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396A -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396A
KR20200046396A KR1020180127492A KR20180127492A KR20200046396A KR 20200046396 A KR20200046396 A KR 20200046396A KR 1020180127492 A KR1020180127492 A KR 1020180127492A KR 20180127492 A KR20180127492 A KR 20180127492A KR 20200046396 A KR20200046396 A KR 20200046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rivers
elevator cars
cars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우성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7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6396A/ko
Priority to PCT/KR2019/009187 priority patent/WO2020085621A1/ko
Publication of KR20200046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66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multiple cars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76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friction gear, e.g. belt linking motor to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 레일들로 구성되어 다른 높이로 상호 연동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에 대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승강로 및 상기 제1 및 제2 레일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에 관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구동기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APPARATUS OF MUTUAL INTERLOCKING ELEVATOR}
본 발명은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승강로 내에서 상호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더블데크(Double decks) 엘리베이터 또는 트윈(Twin)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블데크(Double decks) 또는 트윈(Twin) 엘리베이터는 한 승강로 내에서 승하강 하는 두 개의 엘리베이터 카들을 통해 서로 다른 출발층의 승객들을 동시에 각각의 목적층으로 수송하는 엘리베이터의 일종으로, 단일 엘리베어터 카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에 비해 승강로당 수송 능력이 우수하여 엘리베이터 공간의 건물 점유 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구동부는 별도의 기계실에 마련되는데, 이 공간은 해당 건물의 최상단이 위치하여 보수원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보수 및 점검의 목적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더블데크 또는 트윈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단일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비해 승강로당 수송 능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지만, 비교적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기계실에 의해 건물 내부의 실 사용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는 문제들을 야기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9997(2006.01.27)호는 조정 가능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가변형 더블 데크 엘레베이터이며, 제1 카와, 제2 카와, 상기 제1 카와 제2 카를 수직으로 중첩시켜 정렬하는 카 프레임과, 상기 제1 카 및 제2 카를 연결하여 각각의 카를 종방향으로 배열하는 연결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메카니즘은 그 중심부가 카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와,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3 링크 및 제4 링크와,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의 바닥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5 링크 및 제6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링크 및 제4 링크의 상단부는 상부 카에 연결되며, 상기 제5 링크 및 제6 링크의 바닥 단부는 하부 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카는 연결 메카니즘 상에 제1 하향력을 가하며, 상기 제2 카는 연결 메카니즘 상에 제2 하향력을 가하며, 연결 메카니즘은 제1 힘 및 제2 힘이 서로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에 대해 개시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9489(2006.09.08)호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에 상하로 운동 가능하게 설치한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調整) 가능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을 정역(正逆) 양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나사축 구동 수단과, 상기 나사축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나사축의 상측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운동하는 동시에,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배열 설치된 1 개의 상측 현수 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를 현수 지지하는 상측 지지 수단과, 상기 나사축의 상기 상측 나사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나사골이 진 하측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운동하는 동시에,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배열 설치된 1 개의 하측 현수 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를 현수 지지하는 하측 지지 수단과, 상기 상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측 지지 수단에 부하(負荷)되는 하중치(荷重値)를 측정하는 상측 측정 수단과, 상기 하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기 하측 지지 수단에 부하되는 하중치를 측정하는 하측 측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하기 전에, 상기 상측 측정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상기 하중치 및 상기 하측 측정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상기 하중치에 의거하여,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 사이의 중량 차(差)에 의해 상기 나사축에 작용하는 회전 가압력을 소거하는 방향 및 크기의 구동 토크(torque)를 상기 나사축 구동 수단이 출력하도록 상기 나사축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 대해 개시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9997(2006.01.27)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9489(2006.09.0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하지 않고 한 승강로 내에서 상호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들로 구성된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경로 상단에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기들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들로 구성된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 구동기들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로 구성된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및 제2 플랫 밸트(Flat Belt)들을 통해 제1 및 제2 구동기들의 동력을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로 전달할 수 있는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 레일들로 구성되어 다른 높이로 상호 연동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에 대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승강로 및 상기 제1 및 제2 레일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에 관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구동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 각각은 2:1 로핑(Roping)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기들은 상기 제1 및 제2 레일들의 상단에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기들은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어 해당 엘리베이터 카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기들은 상기 제1 또는 제2 레일 중 하나의 상단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기들은 서로 같은 높이에 평행하게 이격 설치되어 해당 엘리베이터 카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기들은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에 독립적으로 구동력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기들은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에 일정한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호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기들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플랫 밸트(Flat Belt)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는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하지 않고 한 승강로 내에서 상호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들로 구성된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들의 이동경로 상단에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기들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들로 구성된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는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 구동기들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로 구성된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는 제1 및 제2 플랫 밸트(Flat Belt)들을 통해 제1 및 제2 구동기들의 동력을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로 전달할 수 있는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승강로(110),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한 승강로 내에서 상호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로 구성된 더블데크(Double decks) 엘리베이터 또는 트윈(Twin) 엘리베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승강로(110)는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 레일들(111, 113)을 포함하여 다른 높이로 상호 연동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에 대한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로(110)는 양측에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의 수직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레일들(111, 113)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레일들(111, 113)은 상단에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승강로(110)에 대해서는 도 4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은 승강로(110) 내부의 수직 이동경로를 따라 승하강하는 이동체로, 내부에 승객들을 수용하여 서로 다른 출발층들의 승객들을 동시에 각각의 목적층들로 수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은 건물의 특성에 따른 운행 목적 및 운송량을 기초로 각각 홀수층과 짝수층에 정차하는 방식, 특정 층에서 정차하는 방식 및 제1 엘리베이터 카(120)는 최하층, 제2 엘리베이터 카(130)는 최상층만 제외하고 모든 층에 정차하는 방식으로 승객들을 수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 각각은 내부에 목적층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 외부와 연락할 수 있는 인터폰, 비상 조명장치 등을 구비할 수 있고, 제1 및 제2 구동기들의 회전력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 중 높은 위치에 있는 상부 엘리베이터 카(120)의 최대 도달 높이보다 높은 곳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레일들(111, 113)의 상단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에 관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에 구동력을 제공하되, 독립적으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기(140)가 제1 엘리베이터 카(12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승시킬 때, 제2 구동기(150)는 제2 엘리베이터 카(13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하강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에 일정한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호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은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어 연속되는 두 출발층들의 승객들을 연속되는 각각의 도착층들로 동시에 수송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은 출발층들 또는 도착층들이 연속되지 않는, 예를 들어, 1층 및 3층의 승객들을 7층 및 9층으로 동시에 수송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은 로핑구조로 연결되어 비교적 안정적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핑구조는 제1 엘리베이터 카(120)의 하단과 제2 엘리베이터 카(130)의 상단에 형성된 쉬브를 로프를 통해 결합하여 연결하는 구조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은 제1 및 제2 플랫 밸트(Flat Belt)들을 통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플랫 밸트(Flat Belt)들은 넓이 10mm ~ 50mm, 두께 1mm ~ 5mm로 형성되어 컨베이어 구조를 통해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의 구동력을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플랫 밸트(Flat Belt)들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과 같이 신축성이 우수한 소재로 코팅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복수의 금속관들을 삽입하여 인장 강도를 보강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을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을 승강장 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은 제1 및 제2 레일들(111, 113)의 상단에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구동기(140)는 제1 레일(111)의 상단에 설치되고 제2 구동기(150)는 제2 레일(113)의 상단에 설치되되, 제1 구동기(140)와 반대 방향을 향하여 대칭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은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어 해당 엘리베이터 카(120, 13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기(140)는 제2 구동기(150)에 비해 높은 곳에 위치하는 제1 레일(111)의 상단에 설치되어 제1 엘리베이터 카(12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구동기는(140)는 제2 구동기(150)에 비해 낮은 곳에 위치하는 제1 레일(111)의 상단에 설치되어 제1 엘리베이터 카(12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은 제1 또는 제2 레일(111 또는 113) 중 하나의 상단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은 제1 레일(111)의 상단에 함께 설치되되,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은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으나,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레일(111)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레일(111)은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들(410, 420)과 상기 수직부재들(420)의 상단에 양끝단이 결합되어 복수의 구동기들(140, 150) 중 적어도 하나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단부재(430)를 포함한다. 제2 레일(113)은 제1 레일(111)의 맞은편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상단부재(430)를 형성하는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레일들(111, 113) 각각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을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에 인접하여 제1 및 제2 제어기를 설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제어기들은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의 회전 또는 역회전을 제어하여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승강로(100), 승강로(100) 내에서 상호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 해당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 및 해당 구동기들(140, 150)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제어기들 각각은 인버터부(510) 및 시퀀스 제어부(520) 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인버터부(510)는 해당 구동기들(140 또는 15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해당 구동기들(140 또는 150)로 전송되는 전압과 주파수를 변환하여 해당 구동기들(140 또는 150)의 토크를 변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용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해 벡터 제어 및 정현파 PWM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의 위치를 정밀제어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버터부(510)는 건물의 특성에 따라 출발층들 사이의 간격과 도착층들은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경우, 기입력된 층간 간격 정보를 기초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의 이동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버터부(510)는 목적층들 사이의 간격이 출발층들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곳으로 승강하는 경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 중 낮은 위치에 있는 하부 엘리베이터 카(130)의 이동속도를 상부 엘리베이터 카(120) 보다 느리게 조정하여 도착 시간을 일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부(510)는 출발층들 사이의 간격을 무시한다고 가정할 때,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의 이동속도를 아래 식과 같이 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Vlow는 하부 엘리베이터 카(130)의 이동속도, Vup은 상부 엘리베이터 카(120)의 이동속도, S는 목적층 까지의 이동거리, Sdeck는 목적층들의 층간 간격에 해당한다.
한편, 시퀀스 제어부(520)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에 해당하여,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소자로 구성되며 기본적인 시퀀스 제어 기능 및 수치 연산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퀀스 제어부(520)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 내의 승객이 누른 버튼의 순서를 기초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층간 거리의 차이를 기초로 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조속기, 비상정지장치 및 완충기 등의 안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속기는 더블데크 이동체(120)와 플랫 밸트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여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이 규정된 속도를 초과한 경우 안전스위치를 작동시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을 안전하게 감속 및 정지시키고 안전스위치가 작동한 이후에도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의 하강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에 설치된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켜 기계적으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정지장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고 플랫 밸트의 절단 또는 기타 원인으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이 규정된 속도를 초과하여 급강하시 마찰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기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이 최하층에 정지하지 않고 피트로 낙하할 때, 충격을 완화시켜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균형추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과 연결된 플랫 밸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승강로(110) 내부에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 중 낮은 위치에 있는 하부 엘리베이터 카(130)의 최저 도달 높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균형추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의 전체 또는 일부 무게를 도르래 균형에 의해 상쇄하여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이 소모하는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 레일들(111, 113)로 구성되어 다른 높이로 상호 연동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에 대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승강로(110) 및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에 관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 중 높은 위치에 있는 상부 엘리베이터 카(120)의 최대 도달 높이보다 높은 곳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레일들(111, 113)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을 포함하여,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하지 않고 한 승강로(110) 내에서 상호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로 구성된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의 이동경로 상단에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기들(140, 150)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로 구성된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 구동기들(140, 150)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로 구성된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 및 제2 플랫 밸트(Flat Belt)들을 통해 제1 및 제2 구동기(140, 150)들의 동력을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120, 130)로 전달하는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110: 승강로 111: 제1 레일
113: 제2 레일 120: 제1 엘리베이터 카
130: 제2 엘리베이터 카 140: 제1 구동기
150: 제2 구동기 410, 420: 수직부재
430: 상단부재 510: 인버터부
520: 시퀀스 제어부

Claims (9)

  1.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 레일들로 구성되어 다른 높이로 상호 연동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에 대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승강로; 및
    상기 제1 및 제2 레일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에 관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구동기들을 포함하는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 각각은
    2:1 로핑(Roping)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기들은
    상기 제1 및 제2 레일들의 상단에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기들은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어 해당 엘리베이터 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기들은
    상기 제1 또는 제2 레일 중 하나의 상단에 함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기들은
    서로 같은 높이에 평행하게 이격 설치되어 해당 엘리베이터 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기들은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에 독립적으로 구동력을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기들은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에 일정한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호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기들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카들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플랫 밸트(Flat Belt)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80127492A 2018-10-24 2018-10-24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KR20200046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492A KR20200046396A (ko) 2018-10-24 2018-10-24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PCT/KR2019/009187 WO2020085621A1 (ko) 2018-10-24 2019-07-24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492A KR20200046396A (ko) 2018-10-24 2018-10-24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396A true KR20200046396A (ko) 2020-05-07

Family

ID=7033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492A KR20200046396A (ko) 2018-10-24 2018-10-24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46396A (ko)
WO (1) WO202008562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997B1 (ko) 1997-04-11 2006-01-27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조정가능한더블데크엘리베이터
KR100619489B1 (ko) 2002-03-22 2006-09-08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320B1 (ko) * 1999-10-12 2002-12-18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엘리베이터 시스템
JP3726595B2 (ja) * 1999-11-16 2005-12-14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駆動装置の支持装置
JP5610974B2 (ja) * 2010-10-21 2014-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5566958B2 (ja) * 2011-06-22 2014-08-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539267B2 (ja) * 2013-07-26 2019-07-03 スマートリフツ、エルエルシーSmart Lifts, Llc 昇降路の異なる区画内で独立して移動する複数のエレベータかごおよびつり合いおもりを有する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997B1 (ko) 1997-04-11 2006-01-27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조정가능한더블데크엘리베이터
KR100619489B1 (ko) 2002-03-22 2006-09-08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5621A1 (ko)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46127B (zh) 用于电梯系统的推力和力矩控制系统
US20080149428A1 (en) Elevator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floor
US10875743B2 (en) Rope-climbing self propelled elevator system
EP2776355B1 (en) Elevator system
US20080149426A1 (en) Elevator with two elevator cars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in a shaft
JP5610974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150197410A1 (en) Elevator arrangement
WO2013175054A9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US7717237B2 (en) Passenger or cargo elevator
JP5693723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AU2007254647B2 (en) Lift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storey
US7913818B2 (en) Elevator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floor
KR20200046396A (ko)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CA2638140A1 (en) Lift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storey
WO2018029986A1 (ja) エレベータ装置
US9988243B2 (en) Elevator system
JP2002037544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20022320A (ko) 로프식 멀티 엘리베이터
JP2010132407A (ja) エレベータ
JP357042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4002042A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1007044A1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moving an elevator car in an elevator hoistway
WO2016095969A1 (en)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an elevator car of a multicar-system
JP2017100826A (ja) 連結エレベータカゴ及びそれを使用した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4002041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