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0737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10737A KR20040010737A KR10-2003-7016554A KR20037016554A KR20040010737A KR 20040010737 A KR20040010737 A KR 20040010737A KR 20037016554 A KR20037016554 A KR 20037016554A KR 20040010737 A KR20040010737 A KR 200400107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ley
- hoistway
- car
- drive
- sheav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구동시브로부터 카매다는 활차에 주삭을 인도하는 편향활차가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장치는 수직투영면에서 카와 겹치도록 배치되고, 편향활차는 그 회전축이 구동시브의 회전축과 평행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구동시브의 회전축과 직각으로 교차하고 구동시브를 포함하는 평면내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종래,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0-139321호 공보에는 승강로 상부에 기계실을 두지 않고, 승강로내의 상부에 구동장치를 배치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소위 기계실리스 엘리베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의 상부에 따로 기계실을 설치하는 경우보다도 건물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나, 승강로내의 상부에 구동장치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승강로내의 공간을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승강로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승강로의 단면적을 작게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 카에 설치되어 있는 카를 매다는 활차, 카의 후방에 배치되고,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균형추, 균형추에 설치되어 있는 균형추매다는 활차,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장치 본체와, 구동장치 본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를 가지고, 또 구동시브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뻗도록 배치되고, 카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의 단부와 제2의 단부를 가지고, 또 카매다는 활차, 구동시브 및 균형추매다는 활차에 감기고, 카 및 균형추를 승강로내에 매다는 주삭 및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고, 또 주삭이 감기고, 구동시브에서 카매다는 활차 및 균형추매다는 활차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주삭을 인도하는 적어도 1개의 편향활차를 구비하고, 구동장치는 수직투영면에서 카와 겹치도록 배치되고, 편향활차는 그 회전축이 구동시브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뻗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구동시브의 회전축과 직각으로 교차하고 구동시브를 포함하는 평면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로내의 상부에 구동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구동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도 1의 구동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내에는 한쌍의 카 가이드레일(2)과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3)이 설치되어 있다. 카(4)는 카 가이드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균형추(5)는 카(4)의 후방에 배치되고, 균형추 가이드레일(3)에 안내되어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수직투영면에서, 한쌍의 카 가이드레일(2)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은 카(4)의 입구방향과 평행으로 뻗고, 또 카(4)의 중심을 통과하고 있다. 또,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3)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도 카(4)의 입구방향과 평행으로 뻗고 있다.
한쌍의 카 가이드레일(2) 및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3)의 상단부 근방에는 기계대(6)가 고정되어 있다. 기계대(6)상에는 카(4) 및 균형추(5)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권양기)(7)가 탑재되어 있다. 구동장치(7)는 모터부 및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본체(8)와, 구동장치 본체(8)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9)를 가지고 있다.
구동장치(7)는 구동시브(9)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장치(7)는 수직투영면에서 카(4)의 후부의 코너부와 균형추(5)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장치(7)로는 직경이 축방향치수보다도 큰 박형 권양기가 사용되고 있다.
또, 구동장치(7)는 구동장치 본체(8)가 카(4)측에 위치하고, 구동시브(9)가 카(4)의 측면에 대향하는 승강로벽에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시브(9)에는 카(4) 및 균형추(5)를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는 여러개(도면에서는 하나만을 표시)의 주삭(10)이 감겨있다. 카 가이드레일(2)의 상단부 근방에는 로프지지부(11)가 고정되어 있다. 주삭(10)의 제1의 단부(10a)는 카측 로프고정(12)을 통해서 로프지지부(11)에 접속되어 있다. 주삭(10)의 제2의 단부(10b)는 균형추측 로프고정(13)을 통해서 기계대(6)에 접속되어 있다.
카(4)의 하부에는 주삭(10)이 감겨지는 한쌍의 카매다는 활차(14)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5)의 상부에는 주삭(10)이 감겨지는 균형추매다는 활차(15)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대(6)에는 구동시브(9)로부터 카매다는 활차(14)에 주삭(10)을 인도하는 회전이 자유로운 편향활차(16)가 부착되어 있다. 편향활차(16)는 그 회전축이 구동시브(9)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뻗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구동시브(9)의 회전축과 직각으로 교차하고 구동시브(9)를 포함하는 평면내에 배치되고 있다. 즉, 수직투영면에서, 구동시브(9)와 편향활차(16)와는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주삭(10)은 제1의 단부(10a)로부터 카매다는 활차(14), 편향활차(16), 구동시브(9) 및 균형추매다는 활차(15)의 순으로 감겨지고, 제2의 단부(10b)에 이르고 있다. 즉, 카(4) 및 균형추(5)는 2 : 1 로핑방식에 의해 매달려있다.
주삭(10)의 균형추매다는 활차(15)로부터 카측 로프고정(12)으로 뻗는 부분은 카 가이드레일(2) 보다도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주삭(10)의 균형추매다는 활차(15)에서 편향활차(16)로 뻗는 부분은 카 가이드레일(2) 보다도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카(4)는 그 중심위치에서 매달려있다.
도 3은 도 1의 구동장치(7)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도 1의 구동장치(7)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기계대(6)상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브래킷(17)이 고정되어 있다. 구동장치(7)는 이 브래킷(17)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장치(7)의 저부와 기계대(6)와의 사이에는 다수의 저부 방진부재(18)가 개재되어 있다. 또, 구동장치(7)와 브래킷(17)과의 사이에는 측부 방진부재(19)가 각각 개재되어 있다. 이들의 방진부재(18),(19)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계실리스 엘리베이터 장치의 레이아웃에 의하면, 승강로(1)내의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승강로(1)의 단면적을 작게 억제할 수가 있다. 또, 구동장치(7)는 구동장치 본체(8)가 카(4)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동장치 본체(8)에 포함되는 모터부 및 브레이크부에 대한 메인트넌스(maintenance)를 카(4)상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메인트넌스에 필요한 스페이스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또, 구동장치(7)의 저부와 기계대(6)와의 사이에 저부 방진부재(18)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구동장치(7)의 수직방향으로의 진동이 카(4)나 건물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구동장치(7)와 브래킷(17)과의 사이에 측부 방진부재 (19)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구동장치(7)의 수평방향에의 진동이 카(4)나 건물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구동장치(7) 및 편향활차(16)가 공통의 기계대(6)에 탑재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작업이 용이하다.
실시의 형태 2.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구동장치(7)는 수직투영면내에서 카(4)의 측부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기계대(6)에는 구동시브(9)로부터 균형추매다는 활차(15)에 주삭(10)을 인도하는 회전이 자유로운 편향활차(21)가 부착되어 있다.
편향활차(21)는 그 회전축이 구동시브(9)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뻗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구동시브(9)의 회전축과 직각으로 교차하고 구동시브(9)를 포함하는 평면내에 배치되고 있다. 즉, 수직투영면에서, 구동시브(9)와 편향활차(21)와는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기계실리스 엘리베이터 장치의 레이아웃에 의하면, 승강로(1)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승강로(1)의 단면적을 작게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카(4)의 사이즈에 따라 구동장치(7)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서, 주삭(10)이 카(4)의 중심부근을 통과하도록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카(4)의 자중 및 적재하중의 언밸런스에 의한 카 가이드레일(2) 및 카측 로프고정(12)에의 하중부담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3.
다음에,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균형추(5)의 상부에는 주삭(10)이 감기는 제1 및 제2의 균형추매다는 활차(22a),(22b)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이 2개의 균형추매다는 활차(22a),(22b)를 사용함으로서, 균형추매다는 활차(22a),(22b)에서 위쪽으로 뻗는 주삭(10)을 수직으로 배치할 수가 있고, 균형추(5)를 안정하게 승강시킬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4.
다음에,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기계대(6)상에는 구동장치(권양기)(23)가 탑재되어 있다. 구동장치(23)는 모터부 및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본체(24)와, 구동장치 본체(24)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25)를 가지고 있다. 또, 구동장치(23)로는 축방향치수가 직경보다도 큰 원통형 권양기가 사용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원통형 권양기로 된 구동장치(23)를 사용한 경우라도 승강로(1)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승강로(1)의 단면적을 작게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예에서는 기계대(6)가 가이드레일(2),(3)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나, 기계대는 승강로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어도 된다. 이 경우, 가이드레일에 걸리는 하중을 경감할 수가 있고, 가이드레일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예에서는 구동시브와 카매다는 활차 또는 균형추매다는 활차와의 사이에 편향활차를 배치하였으나, 구동시브와 카매다는 활차와의 사이에 각각 편향활차를 배치해도 된다. 즉, 다수의 편향활차를 사용해도 된다.
Claims (3)
- 승강로, 상기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 카에 설치되어 있는 카를 매다는 활차, 상기 카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균형추, 상기 균형추에 설치되어 있는 균형추매다는 활차, 상기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장치 본체와, 상기 구동장치 본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를 가지고, 또 상기 구동시브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뻗도록 배치되고, 상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의 단부와 제2의 단부를 가지고, 또 상기 카매다는 활차, 상기 구동시브 및 상기 균형추매다는 활차에 감기고, 상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상기 승강로내에 매다는 주삭 및 상기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고, 또 상기 주삭이 감기고, 상기 구동시브에서 상기 카매다는 활차 및 상기 균형추매다는 활차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주삭을 인도하는 적어도 1개의 편향활차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구동장치는 수직투영면에서 상기 카와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편향활차는 그 회전축이 상기 구동시브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뻗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구동시브의 회전축과 직각으로 교차하고 상기 구동시브를 포함하는 평면내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수직투영면내에서 상기 카의 후부 코너부 및 상기 균형추와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편향활차는 상기 구동시브로부터 상기 카매다는 활차에 상기 주삭을 인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수직투영면내에서 상기 카의 측부와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편향활차는 상기 구동시브로부터 상기 균형추매다는 활차에 상기 주삭을 인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2/004329 WO2003093155A1 (fr) | 2002-04-30 | 2002-04-30 | Ascenseu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10737A true KR20040010737A (ko) | 2004-01-31 |
Family
ID=29287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7016554A KR20040010737A (ko) | 2002-04-30 | 2002-04-30 | 엘리베이터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1500620A4 (ko) |
JP (1) | JPWO2003093155A1 (ko) |
KR (1) | KR20040010737A (ko) |
CN (1) | CN1649790A (ko) |
WO (1) | WO200309315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I125130B (fi) * | 2012-01-27 | 2015-06-15 | Kone Corp | Laitteisto hissin nostokoneiston kiinnittämiseksi ja kiinnitysjärjestely |
JP6082641B2 (ja) * | 2013-04-05 | 2017-02-15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エレベーター装置 |
JP6849748B2 (ja) * | 2019-07-19 | 2021-03-31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主索振れ止め装置 |
CN113928958A (zh) * | 2021-09-28 | 2022-01-14 |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 一种多吊挂比有机房电梯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59711862D1 (de) * | 1996-11-11 | 2004-09-23 | Inventio Ag | Aufzugsanlage mit im Aufzugsschacht angeordneter Antriebseinheit |
JP2001080843A (ja) * | 1999-09-14 | 2001-03-27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ー装置 |
JP2002080178A (ja) * | 2000-09-04 | 2002-03-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装置 |
-
2002
- 2002-04-30 CN CNA028115724A patent/CN1649790A/zh active Pending
- 2002-04-30 KR KR10-2003-7016554A patent/KR2004001073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2-04-30 WO PCT/JP2002/004329 patent/WO200309315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2-04-30 JP JP2004501298A patent/JPWO2003093155A1/ja active Pending
- 2002-04-30 EP EP02720637A patent/EP1500620A4/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3093155A1 (fr) | 2003-11-13 |
JPWO2003093155A1 (ja) | 2005-09-08 |
CN1649790A (zh) | 2005-08-03 |
EP1500620A4 (en) | 2010-04-14 |
EP1500620A1 (en) | 2005-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18467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4786121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0444936B1 (ko) | 엘리베이터장치 | |
KR20080003787A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4110096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1335800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2002080178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4549616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0956208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WO2005056455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20030051900A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2004175510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0685505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20040010737A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100536934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WO2004074157A1 (ja) | エレベータ | |
WO2018198232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2002037564A (ja) |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 |
JP4958314B2 (ja) | 釣合錘装置 | |
JPWO2005082767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20080095841A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WO2004028948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4601771B2 (ja) |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装置 | |
KR20040068178A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20040013117A (ko) |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