR101847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387A KR101847537B1 (ko) 2017-12-20 2017-12-20 전선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387A KR101847537B1 (ko) 2017-12-20 2017-12-20 전선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537B1 true KR101847537B1 (ko) 2018-04-13

Family

ID=61974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387A KR101847537B1 (ko) 2017-12-20 2017-12-20 전선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5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9108A (zh) * 2020-06-09 2020-09-1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东莞供电局 电能表的接线端子以及电能表
WO2022047308A1 (en) * 2020-08-28 2022-03-03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switch for perforation too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028Y1 (ko) * 2004-09-24 2005-01-10 상 택 임 전선 결속구
KR101007103B1 (ko) 2010-06-29 2011-01-10 성승현 꽂음형 커넥터
CN203521640U (zh) * 2013-09-11 2014-04-02 进联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接线端子的改良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028Y1 (ko) * 2004-09-24 2005-01-10 상 택 임 전선 결속구
KR101007103B1 (ko) 2010-06-29 2011-01-10 성승현 꽂음형 커넥터
CN203521640U (zh) * 2013-09-11 2014-04-02 进联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接线端子的改良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9108A (zh) * 2020-06-09 2020-09-1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东莞供电局 电能表的接线端子以及电能表
CN111679108B (zh) * 2020-06-09 2023-01-1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东莞供电局 电能表的接线端子以及电能表
WO2022047308A1 (en) * 2020-08-28 2022-03-03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switch for perforation t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6848B1 (ja) コネクタ
US9799982B1 (en) Auto-positioning structure for upper cover of network plug
EP1429418B9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wire release member
US7581977B1 (en) Safety socket
EP3196989A1 (en) Coaxial connector equipped with floating mechanism
US20010018291A1 (en) Flat circuit member connector
US6431893B1 (en) Switch for a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5928027A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for a flat flexible circuit
CN107394424B (zh) 弹簧接线端子
US20170062961A1 (en) Connector
JP4291341B2 (ja) 接続装置
US7628624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an improved guiding member
KR930000792Y1 (ko) 코넥터 장치
KR101847537B1 (ko) 전선 커넥터
CN100392915C (zh) 电接线盒装置、插塞式连接器及插座式连接器
CN110994298B (zh) 同轴开关
JP3810134B2 (ja) コンタクト及びこのコンタクトを備えたicソケット
US6168473B1 (en) Clamping structure for communication connector
US7559792B2 (en) Connector with easily replacement of a slider
US7980864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102302284B1 (ko) 전기접속장치
US20050095902A1 (en) Connector assembly
WO2016164219A1 (en) Terminal block
EP1530266B1 (en) Socket connector
CN110932025A (zh) 同轴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