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489B1 -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489B1
KR100619489B1 KR1020047014923A KR20047014923A KR100619489B1 KR 100619489 B1 KR100619489 B1 KR 100619489B1 KR 1020047014923 A KR1020047014923 A KR 1020047014923A KR 20047014923 A KR20047014923 A KR 20047014923A KR 100619489 B1 KR100619489 B1 KR 100619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support
screw shaft
load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4839A (ko
Inventor
후지타요시아키
곤도나오키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4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66B1/42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separate from the main drive
    • B66B1/425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separate from the main drive adapted for multi-deck cars in a single car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4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taking account of disturbance factors, e.g. variation of load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66B11/0213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 B66B11/022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with changeable inter-deck d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할 때에 각 엘리베이터 카에 충격이나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상측 엘리베이터 카(20)를 현수 지지하는 좌우의 지지로부터 상측 지지 빔(41)에 부하되는 하중을 좌우 상측 측정 수단(50L, 50R)으로 각각 측정한다. 마찬가지로, 하측 엘리베이터 카(30)를 현수 지지하는 좌우의 지지대(32L, 32R)로부터 하측 지지 빔(42)에 부하되는 하중을 좌우의 하측 측정 수단(60L, 60R)으로 각각 측정한다. 이에 따라, 좌우의 나사축(17L, 17R)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좌우의 구동 모터(18L, 18R)가 출력하는 구동 토크를 정확하게 제어하여,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할 때에 각 엘리베이터 카(20, 30)에 충격이나 진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충격, 진동, 현수, 지지대, 하중, 구동 모터.

Description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DOUBLE DECK ELEVATOR}
본 발명은 상하 엘리베이터 카 사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 가능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각 엘리베이터 카에 충격이나 진동을 주지 않고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개량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고층 빌딩에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상하 방향의 수송력(輸送力)을 강화하기 위하여, 건물의 상하 두 개의 플로어(floor)에 각각 착상(着床)하는 상하(上下)의 엘리베이터 카를 구비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런데 최근의 초고층 빌딩은 1 층에 개방형 엔트런스 홀이나 로비 등을 설치하여 의장성을 높인 것이 많고, 1 층의 바닥에서 천정까지의 높이가 다른 층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많다.
그래서 착상하는 플로어 사이의 상하 방향 간격에 맞추어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 사이의 상하 방향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종래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1)에서는 메인 로프(R)에 의해 현수된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2)에 의해서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3, 4) 가 상하로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카 프레임(2)을 구성하는 좌우의 세로 프레임(2a, 2b)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나사축(5L, 5R)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카 프레임(2)을 구성하는 상부 빔(2c)에는 좌우의 나사축(5L, 5R)을 정역(正逆) 양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6L, 6R)가 각각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나사축(5L, 5R)의 상측 나사부(5a)에는, 상측 엘리베이터 카(3)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7)의 나사 너트(7a)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아울러 좌우의 나사축(5L, 5R)의 하측 나사부(5b)에는, 하측 엘리베이터 카(4)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8)의 나사 너트(8a)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좌우의 나사축(5L, 5R)의 상측 나사부(5a)와 하측 나사부(5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우의 구동 모터(6L, 6R)를 이용해 좌우의 나사축(5L, 5R)을 구동해 각각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3, 4) 사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좁힐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좌우의 나사축(5L, 5R)을 구동하여 각각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3, 4) 사이의 상하 방향 간격을 넓힐 수 있다.
그런데, 도 8에 나타낸 종래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1)에서는,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3, 4)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하지 않을 때에는 좌우의 나사축(5L, 5R)이 회전하지 않게 각각 브레이크를 걸어,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3, 4)의 상하 방향 간격이 변화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수반하여,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3, 4) 사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할 때에는, 좌우의 나사축(5L, 5R)에 걸린 브레이크를 각각 해제하고, 좌우의 나사축(5L, 5R)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상측 엘리베이터 카(3)를 탄 승객보다도 하측 엘리베이터 카(4)를 탄 승객 쪽이 많으면, 상측 엘리베이터 카(3)보다도 하측 엘리베이터 카(4) 쪽이 무거워진다.
이에 따라, 상측 엘리베이터 카(3)의 중량이 좌우의 나사축(5L, 5R)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가압력보다도, 하측 엘리베이터 카(4)의 중량이 좌우의 나사축(5L, 5R)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가압력 쪽이 커진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3, 4) 사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하고자 좌우의 나사축(5L, 5R)에 건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순간, 좌우의 나사축(5L, 5R)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카(3, 4)에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카(3, 4) 내의 승객에게 불쾌감을 주고 만다.
그런데, 엘리베이터 카(3, 4) 사이의 중량을 각각 측정함과 함께, 엘리베이터 카(3, 4) 사이의 중량 차(差)에 따른 크기 및 방향의 구동 토크(torque)를 구동 모터(6L, 6R)가 미리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3, 4) 사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할 때에 좌우의 나사축(5L, 5R)에 걸친 브레이크를 해제하여도 엘리베이터 카(3, 4)에 충격이나 진동을 주지 않게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엘리베이터 카(3, 4)를 지지 프레임(7, 8)에 대해서 탄성 지지하기 위한 방진(防振) 고무를 엘리베이터 카(3, 4)의 하부의 네 귀퉁이에 배열 설치하는 동시에, 지지 프레임(7, 8)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3, 4)의 상하 방향 변위를 측정하기 위해서 각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의 중앙 위치에서 상하 방향의 변위를 각 센서에 의해 측정하고 있다.
또, 각 센서로부터 얻어진 각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의 상하 방향 변위와 방진 고무의 탄성 정수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카(3, 4)의 중량을 산출하고 있다.
그렇지만, 엘리베이터 카(3, 4)의 바닥의 중앙 위치에서의 상하 방향 변위가 엘리베이터 카(3, 4)의 상하 방향 변위를 항상 정확하게 나타낸다고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카(3)의 좌측으로 치우쳐서 승객이 탔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카(3)의 좌측 상하 방향 변위는 크지만, 엘리베이터 카(3)의 우측의 상하 방향의 변위는 작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 바닥을 구성하는 보강 부재의 위치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 카(3, 4)의 전체의 상하 방향 변위와 엘리베이터 바닥의 중앙 위치에서의 상하 방향 변위가 다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의 정확한 측정값에 의거하여 나사축 수단의 작동을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할 때에 엘리베이터 카에 충격이나 진동을 생기게 하지 않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에 상하로 운동 가능하게 설치한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 가능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을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나사축 구동 수단과,
상기 나사축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나사축의 상측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운동함과 동시에,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배열 설치된 1 개의 상측으로 현수 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를 현수(懸垂) 지지하는 상측 지지 수단과,
상기 나사축의 상기 상측 나사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나사골이 진 하측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운동하는 동시에,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배열 설치된 1 개의 하측 현수 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를 현수 지지하는 하측 지지 수단과,
상기 상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측 지지 수단에 부하(負荷)되는 하중치(荷重値)를 측정하는 상측 측정 수단과,
상기 하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기 하측 지지 수단에 부하되는 하중치를 측정하는 하측 측정 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하기 전에, 상기 상측 측정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상기 하중치 및 상기 하측 측정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상기 하중치에 의거하여,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 사이의 중량 차에 의해 상기 나사축에 작용하는 회전 가압력을 소거하는 방향 및 크기의 구동 토크를 상기 나사축 구동 수단이 출력하도록 상기 나사축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상측 지지 수단 및 하측 지지 수단을, 각각 그 기단(基端)이 나사축에 따라서 지지되는 캔틸레버(cantilever) 빔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상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 바람직하게는 상부 중앙에 배열 설치된 1 개의 상측 현수 지지부를 통하여 상측 지지 수단이 상측 엘리베이터 카를 현수 지지하는 동시에, 상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측 지지 수단에 부하되는 하중치를 상측 측정 수단이 측정한다.
또한,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 바람직하게는 상부 중앙에 배열 설치된 1 개의 하측 현수 지지부를 통하여 하측 지지 수단이 하측 엘리베이터 카를 현수 지지하는 동시에, 하측 현수 지지부에서 하측 지지 수단에 부하되는 하중치를 하측 측정 수단이 측정한다.
이에 따라, 상측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의 전부를 1 개의 상측 현수 지지부에서, 또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의 전부를 1 개의 하측 현수 지지부에서, 각각 집중적으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수단은 이와 같이 하여 정확하게 측정된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에 의거하여,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하기 전에, 상측 엘리베이터 카와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 차에 기인하여 나사축에 작용하는 회전 가압력을 소거하는 방향 및 크기의 구동 토크를 나사축 구동 수단이 출력하도록 그 작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할 때에 나사축의 회전을 막고 있는 브레이크를 해제하여도, 상측 엘리베이터 카와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 차에 기인하여 나사축이 회전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할 때에 각 엘리베이터 카에 충격이나 진동을 생기게 하는 일이 없다.
(2) 또,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에 상하로 운동 가능하게 설치한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 가능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의 좌우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나사축과,
상기 좌우의 나사축을 각각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좌우의 나사축 구동 수단과,
상기 좌우의 나사축 구동 수단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방(上方)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좌우의 나사축의 상측 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하여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운동하는 상측 지지 수단과,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좌우의 나사축의 상기 상측 나사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나사골이 진 하측 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하여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운동하는 하측 지지 수단과,
상기 좌우의 나사축 근방에서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의 좌우에 각각 배열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측 지지 수단과 각각 걸어 맞춤하여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를 현수 지지하는 좌우 상측 현수 지지부와,
상기 좌우의 나사축 근방에 있어서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의 좌우에 각각 배열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하측 지지 수단과 각각 걸어 맞춤하여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를 현수 지지하는 좌우의 하측 현수 지지부와,
상기 좌우의 상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측 지지 수단에 각각 부하되는 하중치를 각각 측정하는 좌우 상측 측정 수단과,
상기 좌우의 하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기 하측 지지 수단에 각각 부하되는 하중치를 각각 측정하는 좌우의 하측 측정 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調整)하기 전에,
좌측의 상기 상측 측정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상기 하중치 및 좌측의 상기 하측 측정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상기 하중치에 의거하여, 좌측의 상기 상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측 지지 수단에 부하되는 하중과 좌측의 상기 하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기 하측 지지 수단에 부하되는 하중의 차에 기인하여 좌측의 상기 나사축에 작용하는 회전 가압력을 소거하는 방향 및 크기의 구동 토크를 출력하도록 좌측의 상기 나사축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 상기 제어 수단은 우측의 상기 상측 측정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상기 하중치 및 우측의 상기 하측 측정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상기 하중치에 의거하여, 우측의 상기 상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측 지지 수단에 부하되는 하중과 우측의 상기 하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기 하측 지지 수단에 부하되는 하중의 차에 기인하여 우측의 상기 나사축에 작용하는 회전 가압력을 소거하는 방향 및 크기의 구동 토크를 출력하도록 우측의 상기 나사축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상측 지지 수단 및 하측 지지 수단을, 각각 좌우의 나사축에 의해 지지되는 캔틸레버 빔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 상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의 좌우에 각각 배열 설치된 각 상측 현수 지지부를 통하여 상측 지지 수단이 상측 엘리베이터 카를 현수 지지하는 동시에,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의 좌우에 각각 배열 설치된 각 상측 현수 지지부를 통하여 하측 지지 수단이 하측 엘리베이터 카를 현수 지지한다.
이 때, 좌우의 상측 현수 지지부가 각각 좌우의 나사축 근방에 배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의 상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측 지지 수단에 부하되는 하중 의 크기는 상측 지지 수단으로부터 좌측의 나사축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에 대략 동등하고, 또한 우측의 상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측 지지 수단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는 하측 지지 수단으로부터 우측의 나사축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와 거의 동등하다.
마찬가지로, 좌우의 하측 현수 지지부가 각각 좌우의 나사축 근방에 배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의 하측 현수 지지부에서 하측 지지 수단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는 하측 지지 수단으로부터 좌측의 나사축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와 거의 동등하고, 또한 우측의 하측 현수 지지부에서 하측 지지 수단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는 하측 지지 수단으로부터 우측의 나사축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와 거의 동등하다.
이에 따라, 좌측의 상측 측정 수단 및 좌측의 하측 측정 수단은 상측 지지 수단으로부터 좌측의 나사축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 및 하측 지지 수단으로부터 좌측의 나사축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를, 각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측 상측 측정 수단 및 우측의 하측 측정 수단은 상측 지지 수단으로부터 우측의 나사축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 및 하측 지지 수단으로부터 우측의 나사축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를 각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제어 수단은 이와 같이 하여 정확하게 측정된 하중치에 의거하여,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하기 전에, 상측 지지 수단으로부터 좌측의 나사축에 부하되는 하중과 하측 지지 수단으로부터 좌측의 나사축에 부하되는 하중의 차에 기인하여 좌측의 나사축에 작용하는 회전 가압력을 소거하는 방향 및 크기의 구동 토크를 좌측의 나사축 구동 수단이 출력하도록 그 작동을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제어 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정확하게 측정된 하중치에 의거하여,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하기 전에, 상측 지지 수단으로부터 우측의 나사축에 부하되는 하중과 하측 지지 수단으로부터 우측의 나사축에 부하되는 하중의 차에 기인하여 우측의 나사축에 작용하는 회전 가압력을 소거하는 방향 및 크기의 구동 토크를 우측의 나사축 구동 수단이 출력하도록 그 작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제 2 항에 기재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예를 들어 각 엘리베이터 카의 좌측으로 치우치게 승객이 타고 있는 경우라도,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할 때에 나사축의 회전을 막고 있는 브레이크를 해제했을 때에, 좌우의 나사축의 모두가 상측 엘리베이터 카와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 차에 기인하여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각 엘리베이터 카에 충격이나 진동을 생기게 하는 일이 없다.
(3) 또, 본 발명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상기 상측 측정 수단 및 상기 하측 측정 수단이, 상기 상측 지지 수단과 상기 상측 현수 지지부의 사이 및 상기 하측 지지 수단과 상기 하측 현수 지지부 사이에 끼움 장착된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상하 방향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탄성체의 탄성 정수 및 상기 센서로부터 얻어 진 변형량에 의거하여 상기 하중치를 각각 산출한다.
즉, 상술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의 전체 중량이 각 현수 지지부를 통하여 각 지지 수단에 각각 부하된다.
이에 따라, 각 현수 지지부와 각 지지 수단 사이에 개재한 탄성체의 상하 방향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동시에, 측정된 상하 방향의 변형량과 탄성체의 탄성 정수에 의거하여, 각 현수 지지부로부터 각 지지 수단에 각각 부하되는 하중값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각 현수 지지부와 각 지지 수단 사이에 개재하는 탄성체는, 각 엘리베이터 카를 탄성적으로 현수(懸垂)해서 그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진 고무로 할 수 있다.
또, 탄성체(彈性體)의 상하 방향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각 현수 지지부와 각 지지 수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차동 트랜스듀서(transducer)나, 리니어 엔코더, 레이저광이나 적외광을 이용한 광학 거리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4) 또한, 본 발명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센서로부터 얻어진 상기 탄성체의 상하 방향의 변형량에 의거하여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의 조정을 행한다.
즉, 나사축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은 나사축 구동 수단을 통하여 나사축의 회전 방향 및 총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상측 지지 수단과 하측 지지 수단의 상하 방향 간격을 제어한다.
이 때, 본 발명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각 탄성체의 상하 방향의 변형량, 따라서 각 지지 수단에 대한 각 엘리베이터 카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보다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5) 또한, 본 발명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상기 상측 측정 수단 및 상기 하측 측정 수단을, 상기 상측 지지 수단과 상기 상측 현수 지지부의 사이 및 상기 하측 지지 수단과 상기 하측 현수 지지부 사이에 각각 끼움 장착된 로드 셀로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의 전 중량이 각 현수 지지부를 통하여 각 지지 수단에 각각 부하된다.
이에 따라, 각 현수 지지부와 각 지지 수단 사이에 로드 셀을 끼움 장착하면, 각 현수 지지부로부터 각 지지 수단에 각각 부하되는 하중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6) 또, 본 발명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상기 로드 셀이 상기 상측 지지 수단과 상기 상측 현수 지지부 사이 및 상기 하측 지지 수단과 상기 하측 현수 지지부 사이에, 탄성체와 직렬로 배열 설치된다.
즉, 각 현수 지지부와 지지 수단 사이에 로드 셀과 탄성체를 직렬로 끼움 장착하면, 각 현수 지지부로부터 각 지지 수단에 각각 부하되는 하중값을 정확하게 알아, 각 엘리베이터 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 중에 나타낸 A-A 점선을 따른 수평 단면도.
도 3은 도 2 중에 나타낸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측면도(a) 및 화살표 C 방향에서 본 측면도(b).
도 4는 각 측정 수단과 제어 수단 및 각 구동 모터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1 개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 3과 동일한 측면도.
도 6은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도 3과 동일한 측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전체 측면도.
도 8은 종래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연직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각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 문이 개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각 엘리베이터 카에 승객이 출입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한다.
먼저 최초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100)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면, 메인 로프(R)에 의해 현수된 프레임(10)은 상부 빔(11)과 하부 빔(12)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세로 빔(13L, 13R)을 갖고 있다.
또, 좌우의 세로 빔(13L, 13R) 근방에는, 상부 빔(11)에 장착된 지지 암(14L, 14R) 및 세로 빔(13L, 13R)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중간 빔(15)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의 볼 나사(나사축)(17L, 17R)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좌우의 볼 나사(17L, 17R)는, 지지 암(14L, 14R)에 장착된 좌우의 구동 모터(나사축 구동 수단)(18L, 18R)에 의해서, 각각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또, 그 상부에 설치된 상측 나사부(17a)와, 그 하측에 설치된 하측 나사부(17b)는 나사의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다.
또, 좌우의 구동 모터(18L, 18R)의 작동은, 마이크로 컴퓨터인 제어 수단(19)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10)의 내측에는,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20, 30)가 도시되지 않은 지지 수단에 의해서 상하로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측 엘리베이터 카(20)는, 도시한 좌측의 전후 양단부에 세워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프레임재(21L, 21L)와, 도시된 우측의 전후 양단부에 세워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프레임재(21R, 21R)를 갖고 있다.
좌측의 전후 1 쌍의 프레임재(21L, 21L)의 상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의 하측 지지 암(상측 현수 지지부)(22L)이 걸쳐 걸려 있다.
또, 우측의 전후 1 쌍의 프레임재(21R, 21R)의 상단부에는, 좌측의 상측 지지 암(22L)과 평행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의 상측 현수 지지대(상측 현 수 지지부)(22R)가 걸쳐 걸려 있다.
또한, 도시한 상황에 따라서, 도 1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좌우 상측 지지 암(22L, 22R)의 전후 양단부 사이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1 쌍의 보강 부재(23, 24)에 의해서 연결되어 보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측 엘리베이터 카(30)는, 도시한 좌측의 전후 양단부에 세워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프레임재(31L, 31L)와, 도시된 우측의 전후 양단부에 세워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프레임재(31R, 31R)를 갖고 있다.
좌측의 전후 1 쌍의 프레임재(31L, 31L)의 상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의 하측 지지 암(상측 현수 지지부)(32L)이 걸쳐 걸려 있다.
또, 우측의 전후 1 쌍의 프레임재(31R, 31R)의 상단부에는, 좌측의 하측 지지 암(32L)과 평행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의 하측 지지 암(하측 현수 지지부)(32R)이 걸쳐 걸려 있다.
또한, 도시한 상황에 따라 도 1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좌우 상측 지지 암(32L, 32R)의 전후 양단부 사이는, 상측 엘리베이터 카(20)와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기 전후에 1 쌍의 보강 부재에 의해서 연결되어 보강되어 있다.
상측 엘리베이터 카(20)의 상방에서, 또한 좌우 상측 지지 암(22L, 22R)의 하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지지 빔(상측 지지 수단)(41)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상측 지지 빔(41)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장착된 좌우의 나사 너트 (41L, 41R)는, 좌우의 볼 나사(17L, 17R)의 상측 나사부(17a,17a)와 각각 나사 결합하고 있다.
또한, 상측 지지 빔(4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축(43)에 의해서 좌우의 나사 너트(41L, 41R)에 각각 축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측 엘리베이터 카(30)의 상방에서, 또한 좌우 상측 지지 암(32L, 32R)의 하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지지 빔(하측 지지 수단)(42)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하측 지지 빔(42)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장착된 좌우의 나사 너트(41L, 41R)는, 좌우의 볼 나사(17L, 17R)의 하측 나사부(17b, 17b)와 각각 나사 결합하고 있다.
또, 하측 지지 빔(42)은, 상측 지지 빔(41)과 마찬가지로 지축(43)에 의해서 좌우의 나사 너트(42L, 42R)에 각각 피벗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우의 볼 나사(17L, 17R)를 정(正)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측 지지 빔(41)이 강하함과 함께 하측 지지 빔이 상승한다.
이것과는 반대로, 좌우의 볼 나사(17L, 17R)를 역(逆)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측 지지 빔(41)이 상승함과 함께 하측 지지 빔이 강하한다.
상측 지지 빔(41)과 좌측의 상측 지지 암(22L) 사이에는 좌측의 상측 측정 수단(50L)이 끼움 장착되어, 또한 상측 지지 빔(41)과 우측 상측 지지 암(22R) 사이에는 우측 상측 측정 수단(50R)이 끼움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측 지지 빔(41)은, 좌우 상측 측정 수단(50L, 50R) 및 좌우 상측 지지 암(22L, 22R)을 통하여, 상측 엘리베이터 카(20)를 현수 지지한다.
마찬가지로, 하측 지지 빔(42)과 좌측의 하측 지지 암(32L) 사이에는 좌측의 하측 측정 수단(60L)이 끼움 장착되고, 또한 하측 지지 빔(42)과 우측의 하측 지지 암(32R) 사이에는, 우측의 하측 측정 수단(60R)이 끼움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측 지지 빔(42)은, 좌우의 하측 측정 수단(60L, 60R) 및 좌우의 하측 지지 암(32L, 32R)을 통하여, 하측 엘리베이터 카(30)를 현수 지지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좌우 상측 측정 수단(50L, 50R) 및 좌우의 하측 측정 수단(60L, 60R)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들의 측정 수단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좌측의 상측 측정 수단(50L)의 구조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좌측의 상측 측정 수단(50L)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지지 빔(41)의 상면에 고정된 부착판(44)과, 상측 지지 암(22L)의 하면에 고정된 부착판(51)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끼워 장착된 전후 1 쌍의 탄성체(52, 52)를 갖고 있다.
이들의 탄성체(52, 52)는, 상측 엘리베이터 카(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엘리베이터 카 내의 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방진 고무의 역할을 한다.
또, 상측 지지 암(22L) 측의 부착판(51)의 L자형으로 접어굽힌 선단에는, 전후 1 쌍의 탄성체(52, 52)의 상하 방향의 변형량, 바꾸어 말하면 상측 지지 빔(41)과 상측 지지 암(22L)의 상하 방향의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의 차동 트랜스듀서(53)가, 전후 1 쌍의 탄성체(52, 52)의 중간 위치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차동 트랜스듀서(5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배선(54)을 통하여 제어 수단(19)으로 송신된다.
좌측의 상측 측정 수단(50L)으로 송신되는 신호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수단(19)의 좌측 구동 모터 제어부(19L)에 입력한다.
이것에 대해서, 우측의 상측 측정 수단(50R)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는, 제어 수단(19)의 우측 구동 모터 제어부(19R)로 입력한다.
마찬가지로, 좌측의 하측 측정 수단(60L)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는 제어 수단(19)의 좌측 구동 모터 제어부(19L)에, 우측의 하측 측정 수단(60R)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는 제어 수단(19)의 우측 구동 모터 제어부(19R)에 각각 입력한다.
제어 수단(19)의 좌측 구동 모터 제어부(19L)는, 좌측의 상측 측정 수단(50L) 및 좌측의 하측 측정 수단(60L)으로부터 각각 입력된 탄성체(52)의 상하 방향의 변형량과 탄성체(52)의 탄성 정수에 의거하여, 좌측의 상측 지지 암(22L)으로부터 상측 지지 빔(41)으로 부하되는 하중치 및 좌측의 하측 지지 암(32L)으로부터 하측 지지 빔(42)에 부하되는 하중치를 각각 산출한다.
그 다음에 제어 수단(19)의 좌측 구동 모터 제어부(19L)는, 산출된 각 하중치의 차를 산출한 뒤에, 도시되지 않은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맵을 참조하고, 하중치의 차이에 대응해 좌측의 구동 모터(18L)가 출력해야할 구동 토크의 방향 및 크기를 얻는다.
이 때 좌측의 구동 모터(18L)가 출력해야할 구동 토크의 방향 및 크기라 함은, 상측 지지 빔(41)의 좌측 나사 너트(41L)로부터 좌측 볼 나사(17L)에 부하되는 하중과 하측 지지 빔(42)의 좌측 나사 너트(41L)로부터 좌측의 볼 나사(17L)에 부하되는 하중의 차에 기인하여 좌측 볼 나사(17L)에 작용하는 회전 가압력을 소거할 수 있는 구동 토크의 방향 및 크기이다.
또, 제어 수단(19)의 좌측 구동 모터 제어부(19L)는, 이러한 구동 토크를 좌측의 구동 모터(18L)가 출력하도록 그 작동을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제어 수단(19)의 우측 구동 모터 제어부(19R)는, 우측의 상측 측정 수단(50R) 및 우측의 하측 측정 수단(60R)으로부터 각각 입력한 탄성체(52)의 상하 방향의 변형량과 탄성체(52)의 탄성 정수에 의거하여, 우측의 상측 지지 암(22R)으로부터 상측 지지 빔(41)에 부하되는 하중치 및 우측의 하측 지지 암(32R)으로부터 하측 지지 빔(42)에 부하되는 하중치를 각각 산출한다.
그 다음으로 제어 수단(19)의 우측 구동 모터 제어부(19R)는, 산출된 각 하중치의 차를 산출한 뒤에, 도시되지 않은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맵을 참조하고, 하중치의 차에 대응해서 우측의 구동 모터(18R)가 출력해야할 구동 토크의 방향 및 크기를 얻는다.
이 때 우측의 구동 모터(18R)가 출력해야할 구동 토크의 방향 및 크기라 함은, 상측 지지 빔(41)의 우측 나사 너트(41R)로부터 우측 볼 나사(17R)에 부하되는 하중과 하측 지지 빔(42)의 우측 나사 너트(41R)로부터 우측의 볼 나사(17R)에 부하되는 하중의 차에 기인하여 우측 볼 나사(17R)에 작용하는 회전 가압력을 소거할 수 있는 구동 토크의 방향 및 크기이다.
또, 제어 수단(19)의 우측 구동 모터 제어부(19R)는, 이러한 구동 토크를 우 측의 구동 모터(18R)가 출력하도록 그 작동을 제어한다.
이 때, 좌우 상측 지지 암(22L, 22R)은 각각 좌우의 볼 나사(17L, 17R) 근방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측의 상측 지지 암(22L)으로부터 상측 지지 빔(41)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는, 상측 지지 빔(41)의 좌측의 나사 너트(41L)로부터 좌측의 볼 나사(17L)로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와 같다.
또, 우측의 상측 지지 암(22R)으로부터 상측 지지 빔(41)으로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는, 상측 지지 빔(41)의 우측의 나사 너트(41R)로부터 우측의 볼 나사(17R)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와 같다.
마찬가지로, 좌우의 하측 지지 암(32L, 32R)은 각각 좌우의 볼 나사(17L, 17R) 근방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측의 하측 지지 암(32L)으로부터 하측 지지 빔(42)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는, 하측 지지 빔(42)의 좌측의 나사 너트(42L)로부터 좌측의 볼 나사(17L)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와 같다.
또, 우측의 하측 지지 암(32R)으로부터 하측 지지 빔(42)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는, 하측 지지 빔(42)의 우측 나사 너트(42R)로부터 우측의 볼 나사(17R)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와 같다.
이에 따라, 좌측의 상측 측정 수단(50L) 및 좌측의 하측 측정 수단(60L)은, 상측 지지 빔(41)으로부터 좌측의 볼 나사(17L)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 및 하측 지지 빔(42)으로부터 좌측의 볼 나사(17L)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를, 각각 정확하 게 측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상측 측정 수단(50R) 및 우측의 하측 측정 수단(60R)은, 상측 지지 빔(41)으로부터 우측의 볼 나사(17R)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 및 하측 지지 빔(42)으로부터 우측의 볼 나사(17R)에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를 각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제어 수단(19)은, 이와 같이 하여 정확하게 측정된 하중치에 의거하여, 상측 엘리베이터 카(20)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30)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하기 전에, 상측 지지 빔(41)에서 좌측의 볼 나사(17L)에 부하되는 하중과 하측 지지 빔(42)으로부터 좌측의 볼 나사(17L)에 부하되는 하중의 차에 의해서 좌측의 볼 나사(17L)에 작용하는 회전 가압력을 소거하는 방향 및 크기의 구동 토크를 좌측의 구동 모터(18L)가 출력하도록 그 작동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 수단(19)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정확하게 측정된 하중치에 의거하여, 상측 엘리베이터 카(20)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30)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하기 전에, 상측 지지 빔(41)으로부터 우측의 볼 나사(17R)에 부하되는 하중과 하측 지지 빔(42)으로부터 우측의 볼 나사(17R)에 부하되는 하중의 차이에 의해서 우측의 볼 나사(17R)에 작용하는 회전 가압력을 소거하는 방향 및 크기의 구동 토크를 우측의 구동 모터(18R)가 출력하도록 그 작동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100)에서는, 제어 수단(19)이 좌우의 구동 모터(18L, 18R)의 작동을 극히 높은 정밀도로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엘리베이터 카(20, 30)의 예를 들어 좌측으로 치우쳐 승객이 타고 있기 때문에 좌우의 볼 나사(17L, 17R)에 부하되는 하중이 다른 경우라도, 좌우의 볼 나사(17L, 17R)의 회전을 막고 있는 브레이크를 해제했을 때에 좌우의 볼 나사(17L, 17R)의 어느 것이 각 엘리베이터 카(20, 30) 사이의 중량 차에 기인하여 회전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각 엘리베이터 카(20, 30)에 충격이나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고 각 엘리베이터 카(20, 30)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100)의 몇 가지의 변형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측 지지 빔(41)과 상측 지지 암(22L) 사이에 끼움 장착된 전후 1 쌍의 탄성체(52, 52)의 상하 방향의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상측 지지 빔(41)과 상측 지지 암(22L)과 상하 방향의 간격을 측정하는 차동 트랜스듀서(53)를 이용했다.
이것에 대해서, 도 5에 나타낸 변형례에서의 좌측의 상측 측정 수단(70L)에서는, 적외선 등의 광선을 이용한 비접촉 변위 합계(71)를 사용하고 있다.
또, 이 변위 합계(71)의 출력 신호는, 배선(72)을 통하여 제어 수단(19)에 송신된다.
도 6에 나타낸 변형례에서의 좌측의 상측 측정 수단(80L)에서는, 상측 지지 빔(41)과 상측 지지 암(22L) 사이에, 탄성체(52)와 로드 셀(81)을 직렬로, 바꾸어 말하면 상하 방향으로 겹친 세트를 전후 2 세트 끼움 장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측 지지 암(22L)으로부터 상측 지지 빔(41)으로 부하되는 하중 의 크기는, 전후 1 쌍의 로드 셀(81)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측정된다.
또, 상측 지지 빔(41)과 상측 지지 암(22L) 사이에 탄성체(52)가 끼움 장착되어 있으므로, 각 엘리베이터 카(20, 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해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측 지지 암(22L)의 하면에 장착된 지지판(82)의 관통 구멍(L82a)에는, 상측 지지 빔(41) 위에 고정된 너트(83)와 나사 결합함과 동시에 록 너트(84)에 의해 느슨해져 멈춰진 볼트(85)가 삽통(揷通)되어, 상측 지지 빔(41)에 대한 상측 지지 암(22L)의 전후 좌우 방향의 과대한 변위를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200)에서는, 상측 엘리베이터 카(20)를 현수 지지하는 상측 지지 빔(45)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30)를 현수 지지하는 하측 지지 빔(46)이, 각각 캔틸레버 빔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상측 엘리베이터 카(20)의 네 귀퉁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범위 부재(21L, 21R)의 상단부에는, 상방에서 내려다보았을 때에 상측 엘리베이터 카(20)의 중심에서 교차하여 X자형으로 연장되는 상측 지지 암(25)이 걸쳐 걸려 있다.
또, 상측 지지 빔(45)의 선단과 상측 지지 암(25)의 교차 위치 사이에는, 상측 엘리베이터 카(20)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측 측정 수단(26)이 끼움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측 엘리베이터 카(30)의 네 귀퉁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범위 부재(31L,31R)의 상단부에는, 상방에서 내려다보았을 때에 하측 엘리베이터 카(30)의 중심에 두고 교차해 X자형으로 연장되는 상측 지지 암(35)이 걸쳐 걸려 있다.
다시 또, 하측 지지 빔(46)의 선단과 하측 지지 암(35)의 교차 위치 사이에는, 하측 엘리베이터 카(30)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하측 측정 수단(36)이 끼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상측 엘리베이터 카(20)의 중량의 전부를 1 개의 상측 측정 수단(26)에 의해서, 또 하측 엘리베이터 카(30)의 중량의 전부를 1 개의 하측 측정 수단(36)에 의해서, 각각 집중적으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측 엘리베이터 카(20)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30)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수단(19)은, 이와 같이 하여 정확하게 측정된 상측 엘리베이터 카(20)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30)의 중량에 의거하여, 상측 엘리베이터 카(20)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30)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하기 전에, 상측 엘리베이터 카(20)와 하측 엘리베이터 카(30)의 중량 차에 기인하여 볼 나사(17)에 작용하는 회전 가압력을 소거하는 방향 및 크기의 구동 토크를 구동 모터(18)가 출력하도록 그 작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이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200)에 의하면, 상측 엘리베이터 카(20)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30)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할 때에 볼 나사(17)의 회전을 막고 있는 브레이크를 해제해도, 상측 엘리베이터 카(20)와 하측 엘리베이터 카 (30)의 중량 차에 의해서 볼 나사(17)가 회전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상측 엘리베이터 카(20)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30)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할 때에 각 엘리베이터 카(20, 30)에 충격이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일 실시예 및 그 변형례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측정 수단에 이용한 탄성체(52)가 각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지만, 각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또,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각 엘리베이터 카를 현수 지지하는 것에 의해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을 각각 아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 사이의 중량 차를 극히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의 조정에 사용하는 나사축 구동 수단의 작동을 한층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하기 전에,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 사이의 중량 차에 기인하여 나사축에 작용하는 회전 가압력을 소거하는 방향 및 크기의 구동 토크를 나사축 구동 수단이 출력하도록 나사축 구동 수단의 작동을 극히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에 충격이나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고, 상하의 엘리베 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에 상하로 운동 가능하게 설치한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調整) 가능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을 정역(正逆) 양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나사축 구동 수단과,
    상기 나사축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나사축의 상측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운동하는 동시에,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배열 설치된 1 개의 상측 현수 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를 현수 지지하는 상측 지지 수단과,
    상기 나사축의 상기 상측 나사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나사골이 진 하측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운동하는 동시에,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배열 설치된 1 개의 하측 현수 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를 현수 지지하는 하측 지지 수단과,
    상기 상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측 지지 수단에 부하(負荷)되는 하중치(荷重値)를 측정하는 상측 측정 수단과,
    상기 하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기 하측 지지 수단에 부하되는 하중치를 측 정하는 하측 측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하기 전에, 상기 상측 측정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상기 하중치 및 상기 하측 측정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상기 하중치에 의거하여,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 사이의 중량 차(差)에 의해 상기 나사축에 작용하는 회전 가압력을 소거하는 방향 및 크기의 구동 토크(torque)를 상기 나사축 구동 수단이 출력하도록 상기 나사축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2.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에 상하로 운동 가능하게 설치한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 가능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의 좌우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나사축과,
    상기 좌우의 나사축을 각각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좌우의 나사축 구동 수단과,
    상기 좌우의 나사축 구동 수단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방(上方)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좌우의 나사축의 상측 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하여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운동하는 상측 지지 수단과,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방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좌우의 나사축의 상기 상측 나사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나사골이 진 하측 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하여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운동하는 하측 지지 수단과,
    상기 좌우의 나사축 근방에 있어서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의 좌우에 각각 배열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측 지지 수단과 각각 걸어 맞춤하여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를 현수 지지하는 좌우 상측 현수 지지부와,
    상기 좌우의 나사축 근방에 있어서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의 좌우에 각각 배열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하측 지지 수단과 각각 걸어 맞춤하여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를 현수 지지하는 좌우의 하측 현수 지지부와,
    상기 좌우 상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측 지지 수단에 각각 부하되는 하중치를 각각 측정하는 좌우 상측 측정 수단과,
    상기 좌우의 하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기 하측 지지 수단에 각각 부하되는 하중치를 각각 측정하는 좌우의 하측 측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을 조정하기 전에,
    좌측의 상기 상측 측정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상기 하중치 및 좌측의 상기 하측 측정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상기 하중치에 의거하여, 좌측의 상기 상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측 지지 수단에 부하되는 하중과 좌측의 상기 하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기 하측 지지 수단에 부하되는 하중의 차에 기인하여 좌측의 상기 나사축 에 작용하는 회전 가압력을 소거하는 방향 및 크기의 구동 토르크를 출력하도록 좌측의 상기 나사축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우측의 상기 상측 측정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상기 하중치 및 우측의 상기 하측 측정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상기 하중치에 의거하여, 우측의 상기 상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측 지지 수단에 부하되는 하중과 우측의 상기 하측 현수 지지부로부터 상기 하측 지지 수단에 부하되는 하중의 차에 기인하여 우측의 상기 나사축에 작용하는 회전 가압력을 소거하는 방향 및 크기의 구동 토크를 출력하도록 우측의 상기 나사축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측정 수단 및 상기 하측 측정 수단은 상기 상측 지지 수단과 상기 상측 현수 지지부 사이 및 상기 하측 지지 수단과 상기 하측 현수 지지부 사이에 각각 끼움 장착된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상하 방향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각각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탄성체의 탄성 정수 및 상기 센서로부터 얻어진 상하 방향의 변형량에 의거하여 상기 하중치를 각각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센서로부터 얻어진 상기 탄성체의 상하 방향의 변형량에 의거하여, 상기 상측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하측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방향 간격의 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측정 수단 및 상기 하측 측정 수단은 상기 상측 지지 수단과 상기 상측 현수 지지부 사이 및 상기 하측 지지 수단과 상기 하측 현수 지지부 사이에 각각 끼움 장착된 로드 셀(load 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셀은 상기 상측 지지 수단과 상기 상측 현수 지지부 사이 및 상기 하측 지지 수단과 상기 하측 현수 지지부 사이에, 각각 탄성체와 직렬로 배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KR1020047014923A 2002-03-22 2003-03-18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KR100619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80982 2002-03-22
JP2002080982A JP4107858B2 (ja) 2002-03-22 2002-03-22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PCT/JP2003/003279 WO2003080492A1 (fr) 2002-03-22 2003-03-18 Ascenseur a double c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839A KR20040094839A (ko) 2004-11-10
KR100619489B1 true KR100619489B1 (ko) 2006-09-08

Family

ID=28449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923A KR100619489B1 (ko) 2002-03-22 2003-03-18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017714B2 (ko)
EP (1) EP1498379B1 (ko)
JP (1) JP4107858B2 (ko)
KR (1) KR100619489B1 (ko)
CN (1) CN100368275C (ko)
MY (1) MY132770A (ko)
TW (1) TW590975B (ko)
WO (1) WO20030804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396A (ko) 2018-10-24 2020-05-07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27106A1 (de) * 2004-06-03 2005-12-29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Hebezeug mit Hublastmesseinrichtung
JP2007055799A (ja) * 2005-08-26 2007-03-08 Toshiba Elevator Co Ltd 階間調整機能付き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ITVI20050313A1 (it) * 2005-11-29 2007-05-30 Maber Costruzioni Srl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il controllo automatico del peso del carico presente su uno o piu' gruppi sollevatori di un elevatore, di una piattaforma, di un ascensore o di altri apparecchi consimili
EG24538A (en) * 2006-09-08 2009-09-03 Inventio Ag Method of operating a lift installation, a lift installation operable by this method and safety equipment for this lift installation
KR100850319B1 (ko) * 2007-03-30 2008-08-04 정성욱 리프트 무게 감지장치
EP2221269A1 (de) * 2009-02-20 2010-08-25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einem Mehrdeckfahrzeug
JP5325753B2 (ja) * 2009-12-10 2013-10-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BR112012014441A2 (pt) * 2009-12-15 2017-04-04 Inventio Ag instalação de elevador de dois andares
EP2468673A1 (de) * 2010-12-21 2012-06-27 Inventio AG Aufzuganlage mit Doppeldecker
CN103429518B (zh) * 2011-03-24 2015-09-09 三菱电机株式会社 双层电梯
JP5926924B2 (ja) * 2011-10-25 2016-05-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階間調整式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および制御方法
CN102556805B (zh) * 2011-11-09 2014-09-17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提高井道使用效率的电梯装置
JP5832306B2 (ja) * 2012-01-06 2015-1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装置
CN103193139A (zh) * 2013-04-07 2013-07-10 上海微频莱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系统
CN105829227A (zh) * 2013-12-18 2016-08-03 因温特奥股份公司 具有用于双层轿厢的绝对位置检测系统的电梯设备
EP2886501A1 (de) * 2013-12-18 2015-06-24 Inventio AG Aufzug mit einem Absolutpositionierungssystem für eine Doppeldeckerkabine
WO2016126933A1 (en) * 2015-02-05 2016-08-11 Otis Eleva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elevator system installation
CN106477431B (zh) * 2015-09-01 2020-01-21 奥的斯电梯公司 电梯轿厢的轿厢室隔离
JP6174201B1 (ja) * 2016-06-06 2017-08-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US10144616B2 (en) * 2016-06-10 2018-12-04 Otis Elevator Company Cab for vertical travel with controllable orientation for non-vertical travel
US11117786B2 (en) * 2018-01-15 2021-09-14 Otis Elevator Company Double deck elevator with linear actuator adjustment mechanism
US10329122B1 (en) * 2018-01-15 2019-06-25 Otis Elevator Company H frame for a double deck elevator
US11332344B2 (en) 2018-05-16 2022-05-1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frame assembly
JP2022549964A (ja) * 2019-09-30 2022-11-29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用エレベータかご
AU2022413040A1 (en) * 2021-12-15 2024-06-27 Inventio Ag Car arrangement and method for mounting a spindle drive in a car arrangement for a double-decker elevator
WO2024056436A1 (de) * 2022-09-15 2024-03-21 Inventio Ag Fahrkorbanordnung für einen doppelstockaufzu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1A (en) * 1854-07-11 The graphic co
US2319126A (en) * 1942-01-12 1943-05-11 Portland Company Hydraulic elevator construction
JPS50113162U (ko) * 1974-02-25 1975-09-16
US5311788A (en) * 1991-09-25 1994-05-17 Nsk Ltd. Linear working unit
US5306879A (en) * 1992-01-30 1994-04-26 Inventio Ag Load measuring apparatus for an elevator car
WO1998009906A1 (en) * 1996-09-06 1998-03-12 Otis Elevator Company Double deck elevator car with adjustable floor
JP3345565B2 (ja) * 1997-04-11 2002-11-18 森ビル株式会社 可変式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US5960910A (en) * 1997-12-31 1999-10-05 Otis Elevator Company Double deck elevator cab
SG126669A1 (en) * 1998-02-02 2006-11-29 Inventio Ag Double-decker or multi-decker elevator
JP2000344448A (ja) * 1999-06-07 2000-12-12 Toshiba Corp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装置
US6615952B2 (en) * 2000-03-02 2003-09-09 Kabushiki Kaisha Toshiba Double deck elevator
JP4541498B2 (ja) * 2000-05-15 2010-09-0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4628518B2 (ja) * 2000-05-18 2011-02-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US6450299B1 (en) * 2000-09-14 2002-09-17 C.E. Electronics, Inc. Load measuring for an elevator car
JP4791656B2 (ja) * 2001-07-03 2011-10-1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階高可変式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EP1342690A1 (de) * 2002-03-04 2003-09-10 Inventio Ag Einrichtung zur Feinpositionierung mindestens eines Decks einer Mehrdeckkabine für einen Aufzu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396A (ko) 2018-10-24 2020-05-07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상호 연동형 엘리베이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98379B1 (en) 2020-05-06
CN1642836A (zh) 2005-07-20
CN100368275C (zh) 2008-02-13
KR20040094839A (ko) 2004-11-10
US7017714B2 (en) 2006-03-28
JP2003276956A (ja) 2003-10-02
US20050167207A1 (en) 2005-08-04
EP1498379A4 (en) 2011-01-19
TW200304896A (en) 2003-10-16
WO2003080492A1 (fr) 2003-10-02
EP1498379A1 (en) 2005-01-19
TW590975B (en) 2004-06-11
JP4107858B2 (ja) 2008-06-25
MY132770A (en)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9489B1 (ko)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ES2233245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impedir desplazamientos y oscilaciones verticales en medios de suspension de carga de instalaciones de transporte vertical.
CN100540439C (zh) 对垂直振动进行补偿的电梯及其方法
US4986391A (en) Elevator load weighing
JP4838633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バランス補正装置
KR20020067915A (ko) 개인용 균형 차량
JPH05193841A (ja) 昇降機用かご室アセンブリ誘導システム
US7600597B2 (en) Travel vehicle and travel control method for the travel vehicle
CN1040636C (zh) 振动控制系统及具有该控制系统的电梯系统
CN102838009A (zh) 一种电梯轿厢重心动态自动平衡装置
JP2865949B2 (ja) エレベータの制振装置
CN105460751A (zh) 方法和电梯配置
JPWO2004026749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351281A (ja) 昇降機の制御装置
JP2001171950A (ja) エレベータかご室床の加速度制御システム
CN104671031A (zh) 电梯
JPH0323185A (ja) 昇降機の制振装置
JP2001139239A (ja) エレベーター
JPH0351285A (ja) エレベータかごのバランス調整装置
JPH0672667A (ja) エレベータの制振装置
JPH03115076A (ja) 昇降機の制御装置
JPH10277095A (ja) 救急ストレッチャー架台
JPH06249284A (ja) 車両用制振装置
JPH05155560A (ja) かご枠自動重心補正装置
JP7111083B2 (ja) 二輪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