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6852A -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6852A
KR20010036852A KR1019990044038A KR19990044038A KR20010036852A KR 20010036852 A KR20010036852 A KR 20010036852A KR 1019990044038 A KR1019990044038 A KR 1019990044038A KR 19990044038 A KR19990044038 A KR 19990044038A KR 20010036852 A KR20010036852 A KR 20010036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balance weight
rope
pulley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5320B1 (ko
Inventor
양선호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90044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320B1/ko
Publication of KR20010036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3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2009/006Ganged elev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로내에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카와; 상기 승강로내 상기 제1카의 하측에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카와; 상기 승강로내 상기 제1카 및 상기 제2카를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이격배치되어 상기 제1카 및 상기 제2카를 승강안내하는 한 쌍의 카안내레일과; 상기 제1카를 승강구동시키는 제1카구동수단과; 상기 제2카를 승강구동시키는 제2카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수송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간활용도를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수송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이하 엘리베이터로 표기함)은, 건물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로내에 승객 또는 화물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카를 배치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카를 승강구동시킴으로써 승객 또는 화물을 수송하도록 한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승강로내에는 승객 또는 화물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카와, 카의 중량보상을 위한 균형추와, 일단이 카에 연결되고 타단이 균형추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가 구비되며, 승강로의 상부영역에는 와이어로프와 마찰접촉되어 정역회전함으로써 카를 승강구동시키는 권상기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소위 기계실이 마련된다.
엘리베이터의 수송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의 추가설치가 필요하게 되며, 그럴 경우, 엘리베이터의 점유공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카가 승강하게 되는 승강로는 카가 정지되어 있거나, 통과하고 있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은 대부분 비워져 있으므로 엘리베이터가 점유하게 되는 단위 공간당 서비스능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연구 및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단위공간당 서비스 능력을 제고시키기 위해 기계실을 배제한 소위 기계실없는 엘리베이터가 고려되고 있다.
한편, 승강로의 효율을 제고시키기 위해 단일의 승강로내에 복수의 카를 운행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로서, 미국특허번호 US3658155, US5235144, US5288956, US5699879 등에는 구동원으로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자주식 엘리베이터가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특허번호 US5464072에는 카의 양측에 카단위로 구동되는 마찰바퀴를 마련하고 카가 승강로의 내벽에 마찰접촉되어 승강하도록 한 자주식 엘리베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주식 엘리베이터들은 현재까지의 기술로는 실제적용이 곤란할 뿐만아니라, 에너지효율측면에서 많은 단점을 지니고 있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번호 US5419414에는, 단일의 승강로내에 복수의 카를 설치한 엘리베이터가 개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카를 승강구동시키기 위한 균형추, 권상기 및 보조풀리 등의 설치를 위해 지나치게 복잡한 로핑구조를 갖게 되며, 승강로의 상측에 배치되는 권상기 등의 설치를 위한 기계실이 비대해져 엘리베이터의 단위 면적당 서비스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미국특허번호 US4632224 등에는 승강로내에 상하방향을 따라 한 쌍의 카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여 승강구동시키도록 한 엘리베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두 개의 카를 사용하여 승객을 수송하므로 수송능력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두 개의 카가 동일한 거리를 동시에 이동해야하므로 운행에 많은 불편이 따를 뿐만 아니라, 권상기의 크기가 증대되어 설치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송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간활용도를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확대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제1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제2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승강로 3 : 제1카
5 : 제2카 7a,7b : 카안내레일
11 : 제1카풀리 13 : 제1카전환풀리
15 : 제1카권상기 17 : 제1카균형추
19 : 제1카균형추풀리 23a,23b : 제1카균형추안내레일
31 : 제2카풀리 33 : 제2카전환풀리
35 : 제2카권상기 37 : 제2카균형추
39 : 제2카균형추풀리 43a,43b : 제2카균형추안내레일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물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로내에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카와; 상기 승강로내 상기 제1카의 하측에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카와; 상기 승강로내 상기 제1카 및 상기 제2카를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이격배치되어 상기 제1카 및 상기 제2카를 승강안내하는 한 쌍의 카안내레일과; 상기 제1카를 승강구동시키는 제1카구동수단과; 상기 제2카를 승강구동시키는 제2카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카구동수단은, 상기 카안내레일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카균형추와, 일단이 상기 제1카균형추의 대향측벽의 상부영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카 및 상기 제1카균형추가 상호 연동하도록 경유하여 상기 제1카균형추측의 하부영역에 고정되는 제1카와이어로프와, 상기 제1카와이어로프와 마찰접촉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카 및 상기 제1카균형추를 승강시키는 제1카권상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카구동수단은, 상기 제1카의 하부양측에 상기 제1카와이어로프와 구름접촉가능하도록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카와 함께 승강하며 상기 제1카와이어로프를 안내하는 한 쌍의 제1카풀리와, 상기 제1카균형추의 대향측에 배치된 카안내레일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카풀리를 경유한 상기 제1카와이어로프를 상기 제1카균형추측으로 방향전환시키는 제1카전환풀리와, 상기 제1카균형추의 상부영역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로프와 접촉되어 상기 제1카균형추와 함께 승강하는 제1카균형추풀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제2카구동수단은, 상기 제1카균형추의 대향측벽에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카균형추와, 일단이 상기 제2카균형추의 대향측벽의 상부영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카 및 상기 제2카균형추가 상호 연동하도록 경유하여 상기 제2카균형추측의 하부영역에 고정되는 제2카와이어로프와,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와 마찰접촉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카 및 상기 제2카균형추를 승강시키는 제2카권상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카구동수단은, 상기 제2카의 하부양단에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와 구름접촉가능하도록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2카와 함께 승강하며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를 안내하는 한 쌍의 제2카풀리와, 상기 제2카균형추의 대향측에 배치된 카안내레일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카풀리를 경유한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를 상기 제2카균형추측으로 방향전환시키는 제2카전환풀리와, 상기 제2카균형추의 상부영역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와 접촉되어 상기 제2카균형추와 함께 승강하는 제2카균형추풀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카구동수단은, 상기 승강로내 일측벽을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된 제1카균형추와, 일단이 상기 제1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카균형추에 연결되는 제1카와이어로프와, 상기 승강로의 상측에 상기 제1카와이어로프와 마찰접촉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카 및 상기 제1카균형추를 승강구동시키는 권상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카구동수단은, 상기 카안내레일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카균형추와, 일단이 상기 제2카균형추의 대향측벽의 상부영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카 및 상기 제2카균형추가 상호 연동하도록 경유하여 상기 제2카균형추측의 하부영역에 고정되는 제2카와이어로프와,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와 마찰접촉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카 및 상기 제2카균형추를 승강시키는 제2카권상기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카구동수단은, 상기 제2카의 하부양단에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와 구름접촉가능하도록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2카와 함께 승강하며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를 안내하는 한 쌍의 제2카풀리와, 상기 제2카균형추의 대향측에 배치된 카안내레일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카풀리를 경유한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를 상기 제2카균형추측으로 방향전환시키는 제2카전환풀리와, 상기 제2카균형추의 상부영역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와 접촉되어 상기 제2카균형추와 함께 승강하는 제2카균형추풀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로내 상기 제2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3카와, 상기 제3카를 승강구동시키기 위한 제3카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3카구동수단은, 상기 제2카균형추의 대향측벽에 배치되는 제3카균형추와, 일단이 상기 제3카균형추의 대향측벽의 상부영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3카 및 상기 제3카균형추가 상호 연동하도록 경유하여 상기 제3카균형추측의 하부영역에 고정되는 제3카와이어로프와, 상기 제3카와이어로프와 마찰접촉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3카 및 상기 제3카균형추를 승강시키는 제3카권상기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제3카구동수단은, 상기 제3카의 하부양단에 상기 제3카와이어로프와 구름접촉가능하도록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3카와 함께 승강하며 상기 제3카와이어로프를 안내하는 한 쌍의 제3카풀리와, 상기 제3카균형추의 대향측에 배치된 카안내레일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3카풀리를 경유한 상기 제3카와이어로프를 상기 제3카균형추측으로 방향전환시키는 제3카전환풀리와, 상기 제3카균형추의 상부영역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3카와이어로프와 접촉되어 상기 제3카균형추와 함께 승강하는 제3카균형추풀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확대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1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제2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건물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로(1)와, 승강로(1)내에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카(3)와, 승강로(1)내 제1카(3)의 하측에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카(5)와, 제1카(3) 및 제2카(5)를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한 쌍의 카안내레일(7a,7b)과, 승강로(1)의 저부영역에 배치된 카완충장치(9)를 가진다.
승강로(1)내 상호 대향하는 양 측벽에 기립배치된 한 쌍의 카안내레일(7a,7b)의 사이에는 제1카(3) 및 제2카(5)가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카(3)의 하부 양측영역에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회전축을 갖는 한 쌍의 제1카풀리(11)가 마련되어 있으며, 일측에 배치된 카안내레일(7a,7b)의 상부영역에는 평면투영시 제1카풀리(11)의 회전축과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된 회전축을 갖는 제1카전환풀리(13)가 설치되어 있다.
제1카전환풀리(13)의 하측 영역에는 제1카전환풀리(13)와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을 갖는 제1카권상기(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카권상기(15)의 하측에는 제1카균형추(17)가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카균형추(17)의 상부영역에는 제1카균형추(17)와 일체로 승강가능하도록 제1카균형추풀리(19)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카균형추(17)의 하측에는 제1카균형추완충장치(21)가 기립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카균형추(17)의 양측에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배치되어 제1카균형추(17)를 승강안내하는 한 쌍의 제1카균형추안내레일(23a,23b)이 기립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1카균형추(17)의 대향측벽에 배치된 카안내레일(7b)의 상부영역에는 제1카와이어로프(25)의 일단이 고정결합되어 있다. 제1카와이어로프(25)는 카안내레일(7b)을 따라 하향연장되어 한 쌍의 제1카풀리(11)를 경유하여 제1카전환풀리(13)에 의해 방향전환된 후, 다시 하향하여 제1카균형추풀리(19)에 결합된다. 제1카균형추풀리(19)를 경유한 제1카와이어로프(25)는 상측에 마련된 제1카권상기(15)의 권상시브를 경유하여 제1카균형추안내레일(23b)을 따라 하향연장되어 제1카균형추안내레일(23b)의 하부영역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제2카(5)는 제1카(3)의 하측에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제1카균형추(17)의 대향측에는 제2카균형추(37)가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카균형추(37)의 양측에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배치되어 제2카균형추(37)를 승강안내하는 제2카균형추안내레일(43a,43b)이 기립배치되어 있으며, 제2카균형추(37)의 상부영역에는 제2카균형추풀리(39)가 구비되어 있다. 제2카균형추(37)의 하측영역에는 제2카균형추완충장치(41)가 기립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2카(5)의 하부 양측영역에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한 쌍의 제2카풀리(31)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카전환풀리(13)의 대향측에 배치된 카안내레일(7b)의 상부영역에는 제2카전환풀리(33)가 설치되어 있다. 제2카균형추안내레일(43a,43b)의 상단에는 제2카(5) 및 제2카균형추(37)를 승강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2카권상기(35)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제1카전환풀리(13)가 설치된 카안내레일(7a)의 일측에는 제2카와이어로프(45)의 일단이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제2카와이어로프(45)는 카안내레일(7a)을 따라 하향연장되어 제2카풀리(31)에 접촉안내되어 제2카전환풀리(33)에 의해 방향전환된다. 제2카전환풀리(33)에 의해 방향전환된 제2카와이어로프(45)는 하측에 배치된 제2카균형추풀리(39)를 경유하여 다시 상측에 배치된 제2카권상기(35)의 권상시브에 마찰접촉되고, 제2카균형추안내레일(43b)을 따라 하향연장된 후, 제2카균형추안내레일(43b)의 하부영역에 고정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카(3) 및 제2카(5)는 각 권상기(15,35)에 의해 독자적으로 카안내레일(7a,7b)을 따라 승강하면서 승객 또는 화물을 수송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건물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로(51)와, 승강로(51)내에 상하방향을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카(53,55,57)와, 제1 내지 제3카(53,55,57)를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이격배치되어 제1 내지 제3카의 승강구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카안내레일(58a,58b)을 가진다. 제2카(55) 및 제3카(57)는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승강로(51)의 상측에는 제1카(53)의 승강구동을 위한 제1카권상기(59)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카권상기(59)의 일측에는 제1카권상기(59)와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보조풀리(61)가 설치되어 있다.
제1카(53)의 후방측벽에는 제1카(53)의 중량보상을 위한 제1카균형추(63)가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1카균형추(63)의 양측에는 제1카균형추(63)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제1카균형추안내레일(65a,65b)이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제1카(53)의 상부에는 제1카와이어로프(67)의 일단이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제1카와이어로프(67)의 타단은 승강로(51)의 상측에 배치된 제1카권상기(59)의 권상시브 및 보조풀리(61)를 경유하여 제1카균형추(63)의 상부영역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내지 제3카(53,55,57)들은 각각의 권상기에 의해 독자적으로 승강로(51)를 따라 승강구동하여 승객 또는 화물을 수송하게 된다.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승강로(51)내에 상하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3카(53,55,57)를 배치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제1카(53) 및 제2카(55)로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승강로내에 복수의 카를 승강가능하도록 배치하고, 각 카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수단을 마련하으로써, 승강로의 활용도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수송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Claims (11)

  1. 건물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로내에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카와; 상기 승강로내 상기 제1카의 하측에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카와; 상기 승강로내 상기 제1카 및 상기 제2카를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이격배치되어 상기 제1카 및 상기 제2카를 승강안내하는 한 쌍의 카안내레일과; 상기 제1카를 승강구동시키는 제1카구동수단과; 상기 제2카를 승강구동시키는 제2카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구동수단은, 상기 카안내레일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카균형추와, 일단이 상기 제1카균형추의 대향측벽의 상부영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카 및 상기 제1카균형추가 상호 연동하도록 경유하여 상기 제1카균형추측의 하부영역에 고정되는 제1카와이어로프와, 상기 제1카와이어로프와 마찰접촉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카 및 상기 제1카균형추를 승강시키는 제1카권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구동수단은, 상기 제1카의 하부양측에 상기 제1카와이어로프와 구름접촉가능하도록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카와 함께 승강하며 상기 제1카와이어로프를 안내하는 한 쌍의 제1카풀리와, 상기 제1카균형추의 대향측에 배치된 카안내레일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카풀리를 경유한 상기 제1카와이어로프를 상기 제1카균형추측으로 방향전환시키는 제1카전환풀리와, 상기 제1카균형추의 상부영역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로프와 접촉되어 상기 제1카균형추와 함께 승강하는 제1카균형추풀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구동수단은, 상기 제1카균형추의 대향측벽에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카균형추와, 일단이 상기 제2카균형추의 대향측벽의 상부영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카 및 상기 제2카균형추가 상호 연동하도록 경유하여 상기 제2카균형추측의 하부영역에 고정되는 제2카와이어로프와,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와 마찰접촉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카 및 상기 제2카균형추를 승강시키는 제2카권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구동수단은, 상기 제2카의 하부양단에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와 구름접촉가능하도록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2카와 함께 승강하며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를 안내하는 한 쌍의 제2카풀리와, 상기 제2카균형추의 대향측에 배치된 카안내레일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카풀리를 경유한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를 상기 제2카균형추측으로 방향전환시키는 제2카전환풀리와, 상기 제2카균형추의 상부영역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와 접촉되어 상기 제2카균형추와 함께 승강하는 제2카균형추풀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구동수단은, 상기 승강로내 일측벽을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된 제1카균형추와, 일단이 상기 제1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카균형추에 연결되는 제1카와이어로프와, 상기 승강로의 상측에 상기 제1카와이어로프와 마찰접촉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카 및 상기 제1카균형추를 승강구동시키는 권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구동수단은, 상기 카안내레일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카균형추와, 일단이 상기 제2카균형추의 대향측벽의 상부영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카 및 상기 제2카균형추가 상호 연동하도록 경유하여 상기 제2카균형추측의 하부영역에 고정되는 제2카와이어로프와,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와 마찰접촉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카 및 상기 제2카균형추를 승강시키는 제2카권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구동수단은, 상기 제2카의 하부양단에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와 구름접촉가능하도록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2카와 함께 승강하며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를 안내하는 한 쌍의 제2카풀리와, 상기 제2카균형추의 대향측에 배치된 카안내레일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카풀리를 경유한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를 상기 제2카균형추측으로 방향전환시키는 제2카전환풀리와, 상기 제2카균형추의 상부영역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카와이어로프와 접촉되어 상기 제2카균형추와 함께 승강하는 제2카균형추풀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내 상기 제2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3카와, 상기 제3카를 승강구동시키기 위한 제3카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카구동수단은, 상기 제2카균형추의 대향측벽에 배치되는 제3카균형추와, 일단이 상기 제3카균형추의 대향측벽의 상부영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3카 및 상기 제3카균형추가 상호 연동하도록 경유하여 상기 제3카균형추측의 하부영역에 고정되는 제3카와이어로프와, 상기 제3카와이어로프와 마찰접촉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3카 및 상기 제3카균형추를 승강시키는 제3카권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카구동수단은, 상기 제3카의 하부양단에 상기 제3카와이어로프와 구름접촉가능하도록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3카와 함께 승강하며 상기 제3카와이어로프를 안내하는 한 쌍의 제3카풀리와, 상기 제3카균형추의 대향측에 배치된 카안내레일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3카풀리를 경유한 상기 제3카와이어로프를 상기 제3카균형추측으로 방향전환시키는 제3카전환풀리와, 상기 제3카균형추의 상부영역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3카와이어로프와 접촉되어 상기 제3카균형추와 함께 승강하는 제3카균형추풀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9990044038A 1999-10-12 1999-10-12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0365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038A KR100365320B1 (ko) 1999-10-12 1999-10-12 엘리베이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038A KR100365320B1 (ko) 1999-10-12 1999-10-12 엘리베이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852A true KR20010036852A (ko) 2001-05-07
KR100365320B1 KR100365320B1 (ko) 2002-12-18

Family

ID=1961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038A KR100365320B1 (ko) 1999-10-12 1999-10-12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7470A (zh) * 2018-09-30 2018-12-21 合肥公共安全技术研究院 一种曳引式可偏载汽车轿厢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396A (ko) * 2018-10-24 2020-05-07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7525A (ja) * 1993-11-18 1995-07-25 Masami Sakita 複数ばこ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3252575B2 (ja) * 1993-12-17 2002-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3420811B2 (ja) * 1993-12-17 2003-06-30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リニアモータ式エレベータ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7470A (zh) * 2018-09-30 2018-12-21 合肥公共安全技术研究院 一种曳引式可偏载汽车轿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5320B1 (ko)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26122C (en)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 drive machine below
KR100853662B1 (ko) 견인 로프풀리 엘리베이터
KR100297123B1 (ko) 엘리베이터
EP1353869B1 (en) Elevator
KR970026838A (ko)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US6305499B1 (en) Drum drive elevator using flat belt
CN201002908Y (zh) 一种无机房曳引绳轮式电梯
KR20030015379A (ko) 최소의 건물 공간을 사용하는 승강기 시스템
JP4549616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365320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050002816A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0460302C (zh) 电梯装置
JP2002179358A (ja) エレベータ装置
CN212799229U (zh) 一种载货电梯的曳引系统
EP1053969B1 (en) Elevator
EP1717185B1 (en) Elevator
KR100619203B1 (ko)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
CN219194133U (zh) 电梯曳引装置及电梯
JP2001080856A (ja) エレベーター
CN218909526U (zh) 底托式4:1曳引驱动无机房载货电梯
US7874404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between elevator car and hoistway sidewall
JPH0342487A (ja) トラクション式エレベータ装置
KR100312769B1 (ko) 운송시스템
CN116216455A (zh) 无机房电梯系统
KR20000024748A (ko)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의 리프트 승강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