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990A - 유체 물질의 포장 및 배출용 가변성 파우치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물질의 포장 및 배출용 가변성 파우치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9990A
KR20070019990A KR1020067018446A KR20067018446A KR20070019990A KR 20070019990 A KR20070019990 A KR 20070019990A KR 1020067018446 A KR1020067018446 A KR 1020067018446A KR 20067018446 A KR20067018446 A KR 20067018446A KR 20070019990 A KR20070019990 A KR 20070019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flexible
rigid
bott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322B1 (ko
Inventor
로랑 아르기리
빠트리스 삐빌랑
쟝-필립 따베를레
Original Assignee
라브라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브라보 filed Critical 라브라보
Publication of KR20070019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6Membrane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05B11/00442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the means being actua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05B11/004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with provision for filtering or cleaning the air flow drawn in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05B11/00446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the means being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or of an enclosure surrounding the container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단한 용기에 사용되는 단일품 형태의 가변형 가요성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우치는 목부분 개구(5)를 포함하는 단단한 상부(3)와 가요성 가변형 하부(4)를 포함하고, 이 하부는 파우치 내로 공기가 흡입되지 않고 물질을 배출하는 수단과 관련되어 있고, 상기 두 부분(3, 4)은 파우치(2)의 수축시 하부(4)의 내벽 상단부가 상부(3)의 내벽에 대해 가압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파우치의 가요성 하부(4)는 주름부를 형성하는 수축부(7)를 포함하고, 이 수축부는 수축시 단단한 상부(3)의 내벽에 대해 접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축부(7)는 가요성 파우치(4)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유체, 액체, 또는 반죽 물질에 적합하다.
파우치, 상부, 하부, 수축부

Description

유체 물질의 포장 및 배출용 가변성 파우치 및 장치{DEFORMABLE FLEXIBLE POUCH AND DEVICE FOR PACKING AND DISPENSING FLUID PRODUCTS}
본 발명은 액체 또는 반죽과 같은 유체 물품을 포장하고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공식으로 포장되고 펌프나 밸브에 의해 배출되도록 되어 있는 유체 또는 반죽같은 물질을 포함하고 또한 단단한 병에 배정되거나 배정되지 아니한 가요성 파우치(주머니)에 관한 것이고, 또한 이러한 장치가 설치된 포장 및 배출 병/파우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병/파우치 형태의 유체 포장 및 배출 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단단한 껍질(shell)을 갖는 용기를 포함하며, 물질이 파우치로부터 빠져나옴에 따라 비례하여 수축하는 수축가능한 가요성 파우치가 용기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파우치 밖으로 물질이 배출되는 것은 진공 펌프에 의해서 즉 공기의 회복 없이 또는 병 내에서 작용하는 고압 가스의 파우치 벽에 대한 압력 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의 회복 없이 펌프에 의해 파우치 밖으로 물질을 배출하는 것과 관련하여, 통기구멍이 병의 바닥부 내지 목부분에 제공되고, 따라서 외부의 공기는 매번 펌프가 작동하는 동안 병과 파우치 사이에 위치된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고, 따라서 진공을 유지하는 파우치 내에 물질이 계속 담겨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벽에서 유지되는 충분한 압력으로 파우치는 수축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프랑스 특허 FR 2,723,356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단단한 용기 내에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고 용기의 목부분이 공기 입구를 포함하는 파우치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부를 단단한 병에 보다 쉽게 고정시키도록 상부가 강화된 파우치 시스템이 알려져 있고, 특허출원 WO 0058021은 이러한 기술에 의한 파우치를 기재하고 있고, 이러한 형태의 파우치에 의해 회복된 물질의 체적은 보통 만족스럽지 못할지라도, 파우치의 변형은 파우치 벽의 원통형 부분으로 제한되므로, 회복률이 90%에 도달되기를 바랄 수 없다. 이는 단점이 되며, 이러한 단점은 물질의 상당량이 사용자에 대해서 낭비되는 것이기 때문에, 파우치 내에 담겨있는 물질의 가치가 더 높으면 높을수록 더 심각해진다는 것이다.
이는 비슷하게 영국특허 GB 2,184,491에 기재된 파우치에 적용되는데, 이 특허는 실질적으로 동등한 체적을 갖는 두 부분을 포함하고, 상부가 리브(ribs)에 의해 단단해져 있고, 반면에 상부로 복귀함과 동시에 가요성 하부가 수축한다.
이러한 공지 기술에서 직면하는 어려움들은 종종 파우치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접히는 부분과 관련된다. 보다 정확히, 파우치가 담고 있는 물질은 종종 대기의 산소와의 작용시 산화에 민감하며, 파우치 내로 공기가 들어가면 악화될 수 있다. 누출방지의 결함이 종종 파우치와 펌프의 접합 영역에서 발견된다. 이 결함은 또한 파우치를 생산하는데 이용되는 재료의 일정한 다공성에 기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파우치가 수축할 때 파우치 벽에 의해 형성된 접힌 부분으로 인해 터진 틈은 공기를 쉽게 통과시키고, 따라서 공기는 파우치에 담겨있는 물질에 도달하게 된다.
병/파우치의 다른 실시예는 프랑스 특허 2,770,834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파우치를 비우는 동안 파우치에 구멍이 뚫리거나 파우치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플라스틱 필름 내지 알루미늄박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파우치는 파우치가 과도하게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유 부표(free float)를 포함하고 있고, 따라서 찢어질 위험을 제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장치는 파우치에 담겨있는 물질 전체를 확실히 비울 수 없어서 결과적으로 물질의 상당한 손실을 일으키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하부에 다수의 주름이 포함된 파우치가 알려져 있다. 프랑스 특허 FR 2,669,306은 상부에 대항하여 놓여지지 않으면서 단단한 상부의 절두원추형 체적에 점차적으로 수용되는 접히는 하부를 포함하는 파우치를 기재하고 있다. 또 다른 예가 영국특허 GB 2,083,142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다수의 주름을 포함하는 수축가능한 파우치를 포함하는 반죽 같은 물질의 도포장치를 다루는 것이다.
이러한 주름이 많은 파우치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채우는 동안, 파우치를 채우도록 되어 있는 물질의 점성이 높기 때문에 공기는 접힌 부분에 가두어질 위험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다수의 주름은 물질을 가두어 결과적으로 파우치의 회복률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보통 가요성 파우치에 배정되는 펌프는 잘 밀폐되도록 해야하며 또한 수직 위치와 경사진 위치 모두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프랑스 특허 FR 2,669,379는 위치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도 잘 밀폐되도록 하는, 세 개의 플랩 밸브를 포함하는 원활히 움직이는 슬라이딩 피스톤을 지탱하는 축 피스톤 형태의 계량 펌프를 설명하고 있다. 프랑스 특허 FR 2,726,810은 공기 입구가 없는 펌프의 예를 설명하고 있고, 이 특허에서 하부 플랩 밸브는 가요성이고 절두원추형인 반면 상부 플랩 밸브는 태핏의 중공 자루대의 베이스부에 위치된 디스크에 의해 지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또는 반죽 음식 물질을 담을 수 있고 파우치 내로 공기가 복귀됨이 없이 물질을 배출하도록 된 수단에 배정된 가변형 가요성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단한 병의 위치에 상관없이 파우치에 담겨 있는 물질이 잘 복원되도록 하는 앞서 설명한 가요성 파우치를 포함하는, 가요성 파우치를 갖는 단단한 병 형태의, 액체 또는 반죽 음식 물질을 포장하고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체가 새지 않는 방식으로 파우치의 구멍에 설치된 진공 수동 펌프를 갖춘 단단한 병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가변형 가요성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기구멍이 제공되는 병에 유체가 새지 않는 방식으로 장착되고 파우치에 담겨있는 물질을 짜내고 배출하는 장치에 배정된 앞서 설명한 가요성 파우치를 포함하는, 통기구멍을 갖는 단단한 병 형태의, 액체 또는 유체 물질을 포장하고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변형 가요성 파우치는 액체 또는 반죽 같은 유체 물질을 담을 수 있는 단일품(one piece) 형태이고, 이는 개방된 목부분을 포함하는 단단한 상부와 가요성 가변형 하부를 포함하고, 공기가 파우치 내로 복귀됨이 없이 상기 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수단에 배정되고, 파우치가 수축되는 동안 하부 내벽의 윗부분이 상부 내벽에 대해 놓여 있도록 상기 상부와 하부 두 부분은 서로에 대해 접합되어 있다.
상기 파우치는 상기 파우치의 가요성 하부가 수축할 때 상기 단단한 상부의 내벽에 대해 접혀지도록 상기 파우치의 가요성 하부는 주름을 형성하는 수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축부는 가요성 파우치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요성 파우치의 상부에 단일 수축부가 존재함으로써 특히 이용되는 물질의 점성에 관계없이 파우치를 쉽게 채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축부의 내부 직경은 파우치의 목부분의 직경 보다 약간 더 크다.
상기 파우치의 단단한 상부는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이고, 그 경도는 파우치가 수축하는 동안 파우치의 상부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파우치의 상부는 파우치의 목부분에 연결되도록 중심부가 개방된 돔의 형태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요성 파우치의 상부에서의 상기 수축부는 파우치의 목부분과 동일한 면에서 수축부에 인접한 가요성 파우치의 벽이 절두원추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가요성 원뿔대의 베이스부는 서로 두 부분을 잇는 영역을 따라 상기 단단한 절두원추형 상부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틈이 없이 단단한 상부의 돔 형상 내벽에 대해 가요성 하부의 윗부분의 내벽을 쉽게 접기 위해서, 파우치의 가요성 하부의 윗부분이 단단한 상부에 대해 접혀진 후에 상부의 베이스가 파우치의 하부의 벽을 살짝 넘어서 돌출하는 식으로 상기 파우치의 하부와 이어진 영역을 지지하는 상기 단단한 상부의 베이스의 직경이 파우치의 측벽에 수축부를 연결시키는 영역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 실시예는 좀 더 쉽게 병의 파우치를 위치시키기 위해, 병의 내벽에 형성된 어깨부와 접촉할 수 있는 지지 영역을 형성하는 이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요성 파우치의 베이스는 수축시 파우치의 베이스 부분을 좀 더 쉽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직경 교차부재에 의해 보강된 오목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파우치의 가요성 하부는 우선 단단한 상부의 내벽에 대항하여 접혀지고 이어서 목부분을 향해 파우치의 바닥으로부터 상승하는 이동이 실행되는 두 단계에의 움직임에 따라 수축하는 식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첫 번째 단계에서 수축부에 의해 가요성 하부가 단단한 상부의 내벽에 대항하여 놓여진다는 사실에 의해 내벽을 보강할 수 있다. 이는 두 번째 단계에서 일어나는 파우치 바닥으로부터의 상승 이동이 있기 전에 상부의 경도(rigidity)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파우치는 가요성 하부에 배정된 단단한 상부를 갖는 이점이 있다.
물질의 회복률, 즉 파우치에 처음 담겨 있던 양에 대해 빠져나간 양의 비율이 95% 이상, 심지어 99% 이상이 되도록(가요성 파우치에 담겨 있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짐), 파우치의 내부에 담겨있는 물질이 빠져나옴에 따라 파우치가 수축하는 동안, 가요성 하부의 형태는 단단한 부분의 형태와 상보적 관계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우치의 상부는 높은 경도와 비교적 얇은 두께를 겸비하고, 반면에 하부의 얇은 두께는 가요성 병이 아니라 실제 가요성 파우치가 완전히 수축할 수 있게 한다.
공기 입구가 없는 형태의 종래의 여러 펌프(진공 펌프)들이 파우치에 담겨있는 물질을 빼내어 배출하기 위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다양한 방향에 따라 작동할 수 있는 플랩 밸브를 갖는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펌프의 플랩 밸브는, 가요성과 탄성의 바람직한 성질을 갖지면서 병에 담겨있는 물질에도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또는 합성 고무, 또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SBS, 또는 실리콘과 같은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구성된 플랩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체가 새지 않는 방식으로 펌프를 링이나 캡에 의해 가요성 파우치를 포함하는 단단한 병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된 형태로서, 펌프는 어떤 종래의 기술에 의해, 예를 들어 맞물림 결합, 스냅식 결합, 접착, 접합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 직접 병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펌프가 파우치의 목부분에 결합되어 병의 엣지에서 지지되는 링에 장착되고, 상기 링은 개방 실린더 형태이다. 이를 위해, 병의 구멍의 엣지는 링을 확실히 고정하기 위해 링과 서로 협력한다. 예를 들어, 병의 구멍의 엣지 내벽에 형성되고 또한 스냅 결합에 의해 고정되도록 고정 링의 외주에서 대응하는 리브와 서로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홈이 제공될 수 있다. 똑같은 기술로 또는 접합에 의해 펌프를 링에 고정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링은 파우치의 목부분에 통합되어 목부분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가 파우치의 목부분에 직접 장착되어 있다. 원뿔대 또는 돔 형태의 상부의 높은 경도는 펌프를 설치하여 사용 중에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성은 중간 링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링은 펌프를 갖는 구조체의 보강과 관련된 특별한 구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중간 링이 없는 경우, 단단한 상부의 외주에 제공되어 병의 상부 엣지와 협력하는 수단, 예를 들어 링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고 병 내벽의 리브에 대응하는 홈에 의해, 파우치는 스냅 결합 또는 나사 결합으로 단단한 병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파우치는 단순히 병의 구멍에 위치되고, 단단한 상부의 외주는 병의 내벽에 형성된 어깨부에 안착한다. 이 조립체는 이어서 종래의 수단에 의해 파우치의 상부로부터 단단한 병의 구멍에 고정되는 펌프의 바디에 의해 고정된다. 파우치는 맞물림 결합 또는 클램핑에 의해 펌프의 플런저 튜브에 고정된다.
가요성 파우치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파우치의 상부의 경도는 가요성 파우치가 완전히 수축하는 것을 방해하고 따라서 회복률을 줄이기 때문에 단점이 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와 반대로, 회복률이 95% 이상이 되도록 단단한 구조와 합치하는 움직임을 따라 파우치를 접는 것을 최적화하는 동시에 파우치를 단단한 병에 설치하는 것을 더 쉽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러한 단단한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똑같은 재료로 단일품으로 형성된 각 부분의 벽에 적절한 두께를 부가함으로써, 파우치의 상부의 경도와 하부의 가요성을 이룰 수 있다. 똑같은 두께에 대해, 경도는 공지의 방식으로 벽의 형태 함수에 따라 달라진다.
가요성 파우치를 갖는 단단한 병 형태의 장치와 관련하여, 충분한 압력을 유지하여 매번 물질을 배출할 때 파우치가 수축할 수 있도록, 가요성 파우치를 단단한 병의 내벽과 분리하는 공간에 외부 공기가 들어가야만 한다. 외부 공기가 병 내부로 들어가서 펌프에 의해 배출된 물질의 체적을 보상하도록, 공기 유입 순환부가 제공된다. 한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공기 순환부는 펌프의 태핏의 영역에 위치되고, 태핏이 올라가면 정지 위치에서 태핏 영역이 차단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간단한 단단한 병과 관련하여, 공기 순환부는 바람직하게 병의 바닥에 있는 통기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단단한 병의 바닥에 통기구멍이 제공되며, 이 통기구멍은 병에 담겨 있는 물질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랩 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배출되는 물질에 해를 끼칠 수 있는 박테리아와 같은 오염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통기구멍은 상부와 하부 사이의 연결부 영역 내에서 파우치의 단단한 상부의 베이스의 외주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홈으로 구성된다. 병에서 지탱되는 링으로 펌프를 고정하는 경우, 공기가 통과되도록 하나 이상의 구멍이 링에 만들어진다.
펌프의 플랩 밸브가 열릴 수 있고 계량 챔버에 담겨 있는 물질이 누출될 수 있는 충분히 낮은 압력 영역에 병과 펌프 및 가요성 파우치로 구성된 조립체가 있는 상황을 포함하여, 병과 펌프 및 가요성 파우치로 구성된 조립체에서 잘 밀폐되도록, 배출 헤드에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캡 또는 고깔(cowl)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고깔을 헤드에 장착할 때 밀폐되도록 하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 고깔은 고깔의 내부 엣지 및 태핏의 끝부분(nose)의 베이스의 상보적인 형태에 의해 맞물림 결합으로 설치될 수 있고, 이렇게 장착하는 것은 O-링 또는 밀봉 비드에 의해 마무리된다.
펌프와 태핏을 마무리하는 이러한 부속품은 모든 저장 상황에서, 심지어 외부의 압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확실히 밀폐되고, 병에 담겨있는 물질이 보존될 수 있도록 한다.
링에 의해 또는 직접 본 발명의 가요성 파우치의 목부분에 고정된 펌프는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기계적 성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절한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파우치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에틸렌과 비닐 알콜의 혼성중합체(EVOH),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등 중에서 선택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단일층 재료, 또는 금속층, 예를 들어 누출 방지를 보강하는 방벽(barrier)을 형성하는 알루미늄 층을 포함하면서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 층이 결합된 다중층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파우치는 상기의 재료로부터 취입성형(吹入成形, blowing)에 의해 단일품으로 제조될 수 있고, 따라서 제조에 필요한 투자금을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취입성형 또는 압출 취입성형(extraction blowing)에 의해 단일품 파우치를 제조하는 방법은 또한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몰딩된 요소를 생산할 필요를 제거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조립 작업이 없어도 되도록 한다.
변형예에 의하면, 적절한 주형에서 미리 형성된 형성물에 대해 주입 취입성형(injection blowing)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이 기술은 보통 훨씬 비용이 많이 든다. 그러나,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 예를 들어 제조 중에 고정링을 직접 파우치의 목부분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때에는, 적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요성 파우치를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이 취입성형 기술은 이 분야에서 현재 채택되고 있는 기술, 특히 주입 취입성형과 비교할 때 전반적으로 비용을 감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파우치는 가요성 파우치가 담는 물질에 적합한 재료로 제조된다. 따라서, 한 예로서, 외부 환경의 효과에 비교적 민감하지 아니한 크림을 담고 있을 때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반면, 약한 물질을 담아야 하는 경우에는 수증기의 증발에 의한 손실에 대비하여 그리고 산소의 영향에 대비하여 더 나은 보호를 제공하는 폴리아미드로 구성될 수 있다.
파우치 벽의 두께는 상부에 바람직한 경도와 하부에 바람직한 가요성의 함수에 의해, 그리고 사용되는 재료의 함수에 의해 달라진다. 적절한 재료의 두께는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진 벽과 관련된 경우에는, 파우치 목부분의 두께는 0.5mm 내지 1.5mm이고, 단단한 상부의 두께는 0.2mm 내지 0.3mm이고, 가요성 하부의 두께는 0.1mm 내지 0.2mm 이다.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서 또는 적절한 재료로 된 필름이나 박(foil)을 접착함으로써, 단단한 병의 외부표면에는 유익한 정보사항 내지 장식적인 내용이 기입될 수 있다. 물론, 파우치를 포함하는 단단한 병이 이용되지 않고, 기입내용이 파우치의 표면에 직접 붙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은 수반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비제한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1은 단단한 병에 위치된 본 발명의 파우치의 단면도.
도2는 도1의 파우치의 수축된 상태의 단면도.
도3은 도2의 파우치의 상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4는 단단한 병에 배정된 본 발명의 가요성 파우치와 수동 펌프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단면도.
도5는 도4의 병/파우치의 공기 순환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6은 단단한 병의 바닥부에 통기구멍을 포함하는 도4의 병/파우치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은 단단한 상부(3)와 가요성 하부(4)를 포함하는 가요성 파우치를 수용하고, 목부분(5)을 통해 개방되어 병(1)의 구멍(6)을 통해 배출하는 병(1)을 나타낸다. 파우치(2) 전체는 단일 재료(저밀도 폴리에틸렌)를 취입성형(吹入成形, blowing)함으로써 단일품으로 생산된다.
상부(3)는 돔의 형태이고 이 돔의 경도를 돔 형태로 결합된 재료의 충분한 두께(약 0.2mm)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반면, 파우치의 목(5)의 경도는 재료를 더욱 두껍게 함으로써 보장된다.
파우치(2)의 가요성 하부(4)는 주름(concertina)을 형성하는 수축부(7)를 갖는다. 가요성 하부는 돔 형태의 상부(3)의 주변 엣지(9)와 관련하여 특정 형태의 오프셋 연결점(8)에 의해 단단한 상부(3)에 연결되어 있고, 도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엣지는 병(1)의 내벽과 연속적으로 접하고 있고 어깨부(10)에 안착하고 있다.
파우치의 바닥부(11)는 약간 오목한 형태이며, 이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파우치가 수축되는 동안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교차부재(12)가 형성되어 있다.
파우치의 목(5)에 장착된 펌프(도시 안됨)의 작동으로 인해 파우치(2)가 점차 수축하게 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 파우치의 수축부(7)와 돔 형태의 단단한 상부(3) 사이에 위치된 절두원추형 부분(13)은, 이 절두원추형 부분(13)이 단단한 돔 형태의 상부(3)에 대해 놓여질 때까지, 바닥부(11)가 목을 향해 올라갈 때 동시에 상승한다. 그러면 이어서 수축부(7) 하부에 위치된 절두원추형 부분(14)이 접혀져서 절두원추형 부분(13)에 대해 놓이게 된다.
도2에 나타난 것처럼, 파우치(2)의 측벽은 점차 수축하게되고, 이러한 움직임은 파우치의 바닥부(11)의 상승을 수반하고, 이때 바닥부의 형상은 교차부재(12)에 의해 실질적으로 유지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부(7)의 각 측면에 위치된 절두원추형 부분(13, 14)은 단단한 돔형 상부(3)의 내부면 아래에서 접혀지고, 엣지(9)는 병(1)의 내벽에 형성된 어깨부(10)와 지탱하면서 접촉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파우치 벽(14)의 바닥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절두원추형 형상으로 인해, 죽은 공간(dead space)을 최소로 제한하는 동시에 가요성 파우치의 상부가 더 쉽게 접혀질 수 있고, 따라서 훌륭한 복원율을 보장하게 된다.
도4에서, 단단한 병(1)의 구멍에 맞물려 있는 원통형 스커트(17)를 포함하는 펌프 바디(16)에 의해 펌프(15)가 단단한 병(1)의 바디에 장착되어 있다. 펌프는 스프링(19)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태핏(18)에 의해 작동되고, 밀폐식으로 파우치(20)의 목(5)에 위치되는 튜브(20)를 포함한다. 펌프 및 펌프를 파우치(2)의 목(5)에 고정하는 수단 모두가 밀폐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매번 물질을 배출하는 동안 파우치를 확실히 수축할 수 있는 충분한 압력이 유지되도록, 외부 공기가 파우치와 병의 내벽을 격리하는 공간으로 들어가는 공기의 유입 순환부가 제공된다.
펌프(15)의 태핏(18)의 벽과 태핏이 미끄러져 들어가는 펌프 바디(16)의 원통형 홀 사이에서, 그리고 단단한 돔의 엣지와 병의 내벽 사이에서, 화살표(22)를 따라 공기가 외부로부터 파우치(2)와 병(1) 사이의 체적 내로 지나갈 수 있게 하는 덕트를 형성하기 위해, 파우치의 단단한 돔 형태의 상부(3)의 주변 엣지(9)의 벽에 형성된 노치(21)에 의해 공기의 순환부가 생성된다.
공기의 순환은 링(23)에 의해 차단될 수 있고, 상기 링은 태핏(18)의 벽에 장착되고, 태핏이 미끄러져 들어가는 펌프 바디(16)의 원통형 홀의 입구에 형성된 환형 폐쇄부(24)와 함께 작용한다. 작동이 정지된 경우, 링은 폐쇄부에 기대어 있고 공기 순환부는 폐쇄된다. 사용자가 태핏(18)을 화살표(25)의 방향으로 작동시기면, 링은 폐쇄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부 공기는 파우치와 단단한 병 사이의 체적 내로 들어갈 수 있고, 따라서 가요성 파우치의 수축된 상태를 보충할 수 있다.
도6은 도4의 병/파우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공기의 순환은 단 단한 병(1)의 바닥부에 있는 통기구멍이 대신한다. 이러한 통기구멍(26)은 병에 담겨 있는 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플랩 밸브(27)에 의해 폐쇄된다. 플랩 밸브는 박테리아와 같은 오염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필터(28)로 마무리된다. 플랩 밸브는 펌프의 작동 중에 병에서 진공상태가 발생할 때 개방되고, 펌프의 태핏이 작동하지 않을 때 폐쇄되어 있도록 설계된다.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공기가 복귀가 없는 종래의 펌프를 포함하는 장치로 수행된 시험결과, 크림의 경우에는 95%의 회복률이 나왔고, 이는 점성에 따라 달라지는데, 액체의 경우에는 95% 이상의 회복률이 나왔다.

Claims (12)

  1. 개방된 목부분(5)을 포함하는 단단한 상부(3)와 가요성 가변형 하부(4)를 포함하고, 파우치 내로 공기가 복귀됨이 없이 상기 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수단에 배정되고, 파우치(2)의 수축시 하부(4)의 내벽 상단부가 상부(3)의 내벽에 대해 놓여지는 식으로 상기 상부(3)와 하부(4) 두 부분이 서로 이어져 있는, 액체 또는 반죽 같은 유체 물질을 담을 수 있는 단일품 형태의 가변형 가요성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의 가요성 하부(4)가 수축시 상기 단단한 상부(3)의 내벽에 대해 접혀지도록 상기 파우치의 가요성 하부(4)는 주름을 형성하는 수축부(7)를 구비하고, 상기 수축부(7)는 가요성 파우치(2)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부(7)의 내부 직경은 파우치의 목부분(5)의 직경 보다 약간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파우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의 단단한 상부(3)는 절두원추형이고, 그 경도는 파우치가 수축하는 동안 파우치의 상부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파우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의 상부(3)는 파우치의 목부분(5)에 연결되도록 중심부가 개방된 돔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파우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 파우치의 상부에서의 상기 수축부(7)는 파우치의 목부분(5)과 동일한 면에서 수축부에 인접한 가요성 파우치의 벽(13)이 절두원추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가요성 원뿔대의 베이스부는 서로 두 부분을 잇는 영역을 따라 상기 단단한 절두원추형 상부(3)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파우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의 하부(4)와 이어진 영역을 지지하는 상기 단단한 상부(3)의 베이스의 직경은 파우치의 측벽에 수축부(7)를 연결시키는 영역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파우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파우치(2)의 베이스는 직경 교차부재(12)에 의해 보강된 오목 부(1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파우치.
  8. 액체 또는 반죽 같은 유체 물질의 포장 및 배출 장치에 있어서,
    단단한 병(1)과 공기 입구(15)가 없는 수동 펌프에 배정된, 제1항 내지 제7항의 가요성 파우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2)는 밀폐식으로 단단한 병(1)의 목부분(5)에 장착되어 있고, 상부(3)와 하부(4) 사이의 접합 영역 내에서 파우치의 단단한 상부(3)의 베이스 외주(9)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횡단 홈(21)으로 구성된 공기 순환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밀폐식으로 단단한 병(1)의 목부분(5)에 장착되어 있고, 병의 바닥부는 플랩 밸브(27)와 필터(28)가 설치된 통기구멍(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의 단단한 상부(3)의 외주(9)는 상기 병(1)의 내벽에 형성된 어깨부(10)에 안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바디(16)는 종래의 수단에 의해 파우치(2)의 상부로부터 상기 단단한 병(1)의 구멍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67018446A 2004-02-13 2005-02-11 유체 물질의 포장 및 배출용 가변성 파우치 및 장치 KR101103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01469A FR2866321B1 (fr) 2004-02-13 2004-02-13 Poche souple deformable et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 distribution de produits fluides.
FR0401469 2004-02-13
PCT/FR2005/000329 WO2005077546A1 (fr) 2004-02-13 2005-02-11 Poche souple deformable et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 distribution de produits flui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990A true KR20070019990A (ko) 2007-02-16
KR101103322B1 KR101103322B1 (ko) 2012-01-11

Family

ID=3480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446A KR101103322B1 (ko) 2004-02-13 2005-02-11 유체 물질의 포장 및 배출용 가변성 파우치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770762B2 (ko)
EP (1) EP1718417B1 (ko)
JP (1) JP4740158B2 (ko)
KR (1) KR101103322B1 (ko)
CN (1) CN1917961B (ko)
AT (1) ATE416849T1 (ko)
CA (1) CA2553282C (ko)
DE (1) DE602005011576D1 (ko)
ES (1) ES2315852T3 (ko)
FR (1) FR2866321B1 (ko)
WO (1) WO20050775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049B1 (ko) * 2020-09-13 2021-11-04 강정환 원료계량과 반죽혼합 및 디스펜싱 하는 반죽 간편조리장치 및 이 조리장치를 활용한 반죽조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0677B2 (en) 2004-12-04 2010-10-12 Medical Instill Technologies, Inc. One-way valve and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valve
AP2007004134A0 (en) * 2005-01-31 2007-08-31 Promethea Corp Proprietary Ltd A combustion device
JP2007246119A (ja) * 2006-03-15 2007-09-27 Kuruu:Kk 袋体
JP4908135B2 (ja) * 2006-09-29 2012-04-04 リューベ株式会社 容器
JP5267901B2 (ja) * 2007-06-29 2013-08-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ダイレクトブロー成形法による合成樹脂製二重容器
GB2453330A (en) * 2007-10-01 2009-04-08 Toly Products Cosmetic compact
DE102008027987A1 (de) * 2008-03-04 2009-09-17 Kist-Europe Forschungsgesellschaft Mbh Dosierungsvorrichtung
GB2459852B (en) * 2008-05-06 2011-02-16 Toly Products Compact liquid cosmetics
NL1036085C (nl) * 2008-10-17 2010-04-20 Dispensing Technologies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afgeven van een product.
US7984831B2 (en) * 2008-10-23 2011-07-26 Gojo Industries, Inc. Handheld dispensers for personal use
DE102009021501B4 (de) * 2009-05-15 2011-09-01 F. Holzer Gmbh Vorratsbehälter sowie Verwendung des Vorratsbehälters
JP2011068368A (ja) * 2009-09-25 2011-04-07 Daiwa Gravure Co Ltd 液体注出装置用カートリッジ
DE102010038912A1 (de) * 2010-08-04 2012-02-09 Huhtamaki Ronsberg Zn Der Huhtamaki Deutschland Gmbh & Co. Kg Bag-on-Valve-System mit einem Füllgut-Behälter für aggressive Füllgüter, Füllgut-Behälter für ein Bag-on-Valve-System, Folienlaminat zur Herstellung eines Füllgut-Behälters und Verwendung des Folienlaminats für ein Bag-on-Valve-System
FR2964089B1 (fr) * 2010-08-26 2014-01-10 Airlessystem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KR101258142B1 (ko) * 2011-06-30 2013-04-25 (주)연우 내용물의 리필이 가능한 지관용기
US9102443B2 (en) * 2012-03-30 2015-08-11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Flexible packages incorporating a twistable polymer reclose material
GB2505526A (en) * 2012-08-30 2014-03-05 Chi Ying Tseng Apparatus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fluids under pressure
FR3008078B1 (fr) * 2013-07-08 2016-04-01 Lablabo Dispositif a recipient rigide et poche cylindrique souple pour le conditionnement de fluides.
FR3016815B1 (fr) * 2014-01-30 2018-03-09 Lablabo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e produits pateux
US9850059B2 (en) * 2014-03-20 2017-12-26 Gojo Industries, Inc Closed system for venting a dispenser reservoir
JP6860270B2 (ja) * 2015-07-09 2021-04-14 ディスペンシング・テクノロジーズ・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Dispensing Technologies B.V. 流体を定量供給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該流体供給システムを製造する方法
CN105124719B (zh) * 2015-09-11 2023-11-10 青岛海尔特种电冰箱有限公司 解冻装置
CA3194535A1 (en) * 2015-10-30 2017-05-04 Saban Ventures Pty Limited Probe cover
GB201701576D0 (en) * 2017-01-31 2017-03-15 Ge Healthcare Bio Sciences Ab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separation resin
GB201619750D0 (en) * 2016-11-22 2017-01-04 Nerudia Ltd Self-cleaning nipple valve
WO2018114301A1 (en) 2016-12-22 2018-06-28 Unilever Plc A shell container suitable for housing a discrete refill container
BR102017014889A2 (pt) * 2017-07-11 2019-01-29 Zammi Instrumental Ltda sistema de drenagem mediastinal
EP3672463B1 (en) * 2017-12-29 2022-09-07 Colgate-Palmolive Company Dispenser system
CN111867943B (zh) * 2018-03-22 2022-03-29 花王株式会社 包装容器和流体排出器
CN109018729B (zh) * 2018-08-31 2024-02-27 张罗 一种挤压清洗装置的气压调节机构及清洗瓶
FR3085750B1 (fr) * 2018-09-07 2020-11-20 Saipem Sa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rmination du volume de liquide restant a l'interieur d'une poche souple de distribution de liquide
CA3154053C (en) 2018-09-13 2023-10-03 Allan O'REILLY A dispenser
USD979284S1 (en) 2021-01-08 2023-02-28 Wella International Operations Switzerland Sàrl Fluid dispenser coveri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14002A (fr) * 1961-11-24 1963-01-04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distribuer une substance non compacte
US3433391A (en) * 1966-03-07 1969-03-18 Continental Can Co Dispensing container with collapsible compartment
FR2031674A5 (ko) * 1969-02-03 1970-11-20 Normos Norbert
US3606089A (en) * 1969-05-19 1971-09-20 Valve Corp Of America Product-isolating sack for pressurized dispensers
DE3033392A1 (de) * 1980-09-05 1982-04-29 Pfeiffer Kunststofftechnik GmbH & Co KG, 7760 Radolfzell Vorrichtung zur ausgabe von pasteusen oder breiigen medien
US4469250A (en) * 1982-02-25 1984-09-04 Nick Sekich, Jr. Squeezable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GB2184491A (en) * 1985-12-20 1987-06-24 Derek Harcourt Gorman Aerosols
PT91260B (pt) * 1988-07-25 1995-07-03 Cebal Processo de fabricacao e de condicionamento de um distribuidor de saco, subconjuntos e distrbuidores correspondentes
FR2669306A1 (fr) * 1990-11-16 1992-05-22 Kerplas Snc Poche deformable pour flacon avec pompe de remplissage et de soutirage.
FR2669244A1 (fr) * 1990-11-16 1992-05-22 Oreal Distributeur de produit, liquide a pateux, et embase pour un tel distributeur.
US6305577B1 (en) * 1991-09-13 2001-10-23 Owens-Illinois Closure Inc. Squeeze dispenser package for viscous products
FR2710612B1 (fr) * 1993-09-29 1995-12-22 Kerplas Snc Flacon de distribution d'un produit stocké à l'abri de l'air.
FR2723356B1 (fr) * 1994-08-08 1996-10-18 Innovation Rech Plastique Sa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avec pompe manuelle de distribution en doses unitaires
US5718334A (en) * 1996-09-11 1998-02-17 Allergan Container closure for flexible containers
FR2765560B1 (fr) * 1997-07-02 1999-08-13 Oreal Distributeur pour un produit liquide ou pateux comportant des moyens de pompage ameliores
US5934500A (en) * 1998-02-17 1999-08-10 Allergan Container sealing structure for flexible containers
JPH11301693A (ja) * 1998-04-24 1999-11-02 Riso Kagaku Corp 可撓容器
FR2791643B1 (fr) * 1999-03-30 2001-09-14 Vg Emballage Poche de distribution par pompe doseuse d'un produit conserve a l'abri de l'air, et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la contenant
JP4277086B2 (ja) * 2001-04-27 2009-06-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デラミボトルへの液充填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詰替容器
FR2840888B1 (fr) * 2002-06-18 2004-09-10 Lablabo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lusieurs fluides comportant au moins deux poches souples et deux pomp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049B1 (ko) * 2020-09-13 2021-11-04 강정환 원료계량과 반죽혼합 및 디스펜싱 하는 반죽 간편조리장치 및 이 조리장치를 활용한 반죽조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18417A1 (fr) 2006-11-08
FR2866321A1 (fr) 2005-08-19
EP1718417B1 (fr) 2008-12-10
FR2866321B1 (fr) 2007-05-18
ES2315852T3 (es) 2009-04-01
CA2553282A1 (fr) 2005-08-25
WO2005077546A1 (fr) 2005-08-25
DE602005011576D1 (de) 2009-01-22
ATE416849T1 (de) 2008-12-15
US7770762B2 (en) 2010-08-10
JP4740158B2 (ja) 2011-08-03
CA2553282C (fr) 2012-08-14
JP2007522046A (ja) 2007-08-09
CN1917961A (zh) 2007-02-21
CN1917961B (zh) 2011-08-31
US20070151987A1 (en) 2007-07-05
KR101103322B1 (ko)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322B1 (ko) 유체 물질의 포장 및 배출용 가변성 파우치 및 장치
US5772079A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liquid or semi-liquid substance
US5343901A (en) Insertable barrier bag or liner for a narrow neck dispensing container and method of filling such a barrier bag or liner
EP3492401B1 (en) Discharge container
US6062430A (en) Dispensing container with variable volume compensation
US6691494B2 (en) Separable laminated container and associated technology
EP0601145B1 (en) Insertable barrier bag or liner for a narrow neck dispensing container and method of filling such a barrier bag or liner through the syphon tube
KR20070104342A (ko) 유체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저장 백
ITMI20081462A1 (it) Dispositivo erogatore di sostanze fluide
MX2009000292A (es) Contenedor para fluidos, inserto y metodo para llenar un contenedor.
US10968032B2 (en) Refill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product
US20160175864A1 (en) System for Dispensing a Fluid Product
KR20050085640A (ko) 수동식 계량 펌프
TW202012258A (zh) 可垂直扁塌之容器及多重容器
US20180318863A1 (en) Dispenser in particular for liquid to pasty substances
RU2107656C1 (ru) Унитарная гибкая и расширенная перегородка для аэрозольных раздаточных устройств с клапаном и разда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продукта под давлением (варианты)
JP6206763B2 (ja) キャップ付き二重容器
JP6938340B2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
JP2002326605A (ja) デラミボトルへの液充填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詰替容器
JP7090463B2 (ja) 吐出容器
JP6839988B2 (ja) 二重容器
KR100472578B1 (ko) 에어로졸분배기용가요성배리어부재
JP7218062B2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
JP3544040B2 (ja) ポンプ付き容器
JP7265416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