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747A - 승강기 및 승강기용 풀리 조립체 - Google Patents

승강기 및 승강기용 풀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747A
KR20070041747A KR1020077003228A KR20077003228A KR20070041747A KR 20070041747 A KR20070041747 A KR 20070041747A KR 1020077003228 A KR1020077003228 A KR 1020077003228A KR 20077003228 A KR20077003228 A KR 20077003228A KR 20070041747 A KR20070041747 A KR 20070041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oller
rollers
elevato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5653B1 (ko
Inventor
다니엘 피셔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41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실 (14) 을 포함하는 승강기 (10) 로서, 승강실을 위한 4:1 서스펜션을 형성하고 승강실 아래를 여러 번 지나가는 지지 수단을 갖는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개의 평행하고 편평한 벨트 (16) 가 지지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벨트를 방향전환시키는 1 이상의 고정 풀리 그룹 (15, 18) 의 풀리 (15.1.1 ∼ 15.2.3, 18.1.1 ∼ 18.2.3) 가, 평행한 벨트 (16) 의 벨트 구역이 상기 벨트 방향전환의 부근에서 수직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위치된다.
승강기

Description

승강기 및 승강기용 풀리 조립체{LIFT AND PULLEY ASSEMBLY FOR USE IN A LIFT}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전제부에 따른 승강기 및 청구항 10 의 전제부에 따른 승강기에서의 사용을 위한 롤러 구성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엔진실이 없는 승강기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대형 하물 운반용 승강기용으로, 이른바 4:1 서스펜션 (suspension) 이 이용되는데, 여기서 구동 풀리에 의해 구동되는 지지 및/또는 구동 요소의 영역은 승강실보다 4 배 더 빨리 이동한다. 그러한 서스펜션은 EP 588 364 에 나타나 있다.
특히 승강기 시스템이 엔진실을 갖지 않는 경우에 그러한 종류의 4:1 서스펜션에서는 다른 배치에서처럼 공간 문제가 발생한다. 승강로 내에 수용되어야 하는 승강기 부품이 많아질수록, 공간절약형 접근방식이 점점 더 중요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을 많이 절약할 수 있는 방식으로 승강로에 수용될 수 있는 상기한 유형의 개선된 승강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10 의 특징에 의해 실현된다.
지지 및 구동 수단으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여러 개의 편평한 벨트를 사용하면, 직경이 작은 지지 및 방향전환 롤러뿐만 아니라 구동 풀리를 사용할 수 있다. 직경이 작은 구동 풀리로 인해, 작은 크기의 구동 모터 또는 구동 유닛을 사용할 수 있고, 작은 지지 및 방향전환 롤러를 사용하면, 이용가능한 설치 공간을 최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또는 롤러 구성체에 의하면, 여러 개의 평행한 벨트의 방향전환을 위해 승강실 옆에 필요한 설치 공간이 가능한 한 작게 유지될 수 있고, 작은 크기의 간단한 롤러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실의 각각의 측면에서 언더 루핑 (under-looping) 의 영역에 있는 방향전환 롤러를 공통 축선을 따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바람직한 형태와 세부적인 내용은 청구항 2 내지 9 에 기재되어 있다.
경제적인 형태의 실시형태에서는, 1 이상의 고정 롤러 그룹은 평행하게 배치된 벨트 각각을 위한 단일의 관련 롤러를 갖고, 각각의 벨트는 그 관련 롤러 주위에 90°이상의 각도로 감기게 된다.
이전에 설명한 실시형태의 경우에, 관련 가동 (승강실) 롤러 그룹의 롤러가 상방으로 향하는 벨트 구역의 방향에 따라 경사지게 배치된 또는 스스로 세팅된 (self-setting) 축선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벨트를 방향전환시키는 1 이상의 고정 롤러 그룹은 평행하게 배치된 각각의 벨트를 위한 2 개의 관련 롤러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1 이상의 고정 롤러 그룹은 2 개의 하위 롤러 그룹을 갖고, 이들 하위 그룹의 롤러는 평행하게 배치된 벨트를 각각의 경우에 전체 방향전환 각도의 일부씩 방향전환시킨다. 각각의 하위 그룹의 롤러는 비스듬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인접한 두 롤러 사이에 수평방향 축선 간격을 가지며, 이 간격은 벨트의 폭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의해, 고정 롤러 그룹 및 가동 승강실 롤러 그룹 사이에 배치된 벨트 구역의 길이방향 축선이 승강실의 모든 위치에서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고정 (다축) 롤러 그룹의 롤러가 롤러 폭 만큼 떨어져 있는 평행한 두 평면 사이에 놓이고, 상기 롤러의 축선이 이들 면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면, 롤러 그룹에 필요한 설치 공간이 최소화된다.
고정 롤러 그룹의 고정 및 유지의 측면에서 유리한 조건은, 고정 롤러 그룹이 승강실의 옆에 그리고/또는 위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승강실의 안내 레일 중 하나 이상에 고정되는 것이다.
벨트의 세팅 및 재고정의 장점은, 모든 벨트의 고정 지점이 직접 인접하게 그리고/또는 고정 지점 지지부에 배치되는 것으로부터 발생한다. 고정 지점 지지부를 안내 레일 중 하나에 연결함으로써, 벨트 힘에 의해 지지부에 걸리는 하중이 승강기 설비의 승강로에만 흡수될 필요가 없게 된다.
다른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벨트의 주 표면 중 적어도 일방에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리브와 홈이 제공되고, 지지 및 방향전환 롤러뿐만 아니라 구동 풀리도 그 이동 표면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상응하는 상보형의 리브 및 홈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구동 풀리와 벨트 사이의 견인 능력뿐만 아니라 롤러와 벨트 사이의 안내 특성이 실질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 수단으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편평한 벨트를 갖는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개의 벨트"라는 표현은 2 개 이상 그리고 8 개 이하의 벨트로 이해되어야 한다. "평행하게 배치된 벨트"라는 표현은 기능적으로 동등한 여러 개의 벨트가 기하학적으로 정확히 평행하게 배치된 것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편평한 벨트"라는 용어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폭이 높이 (두께) 보다 더 큰 벨트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용어에는, 특히 프로파일드 이동 표면 (profiled running surface), 예컨대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웨지 리브를 갖는 벨트가 또한 포함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세부 내용 및 장점을 설명한다.
도 1A 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매우 간략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B 는 지지 수단 롤러 구성체를 보여주는 도 1A 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에 사용될 수 있는 제 1 동축 롤러 유닛을 보여준다.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에 사용될 수 있는 제 2 동축 롤러 유닛을 보여준다.
도 3 은 가능한 다른 배치를 보여준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배치의 부분도이다.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배치를 보여준다.
도 5B 는 도 5A 에 따른 배치의 부분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배치의 부분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배치의 부분도이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실 (14) 과 평형추 (13) 를 구비한 승강기 (10) 를 위한 지지 수단 배치를 보여준다. 명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여러 개의 벨트 (16) 를 포함하는 지지 수단 스트랜드와, 관련 지지 및 방향전환 롤러를 각각 단일 선 또는 단일 원으로 나타내었다. 도 1A 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 1B 는, 개별 롤러 (18.1.1 ∼ 18.2.3) 를 갖는 고정 (다축) 롤러 그룹 (18) 과 가동 (즉, 승강실 (14) 에 속해 있는) 승강실 롤러 그룹 (17) 의 2 개의 (동축) 롤러 유닛 (17.2, 17.3) 을 포함하는 영역에서의 벨트 (16) 와 지지 및 방향전환 롤러의 효과적인 배치를 보여준다.
승강실 바닥 (14.3) 아래에는, 이 바닥과 연결되어 있고 4 개의 동축 롤러 유닛 (17.1, 17.4 및 17.2, 17.3) 으로 이루어진 가동 승강실 롤러 그룹 (17) 이 존재한다. 4 개의 동축 롤러 유닛의 회전 축선 (A1) 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신장된 n 개 이상의 벨트 (16) 를 이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n 은 2 이상이고 전체 개수를 의미한다. 이 n 개의 벨트 (16) 는 이른바 벨트 그룹을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벨트 그룹은 n = 3 인 벨트를 포함한다. 서로 평행하게 신장된 각각의 벨트 (16) 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다음과 같이 배치되어 있다.
- 승강실 (14) 의 바닥 레벨 위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고정 지점 지지부 (52) 로부터 벨트 (16) 가 하방으로 신장하여, 가동 평형추 롤러 그룹 (12) 의 제 1 평형추 롤러 유닛 (12.1) 주위에 감긴다.
- 다음으로, 상기 벨트는 길이방향 중심 축선 (L) 을 중심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승강실 (14) 의 제 1 측면 (14.1) 을 따라 수직 상방으로 신장되고, 이어서 먼저 제 1 고정 (다축) 롤러 그룹 (15) 의 제 1 개별 롤러 (15.1) 와 다음의 제 2 개별 롤러 (15.2) 주위에 감기게 된다.
- 그 다음에, 벨트는 길이방향 중심 축선 (L) 을 중심으로 다시 회전한 상태에서 수직 하방으로 신장되며, 이어서 가동 평형추 롤러 그룹 (12) 의 제 2 평형추 롤러 유닛 (12.2) 주위에 감긴다.
- 벨트는 다시 수직 상방으로 신장되고, 구동 유닛 (11) 의 구동 풀리 (11.1) 주위에 감긴다.
- 벨트는, 구동 풀리로부터, 승강실 (14) 의 제 1 측면 (14.1) 을 따라 가동 승강실 롤러 그룹 (17) 의 제 1 (동축) 롤러 유닛 (17.1) 까지 하방으로 안내된 후, 승강실 바닥 (14.3) 아래에서 가동 승강실 롤러 그룹 (17) 의 제 2 (동축) 롤러 유닛 (17.2) 까지 신장되고 이 유닛 주위에 감긴다.
- 제 2 롤러 유닛 (17.2) 에 감긴 다음, 벨트는 길이방향 중심 축선 (L) 을 중심으로 다시 회전한 상태에서 승강실 (14) 의 제 2 측면 (14.2) 을 따라 다시 상방으로 신장되고, 이어서 제 2 고정 (다축) 롤러 그룹 (18) 의 제 1 개별 롤러 (18.1.1) 와 다음의 제 2 개별 롤러 (18.1.2) 주위에 감긴다.
- 여기서부터, 벨트는 길이방향 중심 축선 (L) 을 중심으로 다시 회전한 상태에서 승강실 (14) 의 제 2 측면 (14.2) 을 따라 수직 하방으로 가동 승강실 롤러 그룹 (17) 의 제 3 롤러 유닛 (17.3) 까지 신장된다.
- 벨트는 롤러 유닛 (17.3) 주위에 감기고, 승강실 바닥 (14.3) 아래에서 가동 승강실 롤러 그룹 (17) 의 제 4 롤러 유닛 (17.4) 까지 신장된 후, 승강실 (14) 의 제 1 측면 (14.1) 을 따라 상방으로 고정 지점 지지부 (52) 로 안내되어, 제 2 단부에서 그 지지부에 고정된다.
제 1 고정 (다축) 롤러 그룹 (15) 의 개별 롤러 (15.1.1 ∼ 15.2.3) 뿐만 아니라 제 2 고정 (다축) 롤러 그룹 (18) 의 개별 롤러 (18.1.1 ∼ 18.2.3) 는 4 개의 동축 롤러 유닛 (17.1, 17.2) 의 회전 축선 (A1) 에 대해 수평하게 약 90°회전된 회전 축선 (A4) 을 갖는다. 도 1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 롤러 그룹의 롤러의 회전 축선 (A4) 은 또한 평형추 롤러 유닛 (12.1, 12.2) 의 축선에 대해서도 90°회전되어 있다. 모든 회전 축선 (A1 및 A4) 은 승강실 바닥 (14.3) 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도 1B 에 도시된 것처럼,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신장되어 있는 3 개의 벨트 (16) 각각은, 가동 승강실 롤러 그룹 (17) 의 동축 롤러 유닛 (17.2, 17.3) 과 고정 롤러 그룹 (18) 의 개별 롤러 (18.1.1 ∼ 18.2.3) 사이의 영역 (즉, 도 1A 의 영역 (19.1) ) 에서, 벨트의 길이방향 축선 (L) 을 중심으로 약 90°회전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벨트 그룹의 n 개의 개별 벨트 (16) 는 그의 주 표면이 승강실 바닥에 평행하게 승강실 바닥 (14.3) 을 따라 신장되어 있다. 하나의 동축 롤러 유닛 (17.2 또는 17.3) 주위에서 방향전환된 후, 벨트의 주 표면은 처음에 승강실 (14) 의 측벽 (14.1 또는 14.2) 에 평행하게 신장된다. 고정 롤러 그룹 (18) 의 개별 롤러 (18.1.1 ∼ 18.3.2) 상에 이를 때까지, n 개의 개별 벨트 (16) 는 벨트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 (L) 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벨트의 주 표면이 고정 롤러 그룹 (18) 의 개별 롤러 (18.1.1 ∼ 18.3.2) 의 외주면에 정확하게 접촉한다(impinge).
이상의 설명은, 일반적으로, 고정 롤러 그룹 (15, 18) 의 롤러와 승강실 (14) 또는 평형추 (13) 에 연결된 가동 승강실 롤러 그룹 (17, 12) 의 롤러 사이에서의 벨트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설명은 고정 (다축) 롤러 그룹 (15) 으로부터 가동 평형추 롤러 그룹 (12) 까지의 벨트 구역 중, 승강실 (14) 의 측면 (14.1) 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영역 (19.2) 에 또한 적용된다.
이하에서, 도 1 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세부적인 사항을 설명한다. 평형추 (13) 가 승강실 (14) 아래 좌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승강실 (14) 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평형추 (13) 는 가동 평형추 롤러 그룹 (12) 의 2 개의 동축 평형추 롤러 유닛 (12.1, 12.2) 에 의해 지지되며, n + 3 개의 벨트 (16) 가 이 롤러 유닛의 아래쪽을 지난다. 구동 풀리 (11.1) 를 갖는 구동 유닛 (11) 이 상 부 영역, 예컨대 승강로 (도시 안 됨) 의 두부 (head end) 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된 것처럼 제 2 고정 롤러 그룹 (15) 이 구동 유닛 (11) 의 아래 영역에 바람직하게 고정되어 존재한다. n = 3 인 밸트 (16) 가 고정 지점 (52.1) 으로부터 제 1 (동축) 평형추 롤러 유닛 (12.1) 까지 서로 평행하게 신장되고, 이 유닛 주위를 지난 후 고정 롤러 그룹 (15) 의 롤러 (15.1.1 ∼ 15.2.3) 까지 상방으로 신장되며, 이 롤러 주위를 지난 후 제 2 평형추 롤러 유닛 (12.2) 까지 하방으로 신장되고, 이 유닛 주위를 지난 후 다시 상방으로 신장되고 구동 풀리 (11.1) 주위를 지난 후, 다시 하방으로 신장되어 가동 승강실 롤러 그룹 (17) 의 롤러 유닛 (17.1) 에 도달한다. 동축 평형추 롤러 유닛 (12.1 및 12.2) 로부터 개별 롤러 (15.1.1 ∼ 15.2.3) 까지 신장된 n = 3 인 벨트는 상기 영역 (19.2) 에서 벨트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약 90°회전된다.
n = 3 인 벨트는, 일 측면에서만 구조화된 (예컨대 리브 및 홈이 제공된) 벨트가 그의 구조화된 측면에서 구동 풀리 (11.1) 뿐만 아니라 롤러 유닛 (17.1) 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동 풀리 (11.1) 와 가동 승강실 롤러 그룹 (17) 의 롤러 유닛 (17.1) 사이에 있는 영역 (19.3) 에서 벨트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약 180°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벨트의 양 측면이 구조화되었거나 또는 벨트 표면 모두가 구조화되지 않고 다른 수단에 의해 안내된다면, 상기 구역 (19.2) 에서 벨트는 회전 없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 롤러 그룹 (15, 18) 의 일방 또는 쌍방은 승강기 (10) 의 횡방향 안내 레일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발생하는 힘을 중앙에서 안내 레일에 전달할 수 있는 특 별한 설치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축 가동 롤러 유닛"은, 서로 인접하게 놓인 n ≥ 2 인 벨트를 방향전환시킬 수 있도록 승강실 또는 평형추에 설치되는 롤러 구성체를 의미한다. 도 2A 및 도 2B 에 기초한 예를 통해 설명하는 것처럼, 이를 위해 동축 롤러 유닛 (27 또는 37) 은 벨트의 주 표면 (26.1 ∼ 26.3 또는 36.1 ∼ 36.3) 이 방향전환될 때 접촉하는 원통형 케이싱 (28 또는 38.1, 38.2, 38.3) 을 갖고 있다. 동축 롤러 유닛 (27) 은, 예컨대 도 2A 에 나타낸 것처럼, 축선 (A1) 을 갖는 단일 원통형 외주 (28) 를 구비할 수 있고, 이때 원통 길이 (X9) 는 일 그룹의 n = 3 인 벨트 (26.1 ∼ 26.3) 모두가 상호접촉하지 않으면서 서로 인접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n = 3 인 벨트 (26.1 ∼ 26.3) 모두가 동일한 순환 속도를 갖기 때문에, 원통형 외주 (28) 를 개별 원통형 디스크로 분할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도 2B 에 나타낸 것처럼, 동축 롤러 유닛 (37) 이 공통 축선 (A1) 을 가지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다수의 개별 동축 원통형 디스크 (38.1, 38.2, 38.3) 로 구성되는 것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가동 승강실 롤러 그룹 (17) 의 동축 롤러 유닛은, 그 유닛의 축선 (A1) 이 도 1, 도 5A 및 도 6 에 나타낸 것처럼 승강실 바닥에 평행하도록 또는 상기 유닛의 축선 (A1.1, A1.2) 이 도 7 에 나타낸 것처럼 승강실 바닥에 대해 약간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동 롤러 그룹의 (동축) 롤러 유닛"이라는 표현은 (다축) 고정 롤러 그룹 (15, 18) 의 개별 롤러의 배치와의 차이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축) 고정 롤러 그룹 (15, 18) 의 롤러는 개별적으로 설치되는데, 즉 고정 롤러 그룹의 각 각의 롤러는 자신의 회전 축선을 갖는다. 개별 롤러의 단부 표면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면 내에 놓이고, 모든 롤러 축선은 서로 평행하고 또한 상기 면에 수직하다. 다축 고정 롤러 그룹 (15, 18) 의 개별 롤러 (15.1.1 ∼ 15.2.3, 18.1.1 ∼ 18.2.3) 는 설치 상태에서 수직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비스듬한 상하방향으로 (케스케이드형으로) 배치된다. 케스케이드형 (cascaded) 으로 배열된 롤러를 갖는 다축 고정 롤러 그룹의 보다 자세한 내용은 도 6 을 참조하면서 예를 통해 설명하고, 수직방향으로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치된 다축 고정 롤러 그룹의 세부 내용은 도 7 을 참조하면서 예를 통해 설명한다.
벨트로서는, 롤러에서의 벨트의 안내를 보장하거나 또는 견인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조화된 주 표면을 갖는 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화된 벨트의 주 표면은 예컨대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리브 및 홈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구조화되지 않은 벨트에 의해서도 또한 실현될 수 있다.
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벨트를 사용하는 경우, 롤러에서의 벨트의 안내를 보장하거나 또는 구동 풀리와 벨트 사이의 견인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구동 풀리 및 지지 및 방향전환 롤러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이 유사하게 구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풀리 및 상기 롤러의 외주면은, 구조부로서, 벨트의 리브와 홈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 리브와 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경우, 리브와 홈은 구동 풀리 및 상기 롤러의 외주면의 외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1 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처럼, 가동 롤러 그룹의 롤러 유닛의 회전 축선 및 고정 롤러 그룹의 롤러의 회전 축선은 서로에 대해 약 90°의 각도로 배치된다. 그러므로, 가동 롤러 그룹의 롤러와 고정 롤러 그룹의 롤러 사이에 배치된 벨트 구역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90°회전되고, 이때 회전 방향은 동일한 벨트의 주 표면이 다양한 롤러의 외주면과 항상 결합하게 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점은 도 3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승강실 (40) 의 부분도를 참조하면 바로 명백해진다. 도 3 에는, 공통 축선을 갖는 고정 롤러 구성체 (48) 의 둘레로 일 그룹의 n = 3 인 개별 벨트를 방향전환시킬 수 있도록, 루프 형성 부분의 일부인 (가동) 승강실 롤러 그룹 (47) 의 개별 요소가 서로에 대해 변위되어야 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개별 롤러 (및 벨트) 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고정 롤러 그룹 (15, 18) (도 1A 및 도 1B 참조) 의 폭보다 롤러 구성체 (48) 의 폭 (X2) 이 실질적으로 더 크기 때문에, 공통 축선을 갖는 이 고정 롤러 구성체 (48) 를 위해 승강실 (14) 옆에 필요한 공간은 본 발명에 따른 배치의 경우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게 된다.
고정 롤러 그룹의 개별 롤러는 도 6 의 예에서처럼 케스케이드형으로 (비스틈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롤러 그룹의 개별 롤러의 케스케이드형 배치를 통해 그리고 개별 롤러 축선의 이용을 통해, 예컨대 도 1A, 도 1B 및 도 5A 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승강실의 옆에 또는 위에 문제없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콤팩트한 형태의 구성을 달성할 수 있다.
벨트가 하나의 롤러로부터 다른 롤러까지 어떤 각도로 신장될 필요가 없도록, 가동 롤러 그룹의 롤러 및 고정 롤러 그룹의 롤러가 서로에 대해 특별한 물리 적 관계로 배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가동 승강실 롤러 그룹 (57) 의 롤러 유닛 (57.3) 으로부터 다축 고정 롤러 그룹 (58) 의 롤러 (58.1) 까지 벨트의 변형이 도 4 에 실질적으로 간략화된 형태로 나타나 있다. 벨트 (56.1) 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 (L) 은 롤러 (57.3 및 58.1) 의 외주 표면에 거의 접해 있다. 롤러 유닛 (57.3) 으로부터 롤러 (58.1) 까지 직각으로 배치된 벨트의 무결점 변형에 있어서, 각각의 롤러 중심으로부터 나오는 공통 접선이 존재하도록 2 개의 롤러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향되는 것이 필수 조건이다. 길이방향 중심 축선 (L) 을 중심으로 하는 벨트의 회전을 위해서는, 관련된 롤러의 축선들 사이에 충분한 간격 (X3) 이 존재해야 하는 것도 또한 중요하다. 이 간격 (X3) 은 90°회전의 경우 벨트 폭의 적어도 20 배가 되어야 하고, 180°회전의 경우에는 벨트 폭의 적어도 40 배가 되어야 한다 (도 4 및 도 6 참조).
더 세부적인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를 약간 더 상세히 보여주는 도 5A 및 도 5B 로부터 추측할 수 있다. 이들 도면은 승강기 (50) 의 상부 승강로 영역을 상세히 보여준다. 승강실 (54) 은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부 승강로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 모터 (51) 를 볼 수 있다. 구동 모터 (51) 는 구동 풀리 (51.1) 를 구비한 구동 축을 갖는다. 상기 승강로 영역에는 벨트 그룹 (56) 의 n = 3 인 벨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지점 지지부 (52) 가 배치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도시된 예에서, 벨트 그룹 (56) 의 벨트의 모든 단부가 상기 고정 지점 지지부 (52) 에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 지점 지지부 (52) 는 승강기 (50) 의 승강로 벽 또는 안내 레일 (60.1) 에 고정될 수 있다. 실시 형태의 도시된 예에서, 다축 고정 롤러 그룹 (55) 이, 도 5B 에 도시된 것처럼, 승강로의 후방 승강로 벽의 영역에서 구동 모터 (51)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다축 고정 롤러 그룹 (55) 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아래에서부터 구동 풀리 (51.1) 까지 이어진 벨트 (56) 를 안내하는 방향전환 롤러 (51.2) 가 구동 풀리 (5.1) 의 하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5B 참조).
이하에서, 도 5A 및 도 5B 를 참조하면서 벨트 그룹 (56) 의 벨트들의 경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 n = 3 인 평행한 벨트를 이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지만, 이미 다른 부분에서 언급한 것처럼, 3 개 미만 또는 3 개 초과의 벨트로도 본 발명은 실현될 수 있다. 벨트 (56) 는 고정 지점 지지부 (52) 의 고정 지점 (52.1) 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안내된다:
- 승강로의 측벽에 평행하게 하방으로 내려간 후에 가동 평형추 롤러 그룹 (12) 의 제 1 평형추 롤러 유닛 (12.1) 주위에 감긴다;
- 거기서부터 상방으로 승강로의 측벽에 평행하게 올라간다(이때 벨트 그룹 (56) 의 각각의 벨트는, 제 1 (다축) 고정 롤러 그룹 (55) 의 2 개의 관련 개별 롤러 주위로 안내되도록, 벨트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 (L) 을 중심으로 90°회전됨);
- 제 1 고정 롤러 그룹 (55) 으로부터, 벨트 그룹 (56) 의 벨트는 하방으로 승강로의 측벽에 평행하게 하방으로 내려가고, 벨트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 (L) 을 중심으로 다시 회전된 후 제 2 평형추 롤러 유닛 (12.2) 에 이른다;
- 제 2 평형추 롤러 유닛 (12.2) 주위에 감긴 후, 벨트 그룹 (56) 의 벨트는 승강로의 측벽에 평행하게 상방으로 올라가서, 구동 모터 (51) 의 방향전환 롤러 (51.2) 및 구동 풀리 (51.1) 주위에 감긴다;
- 거기서부터, 벨트 그룹 (56) 의 벨트는 다시 하방으로 승강로의 측벽에 평행하게, 승강실 (54) 의 하부 영역에 있는 가동 승강실 롤러 그룹 (57) 의 제 1 동축 롤러 유닛 (57.1) 까지 간다;
- 거기에서, 벨트 그룹 (56) 의 3 개의 벨트가 함께 방향전환되어, 승강실 (54) 아래에서 승강실 바닥 (54) 에 평행하게 가동 케이지 롤러 그룹 (57) 의 제 2 동축 롤러 유닛 (57.2) 까지 간다;
- 거기에서, 벨트 그룹 (56) 의 벨트는 방향전환되어, 각각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 (L) 을 중심으로 다시 회전된 상태에서 승강실의 측벽과 승강로의 측벽 사이에서 상방으로, 도시된 실시형태의 예에서 상부 승강로 영역에 유사하게 배치되어 있는 제 2 다축 고정 롤러 그룹 (58) 의 개별 롤러까지 간다;
- 다축 롤러 구성체 (58) 내에서, 각각의 벨트는 그에 관련된 제 1 롤러 (58.1.1, 58.1.2, 58.1.3) 로부터 그와 관련된 제 2 롤러 (58.2.1, 58.2.2, 58.2.3) 까지 간다;
- 거기서부터, 벨트 그룹 (56) 의 벨트는, 벨트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 (L) 을 중심으로 다시 회전한 상태에서, 승강실의 측벽을 따라 하방으로 가동 승강실 롤러 그룹 (57) 의 제 3 동축 롤러 유닛 (57.3) 까지 간다;
- 거기에서, 벨트 그룹 (56) 의 벨트는 방향전환되어, 승강실 (54) 의 승강실 바닥에 평행하게 제 4 동축 롤러 유닛 (57.4) 까지 간다;
- 그리고 나서, 승강로의 측벽에 대해서 승강실의 제 2 측벽을 따라, 본 예 의 경우 제 1 고정 지점 (52.1) 과 함께 고정 지점 지지부 (52) 에 있는 제 2 고정 지점 (52.2) 까지 안내된다.
가능한 지지 수단 배치의 다른 상세한 내용이 개략적인 부분도의 형태로서 도 6 에 나타나 있다. 승강실을 갖는 승강기 시스템의 영역이 도시되어 있고, 도 6 에 승강실의 승강실 바닥 (64.3) 이 표시되어 있다. 승강실 바닥 (64.3) 아래에는 4 개의 동축 롤러 유닛이 배치되어 있는데, 도 6 에서는 단지 롤러 유닛 (67.2 및 67.3) 만을 볼 수 있다. 4 개의 동축 롤러 유닛의 회전 축선 (A1) 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승강실 바닥 (64.3) 에 평행하게 놓인다. 승강기는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신장된 n = 3 인 벨트 (66) 를 또한 갖고, 이 벨트는 도 1 에서 도면부호 "14.2" 로 표시된 승강실의 측면에 놓인 도시된 지지 수단 배치에서 우측에서 상방으로 올라가고 하향 이동시에는 좌측에서 상방으로 유도된다. 벨트 (66) 는 승강실 바닥 (64.3) 아래에서 수평으로 신장된 후에 가동 승강실 롤러 그룹 (67) 의 동축 롤러 유닛 (67.2) 에 의해 상방으로 방향전환된다. 영역 (X3) 에서, 벨트 그룹 (66) 의 3 개의 벨트가 벨트 각각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 (L) 을 중심으로 90°회전된 후, 도 6 에 도시된 것처럼, 다축 고정 롤러 그룹 (68) 의 롤러 (68.1.1, 68.1.2 및 68.1.3) 주위에 감긴다. 도 6 에 도시된 것처럼, 벨트 그룹 (66) 의 제 1 벨트 (66.1) 는 롤러 (68.1.1 및 68.1.2) 주위로 안내되고, 제 2 벨트 (66.2) 는 롤러 (68.2.1 및 68.2.2) 주위로 안내되며, 제 3 벨트 (66.3) 는 롤러 (68.1.3 및 68.2.3) 주위로 안내된다. 그리고 나서, 벨트 (66.1 ∼ 66.3) 는 승강실의 측면에서 다시 하방으로 안내되고, 그 경우 승강실 바닥 (64.3) 아래에서 다른 롤러 유닛까지 신장되기 위해, 롤러 유닛 (67.3) 에 의해 방향전환되기 전에 벨트 각각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 (L) 을 중심으로 한번 더 회전된다.
다축 고정 롤러 그룹 (68) 의 개별 롤러 (68.1.1 ∼ 68.2.3) 는, 롤러 유닛 (67.2, 67.3) 의 회전 축선 (A1) 에 대해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약 90°전환된 회전 축선 (A4) 을 갖는다. 이들 축선 (A4) 는, 설치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공통 플레이트에, 또는 전체 다축 고정 롤러 그룹 (68) 을 승강기의 수직 안내 레일 (70) 에 고정시킬 수 있는 프레임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 수단은 고정 롤러 그룹 (68) 을 승강로의 벽에 고정시키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설치 수단의 고정은 나사 또는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해 영역 (71)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롤러 그룹의 고정은, 본 발명에 따라, 벨트에 하중이 걸리는 경우 안내 레일에 작용하는 토크 (굽힘 모멘트) 를 회피하도록 각각의 경우에 롤러 구성체 (68) 의 n 개의 롤러가 안내 레일 (70) 의 각 측면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의 가능한 형태의 다른 세부 내용이 개략적인 부분도의 형태로 도 7 에 나타나 있다. 승강실 (74) 및 승강실 바닥 (74.3) 을 갖는 승강기 시스템 (90) 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4 개의 동축 롤러 유닛이 승강실 바닥 (74.3) 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데, 도 7 에서는 단지 롤러 유닛 (77.2 및 77.3) 만을 볼 수 있다. 4 개의 동축 롤러 유닛의 회전 축선 (A1.1 및 A1.2) 은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루며 승강실 바닥 (74.3) 의 면에 대해 경사질 수 있고, 롤러 유닛은, 비스듬히 신장된 벨트 구역의 순간 방향에 따라 벨트 장력에 의해 위치되도록, 경사진 위치에 고정되거나 또는 승강실 바닥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승강기는,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승강실의 도시된 측면에서 우측에서 비스듬히 상방으로 올라가고 하향 이동시에는 좌측에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안내되는 n = 3 인 벨트 (76) 를 갖는다. 단순히 나타내기 위해, 도 7 에서는 단지 벨트의 길이방향 축선만을 나타내었다. 동축 롤러 유닛 (77.2) 은 벨트 (76) 가 승강실 바닥 (74.3) 아래에서 수평으로 신장된 후에 그 벨트를 상방으로 방향전환시킨다. 승강실 옆에는, 벨트 그룹 (76) 의 3 개의 벨트가, 도 7 에 도시된 것처럼, 벨트 각각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 (L) 을 중심으로 90°회전된 후, 다축 고정 롤러 그룹 (78) 의 롤러 (78.1, 78.2 및 78.3) 주위에 감긴다. 도 7 에 도시된 것처럼, 벨트 그룹 (76) 의 제 1 벨트가 롤러 (78.1) 주위로 안내되고, 제 2 벨트가 롤러 (78.2) 주위로 안내되며, 제 3 벨트가 롤러 (78.3) 주위로 안내된다. 벨트는 롤러 (78.1 ∼ 78.3) 주위에 90°이상의 각도로 감긴다. 그리고 나서, 벨트 (77) 는 승강실의 측면에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다시 안내되고, 다른 롤러 유닛까지 승강실 바닥 (74.3) 아래에서 신장되도록 롤러 유닛 (77.3) 에 의해 방향전환되기 전에 벨트 각각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 (L) 을 중심으로 한번 더 회전된다. 상부 영역 (81) 에서 고정 롤러 그룹 (78) 이 고정될 수 있는 안내 레일 (80) 이 도 7 에 또한 나타나 있다. 롤러 (78.1 ∼ 78.3) 는 도 7 에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롤러 그룹의 고정은, 벨트에 하중이 걸리는 경우 안내 레일 (80) 에 작용하는 토크 (굽힘 모멘트) 를 회피하기 위해 롤러 그룹 (78) 의 n 개의 모든 롤러가 안내 레일 (80) 위에 일렬로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롤러 그룹 (68 또는 78) 은 n 개의 벨트가 아래를 적어도 두 번 지나가는 승강실을 갖는 승강기 시스템에의 사용에 적합하다. 예는 이중 언더 루핑을 갖는 4:1 서스펜션 ( 리빙 (reeving) ) 을 보여준다. 고정 롤러 그룹 (68, 78) 은, 예컨대 도 7 및 도 6 에 도시된 것처럼, n 또는 2n 개의 롤러 (78.1 ∼ 78.3, 또는 68.1.1 ∼ 68.2.3) 를 갖는다. 각각의 개별 롤러 (78.1 ∼ 78.3, 68.1.1 ∼ 68.2.3) 는 자신의 회전 축선 (A4) 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회전 축선 (A4) 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롤러 (68.1.1 ∼ 68.2.3) 은 본 발명에 따라 케스케이드형 (계단형) 으로 상하로 배치되고, 롤러 (78.1 ∼ 78.3) 는 본 발명에 따라 수직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고정 롤러 그룹 (68 또는 78) 전체를 승강기 시스템의 안내 레일 (70 또는 80) 에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 수단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롤러 그룹의 2n 개의 롤러는 실시형태의 케스케이드 형태에 있어서 각각이 n 개의 롤러를 갖는 2 개의 그룹으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각 그룹의 롤러는 비스듬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2 개의 인접한 롤러의 수평방향 축선 간격 (X5) 이 도 6 에 나타낸 것처럼 벨트의 폭 (X8) 보다 더 크다. 반경방향 축선 간격 (X7) 은 적어도 "2r + d" 이고, 여기서 "r"은 롤러의 반경이고, "d"는 벨트의 두께이다.
2 개의 롤러 그룹은, 도 6 에 도시된 것처럼, 승강실의 언더루핑 간격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간격 (X4) 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설치 수단은 설치 상태에서 힘이 중앙에서 안내 레일 (70 또는 80) 에 전달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 (도시 안 됨) 에 있어서, 구동 풀리 (51.1) 를 갖는 구동 모터 (51) 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 구동 풀리의 축선은 구동 모터 (51) 의 구동 풀리 (51.1) (도 5A 에 도시) 의 축선과 동일한 면에 배치되지만, 이 축선에 대해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90°회전된다. 이 경우, 구동 풀리 (51.1) 의 축선은 고정 롤러 그룹 (55, 58) 의 축선 (A4) 에 평행하게 된다.
다른 형태의 실시형태 (도시 안 됨) 에 따르면, 평형추를 지지하는 평형추 롤러 유닛의 축선은 도 1A 에 도시된 평형추 롤러 유닛 (12.1, 12.2) 에 대해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90°회전되어, 벨트는 도면부호 "19.2"로 표시된 구역 (도 1A) 에서 회전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 경우, 제 2 평형추 롤러 유닛과 구동 풀리 (11.1) (도 5B 의 방향전환 롤러 (51.2) 도 가능함) 사이에서 벨트의 회전이 필요하거나, 또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구동 모터가 90°회전된 경우에는 구동 풀리 (11.1) 와 승강실 롤러 유닛 (17.1) 사이의 구역 (19.3) 에서 벨트의 회전이 필요하다.

Claims (10)

  1. 승강실 및 4:1 서스펜션을 형성하는 지지 수단을 갖는 승강기 (10; 40; 50; 90) 로서, 상기 지지 수단은 승강실 아래를 여러 번 지나는 상기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으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 이상의 편평한 벨트 (16; 26.1 ∼ 26.3; 36.1 ∼ 36.3; 56, 56.1; 66; 76) 가 사용되고,
    벨트를 방향전환시키는 1 이상의 고정 롤러 그룹 (15, 18; 55, 58; 68; 78) 의 롤러 (15.1.1 ∼ 15.2.3, 18.1.1 ∼ 18.2.3; 58.1.1 ∼ 58.2.3; 68.1.1 ∼ 68.2.3; 78.1 ∼ 78.3) 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 이상의 벨트 (16; 56, 56.1; 66; 76) 중 이 벨트의 방향전환 영역 내에 있는 벨트 구역이 수직 상하방향으로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0; 40; 50; 90).
  2. 제 1 항에 있어서, 벨트 (76) 를 방향전환시키는 1 이상의 고정 롤러 그룹 (78) 이 각각의 벨트 (76) 를 위한 관련 롤러 (78.1 ∼ 78.3) 를 가지며, 각각의 벨트 (76) 는 상기 관련 롤러 (78.1 ∼ 78.3) 주위에 90°이상의 각도로 감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90).
  3. 제 2 항에 있어서, 가동 롤러 그룹 (77.2, 77.3) 의 롤러가, 경사지게 위치되거나 또는 경사지게 세팅된 축선 (A1.1, A1.2) 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90).
  4. 제 1 항에 있어서, 벨트를 방향전환시키는 1 이상의 고정 롤러 그룹 (18; 58; 68) 이 각각의 벨트 (16; 56; 66) 를 위한 2 개의 관련 롤러 (18.1.1 ∼ 18.1.3; 18.2.1 ∼ 18.2.3; 68.1.1 ∼ 68.1.3; 68.2.1 ∼ 68.2.3)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0; 50).
  5. 제 4 항에 있어서, 고정 롤러 그룹 (18; 58; 68) 의 롤러로 이루어진 각각의 하위 그룹의 롤러들은 비스듬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하로 인접한 두 롤러 사이의 수평방향 축선 간격 (X5) 이 벨트 (16; 66.1 ∼ 66.3) 의 폭 (X8)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0; 5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축 고정 롤러 그룹 (15, 18; 55, 58; 68; 78) 의 롤러 (18.1.1 ∼ 18.2.3; 68.1.1 ∼ 68.2.3; 78.1 ∼ 78.3) 는 롤러 폭 만큼 떨어져 있는 2 개의 평행한 면 내에 놓이고, 상기 롤러의 축선은 이들 면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0; 50).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롤러 그룹 (15, 18; 55, 58; 68; 78) 은 승강실 (14; 54; 74) 의 옆에, 또는 위에, 또는 옆쪽 위에 배치되고 또한 승강기 시스템의 1 이상의 안내 레일 (60; 70; 80) 에 바람직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0; 50; 90).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벨트의 양단부가 고정 지점 (52.1, 52.2) 에 고정되고, 벨트의 모든 고정 지점이 직접 인접하게, 또는 안내 레일 (60; 70) 과 연결된 고정 지점 지지부 (52) 에 배치되거나, 또는 직접 인접하면서 상기 고정 지점 지지부 (52) 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0; 50).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벨트 (16, 56, 66, 76) 가 벨트의 주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리브와 홈을 갖고, 구동 풀리 (11.1; 51.1) 와 고정 롤러 그룹 (15, 18; 55, 58; 68; 78) 의 롤러 (15.1.1 ∼ 15.2.3, 18.1.1 ∼ 18.2.3; 68.1.1 ∼ 68.2.3; 78.1 ∼ 78.3) 및/또는 가동 롤러 그룹 (12, 17; 67; 77) 의 롤러 유닛 (17.1 ∼ 17.4; 67.2, 67.3; 77.2, 77.3) 이 그의 이동 표면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상응하는 상보형의 리브 및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0; 50; 90).
  10. 아래에서 여러 번 감긴 승강실 (14) 의 4:1 서스펜션을 갖는 승강기 (10) 용 롤러 구성체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 이상의 편평한 벨트 (16; 26.1 ∼ 26.3; 36.1 ∼ 36.3; 56, 56.1; 66; 76) 가 지지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상기 롤러 구성체에 있어서,
    상기 롤러 구성체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편평한 벨트 (16; 26.1 ∼ 26.3; 36.1 ∼ 36.3; 56, 56.1; 66; 76) 를 방향전환시키기 위한 고정 롤러 그룹 (15, 18; 55, 58; 68, 78) 및 가동 롤러 그룹 (12, 17; 57; 67; 77) 을 포함하고,
    상기 벨트를 방향전환시키는 1 이상의 고정 롤러 그룹 (15, 18; 55, 58; 68; 78) 의 롤러 (15.1.1 ∼ 15.2.3, 18.1.1 ∼ 18.2.3; 58.1.1 ∼ 58.2.3; 68.1.1 ∼ 68.2.3; 78.1 ∼ 78.3) 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 이상의 벨트 (16; 56, 56.1; 66; 76) 중 이 벨트의 방향전환 영역 내에 있는 벨트 구역이 수직 상하방향으로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구성체.
KR1020077003228A 2004-07-12 2005-07-12 승강기 및 승강기용 풀리 조립체 KR100865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016324 2004-07-12
EP04016324.8 2004-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747A true KR20070041747A (ko) 2007-04-19
KR100865653B1 KR100865653B1 (ko) 2008-10-29

Family

ID=34925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228A KR100865653B1 (ko) 2004-07-12 2005-07-12 승강기 및 승강기용 풀리 조립체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7806238B2 (ko)
EP (1) EP1768923B1 (ko)
JP (1) JP5049125B2 (ko)
KR (1) KR100865653B1 (ko)
CN (1) CN101018731B (ko)
AT (1) ATE411966T1 (ko)
AU (1) AU2005262192B2 (ko)
BR (1) BRPI0513280A (ko)
CA (1) CA2573566C (ko)
DE (1) DE502005005759D1 (ko)
ES (1) ES2315881T3 (ko)
HK (1) HK1107075A1 (ko)
NO (1) NO332132B1 (ko)
PL (1) PL1768923T3 (ko)
PT (1) PT1768923E (ko)
RU (1) RU2380310C2 (ko)
WO (1) WO200600521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955B1 (ko) * 2017-08-09 2018-07-12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고하중용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견인 안정성 향상 및 로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로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86957A1 (de) 2006-08-11 2008-02-13 Inventio Ag Aufzugriemen für eine Aufzuganlag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Aufzugriemens
CN100417583C (zh) * 2006-08-11 2008-09-10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无机房电梯
US7913818B2 (en) * 2006-12-22 2011-03-29 Inventio Ag Elevator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floor
ITMI20062542A1 (it) * 2006-12-29 2008-06-30 L A Consulting S A S Ascensore con doppia puleggia di trazione
ITMI20062544A1 (it) * 2006-12-29 2008-06-30 L A Consulting S A S Ascensore con peso di bilanciamento
DE202008001786U1 (de) 2007-03-12 2008-12-24 Inventio Ag Aufzugsanlage, Tragmittel für eine Aufzugsanlage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Tragmittels
EP2072447A1 (de) 2007-12-20 2009-06-24 Inventio Ag Tragmittelanordnung für eine Aufzugsanlage, Aufzugsanlage mit einer solchen Tragmittelanordnung, Satz von Tragmitteln für eine solche Tragmittelanordn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einer solchen Tragmittelanordnung
EP2185456B1 (en) * 2008-09-30 2011-09-07 Kone Corporation Elevator
US20120085594A1 (en) * 2010-10-11 2012-04-12 Tim Wright Drive Arrangement for Machine Roomless Elevator
WO2012115632A1 (en) 2011-02-23 2012-08-3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including a 4:1 roping arrangement
WO2012138335A1 (en) * 2011-04-06 2012-10-1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including a 4:1 roping arrangement
CN102491153B (zh) * 2011-12-29 2014-04-30 广东菱王电梯有限公司 6:1无机房载货电梯的曳引系统设计方法
FI125124B (fi) * 2012-05-23 2015-06-15 Kone Corp Hissijärjestely ja menetelmä
EP2767496B1 (en) * 2013-02-14 2017-03-29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CN105209367B (zh) * 2013-03-15 2017-09-29 奥的斯电梯公司 用于扭转式多传动带电梯系统的非对称导向轮
ES2564378T3 (es) 2013-08-26 2016-03-22 Kone Corporation Un ascensor
CN104724577A (zh) * 2013-12-18 2015-06-24 黄立成 带有兼具信号传输和曳引传动的牵引构件的电梯系统
CN106061881B (zh) 2014-03-05 2018-05-11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设备的具有多重绕绳方式的驱动装置
WO2015151046A1 (en) * 2014-04-03 2015-10-08 BUCCELLA, Maria Teresa Pulley system for lifting loads
EP3000759B1 (en) * 2014-09-25 2017-06-07 KONE Corporation Elevator
CN107140502A (zh) * 2017-06-30 2017-09-08 南通兴华达高实业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悬挂装置
CN109720964A (zh) * 2017-10-27 2019-05-07 奥的斯电梯公司 电梯牵引系统以及电梯系统
NO345674B1 (en) * 2018-04-25 2021-06-07 Autostore Tech As Container-handling vehicle with a lifting shaft and method of operating gripper elements on a lifting frame of a container-handling vehicle
KR102092078B1 (ko) 2018-09-21 2020-03-23 전병수 엘리베이터용 2:1 로프 체결방식에 적용되는 매달림 시브
TWI810467B (zh) * 2020-06-18 2023-08-01 惠亞工程股份有限公司 組合式高空作業升降機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627A (en) 1909-04-05 1912-06-18 Charles O Pearson Traction-elevator.
FI92043C (fi) 1992-09-18 1994-09-26 Kone Oy Hissin köysijärjestely
US6401871B2 (en) * 1998-02-26 2002-06-11 Otis Elevator Company Tension member for an elevator
WO1999043595A2 (en) * 1998-02-26 1999-09-02 Otis Elevator Company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with an elevator machine mounted on an elevator car
DE69933199C5 (de) * 1998-02-26 2014-07-24 Otis Elevator Co. Aufzugssystem mit einem zwischen der aufzugskabine und der schachtwand angeordneten antriebsmotor
US6397974B1 (en) * 1998-10-09 2002-06-04 Otis Elevator Company Traction elevator system using flexible, flat rope and a permanent magnet machine
BR9908230A (pt) * 1998-02-26 2000-10-31 Otis Elevador Company Sistema de elevador com motor de acionamento suspenso
FI109468B (fi) * 1998-11-05 2002-08-15 Kone Corp Vetopyörähissi
US20030121729A1 (en) * 2002-01-02 2003-07-03 Guenther Heinz Lift belt and system
WO2003064309A1 (fr) * 2002-01-30 2003-08-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ascenseur
IL157277A (en) * 2002-09-05 2007-12-03 Inventio Ag Elevator and method of arranging the motor of an elevator
DE10240988B4 (de) * 2002-09-05 2014-02-27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einer aus Riemen und Scheiben bestehenden Antriebsübertragungsanordnung
JP4270831B2 (ja) * 2002-09-24 2009-06-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JP2005263490A (ja) * 2004-03-15 2005-09-29 Inventio Ag 大荷重用エレベータ
FI20051340A (fi) * 2005-12-29 2007-06-30 Kone Corp Hissin vetopyörä ja hiss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955B1 (ko) * 2017-08-09 2018-07-12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고하중용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견인 안정성 향상 및 로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로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21468A1 (en) 2008-05-29
ATE411966T1 (de) 2008-11-15
BRPI0513280A (pt) 2008-05-06
US7806238B2 (en) 2010-10-05
HK1107075A1 (en) 2008-03-28
PT1768923E (pt) 2008-12-18
AU2005262192B2 (en) 2011-03-03
RU2380310C2 (ru) 2010-01-27
CA2573566A1 (en) 2006-01-19
CN101018731A (zh) 2007-08-15
EP1768923B1 (de) 2008-10-22
DE502005005759D1 (de) 2008-12-04
AU2005262192A1 (en) 2006-01-19
PL1768923T3 (pl) 2009-04-30
NO332132B1 (no) 2012-07-02
CA2573566C (en) 2012-11-27
JP5049125B2 (ja) 2012-10-17
NO20070773L (no) 2007-02-09
CN101018731B (zh) 2010-06-16
WO2006005215A3 (de) 2006-04-20
KR100865653B1 (ko) 2008-10-29
EP1768923A2 (de) 2007-04-04
WO2006005215A2 (de) 2006-01-19
RU2007105103A (ru) 2008-08-27
JP2008505823A (ja) 2008-02-28
ES2315881T3 (es)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653B1 (ko) 승강기 및 승강기용 풀리 조립체
JP2664619B2 (ja) 駆動綱車エレベータ
CA1331743C (en) Rope suspension system for an elevator
EP1353869B1 (en) Elevator
JP2005509580A5 (ko)
KR100971519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BR9915046A (pt) Elevador de roldana de tração
CA2464929A1 (en) Lift system
KR20080058280A (ko) 하나의 승강기 통로에 상하로 배치된 두 승강실을 구비한승강기
KR101321151B1 (ko)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
KR0156946B1 (ko) 입출고 장치
FI119240B (fi) Hissijärjestelmä ja laitteisto kaksoiskorihissin korivälin säätämiseksi
KR101005395B1 (ko) 통합된 접근 가능한 데드 엔드 히치를 갖춘 밀집된 베드판
JP4809773B2 (ja) エレベータの懸垂装置
KR100951522B1 (ko)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도르래 조립체
KR200272583Y1 (ko) 주차설비의 승강기 구동장치
FI118383B (fi) Hissin köysijärjestely
KR10091107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80095841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9526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23004520A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
KR20010036852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WO2001046059A1 (fr) Systeme d'ascenseurs juxtaposes
JPH06191760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60087573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