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4361A - 레독스 셔틀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 비수전해액 및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레독스 셔틀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 비수전해액 및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4361A
KR20070044361A KR1020060102449A KR20060102449A KR20070044361A KR 20070044361 A KR20070044361 A KR 20070044361A KR 1020060102449 A KR1020060102449 A KR 1020060102449A KR 20060102449 A KR20060102449 A KR 20060102449A KR 20070044361 A KR20070044361 A KR 20070044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ox shuttle
redox
formula
inhibitor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2056B1 (ko
Inventor
안순호
유성훈
오병훈
전주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070044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tom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렌카보네이트류, 에틸렌카보네이트류, 고리구조의 설파이트류 및 불포화 설톤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로 된 산화-환원반응 순환하는 레독스 셔틀(redox shuttle)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 비수 전해액 및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닐렌카보네이트류, 에틸렌카보네이트류, 고리구조의 설파이트류 및 불포화 설톤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전해액에 첨가하여, 전해액 내의 레독스 셔틀제와 음극과의 반응을 억제하고, 산화-환원반응을 순환하는 레독스 셔틀제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전해액 내 수명 향상된 레독스 셔틀제에 의해 과충전시 안전성을 보다 우수하게 확보함과 동시에 첨가제 사용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차전지, 전해액, 레독스 셔틀, 첨가제, 과충전, 수명 향상

Description

레독스 셔틀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 비수 전해액 및 이차전지 {INHIBITOR OF REDUCTION OF LIFE CYCLE OF REDOX SHUTTLE ADDITIVE AND NON-AQUEOUS ELECTROLYT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전지의 충전시 음극에서의 용량과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 1과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전지의 충전시 음극에서의 용량과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전지의 충방전에 따른 시간과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전지의 충방전에 따른 시간과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과충전 방지 효과를 가지는 레독스 셔틀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 비수 전해액 및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비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실현되고 휴대용 전자 기기의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리튬 이차 전지는 리튬 이온의 삽입 및 탈리가 가능한 물질을 음극 및 양극으로 사용하고, 양극과 음극 사이에 비수 전해액을 충전시켜 제조하며, 리튬 이온이 양극 및 음극에서 삽입 및 탈리될 때의 산화반응, 환원반응에 의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생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비수 전해액을 사용함에 따르는 발화 및 폭발 등의 안전 문제가 존재하며, 이와 같은 문제는 전지의 용량 밀도를 증가시킬수록 더 심각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전지가 과충전되어 통상적인 작동 전압을 초과하게 되면 양극은 리튬을 과량 방출하게 되고, 과량의 리튬은 음극에 덴드라이트(dendrite)를 생성하여 양극과 음극이 모두 열적으로 불안정해져 전해액이 분해되는 등 급격한 발열반응이 일어난다. 이와 같은 발열 반응에 의하여 전지에서는 열폭주에 의한 발화 및 파열 현상이 발생하여 전지의 안전성에 문제가 된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의 과충전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종래의 기술은 크게 전자회로를 이용하는 방법과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회로를 이용하는 방법은 과충전이 일어날 때 가스의 발생을 조장하여 기계적으로 전류를 차단하는 방법인데, 이는 비용이 많이 들고 전지의 설계, 제조 과정에 여러가지 한계가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다.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분리막을 녹여 차단(shutdown)시키는 방법과 전해액에 적절한 레독스 셔틀(redox shuttle)제, 즉 산화-환원반응을 순환하는 산화-환원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있다.
레독스 셔틀제는 산화 발열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전지 내부 온도를 조기에 상승시켜 분리막의 기공을 차단(shutdown)시켜 과충전 반응을 억제한다. 또한 레독스 셔틀제는 과충전시 양극 표면에서 과충전 전류를 소모하여 전지를 보호하며, 과충전 조건을 벗어나서 다시 그 전지를 사용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레독스 셔틀제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튬할로겐 염을 사용하는 것이 처음 시도 되었으나 산화 형태인 할로겐의 휘발성과 반응성이 문제점이고, 미국특허 제4,857,423호에 의하면 페로신(ferrocene) 화합물을 응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페로신의 낮은 산화전위와 느린 확산, 그리고 낮은 용해도의 단점이 있다.
일본특허출원공개 평7-302614호에 의하면 레독스 셔틀제로 벤젠 고리에 전자 증여자로 알킬그룹 또는 메톡시그룹이 결합된 화합물이 제시되었으나, 이 경우 가역적인 산화-환원반응 순환할 수 있는 전류의 양이 적기 때문에 높은 전류량에서는 그 효과가 미비하다는 문제가 있다. 미국특허 제5,709,968호에는 상기의 벤젠류 화합물에 할로겐족 화합물을 결합시킨 화합물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는 반응성이 커서 레독스 셔틀(redox shuttle)제로서의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산화-환원반응 순환에 의한 과충전 방지 효과를 가지는 레독스 셔틀제를 포함하는 전해액에 첨가함으로써, 레독스 셔틀제와 음극의 부반응을 억제하고 레독스 셔틀제의 수명 감소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비수 전해액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충전시 안전성이 높고, 사이클 특성, 전 기 용량 등의 성능이 우수한 이차전지를 제공하고자 하며, 이러한 이차전지에 사용될 수 있는 비수 전해액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비닐렌카보네이트류, 에틸렌카보네이트류, 고리구조의 설파이트류 및 불포화 설톤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로 된 산화-환원반응 순환하는 레독스 셔틀(redox shuttle)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 비수 전해액 및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독스 셔틀(redox shuttle)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에 의해 피막이 형성된 음극과 레독스 셔틀제를 함유한 전해액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차전지에 있어서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전해액에 첨가되는 레독스 셔틀(redox shuttle)제는 양극 표면에서 과충전 전류를 소모하여 전지를 보호하며, 과충전 조건을 벗어나 다시 그 전지를 사용 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전해액 내 레독스 셔틀제가 음극과 반응을 하므로, 과충전시 산화-환원반응 순환에 따라 전지의 안전성을 유지시키는 레독스 셔틀제의 수명이 오랜 시간 지속되지 못하는 것, 특히 상기 레독스 셔틀제와 음극과의 반응이 클수록 그 수명은 짧아지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상기 비닐렌카보네이트류, 에틸렌카보네이트류, 고리구조의 설파이트류 및 불포화 설톤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전해액에 첨가하여 레독스 셔틀제와 음극과의 반응을 억제하고, 산화-환원반응을 순환하 는 레독스 셔틀제의 수명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억제제를 사용하면 음극 표면에 보호 피막의 형성이 가능하므로, 이에 의해 음극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전해액 내 레독스 셔틀제의 수명 향상에 의해 과충전에 따른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닐렌카보네이트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비닐렌카보네이트류의 바람직한 예로는, 비닐렌카보네이트, 플루오르비닐렌카보네이트, 메틸비닐렌카보네이트, 플루오르메틸비닐렌카보네이트, 에틸비닐렌카보네이트, 프로필비닐렌카보네이트, 부틸비닐렌카보네이트, 디메틸비닐렌카보네이트, 디에틸비닐렌카보네이트, 디프로필비닐렌카보네이트 등이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75958396-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또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이다.
에틸렌카보네이트류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카보네이트류의 바람직한 예로는, 플루오르에틸렌카보네이트,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페닐에틸렌카보네이트, 4,4-디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4,5-디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4-메틸-4-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4-플루오로-4-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4-메틸-5-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4-에틸-4-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등이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75958396-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3 내지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이고, 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할로겐, 또는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이다.
고리구조의 설파이트류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고리구조의 설파이트류의 바람직한 예로는, 에틸렌설파이트, 메틸에틸렌설파이트, 에틸에틸렌설파이트, 4,5-디메틸에틸렌설파이트, 4,5-디에틸에틸렌설파이트, 4,5-디메틸프로필렌설파이트, 4,5-디에틸프로필렌설파이트, 4,6-디메틸프로필렌설파이트, 4,6-디에틸프로필렌설파이트 등이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06075958396-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7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또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이고, n은 1~3의 정수이다.
불포화 설톤류는 하기 화학식 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예로는 에텐설톤, 1,3-프로펜설톤, 1,4-부텐설톤, 1-메틸-1,3-프로펜설톤 등이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06075958396-PAT00004
상기 화학식 4에서, R11 내지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또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이고, n은 0~3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비닐렌카보네이트류, 에틸렌카보네이트류, 고리구조의 설파이트류 및 불포화 설톤류는 음극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음극을 보호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레독스 셔틀(redox shuttle)제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방향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112006075958396-PAT00005
상기 화학식 5에서, R15 내지 R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아릴, 탄소수 1~1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2의 알콕시기이고, 그 중 적어도 2이상은 탄소수 1~12의 알콕시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5에서 R14 내지 R19 중 두 개의 R이 메톡시기이고, 나머지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아릴, 또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인, 디메톡시벤젠류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방향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예로는 2,5-디터트부틸-1,4-디메톡시벤젠(2,5-ditertbutyl-1,4-dimethoxybenzene), 1,4-디플루오르-2,5-디메톡시벤젠(1,4-difluoro-2,5-dimethoxybenzene), 또는 1,2-디플루오르-4,5-디메톡시벤젠(1,2-difluoro-4,5-dimethoxybenzene)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비닐렌카보네이트류, 에틸렌카보네이트류, 고리구조의 설파이트류 및 불포화 설톤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인 레독스 셔틀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는 레독스 셔틀제가 포함된 총 전해액 100 중량부에 대해 0.1~10 중량부의 비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억제제를 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면 레독스 셔틀제의 수명 감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미미하여, 레독스 셔틀제에 의한 우수한 과충전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반면,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전지의 수명특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비수 전해액은 상기 비닐렌카보네이트류, 에틸렌카보네이트류, 고리구조의 설파이트류 및 불포화 설톤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인 레독스 셔틀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 레독스 셔틀제; 비수 용매; 및 전해질 염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비수 전해액에서 레독스 셔틀제는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 군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디메톡시벤젠류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방향족 화합물을 사 용할 수 있다.
상기 레독스 셔틀제는 총 전해액 100 중량부에 대해 0.1~20 중량부의 비로 함유되도록 할 수 있다. 함유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레독스 셔틀, 즉 산화-환원반응 순환 작용이 약하여 과충전 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함유량이 20 중량부 초과이면 전지의 수명특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전해액에 포함되는 비수 용매는 통상 비수 전해액용 비수 용매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환형 카보네이트, 선형 카보네이트, 락톤, 에테르, 에스테르, 또는 케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의 예로는 에틸렌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 부틸렌카보네이트(BC) 등이 있고, 상기 선형 카보네이트의 예로는 디에틸카보네이트(DEC),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디프로필카보네이트(DP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및 메틸프로필카보네이트(MPC) 등이 있다. 상기 락톤의 예로는 감마부티로락톤(GBL)이 있으며, 상기 에테르의 예로는 디부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에스테르의 예로는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피발레이트 등이 있으며, 상기 케톤으로는 폴리메틸비닐 케톤이 있다. 이들 비수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해액에 사용하는 전해질 염은 통상 비수 전해액용 전해질 염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전해질 염의 비제한적인 예는 A+B-와 같은 구 조의 염으로서, A+는 Li+, Na+, K+와 같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을 포함하고 B-는 PF6 -, BF4 -, Cl-, Br-, I-, ClO4 -, ASF6 -, CH3CO2 -, CF3SO3 -, N(CF3SO2)2 -, C(CF2SO2)3 -와 같은 음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을 포함하는 염이다. 특히, 리튬 염이 바람직하다. 이들 전해질 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분리막; 및 상기한 비수 전해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당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양극과 음극 사이에 다공성의 분리막을 넣고 상기 전해액을 투입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양극; 상기 레독스 셔틀(redox shuttle)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에 의해 피막이 형성된 음극; 분리막; 및 레독스 셔틀제를 함유한 전해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양극활물질은 리튬 전이금속 복합산화물(예를 들면,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Li(NiaCobMnc)O2(0<a<1, 0<b<1, 0<c<1, a+b+c=1), LiNi1-YCoYO2, LiCo1-YMnYO2, LiNi1-YMnYO2 (여기에서, 0≤Y<1), Li(NiaCobMnc)O4(0<a<2, 0<b<2, 0<c<2, a+b+c=2), LiMn2-zNizO4, LiMn2-zCozO4(여기에서, 0<Z<2), LiCoPO4, LiFePO4 등의 리튬 망간 복합산화물, 리튬 니켈 산화물, 리튬 코발트 산화물 및 이들 산화물의 망간, 니켈, 코발트의 일부를 다른 전이금속 등으로 치환한 것 또는 리튬을 함유한 산화바나듐 등) 또는 칼코겐 화합물(예를 들면, 이산화망간, 이황화티탄, 이황화몰리브덴 등) 등이 사용 가능하다.
음극활물질로는 리튬 이온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탄소재, 리튬 금속 또는 이의 합금이 사용 가능하며, 기타 리튬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고, 리튬에 대한 전위가 2V 미만인 TiO2, SnO2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흑연 등의 탄소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분리막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다공성 분리막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틸렌계,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분리막 등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외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캔을 사용한 원통형, 각형, 파우치(pouch)형 또는 코인(coin)형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카보네이트(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1: 2(v: v)의 조성을 가지는 비수 용매에 LiPF6를 1M 농도가 되도록 용해한 후, 상기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비닐렌카보네이트 1 중량부와 1,3-프로펜설톤 3 중량부를 첨가하여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양극활물질로 LiFePO4 90 중량부, 도전제로 아세틸렌블랙 5 중량부와 바인더로 PVDF 5 중량부를 혼합하고 NMP(N-methyl-2-pyrrolidone)에 첨가하여 양극 슬러리를 제조한 후, 이를 알루미늄(Al) 집전체 상에 도포,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음극활물질로는 인조흑연 95 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바인더로 PVDF 5 중량부를 NMP에 첨가하여 음극 슬러리를 제조한 후, 구리(Cu) 집전체 상에 도포, 건조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양극과 음극 사이에 폴리올레핀 계열 분리막을 개재시킨 후 상기 전해액을 주입하여 323456 크기의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카보네이트(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1: 2(v: v)의 조성을 가지는 비수 용매에 LiPF6를 1M 농도가 되도록 용해한 후, 상기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비닐렌카보네이트 1 중량부와 1,3-프로펜설톤 3 중량부를 첨가하고, 레독스 셔틀제로 2,5-디터트부틸-1,4-디메톡시벤젠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전해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에틸렌카보네이트(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1: 2(v: v)의 조성을 가지 는 비수 용매에 LiPF6를 1M 농도가 되도록 용해한 후, 상기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비닐렌카보네이트 1 중량부와 1,3-프로펜설톤 3 중량부를 첨가하고, 레독스 셔틀제로 1,4-디플루오르-2,5-디메톡시벤젠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전해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에틸렌카보네이트(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1: 2(v: v)의 조성을 가지는 비수 용매에 LiPF6를 1M 농도가 되도록 용해한 후, 상기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비닐렌카보네이트 1 중량부와 1,3-프로펜설톤 3 중량부를 첨가하고, 레독스 셔틀제로 1,2-디플루오르-4,5-디메톡시벤젠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전해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비닐렌카보네이트와 1,3-프로펜설톤 대신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해액 및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비닐렌카보네이트와 1,3-프로펜설톤 대신 에틸렌설파이트 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해액 및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에틸렌카보네이트(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1: 2(v: v)의 조성을 가지 는 비수 용매에 LiPF6를 1M 농도가 되도록 용해하여 전해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에틸렌카보네이트(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1: 2(v: v)의 조성을 가지는 비수 용매에 LiPF6를 1M 농도가 되도록 용해한 후, 상기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레독스 셔틀제로 2,5-디터트부틸-1,4-디메톡시벤젠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전해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에틸렌카보네이트(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1: 2(v: v)의 조성을 가지는 비수 용매에 LiPF6를 1M 농도가 되도록 용해한 후, 상기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레독스 셔틀제로 1,4-디플루오르-2,5-디메톡시벤젠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전해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에틸렌카보네이트(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1: 2(v: v)의 조성을 가지는 비수 용매에 LiPF6를 1M 농도가 되도록 용해한 후, 상기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레독스 셔틀제로 1,2-디플루오르-4,5-디메톡시벤젠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전해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전지를 사용하여 1/20C로 40시간 동안 충전 한 후 1/20C로 2.4V에 도달할 때까지 방전하는 것을 반복하여, 최초 충전시 음극에서의 용량과 전압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실험을 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과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전지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과 도 2를 비교해 보면, 도 2에서는 레독스 셔틀제가 첨가된 경우(비교예 2)와 무첨가 경우(비교예 1)에 전압에 대한 용량이 서로 차이가 있으므로, 즉 레독스 셔틀제가 첨가된 경우의 전압에 대한 용량이 무첨가 경우보다 작으므로, 상기 레독스 셔틀제와 음극 사이에 반응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전해액 첨가제인 비닐렌카보네이트와 프로필렌 설톤을 첨가한 전해액을 사용한 도 1에서는 레독스 셔틀 첨가체의 첨가 여부에 관계 없이 거의 비슷한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상기 레독스 셔틀제와 음극 사이의 반응이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전지를 다음 조건으로 충방전을 실시하여 시간과 전압의 비교 관계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충전 조건은 21.25mA (0.05C)의 전류세기로 40 시간, 방전은 21.25mA (0.05C)의 전류세기로 2.4V까지 실시하였다.
상기와 동일 조건으로,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전지의 충방전을 실시하여 시간과 전압의 비교 관계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과 도 4를 비교해 보면, 실시예 2 내지 4에서 제조된 전지, 즉 본 발명의 전해액 첨가제인 비닐렌카보네이트와 프로필렌 설톤을 첨가하여 제조한 전지에서는 레독스 셔틀제의 수명이 향상됨으로 인해, 비교예 2 내지 4에서 제조된 전지 에 비해 충방전 사이클 수명이 2배 이상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전지에 대하여 위와 동일 조건으로 실험 하였을 때, 5 volt까지 전위가 올라가지 않고 견딘 cycle 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과충전에 견딘 cycle 수
실시예 2 >15
실시예 3 12
실시예 4 15
실시예 5 8
실시예 6 9
비교예 2 3
비교예 3 4
비교예 4 5
상기 표 1에 따르면,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전지는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전지에 비해 과충전에 견딘 cycle 수가 크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전지는 과충전시 안전성이 향상되며, 성능 저하가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비닐렌카보네이트류, 에틸렌카보네이트류, 고리구조의 설파이트류 및 불포화 설톤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전해액에 첨가하여, 전해액 내의 레독스 셔틀제와 음극과의 반응을 억제하고, 산화-환원반응을 순환하는 레독스 셔틀제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전해액 내 수명 향상된 레독스 셔틀제에 의해 과충전시 안전성을 보다 우수하게 확보함과 동시에 첨가제 사용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10)

  1. 비닐렌카보네이트류, 에틸렌카보네이트류, 고리구조의 설파이트류 및 불포화 설톤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로 된 산화-환원반응 순환하는 레독스 셔틀(redox shuttle)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렌카보네이트류, 에틸렌카보네이트류, 고리구조의 설파이트류 및 불포화 설톤류는 각각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셔틀(redox shuttle)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
    [화학식 1]
    Figure 112006075958396-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또는 탄소수 1~12의 알킬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75958396-PAT00007
    상기 화학식 2에서, R3 내지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이고, 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할로겐, 또는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06075958396-PAT00008
    상기 화학식 3에서, R7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또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이고, n은 1~3의 정수이다.
    [화학식 4]
    Figure 112006075958396-PAT00009
    상기 화학식 4에서, R11 내지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또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이고, n은 0~3의 정수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렌카보네이트류, 에틸렌카보네이트류, 고리구조의 설파이트류 및 불포화 설톤류는 음극 표면에 피막 형성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셔틀(redox shuttle)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독스 셔틀제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방향족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셔틀(redox shuttle)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
    [화학식 5]
    Figure 112006075958396-PAT00010
    상기 화학식 5에서, R15 내지 R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아릴, 탄소수 1~1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2의 알콕시기이고, 그 중 적어도 2이상은 탄소수 1~12의 알콕시기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독스 셔틀제는 디메톡시벤젠류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방향족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셔틀(redox shuttle)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제는 레독스 셔틀제가 포함된 총 전해액 100 중량부에 대해 0.1~10 중량부의 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셔틀(redox shuttle)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레독스 셔틀(redox shuttle)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 레독스 셔틀제; 비수 용매; 및 전해질 염을 포함하는 비수 전해액.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독스 셔틀제는 총 전해액 100 중량부에 대해 0.1~20 중량부의 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9. 양극; 음극; 분리막; 및 제7항의 비수 전해액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10. 양극; 음극; 분리막; 및 레독스 셔틀제를 함유한 전해액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억제제에 의해 피막이 형성된 것이 특징인 이차전지.
KR1020060102449A 2005-10-24 2006-10-20 레독스 셔틀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 비수전해액 및 이차전지 KR100812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000 2005-10-24
KR20050100000 2005-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361A true KR20070044361A (ko) 2007-04-27
KR100812056B1 KR100812056B1 (ko) 2008-03-07

Family

ID=3796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449A KR100812056B1 (ko) 2005-10-24 2006-10-20 레독스 셔틀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 비수전해액 및 이차전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481216B2 (ko)
EP (1) EP1952476B1 (ko)
JP (2) JP5323487B2 (ko)
KR (1) KR100812056B1 (ko)
CN (1) CN101297433B (ko)
DE (1) DE602006016979D1 (ko)
TW (1) TWI396316B (ko)
WO (1) WO2007049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7390B2 (ja) * 2006-02-09 2013-10-16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5095179B2 (ja) * 2006-11-10 2012-12-12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リチウムチタン複合酸化物および電池パック
EP2526578B1 (en) * 2007-08-16 2015-09-30 LG Chem, Ltd. Non-aqueous electrolyte lithium secondary battery
US9105943B2 (en) * 2007-09-12 2015-08-11 Lg Chem, Ltd. Non-aqueous electrolyte lithium secondary battery
EP2206189B1 (en) * 2007-09-19 2014-10-22 Lg Chem, Ltd. Non-aqueous electrolyte lithium secondary battery
JP5932220B2 (ja) * 2008-02-12 2016-06-0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高電圧用カソードのためのレドックスシャトル
JP2009218065A (ja) * 2008-03-10 2009-09-24 Hitachi Ltd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8968940B2 (en) * 2010-05-25 2015-03-03 Uchicago Argonne, Llc Redox shuttles for high voltage cathodes
KR20130115249A (ko) * 2010-09-10 2013-10-21 바스프 에스이 함수량이 낮은 용매 혼합물의 제조
JP2013546138A (ja) 2010-11-09 2013-12-2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高容量合金アノード及び同アノードを含むリチウムイオン電気化学セル
JP2012138327A (ja) * 2010-12-28 2012-07-19 Hitachi Ltd 非水電解液及びこれを用いた非水二次電池
CN102208683B (zh) * 2011-05-16 2013-09-25 湖州创亚动力电池材料有限公司 一种改善锂离子二次电池高温存储性能的电解液
US9160032B2 (en) 2011-12-08 2015-10-13 Basf Se Electrochemical cells and use thereof
WO2013083416A1 (de) 2011-12-08 2013-06-13 Basf Se Elektrochemische zellen und ihre verwendung
JP5715738B2 (ja) * 2011-12-08 2015-05-13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混合物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におけるその使用
US9774057B2 (en) 2011-12-08 2017-09-26 Basf Se Mixtures and use thereof in lithium ion batteries
US9966625B2 (en) * 2012-02-28 2018-05-08 Uchicago Argonne, Llc Organic non-aqueous cation-based redox flow batteries
JP5664685B2 (ja) * 2012-03-27 2015-02-04 Tdk株式会社 非水電解質溶液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5977573B2 (ja) * 2012-04-27 2016-08-24 旭化成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
JP5931572B2 (ja) * 2012-04-27 2016-06-08 旭化成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用レドックスシャトル剤、非水系二次電池用電解液及び非水系二次電池
WO2013166074A1 (en) * 2012-05-01 2013-11-07 Altairnano, Inc. Improved lithium titanate cell
EP2907183B1 (en) 2012-07-20 2016-12-21 Basf Se Electrochemical cells
KR102050964B1 (ko) * 2012-11-12 2019-12-02 선천 캡쳄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비수성 전해질 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전지
US20160056418A1 (en) * 2014-08-21 2016-02-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ion monoblock battery for stop/start applications
WO2016063835A1 (ja) * 2014-10-21 2016-04-28 日本電気株式会社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161757B (zh) * 2015-07-24 2017-08-22 张家港市国泰华荣化工新材料有限公司 一种含有氧化还原型防过充添加剂的锂离子电池电解液
US10374239B2 (en) 2016-12-29 2019-08-06 Uchicago Argonne, Llc Aqueous pyridinium cation-based redox flow batteries
US10553890B2 (en) 2017-06-23 2020-02-04 Uchicago Argonne, Llc Aqueous redox flow batteries
US10622676B2 (en) 2017-06-29 2020-04-14 Uchicago Argonne, Llc Functional organic salt for lithium-ion batteries
JP6849066B2 (ja) * 2017-07-07 2021-03-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二次電池、電池パック、電動車両、電力貯蔵システム、電動工具および電子機器
US10424805B2 (en) 2017-08-15 2019-09-24 Uchicago Argonne, Llc Benzothiophene-based redox molecules for flow battery
US11271237B2 (en) 2019-07-29 2022-03-08 Uchicago Argonne, Llc Organic redox molecules for flow batterie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7423A (en) 1987-11-30 1989-08-15 Eic Labotatories, Inc. Overcharge protection of secondary, non-aqueous batteries
JP3809657B2 (ja) 1994-03-07 2006-08-16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669024B2 (ja) 1995-05-26 2005-07-06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CA2156800C (en) 1995-08-23 2003-04-29 Huanyu Mao Polymerizable aromatic additives for overcharge protection in non-aqueous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US5882812A (en) 1997-01-14 1999-03-16 Polyplus Battery Company, Inc. Overcharge protection systems for rechargeable batteries
GB9717220D0 (en) * 1997-08-15 1997-10-22 Aea Technology Plc Eklectrolyte for a rechargeable cell
JP3823683B2 (ja) * 1999-05-24 2006-09-20 宇部興産株式会社 非水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4411691B2 (ja) * 1999-06-30 2010-02-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充電制御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機器
WO2001029920A1 (en) * 1999-10-18 2001-04-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hutdown and redox shuttle additives for batteries
JP4762411B2 (ja) * 2000-06-26 2011-08-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用非水電解液および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0326468B1 (ko) * 2000-07-25 2002-02-28 김순택 리튬 설퍼 전지용 전해액
CA2435794C (en) * 2001-01-24 2009-12-29 Koji Abe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JP4352622B2 (ja) 2001-03-06 2009-10-28 宇部興産株式会社 非水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CN1282272C (zh) * 2001-07-12 2006-10-25 株式会社杰士汤浅 非水系二次电池
JP3797197B2 (ja) * 2001-11-01 2006-07-12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281895B2 (ja) 2001-12-28 2009-06-17 三井化学株式会社 非水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4127355B2 (ja) * 2002-01-18 2008-07-30 三菱化学株式会社 非水系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4229615B2 (ja) * 2002-01-24 2009-02-25 三菱化学株式会社 非水系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661680B1 (ko) * 2002-07-25 2006-12-2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JP4056346B2 (ja) * 2002-09-30 2008-03-05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4158213A (ja) * 2002-11-01 2004-06-03 Toshiba Corp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4281218A (ja) * 2003-03-14 2004-10-07 Yuasa Corp 非水電解質及び非水電解質電池
JP4283598B2 (ja) * 2003-05-29 2009-06-24 Tdk株式会社 非水電解質溶液及びリチウムイオン2次電池
JP4690643B2 (ja) * 2003-09-25 2011-06-01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580662B2 (ja) * 2004-02-27 2010-11-17 三井化学株式会社 非水電解質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819795B2 (ja) 2004-04-01 2011-11-2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リチウムイオン電池電解質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6016979D1 (de) 2010-10-28
JP2013219035A (ja) 2013-10-24
EP1952476A4 (en) 2009-03-18
CN101297433B (zh) 2011-12-21
CN101297433A (zh) 2008-10-29
EP1952476A1 (en) 2008-08-06
JP5323487B2 (ja) 2013-10-23
JP2009514149A (ja) 2009-04-02
EP1952476B1 (en) 2010-09-15
US8481216B2 (en) 2013-07-09
TW200731599A (en) 2007-08-16
US20070092802A1 (en) 2007-04-26
WO2007049888A1 (en) 2007-05-03
US20130216898A1 (en) 2013-08-22
US8673507B2 (en) 2014-03-18
TWI396316B (zh) 2013-05-11
JP5738342B2 (ja) 2015-06-24
KR100812056B1 (ko) 200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056B1 (ko) 레독스 셔틀제의 수명 감소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 비수전해액 및 이차전지
KR100789107B1 (ko) 비수전해액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하는 리튬 이차 전지
EP2005511B1 (en) Non-aqueous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device with an improved safety
KR100898857B1 (ko) 비수전해액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20070077469A (ko) 비수전해액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JP4893038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20040259002A1 (en) Non-aqueous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EP3046176B1 (en)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4701599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0511517B1 (ko) 리튬전지용 비수전해액
EP1716616B1 (en) Non-aqueous electrolyte for battery
KR20040023870A (ko)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KR100417084B1 (ko) 새로운 전해액 첨가제와 이를 이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
KR100993391B1 (ko)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0510868B1 (ko) 리튬전지용 비수전해액
KR100524550B1 (ko) 리튬전지용 비수전해액
KR102019311B1 (ko)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