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4068A - 프로필렌계 다층 랩 필름 - Google Patents

프로필렌계 다층 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068A
KR20070034068A KR1020077001516A KR20077001516A KR20070034068A KR 20070034068 A KR20070034068 A KR 20070034068A KR 1020077001516 A KR1020077001516 A KR 1020077001516A KR 20077001516 A KR20077001516 A KR 20077001516A KR 20070034068 A KR20070034068 A KR 20070034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film
resin
parts
surfa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2552B1 (ko
Inventor
사또시 하시모또
다까후미 무꼬하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라이프 앤드 리빙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라이프 앤드 리빙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라이프 앤드 리빙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4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32B2038/0028Stretching, elon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7Parts immersed or impregnated in a matrix
    • B32B2305/076Prepr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8/00Mineral based
    • B32B2318/02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57/02Copolymers of mineral oil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S1)과,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부텐-1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연제 (S2)를 특정 비율 배합한 제1 조성물과, 제1 조성물의 합계 (S1+S2) 100 질량부에 대하여, 로진 유도체 (S3), 또는 1-메틸-4-(1-메틸에테르)-시클로헥센 단독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또는 수소 첨가 탄화수소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밀착제 (S3') 2 내지 20 질량부 및 미네랄 오일 (S4) 2 내지 20 질량부를 각각 함유하는 표층, 및
(B)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C1) 80 내지 99 질량% 및 미네랄 오일 (C2) 1 내지 20 질량%를 함유하는, 상기 표층과 인접하는 심층
을 갖는 다층 필름인 폴리프로필렌계 랩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성이 발생하거나 달라붙지 않는 양호한 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랩 필름, 식품 포장용 랩 필름

Description

프로필렌계 다층 랩 필름 {PROPYLENE-BASED MULTILAYERED WRAPPING FILM}
본 발명은 식품과 같은 물품의 포장에 사용되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식품 포장에 필요한 밀착성을 가지며, 점성이 느껴지지 않고, 취급시에 손에 달라붙지 않는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음식점, 식품 판매점 등이나 일반 가정에서 식품을 보존하거나, 전자 레인지 등으로 가열ㆍ조리하는 경우, 열 가소성 수지제의 얇은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수지의 랩 필름은, 방습성, 산소 가스 배리어성, 내열성, 용기 등에 대한 밀착성, 투명성 등의 우수한 성질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식품 포장용 랩 필름으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체로 하는 다양한 식품 포장용 랩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랩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폴리(4-메틸펜텐-1) 수지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필름의 경우, 필름 표면에 밀착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식품 포장용 랩 필름으로서 필수적인 용기에 대한 밀착 성능이 불충분하다. 이들이 목적하는 성능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첨가제 등이나 다른 수지를 혼합하거나, 다른 수지 등과 적층시킨 필름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필름은 용기에 대한 밀착성 뿐만 아니라 필 름끼리의 밀착성도 높아져, 수납상자로부터의 인출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실용상 사용 용이성이 악화된 것이었다.
상술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랩 필름의 밀착성에 대한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202806호 공보에는, 심층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이고, 표층에 밀착제로서 지방족 탄화수소와 지방족 다가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소위 유지가 병용된 자기 점착성의 랩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수분을 많이 포함하는 식품 재료를 포장하여 전자 레인지 가열하면, 랩 필름 표면 상에서 수분으로 인해 유지가 거품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유지가 필름 표면 상에 존재하므로, 손으로 취급시 점성이 발생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81861호 공보에는, 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에 지방족 다가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특정량 첨가함으로써, 자기 점착성을 얻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기술에는, 수소화 석유계 탄화수소 수지의 첨가가 제안되어 있지만, 이를 이용한 제품에서는 점착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점성도 높아진다고 생각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28223호 공보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폴리부텐 또는 폴리이소부틸렌을 첨가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첨가물은 점조(粘稠)하다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랩을 취급할 때 손에 점성이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높은 강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폴리(4-메틸펜텐-1)계 수지를 사용한 랩이 일 본 특허 공개 제2001-121660호 공보 등에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강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 랩 필름에서는 대상물의 형상추종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필름 표면에 높은 점착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높은 점착성으로 인해, 랩을 취급할 때 점성을 느끼거나 손에 달라붙는다.
높은 밀착성을 갖는 랩 필름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9778호 공보 및 국제 공개 제2004/020195호에 제안되어 있다. 이들은, 높은 밀착성과 인출용이성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지만, 그 필름은 손에 달라붙거나 감촉이 개선되어 있지 않다. 특히, 상자로부터 필름을 인출하여, 상자에 부속된 칼날로 필름을 절단했을 때, 필름을 잡은 손에 필름이 달라붙는 경우가 있다. 필름을 두껍게 하거나, 필름을 고탄성화로 하는 개량이 고려되나, 이러한 수단에서는 복잡한 형상의 경우, 대상물에 대한 형상추종성이 저하되며, 랩 필름 본래의 목적인 대상물과의 밀착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대상물과 랩 필름의 밀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손바닥으로 필름에 가볍게 압력을 가하는 경우가 있다. 손바닥과 필름이 접촉했을 때, 점성이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점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밀착성을 저하시켰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내열성과 내랭성이 우수하며, 필름을 손으로 취급시 손에 달라붙지 않고, 점성 등의 불쾌감을 제공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밀착성을 갖는 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주로 하기 랩 필름에 관한 것이다.
(A)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S1)이 50 내지 99 질량%의 범위이며, 비정성(非晶性)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부텐-1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연제 (S2)가 1 내지 50 질량%의 범위인 제1 조성물과, 제1 조성물의 합계 (S1+S2) 100 질량부에 대하여, 로진 유도체 (S3) 2 내지 20 질량부 및 미네랄 오일 (S4) 2 내지 20 질량부를 각각 함유하는 표층, 및
(B)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C1) 80 내지 99 질량% 및 미네랄 오일 (C2) 1 내지 20 질량%를 함유하는, 상기 표층과 인접하는 심층
을 갖는 다층 필름인 폴리프로필렌계 랩 필름; 및
(A)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S1)이 80 질량% 초과 99 질량% 이하의 범위이며,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부텐-1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연제 (S2)가 1 질량% 이상 20 질량% 미만의 범위인 제1 조성물과, 제1 조성물의 합계 (S1+S2) 100 질량부에 대하여, 1-메틸-4-(1-메틸에테닐)-시클로헥센 단독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또는 수소 첨가 탄화수소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밀착제 (S3') 2 내지 20 질량부 및 미네랄 오일 (S4) 2 내지 20 질량부를 각각 함유하는 표층, 및
(B)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C1) 80 내지 99 질량% 및 미네랄 오일 (C2) 1 내지 20 질량%를 함유하는, 상기 표층과 인접하는 심층
을 갖는 다층 필름인 폴리프로필렌계 랩 필름.
<발명의 효과>
상기한 구성 요건에 의해, 본 발명의 랩 필름은 내열성과 내랭성이 우수하며, 필름을 손으로 취급시 손에 달라붙지 않고, 점성 등의 불쾌감을 제공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밀착성을 갖는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랩 필름은 내랭성과 내열성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냉동고 내에서의 보존,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과 같이 넓은 온도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식품 포장에 사용될 수 있는 원료 수지 중에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염화비닐계 수지 등에 비해, 내랭성과 내열성의 균형이 우수하며, 투명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 수지 자체는 밀착성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첨가제 등에 의한 개질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는, 중합체 분자쇄 중에 프로필렌 유닛을 가지며, 프로필렌 유닛만을 포함하는 단독 중합체, 에틸렌, 부텐-1 등과의 2원 내지 3원 공중합체 등이 포함된다. 투명성이 우수한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랜덤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입체 규칙성은 이소택틱(isotactic) 및 신디오택틱(syndiotactic) 구조 중 어느 하나, 또는 그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밖의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식품 포장용 필름에 사용되는 점을 고려하여, 안전성의 관점에서 식품 포장에 대한 규격 기준에 합격한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용융 유속은 ASTM D1238에 준거한 방법 하에, 230 ℃에서 2.16 kg의 하중을 가한 상태로 1 내지 20 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층 (A)에 포함되는 유연제로서 사용되는 성분은,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부텐-1 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안전성의 관점에서, 식품 포장에 대한 규격 기준에 합격한 것이 바람직하다.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과 부텐-1, 펜텐-1 등의 탄소수 4 이상의 α 올레핀의 공중합체이며, 프로필렌 비율은 65 내지 85 질량%가 바람직하다. 시차 주사 열량계로 측정한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의 결정화도는 0 내지 5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은 ASTM D1238에 준거한 방법 하에, 230 ℃에서 2.16 kg의 하중을 가한 상태로 1 내지 10 g/10분이 바람직하며, ASTM D1505에서의 밀도는 0.85 내지 0.89 g/㎤가 바람직하다.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는, 그 자체가 유연성이 풍부하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혼합된 경우에 투명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필름에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는, 예를 들면 미쯔이 가가꾸(주) 제조의 터프머(Toughmer, 등록 상표) 등이 있다.
부텐-1 중합체는, 액상의 부텐-1 단량체를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단독 중합체이다. 부텐-1 중합체의 용융 유속은 ASTM D1238에 준거한 방법 하에, 190 ℃에서 2.16 kg의 하중을 가한 상태로 0.1 내지 5 g/10분이 바람직하며, ASTM D1505에서의 밀도는 0.904 내지 0.920 g/㎤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연제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비해 상용성이 양호하며, 적당량을 배합함으로써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본래의 투명성, 방습성 및 내열성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 인장 탄성률이나 굴곡 탄성률을 감소시키는 효과, 즉 유연성을 부여한다.
밀착제로서 로진 유도체 (S3)을 사용하는 경우, 얻어지는 필름의 유연성, 감촉 및 피포장물에 대한 형상추종성의 관점에서, 제1 조성물을 구성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S1)은 50 내지 99 질량%의 범위이며,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부텐-1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연제 (S2)는 1 내지 50 질량%의 범위이다.
유연제가 1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의 유연성이 부족해져서, 필름을 사용하여 포장한 경우에 필름이 피포장물의 형상을 추종하지 않기 때문에, 필름과 피포장물의 충분한 접촉 면적이 얻어지지 않는다. 유연제가 50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이 지나치게 유연해져서, 필름을 수납상자로부터 취출하여 피포장물에 씌울 때, 주름과 같이 필름끼리의 중첩이 발생하여, 랩 필름으로서의 사용 용이성이 떨어진다.
밀착제로서 1-메틸-4-(1-메틸에테닐)-시클로헥센 단독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또는 수소 첨가 탄화수소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S3')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제1 조성물을 구성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S1)은 80 질량% 초과 99 질량% 이하이고,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부텐-1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연제 (S2)는 1 질량% 이상 20 질량% 미만이다.
유연제가 1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의 유연성이 부족해져서, 필름을 사용하여 포장한 경우에 필름이 피포장물의 형상을 추종하지 않기 때문에, 필름과 피포장물의 충분한 접촉 면적이 얻어지지 않는다. 유연제가 20 질량% 이상인 경우에는 밀착성이 지나치게 높아져서, 필름을 수납상자로부터 취출하여 피포장물에 씌울 때, 필름끼리 달라붙어 랩 필름으로서의 사용 용이성이 떨어진다.
표층 (A)에 밀착제로서 사용되는 성분 (S3)은, 로진 유도체, 1-메틸-4-(1-메틸에테닐)-시클로헥센 단독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또는 수소화 탄화수소 수지로부터 선택된다. 밀착제로는, 식품 포장에 대한 규격 기준에 합격한 것이 바람직하다.
로진 유도체는, 소나무에 포함되는 수지산을 정제한 로진, 또는 로진으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이다. 상기 로진은, 아비에트산 및 그 이성질체의 혼합물이다. 원료ㆍ제조 방법에 따라 검 로진, 목재 로진 및 톨유 로진으로 분별되지만, 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유도체로서, 로진에 수소 첨가한 화합물인 수소 첨가 로진, 지방족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및 수소 첨가 로진과 지방족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 화합물에 사용되는 지방족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메탄올,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다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밀착제로서 수소 첨가 로진이 바람직하며, 수소 첨가 로진의 다가 알코올에스테르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수소 첨가 로진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인 이스트맨 케미컬사 제조의 Foral(등록 상표) 105E, 허큘리즈사 제조의 Foral(등록 상표) 105, 수소 첨가 로진 글리세린에스테르인 이스트맨 케미컬사 제조의 Foral(등록 상표) 85E, 허큘리즈의 Foral(등록 상표) 85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로진 유도체로는, 고압 수소 첨가된 로진과 다가 지방족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고압 수소 첨가된 로진과 다가 지방족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은, 로진과 다가 지방족 알코올을 에스테르화한 후, 20 MPa 이상 40 MPa 이하의 압력으로 수소 첨가한 화합물, 로진을 20 MPa 이상 40 MPa 이하의 압력으로 수소 첨가한 후, 다가 지방족 알코올과 에스테르화시킨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지방족 알코올로는, 글리세린 및 펜타에리트리톨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수소 첨가는, 화합물과, 촉매인 팔라듐이나 로듐 등의 백금족 금속을 혼합하여, 20 MPa 내지 40 MPa의 압력으로 행해진다. 반응 온도는 200 ℃ 내지 300 ℃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반응 시간은 2 시간 이상이 바람직하다.
고압 수소 첨가되어 있는 로진과 다가 지방족 알코올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필름의 점성을 크게 개량할 수 있다. 수소 첨가 조건이 상기 범위를 충족하고 있는 경우, 로진 내에는 이중 결합이 잔류하지 않기 때문에, 이중 결합으로 인한 산화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1-메틸-4-(1-메틸에테닐)-시클로헥센 단독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은, 소나무의 나무 껍질이나 감귤류의 과실 껍질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α피넨, β피넨, 리모넨, 디펜텐 등을 중합하고, 수소 첨가한 정제물이다. 정제ㆍ중합시의 부생성물이 포함될 수도 있다.
수소화 탄화수소 수지는, 석유를 증기 분해(steam cracking)에 의해 정제할 때 얻어지는 C5, C9 유분(留分)을 중합시키고, 수소 첨가한 화합물이다. 특히, C5 성분에 포함되는 시클로펜타디엔을 이량화한 디시클로펜타디엔 수지를 중합시키고, 수소 첨가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C9 유분을 중합하여 수소 첨가한 화합물로는, 이스트맨 케미컬사 제조의 REGALITE(등록 상표)를 들 수 있으며, C5 유분을 중합시키고 수소 첨가한 화합물로는, 이스트맨 케미컬사 제조의 EASTOTAC(등록 상표)를 들 수 있다.
밀착제 (S3) 및 (S3')의 첨가량은, 필름을 손으로 취급시의 점성 또는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S1)과 유연제 (S2)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하여 2 내지 2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 질량부의 범위이다. 밀착제가 20 질량부를 초과하면, 필름 취급시에 점성이 발생하거나 달라붙지 않지만, 필요로 하는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특히, 식품을 포장할 때와 같이 저하중으로 압박한 경우의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밀착제가 2 질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필요한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표층 (A)에 포함되는 미네랄 오일 (S4)는 밀착 보조제로서 사용된다. 미네랄 오일의 첨가량은, 감촉 및 안정적인 밀착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S1)과 유연제 (S2)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하여 2 내지 2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 질량부이다.
미네랄 오일은, 원유로부터 정제되는 유동 파라핀, 화이트 미네랄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나프텐률이 33 질량% 이하인 미네랄 오일이 바람직하며, 32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나프텐률이 33 질량% 이하인 미네랄 오일을 사용함으로써, 랩 필름 취급시의 필름의 점성을 더욱 개량할 수 있다. 보다 양호한 밀착성을 얻기 위해, 나프텐률의 하한은 28 질량%가 바람직하다.
밀착제인 로진 유도체와, 밀착 보조제인 미네랄 오일을 특정량으로 병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랩 필름은 취급시 점성이 발생하거나 달라붙지 않고, 밀착성을 유지한 랩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합에 의해 유연제인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및 부텐-1 중합체의 함유량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감촉이 우수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밀착제인 1-메틸-4-(1-메틸에테닐)-시클로헥센 단독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또는 수소 첨가 탄화수소 수지와, 밀착 보조제인 미네랄 오일을 특정량비로 병용함으로써, 취급시 점성이 발생하거나 달라붙지 않고, 밀착성을 유지한 랩을 제공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표층 (A)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산화방지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필름에서는 상기 표층 (A)에 인접하여 심층 (B)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표층 (A) 중의 미네랄 오일이 블리드인 (bleed-in) 현상에 의해 심층 (B)로 이행되기 때문에, 적당량의 미네랄 오일만 표층 중에 보유시킬 수 있다.
심층 (B)를 형성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C1)은, 표층 (A)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표층 (A)와 마찬가지로, 식품 포장에 대한 규격 또는 기준에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심층 (B)에 사용되는 미네랄 오일 (C2)는 원유로부터 정제되는 유동 파라핀, 화이트 미네랄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표층 (A)에 사용되는 미네랄 오일 (S4)와 마찬가지로, 나프텐률이 바람직하게는 33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2 질량% 이하이다. 나프텐률의 하한은 28 질량%가 바람직하다. 표층 (A)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나프텐률을 갖는 미네랄 오일을 사용함으로써, 랩 필름을 취급했을 때의 필름의 점성 및 밀착성을 더욱 개량할 수 있다.
미네랄 오일 (C2)의 첨가량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C1)과 미네랄 오일 (C2)을 합하여 100 질량%로 했을 때, 블리드인 현상을 억제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밀착성ㆍ인출성을 유지하기 위해, 1 질량% 이상, 그리고 탄력성 및 안정적인 성막성의 관점에서 20 질량% 이하의 범위로 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 질량%이다.
표층 (A)에 존재하는 미네랄 오일은, 블리드인 현상에 의해 표층 (A)로부터 심층 (B)로 이행되기 때문에, 표층 (A) 중에서의 밀착제에 대한 상기 미네랄 오일의 비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초기에 얻어진 밀착성 및 점성이 변화된다. 대책으로서, 표층 (A)의 층 구성 비율을 높여 블리드인 현상을 방지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높은 밀착성을 발현하기 위해 표층 (A) 조성은 유연한 조성이 되어 있으며, 그 때문에 필름 전체의 탄성률이 저하되어 탄력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미네랄 오일을 표층 (A)와 인접하는 심층 (B)에 특정량 첨가함으로써, 블리드인 현상을 억제하여 필름 전체의 탄성률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밀착성 및 인출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심층 (B)의 조성물에는 성형 가공성을 확보하려는 목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산화방지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필름의 층 구성비로는, 심층 (B)를 기준으로 양면을 가산한 표층 (A)의 부피 비율을 f로 했을 때, f는 0.2 내지 2.7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표층 (A)의 부피비가 0.2보다 작으면, 필름 전체면에 걸쳐서 밀착성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표층 (A)의 부피비가 2.7보다 크면, 필름 전체가 유연해져 탄력성이 저하되어, 사용 용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표층 (A)의 표리의 두께비율은 제한되지 않지만, 거의 동일한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층 필름을 구성하기 위해, 표층 (A)와 심층 (B)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예를 들면 제조시의 트림(trim)단 등으로 구성되는 리워크(rework)층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밀착성과 인출성의 균형으로부터, 기타 층은 전체층의 5 질량% 이하이고, 전체층의 부피비의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표층 (A)와 심층 (B)가 인접한 상태를 잃지 않도록 다른 층을 적층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랩 필름에는, 밀착성에 대한 지표로서 밀착 일량을 이용한다. 밀착 일량이란, 용기나 식품에 랩 필름을 씌웠을 때 필름끼리의 밀착성 또는 필름과 용기의 밀착성을 평가하는 지표이다. 상기 밀착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랩 필름에서 인출성과 함께 중요한 특성이다. 상기 밀착 일량은, 밀착시킨 필름끼리 박리시킬 때의 일량에 의해 구해진다. 측정은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행한다. 상기 밀착 일량은, 적절한 밀착성의 관점에서 0.8 내지 1.5 mJ가 바람직하며, 0.9 내지 1.2 mJ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랩 필름의 인출력은 밀착성과 함께 중요한 특성이며, 수납상자에 수납된 권회 필름으로부터 필름을 인출할 때의 용이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측정은 후술하는 방법으로 행해진다. 상기 인출력은 양호한 인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 m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mN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 mN이다.
본 발명에서의 필름 표면의 관찰을, 원자간력 현미경(이하 AFM) 캔틸레버(cantilever)의 자극에 대한 위상 정보를 영상화시켜 행했을 때, 특정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캔틸레버의 자극에 대한 위상의 정보를 화상으로 관찰하면, 지연이 적은 부분, 즉 단단한 부분은 위상상에서 밝게 표시되며, 위상의 지연이 큰 부분, 즉 유연한 부분은 위상상에서 어둡게 표시된다.
본 발명의 랩 필름 중, 바람직한 필름 표면을 이 방법으로 관찰하면, 피브릴상의 메쉬 구조와 그 사이에 존재하는 매트릭스로 구성된다. 메쉬 구조란, 화상 위에서 연속적으로 밝게 보이는 부분을 말하며, 매트릭스란, 이 메쉬 구조로 둘러싸인 불연속적으로 어둡게 보이는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을 말한다. 연속적으로 관찰되는 밝은 부분이 피브릴상의 메쉬 구조이고, 불연속적인 검은 부분이 매트릭스이다.
상기 피브릴의 평균폭은 1 ㎚ 이상 100 ㎚ 이하가 바람직하며, 10 ㎚ 이상 5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피브릴의 평균폭이 이 범위이면, 필름 표면의 평활성이 유지되어 밀착성이 보다 향상된다.
매트릭스의 크기는, 평균폭 3 ㎚ 이상 1 ㎛ 이하가 바람직하며, 10 ㎚ 이상 5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매트릭스의 평균 크기가 이 범위이면,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밀착 성분이 필름 표면의 메쉬 구조에 유지되어, 필요 이상으로 표면에 노출되지 않으며, 밀착성이 유지된 상태에서 손으로 취급했을 때 점성이 없고, 달라붙지 않는다.
본 발명의 메쉬 구조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결정 부분이 주로 피브릴을 형성한다. 폴리프로필렌의 비정 부분과 유연제, 밀착제 및 미네랄 오일이 주로 매트릭스를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한 크기의 피브릴의 메쉬 구조를 취함으로써, 매트릭스 부분의 밀착성에 크게 영향을 주는 유연한 성분이 피브릴에 유지되기 때문에, 밀착 발현에 필요한 최저량만이 표면에 존재한다.
메쉬 구조를 형성하지 않는 필름 표면 상에 유연화된 성분이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나, 유연화된 성분이 본 특허에서 특정된 메쉬 구조의 구멍 크기보다 큰 형태로 해도(海島) 구조로서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밀착 성분이 표면에 균일하게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밀착성과 인출성의 균형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필름은 특정한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인장 탄성률이 200 내지 1000 MPa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탄성률은, ASTM-D-882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인장 시험기(신꼬 쯔신 고교사 제조,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를 이용하여 필름의 세로 방향(MD-인취 방향) 및 가로 방향(TD-인취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2 % 왜곡시의 인장 탄성률의 평균값을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값은 필름의 유연성, 탄력성 및 사용 용이성의 관점에서 200 MPa 이상이 바람직하며, 유연성, 밀착성 및 사용 용이성의 관점에서 1000 MPa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MPa 이상 700 MPa 미만이다.
본 발명의 필름의 두께는, 포장용 필름으로서의 강도, 탄력성 및 포장시의 사용 용이성의 관점에서 3 ㎛ 이상이 바람직하며, 포장할 때의 물품에 대한 밀착성, 필름의 사용 용이성, 가정용 식품 포장랩으로 한 경우의 제품의 질량, 권취 직경 및 사용시의 취급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20 ㎛ 이하가 바람직하다. 특히 밀착성과 인출성의 사용 용이성 등이 요구되는 가정용 식품 포장랩으로는, 6 ㎛ 내지 15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은, 공지된 필름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표층 (A)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는, 압출기 등에 의한 용융 혼련에 의해 행해진다. 유연제 및 밀착제는 상온에서 고체이기 때문에, 시판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펠릿과 함께, 소정량을 블렌더 등에 투입하여 충분히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것을 표층용 압출기에 투입한다. 표층 (A) 및 심층 (B)의 미네랄 오일은 액체이기 때문에, 표층 및 심층용 압출기 도중에 각각 액체 주입 설비를 설치하고, 스크류 도중으로부터 용융 가소화된 수지에 첨가한다.
적절한 압출 조건으로 혼련함으로써 균일한 조성물로 만들고, 다층 다이 등에 의해 표층, 심층 및 필요에 따라 리워크층 등과 함께 다층 필름이 되도록 압출한다. 또한, 미리 표층 (A) 및 심층 (B)의 조성을 도중 액체 첨가가 가능한 이축 압출기 등 공지된 장치를 이용하여 충분히 융융 혼련한 후, 펠릿을 제조하고 나서 표층 및 심층의 압출기에 각각 투입할 수 있다.
다층 구성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3층 구성으로 하는 경우, 상술한 표층용 압출기와 심층용의 압출기를 병렬로 배치하여, 이들에 각각 소정의 수지를 투입하여 충분히 용융 및 혼련하고, 그 하류측에서 이들 압출기로부터의 수지를 3층의 층상에 합류시키며, 예를 들면 원환상 다이 또는 슬릿상의 토출구부를 갖는 T 다이 등을 사용하여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압출한다. 압출된 수지는, 냉수조에 통과시키거나, 냉풍이나 냉각롤에 접촉시키는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냉각 고화시킨다. 이때의 압출 시트 표면의 냉각 온도는, 표면의 평활성 및 외관의 관점에서 10 ℃ 이상이 바람직하며, 표층 (A)에 배합되어 있는 밀착제의 표면에 대한 블리드성 및 밀착력의 관점에서 50 ℃ 이하가 바람직하다.
필름으로서 필요한 강도를 부여하고, 식품 포장용 랩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필름의 우수한 절단성을 제공하는 관점에서, 2배 이상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은 롤법 및 텐터(tenter)법에 의한 1축 연신이나 2축 연신, 튜뷸러(tubular)법에 의한 다축 연신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행해진다.
세로 방향 및/또는 가로 방향으로 축차 이축 연신법을 이용하는 경우, 세로 및 가로 방향의 연신 순서는 특별히 지정되지 않는다. 세로 및 가로 방향의 배율은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뷸러법에 의한 다축 연신으로 종횡을 2배 이상 연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신이 종료된 필름은, 단부를 트리밍하거나,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거나, 종이관 등에 권취하는 등, 목적하는 제품의 형태에 따른 공정을 거쳐서 제품화시킨다.
튜뷸러로 다축 연신한 경우에는, 필름의 열 수축률을 조정하려는 목적으로, 연신된 필름을 공지된 방법으로 열 고정 처리할 수 있다. 롤로 MD 방향을 구속하여 롤로부터의 접촉 가열이나 적외선 등에 의해 간접 가열하는 방법, 텐터에 의해 가로 방향을 구속하여 열풍이나 복사열에 의해 가열하는 방법, 또는 재차 버블을 형성한 상태로 열풍이나 복사열에 의해 가열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랩 필름의 성능으로서 요구되는 밀착성과 감촉의 균형 뿐만 아니라, 투명성, 내열성, 적절한 유연성, 절단성 및 안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가정용 식품 포장용 랩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 및 비교예에 의해 얻어지는 필름의 성능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밀착 일량)
식기 등의 용기나 식품에 랩 필름을 씌웠을 때의 필름끼리의 밀착성을 평가한 것이며, 이하와 같이 측정하였다.
저면적이 25 ㎠이고 질량이 400 g인 2개의 원주 각각의 저면에 동일한 저면적의 여과지를 미리 접착하였다. 여과지를 접착한 2개의 원주의 저면에, 랩 필름을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긴장시켜 고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필름면이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2개의 원주 모두 23 ℃ 및 상대 습도 50 %의 조건하에, 하중 500 g으로 1분간 압착하였다. 이어서, 중첩시킨 필름들을 인장 시험기(신꼬 쯔신 고교사 제조,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에 의해 5 ㎜/분의 속도로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박리시켜, 이때 발생한 에너지(mJ)를 밀착 일량으로 하였다.
◎: 0.8 mJ 이상 1.5 mJ 미만
○: 0.5 mJ 이상 0.8 mJ 미만과 1.5 mJ 이상 2.0 mJ 미만
△: 0.3 mJ 이상 0.5 mJ 미만과 2.0 mJ 이상 3.0 mJ 미만
×: 0.3 mJ 미만과 3.0 mJ 이상
(점성)
랩 필름을 300 ㎜×300 ㎜로 잘라내어 직경 80 ㎜φ 높이 80 ㎜의 원통상 내열성 유리 용기에 씌웠다. 랩으로 씌운 유리 용기의 측면을 손바닥으로 5초간 가압하여, 손바닥과 랩 표면이 접촉했을 때 어떻게 느껴졌는지를 관능 평가하여, 하기 기준으로 수치화하였다.
점성을 느낀 경우 0점, 느껴지지 않은 경우를 1점으로 한다. 상기한 평가 기준으로, 무작위로 선출한 소정의 주부 50명에게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50명의 점수를 합계하였다.
◎: 합계 점수가 40점 이상
○: 합계 점수가 30점 이상 40점 미만
△: 합계 점수가 20점 이상 30점 미만
×: 합계 점수가 20점 미만
(달라붙음)
랩 필름을 300 ㎜×300 ㎜로 잘라내어 직경 80 ㎜φ 높이 80 ㎜의 원통상 내열성 유리 용기에 씌웠다. 랩으로 씌운 유리 용기의 측면을 손바닥으로 5초간 가압하고, 그 후 손을 떼었다. 이때, 랩이 용기로부터 떨어져 손에 달라붙는 정도를 관능 평가하여, 하기 기준으로 수치화하였다.
3점: 손을 떼었을 때, 곧 랩과 손이 떨어졌음.
2점: 손을 떼었을 때, 용기 표면적의 1/10 미만의 랩 필름이 손에 달라붙어서 용기로부터 떨어졌음.
1점: 손을 떼었을 때, 용기 표면적의 1/10 이상 1/3 미만의 랩 필름이 손에 달라붙어서 용기로부터 떨어졌음.
0점: 손을 떼었을 때, 용기 표면적의 1/3 이상의 랩 필름이 손에 달라붙어서 용기로부터 떨어졌음.
상기한 평가 기준으로, 무작위로 선출한 소정의 주부 50명에게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 평균 점수가 2.3점 이상
○: 평균 점수가 1.7점 이상 2.3점 미만
△: 평균 점수가 1.0점 이상 1.7점 미만
×: 평균 점수가 1.0 미만
(인출력)
인출력은 권회 필름으로부터 필름을 인출했을 때의 인출성을 평가한 것이며,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300 ㎜ 폭으로 슬릿화된 필름을 외경 41 ㎜, 내경 38 ㎜, 폭 308 ㎜의 종이관에 20 N의 장력, 100 m/분의 속도로 20 m씩 권취하여, 권회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권회 필름의 종이관 양쪽 말단을, 경부하로 회전하는 회전부를 가진 전용 집게로 끼워 고정하고, 이 집게를 인장 시험기(신꼬 쯔신 고교사 제조,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의 하부에 고정하였다. 이어서, 필름 선단을 폭 330 ㎜의 상부 고정구에 접착하여 고정하고, 1000 ㎜/분의 속도로 필름을 권해(捲解)시키면서 얻어지는 힘을 측정하여, 이때 얻어진 최대 하중을 인출력으로 하였다.
인출력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성막 후 24 시간 이상 경과된 시료의 인출력, 및 40 ℃ 및 상대 습도 20 %의 분위기하에 21일간 보관한 시료의 인출력을 측정하였다.
보관 전의 인출력은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100 mN 이상 400 mN 미만
○: 400 mN 이상 600 mN 미만
△: 600 mN 이상 1000 mN 미만
×: 100 mN 미만과 1000 mN 이상
(투명성)
투명성은 ASTM-D-103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NDH-300A(닛본 덴쇼꾸 제조)를 사용하여 얻어진 필름의 헤이즈(haze)를 측정하여, 다음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1.0 미만
○: 1.0 이상 2.0 미만
△: 2.0 이상 3.0 미만
×: 3.0 이상
(내열성)
내열성에 대해서는, 도쿄도 소비 생활 조례 제11조에 기초하여 내열 온도를 측정하였다. 내열 온도가 140 ℃ 이상인 필름을 ◎, 130 ℃ 및 135 ℃인 것을 ○, 125 ℃ 이하인 것에 대해서는 ×로 하였다.
(유연성)
유연성에 대해서는, ASTM D882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인장 시험기(신꼬 쯔신 고교사 제조,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를 사용하여 필름의 세로 방향(MD) 및 가로 방향(TD)의 2 % 왜곡시의 인장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종횡 쌍방의 평균값이 400 MPa 이상 700 MPa 미만
○: 200 MPa 이상 400 MPa 미만 및 700 MPa 이상 1000 MPa 미만
△: 100 MPa 이상 200 MPa 미만
×: 100 MPa에 미만이거나 또는 1000 MPa 이상인 것
(절단성)
필름의 절단성의 경우, 얻어진 필름을 종이관에 300 ㎜폭, 권취 길이 20 m로 권취하고, 이어서 이것을 아사히 가세이 라이프 앤드 리빙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사란랩(Saran Wrap, 등록 상표)용 화장 도구 상자에 수납하고, 부속된 톱니 칼날로 절단하였다. 이때의 절단 상태로부터, 하기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 가벼운 힘으로 깨끗이 절단 가능
○: 다소 힘이 필요하지만 깨끗이 절단 가능
△: 절단 가능하지만 절단하기가 어려움
×: 양호하게 절단할 수 없으며 필름이 신장되거나, 비스듬히 찢어지거나, 힘이 지나치게 가해져 화장 도구 상자가 찌그러짐.
(필름의 표면 관찰)
원자간력 현미경의 위상상에서의 필름 표면의 관찰은 하기의 방법으로 행하였다. 필름을 유리에 접착하여 고정하고, 표면을 디지털 인스트루먼트사 제조의 나노 스코프(등록 상표) IIIa를 이용하여 태핑(Tapping) 모드로 위상상을 관찰하였다. 측정시, Si 단결정의 캔틸레버(용수철 상수=0.07 내지 0.58 N/m)를 사용하여, 주사 속도(Scan rate) 0.5 내지 1 Hz, 주사 크기(Scan size) 2 ㎛×2 ㎛, Z 극한 440 V, 샘플링 점수 512×512의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필름에 의해 캔틸레버의 촉압(觸壓)을 조절한 바, 목표 진폭(target amplitude)이 2 V인 경우에는 세트 포인트가 0.8 내지 1.4 V, 목표 진폭이 4 V인 경우에는 세트 포인트가 2.0 내지 3.5 V의 범위였다. 2 ㎛×2 ㎛의 시야를 40,000배로 확대한 80 ㎜×80 ㎜의 화상으로부터 균등하게, 피브릴의 폭과 피브릴간의 거리를 각각 1OO점 추출한다. 이 수치 중 의 가장 큰 것 10점과 가장 작은 것 10점을 제외한 80점의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평균폭에 의해 표면 구조를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피브릴의 평균폭이 1 ㎚ 이상 50 ㎚ 미만
○: 50 ㎚ 이상 100 ㎚ 미만
×: 100 ㎚ 이상
또한, 피브릴간의 평균 거리는 다음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10 ㎚ 이상 50 ㎚ 미만
○: 3 ㎚ 이상 10 ㎚ 미만 또는, 50 ㎚ 이상 1000 ㎚ 미만
×: 3 ㎚ 미만 또는 1000 ㎚ 이상
상기한 평가를 통합하여 종합 평가를 행하였다. 모든 평가 항목에서 ◎로 판단된 것이 가장 우수하며, ◎ 또는 ○인 경우만 실용상 가능한 정도이고, △ 및 ×로 판단된 항목이 있는 것에 대해서는 실용상 문제가 있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1>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부시끼가이샤 그랜드 중합체 제조, 그랜드 폴리프로(등록 상표) F327, 프로필렌-에틸렌-부텐-1의 삼원 공중합체)와, 유연제로서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미쯔이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터프머(등록 상표) XR110T)를 95:5의 질량비로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로진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인 이스트맨 케미컬사 제조의 FORAL(등록 상표) 105E의 5 질량부를 블렌더에 투입하고, 5분간 상온에서 혼합하였다.
이어서, 스크류 직경 37 ㎜, L/D 42의 동방향 회전형 이축 압출기(도시바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TEM-35BS)로 용융 혼련하여 펠릿을 제조하였다. 또한, 미네랄 오일(크롬프톤사의 화이트 미네랄 오일 PAROL(등록 상표)/(40 ℃에서의 동점도 67 cSt))을 배럴의 도중으로부터 주입 펌프를 사용하여 첨가하였다. Parol(등록 상표)은 ASTM D 3238에 따른 측정에 의해, 나프텐률은 32 %이고, 파라핀율은 68 %이다. 첨가량은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유연제의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첨가하였다. 이것을 표층용 수지로 사용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스크류 직경 37 ㎜, L/D 30의 동방향 회전형 이축 압출기(도시바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TEM-35BS)로 용융하고, 압출기 도중으로부터 주입 펌프를 사용하여 미네랄 오일(크롬프톤사의 화이트 미네랄 오일 PAROL(등록 상표))을 20 질량부 첨가하였다. 첨가량은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미네랄 오일을 95:5의 질량비로 혼합하였다. 얻어진 펠릿을 심층용 수지로서 제조하였다. 각 층의 부피 비율 관계 등에 대하여 표 1에 나타낸다.
상기한 수지를 사용하여 다층 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우선, 표층/심층/표층의 대칭인 수지층 구성을 압출할 수 있는 다층 압출 장치인 표층용 압출기와, 심층용 압출기 각각에, 상기에서 얻어진 수지 혼합물을 투입하였다. 각 압출기로 충분히 용융한 후, 다층 원환상 다이로 220 ℃에서 필름 원반(原反)을 압출한 후, 수냉 냉각하였다.
얻어진 필름 원반을 인플레이션 버블식 연신 장치로 연신 온도 120 ℃에서 세로로 5배, 가로로 4배 연신하였다. 그 후, 통상적인 필름의 단부를 트리밍하고, 1매씩 분리하여 권취하였다. 그 결과, 각 층의 두께비가 표층, 심층 및 표층의 순으로 0.20, 0.60, 0.20으로 거의 균질한 두께(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표층의 수지 조성에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부시끼가이샤 그랜드 중합체 제조, 그랜드 폴리프로필렌(등록 상표) F327, 프로필렌-에틸렌-부텐-1의 삼원 공중합체)와, 유연제로서 부텐-1 중합체(미쯔이 가가꾸(주) 제조, 터프머(등록 상표) BL4000)를 95:5의 질량비로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표층 및 심층의 수지 조성의 미네랄 오일(크롬프톤사의 화이트 미네랄 오일을 Kaydol(등록 상표)/(40 ℃에서의 동점도 67 cSt))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Kaydol(등록 상표)은 ASTM D 3238에 따른 측정에 의해, 나프텐률이 35 %, 파라핀율이 65 %였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질량비 60:40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로진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인 이스트맨 케미컬 FORAL(등록 상표) 105E를 5 질량부로 하고, 크롬프톤사의 화이트 미네랄 오일 Parol(등록 상표)을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로진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인 이스트맨 케미컬 FORAL(등록 상표) 105E를 15 질량부로 하고, 미네랄 오일을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로진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인 이스트맨 케미컬 FORAL(등록 상표) 105E를 5 질량부로 하고, 미네랄 오일을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 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심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미네랄 오일의 질량비를 97:3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의 각 층의 두께비를 표층, 심층 및 표층의 순으로 0.15, 0.70, 0.1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의 각 층의 두께비를 표층, 심층 및 표층의 순으로 0.35, 0.30, 0.3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인 클리어론(등록 상표) P125를 5 질량부로 하고, 미네랄 오일을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C9 유분 석유 수지인 REGALITE(등록 상표) R1125를 5 질량부로 하고, 미네랄 오일을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C5 유분 석유 수지인 EASTOTAC H130L을 5 질량부로 하고, 미네랄 오일을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85:15의 질량비로 혼합하였다.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인 클리어론(등록 상표) P125를 5 질량부로 하고, 미네랄 오일을 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95:5의 질량비로 혼합하였다.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인 클리어론(등록 상표) P125를 15 질량부로 하고, 미네랄 오일을 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95:5의 질량비로 혼합하였다.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인 클리어론(등록 상표) P125를 5 질량부로 하 고, 미네랄 오일을 1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95:5의 질량비로 혼합하였다.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인 클리어론(등록 상표) P125를 5 질량부로 하고, 미네랄 오일을 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하고, 심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미네랄 오일의 질량비를 85:1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7>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95:5의 질량비로 혼합하였다.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인 클리어론(등록 상표) P125를 5 질량부로 하고, 미네랄 오일을 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하고, 각 층의 두께비를 표층, 심층 및 표층의 순으로 0.35, 0.30, 0.3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 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8>
검 로진과 200 g과 5 % 팔라듐 0.4 g을 1 ℓ 진탕식 오토클레이브에 넣고, 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계 내를 수소로 25 MPa로 가압하고, 200 ℃까지 승온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8.5 시간 동안 수소 첨가 반응을 행하였다. 이 고압 수소 첨가 로진 100 g을 1 ℓ 교반식 반응조에 넣고, 질소 밀봉하에 180 ℃로 승온하고, 용융 교반하에 200 ℃에서 펜타에리트리톨 14 g을 첨가한 후, 285 ℃까지 승온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2 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고압 수소 첨가한 로진과 펜타에리트리톨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압 수소 첨가한 로진과 펜타에리트리톨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5 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질량부로 하고,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첨가하지 않고,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로진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인 이스트맨 케미컬사 제조의 FORAL(등록 상표) 105E를 5 질량부로 하고, 크롬프톤사 제조의 화이트 미네랄 오일 PAROL(등록 상표)을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표하는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40:60의 질량비로 혼합하였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로진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인 이스트맨 케미컬사 제조의 FORAL(등록 상표) 105E를 5 질량부로 하고, 크롬프톤사 제조의 화이트 미네랄 오일 PAROL(등록 상표)을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촉이 저하된 결과가 얻어졌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로진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인 이스트맨 케미컬사 제조의 FORAL(등록 상표) 105E를 25 질량부로 하고, 미네랄 오일을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촉이 저하된 결과가 얻어졌다.
<비교예 4>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로진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인 이스트맨 케미컬사 제조의 FORAL(등록 상표) 105E를 5 질량부로 하고, 미네랄 오일을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2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촉이 저하된 결과가 얻어졌다.
<비교예 5>
실시예 1의 심층으로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단체(單體)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착성이 낮은 결과가 얻어졌다.
<비교예 6>
실시예 1의 심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미네랄 오일의 질량비를 75:2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착성은 있지만, 감촉이 저하된 결과가 얻어졌다.
<비교예 7>
실시예 1의 각 층의 두께비를 표층, 심층 및 표층의 순으로 0.4, 0.2, 0.4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착성은 있지만, 감촉이 저하된 결과가 얻어졌다.
<비교예 8>
실시예 1의 각 층의 두께비를 표층, 심층 및 표층의 순으로 0.05, 0.9, 0.0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표하는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9>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100으로 하여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첨가하지 않고,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인 클리어론(등록 상표) P125를 5 질량부로 하고, 크롬프톤사 제조의 화이트 미네랄 오일 PAROL(등록 상표)을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표하는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10>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75:25의 질량비로 혼합하였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인 클리어론(등록 상표) P125를 5 질량부로 하고, 크롬프톤사 제조의 화이트 미네랄 오일 PAROL(등록 상표)을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촉이 저하된 결과가 얻어졌다.
<비교예 11>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95:5의 질량비로 혼합하였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인 클리어론(등록 상표) P125를 25 질량부로 하고, 크롬프톤사의 화이트 미네랄 오일 PAROL(등록 상표)을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촉이 저하된 결과가 얻어졌다.
<비교예 12>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95:5의 질량비로 혼합하였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인 클리어론(등록 상표) P125를 5 질량부로 하고, 크롬프톤사의 화이트 미네랄 오일 PAROL(등록 상표)을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a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2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표로 하는 밀착성은 있지만, 감촉이 저하된 결과가 얻어졌다.
<비교예 13>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95:5의 질량비로 혼합하였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인 클리어론(등록 상표) P125를 5 질량부로 하고, 크롬프톤사의 화이트 미네랄 오일 PAROL(등록 상표)을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하였다. 또한, 심층으로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단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표하는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14>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95:5의 질량비로 혼합하였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인 클리어론(등록 상표) P125를 5 질량부로 하고, 크롬프톤사 제조의 화이트 미네랄 오일 PAROL(등록 상표)을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하였다. 또한, 심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미네랄 오일의 질량비를 75:2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표하는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15>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인 클리어론(등록 상표) P125를 5 질량부로 하고, 미네랄 오일을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하였다. 또한, 각 층의 두께비를 표층, 심층 및 표층의 순으로 0.4, 0.2, 0.4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촉이 저하된 결과가 얻어졌다.
<비교예 16>
실시예 1의 표층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인 클리어론(등록 상표) P125를 5 질량부로 하고, 미네랄 오일을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첨가한 수지를 표층용 수지로 사용하였다. 또한, 각 층의 두께비를 표층, 심층 및 표층의 순으로 0.05, 0.9, 0.0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표하는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Figure 112007006177754-PCT00001
Figure 112007006177754-PCT00002
Figure 112007006177754-PCT00003
Figure 112007006177754-PCT00004
또한, 표 중의 약어는 하기 의미를 갖는다.
실=실시예, 비=비교예
F327=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가부시끼가이샤 그랜드 중합체 제조, 그랜드 폴리프로(등록 상표) F327)
110T=저결정성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
(미쯔이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터프머(등록 상표) XR110T)
BL4000=부텐-1 공중합체
(미쯔이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터프머(등록 상표) BL4000)
F105=수소 첨가 로진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이스트맨 케미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FORAL(등록 상표) 105E)
P125=1-메틸-4-(1-메틸에테닐)-시클로헥센 단독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야스하라 케미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클리어론(등록 상표) P125)
R1125= 수소 첨가 C9 유분 석유 수지
(이스트맨 케미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REGALITE(등록 상표) R1125)
H130L=수소 첨가 C5 유분 석유 수지
(이스트맨 케미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EASTOTAC(등록 상표) H130L)
Parol=미네랄 오일 PAROL(등록 상표)
(크롬프톤사 제조의 화이트 미네랄 오일)
Kaydol=미네랄 오일 Kaydol(등록 상표)
(크롬프톤사 제조의 화이트 미네랄 오일)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양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04년 7월 23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특원 2004-215956)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본 발명에 의해, 이상의 설명과 같이 필요한 밀착성을 유지하면서, 손으로 취급시 점성이 발생하거나 달라붙지 않는 양호한 성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인출성, 투명성, 내열성, 유연성 및 절단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미네랄 오일을 사용한 필름은, 손으로 취급했을 때의 점성이 개선된다. 상기 필름은, 식품 포장용 랩 필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A)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S1)이 50 내지 99 질량%의 범위이며,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부텐-1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연제 (S2)가 1 내지 50 질량%의 범위인 제1 조성물과, 제1 조성물의 합계 (S1+S2) 100 질량부에 대하여, 로진 유도체 (S3) 2 내지 20 질량부 및 미네랄 오일 (S4) 2 내지 20 질량부를 각각 함유하는 표층, 및
    (B)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C1) 80 내지 99 질량% 및 미네랄 오일 (C2) 1 내지 20 질량%를 함유하는, 상기 표층과 인접하는 심층
    을 갖는 다층 필름인 폴리프로필렌계 랩 필름.
  2. (A)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S1)이 80 질량% 초과 99 질량% 이하의 범위이며,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부텐-1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연제 (S2)가 1 질량% 이상 20 질량% 미만의 범위인 제1 조성물과, 제1 조성물의 합계 (S1+S2) 100 질량부에 대하여, 1-메틸-4-(1-메틸에테닐)-시클로헥센 단독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또는 수소 첨가 탄화수소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밀착제 (S3') 2 내지 20 질량부 및 미네랄 오일 (S4) 2 내지 20 질량부를 각각 함유하는 표층, 및
    (B)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C1) 80 내지 99 질량% 및 미네랄 오일 (C2) 1 내지 20 질량%를 함유하는, 상기 표층과 인접하는 심층
    을 갖는 다층 필름인 폴리프로필렌계 랩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로진 유도체로서 20 MPa 이상 40 MPa 이하의 압력으로 고압 수소 첨가한 로진과 다가 지방족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이 사용된 것인 폴리프로필렌계 랩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프텐률이 33 질량% 이하인 미네랄 오일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랩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3 ℃ 및 상대 습도 50 %에서의 밀착 일량이 0.5 내지 1.5 mJ이고, 인출력이 100 내지 600 mN인 폴리프로필렌계 랩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 표면을 원자간력 현미경의 위상상 40,000배로 관찰한 경우, 메쉬상의 피브릴과 그 사이에 존재하는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이 피브릴의 평균폭이 1 ㎚ 이상 100 ㎚ 이하이고, 피브릴간의 평균 거리가 3 ㎚ 이상 1 ㎛ 이하의 구조인 폴리프로필렌계 랩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로 방향 및/또는 가로 방향으로 2배 이상 연신된 폴리프로필렌계 랩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 전체의 두께가 3 내지 20 ㎛인 폴리프로필렌계 랩 필름.
KR1020077001516A 2004-07-23 2005-07-21 프로필렌계 다층 랩 필름 KR100852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15956 2004-07-23
JP2004215956 2004-07-23
PCT/JP2005/013370 WO2006009198A1 (ja) 2004-07-23 2005-07-21 プロピレン系多層ラップ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068A true KR20070034068A (ko) 2007-03-27
KR100852552B1 KR100852552B1 (ko) 2008-08-18

Family

ID=35785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516A KR100852552B1 (ko) 2004-07-23 2005-07-21 프로필렌계 다층 랩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772260B1 (ko)
JP (1) JP4832301B2 (ko)
KR (1) KR100852552B1 (ko)
CN (1) CN1989006A (ko)
ES (1) ES2488848T3 (ko)
TW (1) TW200619024A (ko)
WO (1) WO20060091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67125B (zh) * 2014-02-18 2017-01-21 Kureha Corp plastic wrap
SG11202001968XA (en) * 2017-09-06 2020-04-29 Asahi Chemical Ind Wrap film and wrap film rol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5711B2 (ja) * 1987-04-07 1997-04-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乾式転写材製造用インクリボン
JPH06166294A (ja) * 1992-11-27 1994-06-14 Tombow Pencil Co Ltd 感圧性転写誤字修正テープ
JPH08123061A (ja) * 1994-08-31 1996-05-17 Sony Corp 被転写体及びこれを用いた静電画像記録方法
JP3415350B2 (ja) 1995-10-27 2003-06-09 新東工業株式会社 移動式ショットブラスト設備
JP2003019778A (ja) * 2001-07-09 2003-01-21 Asahi Kasei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多層ラップフィルム
EP1457314B1 (en) * 2001-11-22 2012-12-19 Asahi Kasei Life & Living Corporation Polypropylene-based wrap film
JP4480578B2 (ja) * 2002-08-29 2010-06-16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ラップフィルム
JP4187092B2 (ja) * 2002-09-17 2008-11-26 東セロ株式会社 二軸延伸防湿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19024A (en) 2006-06-16
EP1772260A1 (en) 2007-04-11
CN1989006A (zh) 2007-06-27
WO2006009198A1 (ja) 2006-01-26
KR100852552B1 (ko) 2008-08-18
JPWO2006009198A1 (ja) 2008-05-01
JP4832301B2 (ja) 2011-12-07
EP1772260B1 (en) 2014-07-02
ES2488848T3 (es) 2014-08-29
EP1772260A4 (en)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0517B2 (ja) 透明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KR100688674B1 (ko) 스트레치 포장용 적층 필름
JP4261054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包装用延伸フィルム
KR100852552B1 (ko) 프로필렌계 다층 랩 필름
JP2014111368A (ja) ストレッチ包装用フィルム
EP2666631A1 (en) Stretch packaging film
JP4202728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ストレッチ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030501A (ja) ストレッチ包装用フィルム
JP3490926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ストレッチ包装用フィルム
TW570873B (en) Polypropylene multilayered film
KR100681364B1 (ko) 폴리프로필렌계 랩 필름
JP5730745B2 (ja) ストレッチ包装用フィルム
JP3794967B2 (ja) ハンド包装用ストレッチ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746166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ストレッチ包装用フィルム
JP2022063198A (ja) ストレッチ包装用フィルム
JP7251153B2 (ja) ストレッチ包装用フィルム
JP5882974B2 (ja) ストレッチ包装用フィルム
JP4328244B2 (ja) プロピレン系接着用重合体組成物及びその積層体
JP2003019778A (ja) ポリプロピレン系多層ラップフィルム
KR102559986B1 (ko)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 다층구조의 폴리올레핀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KR102559983B1 (ko) 우수한 점착력을 가진 다층구조의 폴리올레핀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JP4575576B2 (ja) ストレッチ包装用フィルム
JP5660980B2 (ja) ストレッチ包装用フィルム
JP5749140B2 (ja) ストレッチ包装用フィルム
JPH0687191A (ja) 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