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522B1 -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도르래 조립체 - Google Patents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도르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522B1
KR100951522B1 KR1020057008323A KR20057008323A KR100951522B1 KR 100951522 B1 KR100951522 B1 KR 100951522B1 KR 1020057008323 A KR1020057008323 A KR 1020057008323A KR 20057008323 A KR20057008323 A KR 20057008323A KR 100951522 B1 KR100951522 B1 KR 100951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elevator system
vehicle body
guide rail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1703A (ko
Inventor
프랑 데트
데이비 두삐
장-노엘 끌로
미쉘 베위새르
라파엘 피카드
파스칼 레빌리아드
페르난도 리코
다비드 필린
위게 파니에르
쟈코버스 벤자민 레게즈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3914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5152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50091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가이드 레일이 장착된 장치(16) 및 가이드 레일(38)을 승강구 내에 수용하는 도르래 조립체(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도르래 조립체는 공통축을 따라 회전하는 개개의 도르래부(54)를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도르래 부는 샤프트(50)를 따라 이격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의 일부는 도르래부의 외부 직경에 접하여 형성된 평면을 넘어 축을 향하여 연장된다.
가이드 레일, 가이드부, 도르래 조립체, 엘리베이터 시스템, 평형추, 하중 베어링 부재

Description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도르래 조립체 {SHEAVE ASSEMBLY FOR A MACHINE ROOM-LESS 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 레일이 장착된 장치를 포함하는 공간 효율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가이드 레일을 수용하는 도르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승강구(hoistway) 내에서 이동하는 차체(car) 및 평형추를 포함한다. 로프는 차체와 평형추를 연결하고 차체와 평형추가 이동할 때에 그것들을 지지한다. 모터는 차체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로프를 구동한다. 전형적으로, 차체는 승강구 내에서 차체를 안내하도록 가이드 레일과 협동하는 롤러 조립체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는, 모터는 승강구의 상부에 배치된 기계실 내에 장착되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차체에 배치된 유동륜 도르래는 평형추를 따라 차체를 올리고 내리는 로프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한다. 로프는 시스템 내의 다양한 위치에서 유동륜 도르래에 감겨 있고,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차체나 평형추에 감겨 있다. 유동륜 도르래는 부득이 승강구 내에 공간을 차지하고, 가이드 레일은 승강구 벽의 내부 표면에서 엘리베이터 차체로 연장된다. 다양한 장치를 장착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었지만, 건축 및 안전 규칙은 때때로 비싼 장비와 조종 장치를 요구한다.
최근에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개발되어서, 더 이상 별도의 기계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보다 단순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제공되는 공간의 보다 효율적인 활용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개발되었다. 그러한 시스템에서도 여전히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필요가 있다.
승강구 공간을 보존하는 시스템 비용을 최소화하고 승강구 내에 엘리베이터 차체의 쉬운 설치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빌딩은 전형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특별한 수납 공간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승강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를 해결한다.
말하자면,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의 일부를 수용하는 독특한 도르래 장치배열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고, 승강구 내에 작은 공간을 요구하고, 시스템 내에 구성요소를 배열하는데 더 많은 다양성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차체와 승강구 내에서 이동하면서 차체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차체에 장착된 도르래 조립체는 도르래부들 사이에 간격을 두고 공통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2개의 도르래부들을 포함한다. 도르래부는 공통축 부근에 배치된 공통 샤프트 또는 개별 샤프트 부근에 장착된다. 레일은 도르래부 사이의 간격 내부로 연장되어 적어도 레일의 일부는 도르래부들 사이의 간격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요소의 장치배열은 더욱 효율적이고 공간을 절약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장점은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따른 도면은 아래와 같이 간단히 설명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2는 가이드 롤러와 유동륜 도르래 조립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차체의 측면도이다.
도3은 엘리베이터 차체 및 평형추의 정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5는 엘리베이터 차체 및 평형추의 유동륜 도르래의 확대도이다.
도6은 엘리베이터 차체의 롤러 조립체 및 평형추 상의 도르래 조립체들의 확대도이다.
도7은 유동륜 도르래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승강구(14) 내에서 이동하도록 지지되는 엘리베이터 차체(12)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이다. 승강구(14)는 승강구(14)의 내부 벽(24) 상에 위치하고 평형추 브래킷(56)에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38)을 포함한다. 평형추 브래킷(56)은 대향측 내부 벽(26)에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38)은 승강구(14) 내에서 엘리베이터 차체(12)의 이동을 안내한다. 평형추 브래킷(56)은 평형추(22)의 이동을 위하여 승강구(14)의 전체 높이(42)를 연장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평형추(22)는 알려진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차체(12)가 이동할 때 이동한다. 평형추(22)는 승강구 내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40)에 의하여 안내된다(도3에 도시). 엘리베이터 차체(12) 및 평형추(22)는 로프(36)와 협동하는 도르래 조립체(32, 34)와 엘리베이터 차체(12)를 올리고 내리는 장치(16)를 포함한다. 설명한 실시예에서, 도르래 조립체(32)는 엘리베이터 차체(12)의 기부(48)에 장착되어 있으나, 도르래 조립체(32)가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차체(12) 상의 다른 위치 또는 시스템(10) 내의 다른 곳에 장착되어도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있다. 엘리베이터 차체(12)는 엘리베이터 차체(12)의 상부 및 하부 상에 배치된 롤러 조립체(28, 30)도 포함하고, 상기 롤러 조립체는 엘리베이터 차체(12)의 적당한 정열을 유지하면서 가이드 레일(38)을 따라 타고 간다.
예시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장치(16)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38, 40)의 꼭대기에 위치하고 지지된다. 가이드 레일(38, 40)의 꼭대기에서 장치(16)를 지지하면 종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필요로 했던 별도의 기계실이 없어도 된다.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승강구 공간(14)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별도의 기계실이 필요 없도록 설계되었다. 장치(16)를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을 사용하면 구성요소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승강구(14) 내에서 공간 사용을 최적화한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 레일(38)은 엘리베이터 차체(12)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된다. 도르래 조립체(32)는 측면 벨트 연결부(54) 사이의 간격(62)을 포함하고, 가이드 레일(38)이 엘리베이터 차체(12)에 가깝게 연장되도록 한다.
도르래 조립체(32)는 엘리베이터 차체(12)의 기부(48)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2개의 벨트(36)는 엘리베이터 차체(12)의 어느 일측에 배치된 유동륜 도르래 조립체 부근에 감겨있고 일 단부는 가이드 레일(38) 중의 하나의 꼭대기에 장착된 막힌 단부 히치(18)(dead end hitch)에 고정되어 있다. 각 벨트(36)의 타 단부는 평형추(22)의 유동륜 도르래 조립체(34)를 통과하여 장치(16)에 대하여 감긴 이후에 장치(16)와 함께 가이드 레일(38) 꼭대기에 장착된 막힌 단부 히치(20)에 고정된다. 도시된 로프의 구조는 한 가지 종류뿐이지만, 엘리베이터 차체(12)를 승강시키는 승강구 로프의 다른 구성도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이다.
도3을 참조하면, 각 가이드 레일(38)은 내부 벽(24) 또는 평형추 브래킷(56)에 장착된 장착부(64)를 포함한다. 레일 장착부(64)로부터 연장되는 것은 가이드부(66)이다. 가이드부(66)는 알려진 바와 같이 롤러 조립체(28, 30)와 협동한다. 승강구(14) 내의 공간은 가이드 레일(38)의 가이드부(66)가 도르래 조립체(32)의 도르래부(54) 상의 벨트 연결면을 넘어서 차체(12)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허용하여 유지된다. 도르래 조립체(32)의 도르래들(54) 사이로 각 가이드 레일(38)의 가이드부(66)를 연장시키는 것은 승강구(14) 내의 공간을 유지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구성요소에 활용되는 공간의 크기를 줄인다.
예시적인 도르래 조립체(32)는 공통 샤프트(50) 부근에서 지지되는 4개의 개별적인 도르래부들(54)을 포함한다. 간격(62)은 도르래부(54)를 2개의 유동륜 도르래부들(54)로 구성된 2개의 별개 그룹으로 분리한다. 각 유동륜 도르래부(54)는 바깥쪽 지름(74)을 포함한다(도4). 각 가이드 레일(38)의 가이드부(66)의 일부는 도르래부(54)의 외부 직경(74)에 접하는 평면(72)과 샤프트(50) 사이의 간격(62) 내부로 연장된다. 간격(62)은 도르래부의 외부 직경(74)보다 작은 바깥 치수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샤프트(50)의 바깥 치수가 상기 작은 바깥 치수가 된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개별 샤프트(51, 53)는 공통축(58)을 중심으로 지지되어서 도르래부(54)가 회전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작은 바깥 치수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의 공통 샤프트(50)에 비하여 더욱 줄어든다.
도5를 참조하면, 샤프트(50)는 엘리베이터 차체(12)에 부착된 지지 부재(52)로 지지된다. 각 도르래(54)는 외부 직경(74)을 포함한다. 외부 직경(74)은 회전축(58)으로부터 제1 거리(75)만큼 떨어져 있다. 가이드 레일(38)의 가이드부(66)는 회전축(58)으로부터 제2 거리(77)만큼 떨어져 있다. 제2 거리(77)는 제1 거리(75)보다 작아서 가이드 레일의 일부는 도르래부 사이의 간격(62) 내에 있다. 바꿔 말하면, 도르래부(54)의 외부 직경(74)에 접하는 평면(72)은 간격(62)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적어도 가이드 레일(38)의 가이드부(66)의 일부는 평면(72)과 교차한다.
도6을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38)은 엘리베이터 차체(12)의 롤러 조립체(28)와 맞물린다. 로프(36)는 가이드 레일(38) 및 롤러 조립체(28)에 대하여 상대적인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도르래부(54)의 외부 직경(74)에 접하는 평면(72)은 로프(36)에 상대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가이드 레일(38)의 일부와 교차한다. 가이드부(66)가 통과할 수 있는 간격(62)을 생성하도록 유동륜 도르래 조립체(32)를 장착하는 것은 엘리베이터 차체(12)용으로 증가된 공간을 제공하고 승강구(14) 내에 가치 있고 유익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할당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승강구(14) 내의 증가된 공간은 승강구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킨다.
도5를 참조하면, 도르래 조립체(32)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르래부(54)는 공통 샤프트(50)에 의하여 축(58)을 중심으로 지지되고 각 도르래부(54) 내에 장착된 베어링 조립체(60)를 포함한다. 베어링 조립체(60)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어떠한 종류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2개의 도르래부(54)는 대응하는 로프(36)와 함께 가이드 레일(38)의 어느 일측에 도시되어 있다. 개별 샤프트를 도르래부(54) 지지에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사상 내에 있다.
도7을 참조하면, 도르래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간격의 어느 일측에 세 개의 유동륜 도르래부(54)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38)의 어느 일측에 배치된 도르래부(54)의 수는 용도에 따라 특정되고 2개, 세 개, 네 개 또는 특정 용도에서 필요로 하는 어떠한 조합도 될 수 있다.
평형추(22)는 엘리베이터 차체(12)에 장착된 도르래 조립체(32)와 유사한 도르래 조립체(3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형추(22)용 가이드 레일(40)은 평형추(22)에 장착된 도르래 조립체(34)의 도르래부들(54) 사이로는 연장되지 않는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지 실질적인 열거는 아니다. 발명은 예를 들어 설명하였고, 설명에 사용된 용어는 제한보다는 설명을 위하여 사용한 것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상기 설명에 비추어 개량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공개되었고, 그러나 당업자는 어떤 개량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지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명확하게 기술되어 있으므로 실시가 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내용을 결정하기 위하여 청구항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Claims (24)

  1.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며,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차체와,
    상기 차체를 승강시키고 상기 하나의 가이드 레일의 꼭대기에 지지되는 장치와,
    공통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2개 이상의 도르래부들을 갖고 상기 도르래부들 사이에 일정 간격을 갖는, 차체 상에서 지지되는 도르래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차체가 이동되는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간격 안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도르래 조립체의 둘레 및 상기 장치 위로 감기는 두 개 이상의 벨트를 더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부들 각각은 제1 바깥 반경 치수를 갖는 외부 주연을 포함하고, 상기 도르래부들 사이의 상기 간격은 보다 작은 제2 바깥 반경 치수를 갖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도르래부들을 지지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부들을 지지하는 공통 샤프트를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부들을 지지하는 별개의 샤프트들을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부들은 별개의 부재로서 상기 간격의 양측에 배치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측에는 각각 복수개의 상기 별개의 부재가 배치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가 안내되는 승강구는 상기 차체의 대향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레일을 포함하고, 제1 도르래 조립체가 상기 차체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도르래 조립체가 상기 차체의 대향측에 배치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가이드 레일 상에 장착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도르래부들 사이에 간격을 갖고 공통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최소한 2개의 도르래부들을 갖는 도르래 조립체를 갖는 평형추를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의 상기 2개의 도르래부들을 지지하는 공통 샤프트를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의 상기 도르래부들을 지지하는 별개의 샤프트를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를 위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평형추를 위한 레일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결합 브래킷을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 조립체는 상기 차체의 하부에 장착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 조립체는 상기 차체의 상부에 장착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상기 차체를 안내하기 위한 상기 가이드 레일과 결합된 가이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7.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며,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차체와,
    상기 차체를 승강시키고 하나의 상기 가이드 레일의 꼭대기에 지지되는 장치와,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2개 이상의 도르래부들을 갖는, 상기 차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도르래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도르래부들 각각은 제1 반경 치수를 갖고, 상기 도르래부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반경 치수보다 작은 제2 반경 치수를 갖고,
    상기 차체가 이동되는 상기 가이드 레일은 간격 안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도르래 조립체의 둘레 및 상기 장치 위로 감기는 두 개 이상의 벨트를 더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승강구 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은 상기 차체를 안내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부는 상기 도르래부들 사이로 연장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부들 각각은 도르래 조립체의 회전축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외부면을 포함하고, 가이드 레일이 상기 도르래부들 사이의 간격 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만큼 이격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대향측에 하나 이상의 도르래부를 더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의 대향측에 배치된 복수의 도르래부들 및 대응하는 복수의 하중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2.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사용되는 도르래 조립체이며,
    제1 반경 치수를 갖고 축을 따라 회전하는 제1 도르래부와,
    제1 도르래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반경 치수를 갖는 제2 도르래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르래부 사이의 간격은 보다 작은 제2 반경 치수를 갖고,
    상기 도르래부들 사이에 샤프트가 뻗는, 도르래 조립체.
  23. 제22항에 있어서, 도르래부들을 지지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샤프트는 제2 반경 치수와 같은 외부 직경을 갖는 도르래 조립체.
  24. 제22항에 있어서, 간격의 각 측에 복수의 도르래부들을 포함하는 도르래 조립체.
KR1020057008323A 2002-11-25 2002-11-25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도르래 조립체 KR100951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2/037776 WO2004048246A1 (en) 2002-11-25 2002-11-25 Sheave assembly for an elevato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703A KR20050091703A (ko) 2005-09-15
KR100951522B1 true KR100951522B1 (ko) 2010-04-09

Family

ID=32391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323A KR100951522B1 (ko) 2002-11-25 2002-11-25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도르래 조립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567440B3 (ko)
JP (1) JP4530857B2 (ko)
KR (1) KR100951522B1 (ko)
CN (1) CN1714038B (ko)
AT (1) ATE352510T1 (ko)
AU (1) AU2002350256A1 (ko)
DE (2) DE60217935T3 (ko)
ES (1) ES2278070T7 (ko)
HK (1) HK1084371A1 (ko)
PT (1) PT1567440E (ko)
WO (1) WO20040482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80964A (en) * 2002-09-05 2010-11-30 Inventio Ag Drive engine for a lift installation and method of mounting a drive engine
FI118964B (fi) * 2006-04-10 2008-05-30 Kone Corp Järjestely hissin köysivoiman tasaamiseksi ja hissi
CN101298307B (zh) 2007-05-03 2010-06-23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设备,电梯设备用转向辊,和设置负载传感器的方法
CN101679004B (zh) * 2007-06-08 2012-11-14 奥蒂斯电梯公司 具有与曳引元件对齐的导轨中心线的电梯系统
EP2334583B1 (en) * 2008-08-01 2015-10-0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assembly comprising a vibration damper
JP5951038B2 (ja) * 2012-10-22 2016-07-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吊り車装置
CN109987476B (zh) * 2017-12-29 2021-01-15 梯阶电梯工程有限公司 分离式缆线导滑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8974A (ja) * 1992-03-31 1993-10-26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用従動綱車
US20020070080A1 (en) 2000-11-29 2002-06-13 Shigeo Nakagaki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496B (de) * 1954-01-18 1958-06-19 Joseph Tepper Maschinenfabrik Aufzugsanlage fuer Treibscheibenantrieb
JPS63154578U (ko) * 1987-03-31 1988-10-11
JPH0780660B2 (ja) * 1987-09-08 1995-08-30 株式会社東芝 低層階用小形エレベータ
JPH07144848A (ja) * 1993-11-26 1995-06-06 Otis Elevator Co リニアモータの固定子支持装置
CN1299333A (zh) * 1998-02-26 2001-06-13 奥蒂斯电梯公司 具有位于配重内的驱动器的条带提升电梯
FI109468B (fi) * 1998-11-05 2002-08-15 Kone Corp Vetopyörähissi
US6202793B1 (en) * 1998-12-22 2001-03-20 Richard N. Fargo Elevator machine with counter-rotating rotors
US6405833B1 (en) * 2000-01-06 2002-06-18 Otis Elevator Company Flexible flat rope sheave assembly with separate shoulder and flange surfaces having varying friction properties
FR2823734B1 (fr) * 2001-04-19 2007-04-20 Serge Arnoult Installation d'ascenseur pourvue de moyens d'entrainement et de moyens de suspension independa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8974A (ja) * 1992-03-31 1993-10-26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用従動綱車
US20020070080A1 (en) 2000-11-29 2002-06-13 Shigeo Nakagaki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21212U1 (de) 2005-08-04
EP1567440A4 (en) 2006-01-04
AU2002350256A1 (en) 2004-06-18
DE60217935T3 (de) 2010-12-23
CN1714038B (zh) 2013-01-16
CN1714038A (zh) 2005-12-28
ES2278070T7 (es) 2011-08-01
PT1567440E (pt) 2007-04-30
JP4530857B2 (ja) 2010-08-25
KR20050091703A (ko) 2005-09-15
EP1567440B1 (en) 2007-01-24
EP1567440A1 (en) 2005-08-31
EP1567440B3 (en) 2010-07-14
WO2004048246A1 (en) 2004-06-10
ES2278070T3 (es) 2007-08-01
JP2006507200A (ja) 2006-03-02
DE60217935D1 (de) 2007-03-15
DE60217935T2 (de) 2007-07-26
ATE352510T1 (de) 2007-02-15
HK1084371A1 (en) 200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4578B2 (en) Sheave assembly and suspension system for an MRL elevator
KR100424162B1 (ko) 트랙션시브엘리베이터
JP2593289B2 (ja) 下部に駆動機械を備えたトラクションシーブ型エレベータ
EP1306341B1 (en) Traction sheave elevator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6848543B2 (en) Single wall interface traction elevator
WO1999043597A2 (en) Elevator system with compact machineroom
JP411009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5511451A (ja) 機械室のない駆動滑車式エレベータ
KR100951522B1 (ko)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도르래 조립체
KR20020021160A (ko) 엘리베이터장치
KR20030015379A (ko) 최소의 건물 공간을 사용하는 승강기 시스템
JP3991657B2 (ja) エレベータ
KR1006855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7178636B2 (en) Elevator system
JP3961718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KR200272583Y1 (ko) 주차설비의 승강기 구동장치
US7299896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djacent to hoistway door
EP1798187B1 (en) Sheave assembly for an elevator system
KR20040010737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17383B1 (ko)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장치
FI95022B (fi) Vetopyörähissi
KR20060058101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60036042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H07157238A (ja) リニアモーター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