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506A -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 - Google Patents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506A
KR20070017506A KR1020067018497A KR20067018497A KR20070017506A KR 20070017506 A KR20070017506 A KR 20070017506A KR 1020067018497 A KR1020067018497 A KR 1020067018497A KR 20067018497 A KR20067018497 A KR 20067018497A KR 20070017506 A KR20070017506 A KR 20070017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rake disc
automobile brake
hydroxy
surfac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6860B1 (ko
Inventor
후미노리 이케다
아츠시 테즈나
유미꼬 마쯔바야시
오사무 카나자와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7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25Rust- or corrosion-preve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12Discs; Drums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2Composition of linings ; Methods of manufac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50/00Manufacturing; Assembly
    • F16D2250/0038Surface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50/00Manufacturing; Assembly
    • F16D2250/0038Surface treatment
    • F16D2250/0046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28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by bending, drawing or stretch forming sheet to assume shape of configured lamina while in contact therewi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휠에 붙였을 때에 벗겨지기 어려운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는, 인장 탄성률이 220MPa 이상인 필름을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200~380nm의 파장 영역의 분광 투과율이 0~20%가 되도록, 표면기재필름 100질량부에 대해서 0.01~20질량부의 비율로 자외선흡수제를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SURFACE SUBSTRATE FILM FOR AUTOMOBILE BRAKE DISC ANTI-RUST FILM}
본 발명은, 자동차의 휠에 첩착했을 때에 벗겨지기 어려운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基材) 필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브레이크 디스크는, 외부로부터 빗물이 침수함으로써, 산화되고 검은 녹이 부착한다. 이러한 검은 녹은, 자동차 내의 정숙성, 거주성을 해치는 원인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방수 처리를 실시하고, 산화를 방지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종래, 자동차의 브레이크 디스크의 검은 녹방지에는, 펄프 성형품을 브레이크 디스크에 직접 끼워넣은 방법을 채택하고 있었다. 그러나, 펄프 성형품은, 내수성이 부족하고, 탈착을 위한 공정수가 많은 것, 비용이 비싼 것 등 때문에, 최근에는 점착필름으로 바꿔놓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1참조). 이러한 점착필름은, 녹방지필름이라고 하고 첩부, 박리 공정이 간편한 것, 타이어 휠의 외상 방지도 가능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으며, 타이어 휠에 첩부된다. 녹방지필름에는, 피착체인 타이어 휠이 삼차 곡면(三次曲面) 형상이기 때문에, 곡면 추종성이 필요하게 되고, 이 견지에서 유연한 폴리에틸렌필름을 기재필름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자동차 샤시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냉각을 위해, 주행중에 전방으로부터 받는 바람을 타이어 휠 방향으로 말려들게 하는 공력(空力)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녹방지필름은, 안쪽으로부터 풍압을 받기 때문에, 캐리어 카에서의 자동차 운반 주행중, 또는 완성차의 주행 테스트 중에 벗겨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알루미늄 휠은, 스틸 휠 보다도 가공성이 뛰어난다고 하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고의장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경량화에 의한 연료비 향상, 재료 사용량의 저감에 의한 환경 부하의 삭감, 브레이크 디스크의 냉각 효율 향상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가는 스포크의 것이 주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녹방지필름을 알루미늄 휠에 첩부할 때에는, 접착 면적이 저하하고, 벗겨지는 문제가 점점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7-30951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자동차의 휠에 붙였을 때에 벗겨지기 어려운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표면기재필름을 특정의 인장 탄성률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인장 탄성률이 22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에 있어서, 표면기재필름의 인장 탄성률이 220~2200MPa인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에 있어서, 200~380nm의 파장 영역의 분광 투과율이 0~20%가 되도록, 표면기재필름 100질량부에 대해서 0.01~20질량부의 비율로 자외선흡수제를 함유시키고 있는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표면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은,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해서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으로서 사용하고, 휠에 붙였을 경우, 벗겨지기 어렵고, 자동차의 브레이크 디스크에의 검은 녹의 방지성이 뛰어나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은, 인장 탄성률이 220MPa 이상이며, 바람직하게 220~2200MPa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240~2000 MPa이며, 특히 바람직하게 240~1500MPa이다.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은, 상기의 인장 탄성률을 가지고 있으면, 여러 가지의 재질로 할 수 있지만, 매우 적합한 재질로서는, 저 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의 혼합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혼합물에 있어서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혼합 비율은, 해당 혼합물 100질량부 중에 30~95질량부가 바람직하고, 50~90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서는,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직쇄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직쇄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서는, 에틸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고, 프로필렌, 1-브텐, 1-펜텐 등의α-올레핀의 적어도 1종과의 공중합체 수지를 들 수 있다. α-올레핀은 2종, 3종 또는 4종 이상의 조합이어도 된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밀도는, 0.910~0.940g/cm3가 바람직하고, 0.918~0.938g/cm3가 보다 바람직하고, 0.923~0.933g/cm3가 특히 바람직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밀도는, 0.945~0.960g/cm3가 바람직하고, 0.950~0.959g/cm3가 특히 바람직하다.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은, 단층이어도 되고, 동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2층 이상의 다층이어도 된다. 또, 1축(軸)연신 또는 2축연신 등과 같이 연신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표면기재필름의 성형방법으로서는, 밀어내기 성형방법, 인플레이션 성형방법 등을 들 수 있으나, 인플레이션 성형방법이 바람직하다.
연신방법으로서는, 여러 가지의 연신방법을 적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주속(周速)이 다른 롤군에 의한 세로방향 1축연신방법, 텐타오분에 의한 가로방향 1축연신방법, 이들의 조합에 의한 2축연신방법, 인플레이션의 튜불러 연신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연신 후는, 어닐링 처리해도 된다.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 없지만, 통상 20~2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30~100㎛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에는, 200~380nm의 파장 영역의 분광 투과율이 0~20%가 되도록, 표면기재필름에 자외선흡수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흡수제의 함유 비율로서는, 표면기재필름 100질량부 중에 0.01~20질량부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흡수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옥외에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에도, 피착체에의 풀 남김없이 필름을 박리할 수 있다.
자외선흡수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하이드로퀴논계 자외선흡수제, 살리실산계 자외선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로퀴논계 자외선흡수제로서는,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디살리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살리실산계 자외선흡수제로서는, 페닐살리실산, 파라옥틸페닐살리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로서는,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n-옥토키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2'-카르복시벤조 페논, 2, 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 2'-디히드록시-4, 4'디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벤조일옥시벤조페논, 2, 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5-술폰벤조페논, 2, 2', 4, 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 2'-디히드록시-4, 4'-디메톡시-5-나트륨술포벤조페논, 4-도데실옥시-2-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5 클로르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로서는, 2-(2'-히드록시-3' 제 3부틸 5'-메틸페닐)-5-크로르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5-카르복시산부틸에스테르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5, 6-디크로르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5-에틸술폰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 제 3부틸페닐)-5-클로르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 제 3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 5'-디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 5'-디메틸페닐)-5-멕토시벤조트리아졸, 2-(2'-메틸-4'-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스테아릴옥시-3', 5'-디메틸페닐)-5-메틸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카르복시산페닐)벤조트리아졸에틸에스테르, 2-(2'-히드록시-3'-메틸-5' 제 3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 5'-디 제 3부틸페닐)-5-클로르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톡시 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페닐페닐)-5-클로르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시클로헥실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 5'-디메틸페닐)-5-카르복시산벤조트리아졸부틸에스테르, 2-(2'-히드록시-3', 5'-디클로르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 5'-디클로르)벤조트리아졸, 2-(2'-히드 록시-3, 5'-디메틸페닐)-5-에틸술폰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페닐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옥톡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토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톡시페닐)-5-메틸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5-카르복시산에스테르벤조트리아졸, 2-(2'-아세톡시 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 5'-디 제 3부틸페닐)-5-클로르벤조트리아졸, 2, 2'-메틸렌비스[6-(2-벤조트리아졸-2-일)-4-(1, 1, 3, 3-테트라메틸부틸)페놀] 등을 들 수 있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자외선흡수제로서는, 2-시아노 3, 3-디페닐아크릴산에틸, 2-시아노 3, 3-디페닐아크릴산 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자외선흡수제 중, 벤조페논계자외선흡수제,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가 매우 적합하다. 특히,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로서는, 2, 3'-디히드록시-4, 4'디메톡시벤조페논, 2, 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및 2, 2', 4, 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이 바람직하고,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로서는,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5, 6-디클로르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제 3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메틸-5'-제 3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 5'-디 제 3부틸페닐)-5-클로르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페닐페닐)-5-클로르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제 3부틸-5'-메틸페닐)-5-클로르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옥톡시페닐)벤조트리아졸이 바람직하다.
이것들 자외선흡수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자외선흡수제와 함께, 광안정제, 산화 방지제 등의 내후조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의 한쪽 면에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다.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점착제는, 예를 들면, 천연 고무계 점착제, 합성고무계 점착제, 아크릴 수지계 점착제, 폴리비닐 에테르 수지계 점착제, 우레탄 수지계 점착제, 실리콘 수지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합성고무계 점착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 ISO부티렌 고무, ISO부티렌-이소프렌 고무, 이소프렌 고무, 스티렌-이소프렌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앤불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티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열가소성 엘러스트머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 수지계 점착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메타) 아크릴산;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프로필,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2-에틸 헥실,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 부틸 등의(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3-히드록시부틸,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등의 수산기 함유(메타)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 필요에 따라서,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 스티렌, 비닐피리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공중합성 단량체의 2종 이상의 단량체의 공중합체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 에테르 수지계 점착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비닐에테르, 폴리 비닐이소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 수지계 점착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디메틸 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점착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점착제 중, 아크릴 수지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특히,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가교 시켜서 얻을 수 있는 아크릴 수지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T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XDI), 수소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그 수소 첨가체, 폴리메틸렌포리페닐폴리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1, 5-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프리포리마, 폴리메틸올프로판 변성 TDI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가교량을 조정함으로서, 여러 가지의 도장면에 대해 필요한 점착 물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0.01~20질량부가 바람직하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에는,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녹방지필름의 200~380nm의 파장 영역의 분광 투과율이 0~20%가 되도록, 점착제층에 자외선흡수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흡수제의 함유 비율로서는, 점착제층의 수지분에 대해서 0.01~20질량%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점착제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점착 부여제, 연화제, 노화 방지제, 전료, 염료 또는 안료 등의 착색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점착 부여제로서는, 로진계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테르펜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변성 테르펜 수지, 석유 수지, 쿠마론·인 덴 수지, 스티렌계 수지, 페놀계 수지, 크실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연화제로서는, 프로세스 오일, 액상 고무,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전료로서는, 실리카, 탈크, 진흙, 탄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 없지만, 통상 1~300㎛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2~15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100㎛이다.
점착제층은, 표면 시트의 한쪽 면에 직접 도포, 형성해도 되고, 또, 박리 시트의 박리제층면에 점착제를 도포, 건조시켜서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표면 시트와 붙여 맞추어도 된다.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없이 여러 가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어 나이프 코터, 블레이드 코터, 바 코터, 그라비아 코터, 롤코터, 롤 나이프 코터, 커텐 코터, 다이코터, 나이프 코터, 스크린 코터, 마이어바 코터, 키스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의 표면은, 박리 시트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박리 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표면 시트의 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하는 등에 의해 박리성을 부여하고, 점착 시트를 롤 감기로해 보존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점착제층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박리 시트로서는,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 아크릴레이트등의 각종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이나, 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지, 폴리프로필 렌 라미네이트지, 클레이 코트지, 수지 코트지, 그라신지, 상질지 등의 각종 종이재료를 기재로 하고, 이 기재의 점착제층과의 접합면에, 필요에 따라 박리 처리가 실시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박리 처리의 대표적 예로서는, 실리콘계 수지, 긴사슬 알킬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의 박리제로 이루어진 박리제층의 형성을 들 수 있다..
박리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당히 선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을 이용한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녹방지필름을 피착체에 붙이려면 , 점착제층의 표면에 박리 시트가 덮여 있는 경우는 그 박리 시트를 벗겨내어, 그 점착제층을 피착체의 표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들의 예에 의해서,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표면기재필름의 제조
밀도가 0.928 g/Cm3인 직쇄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85질량부에, 밀도가 0.954 g/cm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5 질량부를 혼합한 것을 원료로서 인플레이션필름 성형기를 이용해 두께 50㎛, 인장 탄성률 250MPa의 폴리에틸렌 수지필름을 작성했다.
점착제의 제조
온도계, 교반기, 환류 냉각관,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장치에,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54질량부, 아크릴산 에틸 27질량부, 아세트산비닐 17질량부, 아크릴산 2질량부, 및 아세트산에틸 100질량부를 속에 넣고, 아조비스 이소부틸로니트릴의 개시제의 존재하 공중합 시켜서, 중합 평균 분자량 80만의 아크릴 수지계 점착제를 얻었다.
점착필름의 제조
상기의 폴리에틸렌, 수지필름인 표면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상기의 아크릴 수지계 점착제의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일본폴리우레탄(주) 제, 상품명 「콜로네이트 L」)을 5.0질량부 첨가한 혼합물을, 마이어 바로 건조 후의 도포량이 25㎛가 되도록 도포, 건조해서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그 후 상질지로 이루어진 지지체의 한쪽 면에 박리제로서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여 박리층을 형성해서 얻어진 박리 시트(린텍(주) 제, 상품명 「KGM-11 S흰색」)의 박리층과 상기 점착제층을 라미네이터를 이용해서 붙여 맞추어 점착필름을 작성했다.
<실시예 2>
밀도가 0.928g/cm3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0질량부에, 밀도가 0.954 g/cm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30 질량부를 혼합한 것을 원료로서 인플레이션필름 성형기를 이용해 두께 50㎛, 인장 탄성률 340MPa의 폴리에틸렌 수지필름을 작성했다. 이 폴리에틸렌 수지필름을 표면기재필름으로서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 찬가지로 해서, 점착필름을 작성했다.
<실시예 3>
밀도가 0.928g/cm3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55질량부에, 밀도가 0.954 g/cm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45질량부를 혼합한 것을 원료로서, 인플레이션필름 성형기를 이용해 두께 50㎛, 인장 탄성률 380MPa의 폴리에틸렌 수지필름을 작성했다. 이 폴리에틸렌 수지필름을 표면기재필름으로서 사용.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점착필름을 작성했다.
<실시예 4>
밀도가 0.928g/cm3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0질량부에, 밀도가'0.954 g/cm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30질량부를 혼합하고, 더욱 더 이들 폴리에틸렌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서 10질량부의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치바·스페샤르티·케미컬즈(주) 제, 상품명 「치누빈 326」,2-(2'2, 히드록시-3'-제 3부틸-5'-메틸페닐)-5-클로르벤조트리아졸)를 혼합한 것을 원료로서 인플레이션필름 성형기를 이용해 두께 50㎛, 인장 탄성률 340MPa, 200~380nm의 파장 영역의 분광 투과율1% 미만의 폴리에틸렌 수지필름을 작성했다. 이 폴리에틸렌 수지필름을 표면기재필름으로서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점착필름을 작성했다.
<비교예 1>
밀도가 0.928g/cm3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원료로서 인플레이션필름 성 형기를 이용해 두께 50㎛, 인장 탄성률 210MPa의 폴리에틸렌수지필름을 작성했다.
점착필름의 물성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표면기재필름 및 점착필름에 대해서, 하기에 나타낸 인장 탄성률의 측정, 점착력의 측정, 산샤인웨자오메이터(이하, SW0M라고 한다) 시험, 자동차 주행 후의 필름이 벗겨지는 시험 및 피착체 오염성 시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인장 탄성률의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에틸렌 수지필름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험편을 이용하여, JIS7127에 따라서, 인장 탄성률을 측정했다.
(2) 점착력의 측정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필름에 대해서, 23˚C, 50%RH환경하에서, JISZ0237에 준거하고, 피착체는 알루미늄판에 도료(칸사이 페인트(주) 제, 상품명 「마지크론 ALC-2-1」)를 도장한 것을 사용해서, 점착력을 측정했다.
(3) SW0M시험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필름을, SW0M(스가시험기(주) 제, 상품명 「산샤인스파롱라이후웨자오메이터 WEL-SUN-HCH」)에 넣어서, 500시간 조사 후의 점착력을, 상기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4) 자동차 주행 후의 필름이 벗겨짐 시험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필름을 자동차(토요타 자동차(주) 제, 상품명 「세르시오」)의 알루미늄 휠의 표면에 붙이고, 자동차를 시속 80km로, 60분간 주행시켰을 때의 점착필름이 벗겨짐을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0: 벗겨짐 없음
×: 벗겨짐 있음
(5) 피착체 오염성 시험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필름을 알루미늄판에 도료(칸사이 페인트(주) 제, 상품명 「마지크론 ALC-2-1」)를 도장한 피착체에 붙이고, 그 상태로 SW0M시험을 실시하고, SW0M시험 500시간 후에 꺼내어, 점착필름을 피착체로부터 박리 했을 때의, 피착체의 오염 상태를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0: 피착체의 오염 없음
×: 피착체의 오염 있음
Figure 112006065244427-PCT00001
실시예 1~3은, 인장탄성률이 250~380MPa의 필름을 표면기재필름으로서 사용하고 있으므로, 인장탄성률이 210MPa의 필름을 표면기재필름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비교예 1과 비교하면, 점착력이 커지고 있으며, 자동차주행에 의한 필름의 벗겨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자외선흡수제를 첨가한 실시예 4는 SWOM시험 후의 점착력의 상승이 없고, 피착제 오염도 볼 수 없다. 이것에 대해서, 비교예 1은, SWOM시험 후의 점착력 상승이 현저하고, 점착력의 응집파괴에 의한 피착체 오염이 관찰되었다.
본 발명의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은,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인장 탄성률이 22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표면기재필름의 인장 탄성률이 220~2200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200~380nm의 파장 영역의 분광 투과율이 0~20%가 되도록, 표면기재필름 100질량부에 대해서 0.01~20질량부의 비율로 자외선흡수제를 함유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
  4. 제 1항에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면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녹방지필름.
KR1020067018497A 2004-03-19 2005-03-22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 KR101146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79650 2004-03-19
JPJP-P-2004-00079650 2004-03-19
PCT/JP2005/005983 WO2005090453A1 (ja) 2004-03-19 2005-03-22 自動車ブレーキディスクアンチラストフィルム用表面基材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506A true KR20070017506A (ko) 2007-02-12
KR101146860B1 KR101146860B1 (ko) 2012-05-16

Family

ID=3499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497A KR101146860B1 (ko) 2004-03-19 2005-03-22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070202325A1 (ko)
EP (1) EP1741743B1 (ko)
JP (1) JP4785733B2 (ko)
KR (1) KR101146860B1 (ko)
CN (1) CN1934172B (ko)
AU (1) AU2005223608B2 (ko)
BR (1) BRPI0508947B1 (ko)
CA (1) CA2560251C (ko)
DE (1) DE602005017022D1 (ko)
WO (1) WO20050904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1791B2 (ja) 2009-04-28 2014-10-08 日東電工株式会社 自動車ホイール用保護フィルム
JP2010254916A (ja) 2009-04-28 2010-11-11 Nitto Denko Corp 自動車ホイール用保護フィルム
JP5601790B2 (ja) 2009-04-28 2014-10-08 日東電工株式会社 自動車ホイール用保護フィルム
EP2284388A1 (en) * 2009-08-06 2011-02-16 Nitto Denko Corporation Protecting film for blade of wind power generator
CN103254815A (zh) * 2012-02-15 2013-08-21 日东电工株式会社 表面保护片
CN103254812A (zh) * 2012-02-15 2013-08-21 日东电工株式会社 表面保护片
DE102016220960A1 (de) * 2015-10-27 2017-04-27 Showa Denko Packaging Co., Ltd. Gehäuse für eine kleine elektronisch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ieser, und ein gewalztes Aluminiumlegierungsschichtblechmaterial für ein Gehäuse für eine kleine elektronische Vorrichtung
CN107448517A (zh) * 2016-05-30 2017-12-08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刹车盘及刹车盘防腐处理方法
CN108223634B (zh) * 2017-12-12 2020-07-31 台州雪华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合成闸瓦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8848A (en) * 1961-03-24 1963-05-07 Kendall & Co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ving a molecularly oriented film backing comprising a blend of high density and low density polyethylenes
US4327009A (en) * 1980-09-29 1982-04-27 The Dow Chemical Company Anti-block additives for olefin polymers
US4684576A (en) * 1984-08-15 1987-08-04 The Dow Chemical Company Maleic anhydride grafts of olefin polymers
JP2565487B2 (ja) * 1986-01-28 1996-12-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複合磁気ヘツド
US4806411A (en) * 1986-03-14 1989-02-21 Mattingly Iii William B Coextruded apertured film sanitary napkin cover
JPS62175920U (ko) * 1986-04-28 1987-11-09
US5516581A (en) * 1990-12-20 1996-05-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movable adhesive tape
WO1993003695A1 (en) * 1991-08-22 1993-03-04 The Dow Chemical Company Pressure-sensitive labels
NZ247073A (en) * 1992-08-26 1994-12-22 Lintec Corp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bel sheet with label film being polyethylene resin of a density of .925-.95 g/cc
JPH06278658A (ja) * 1993-03-26 1994-10-04 Toyoda Gosei Co Ltd フェンダライナー
JPH0782428A (ja) * 1993-09-16 1995-03-28 Sekisui Chem Co Ltd 多層フイルム成形用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イルム及び表面保護フイルムの製造方法
US5687517A (en) * 1995-09-21 1997-11-18 W. R. Grace & Co.-Conn. Skid-resistant roofing underlayment
JP3272921B2 (ja) * 1995-09-27 2002-04-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
DE19548788A1 (de) * 1995-12-27 1997-07-03 Hoechst Ag Folien und Schichten
JPH09242794A (ja) * 1996-03-06 1997-09-16 Sumitomo Electric Ind Ltd ディスクブレーキ用パッドの裏金及びそれを用いたパッド
EP0955346B1 (en) * 1997-10-31 2004-07-21 Nichiban Company Limited Surface-protec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surface-protec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O2001005589A1 (fr) * 1999-07-14 2001-01-25 Nichiban Company Limited Feuille adhesive autocollante de protection de surface
JP5135494B2 (ja) * 1999-12-22 2013-02-06 綜研化学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1051531A1 (fr) * 2000-01-13 2001-07-19 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 Ltd. Feuille acrylique et adhesif acrylique autocollant
JP3879985B2 (ja) * 2002-03-19 2007-0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ディスクブレーキの防錆方法及び防錆カバー
JP3794344B2 (ja) * 2002-04-19 2006-07-05 三菱化学エムケーブイ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製積層フィルム
US20050058829A1 (en) * 2003-09-16 2005-03-17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20060134362A1 (en) * 2004-12-17 2006-06-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ly clea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02325A1 (en) 2007-08-30
CA2560251C (en) 2012-07-10
AU2005223608B2 (en) 2010-08-12
WO2005090453A1 (ja) 2005-09-29
EP1741743B1 (en) 2009-10-07
BRPI0508947B1 (pt) 2016-01-26
CN1934172B (zh) 2012-10-03
AU2005223608A1 (en) 2005-09-29
US20100276073A1 (en) 2010-11-04
DE602005017022D1 (de) 2009-11-19
JP4785733B2 (ja) 2011-10-05
KR101146860B1 (ko) 2012-05-16
EP1741743A1 (en) 2007-01-10
BRPI0508947A (pt) 2007-08-14
EP1741743A4 (en) 2007-04-11
JPWO2005090453A1 (ja) 2008-01-31
CN1934172A (zh) 2007-03-21
CA2560251A1 (en)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7506A (ko)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표면기재필름
KR101193800B1 (ko)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녹방지필름용 점착제
JP5925478B2 (ja) 粘着剤および粘着テープ
JP5260494B2 (ja) ホイール貼着用粘着フィルム
JP2014019777A (ja) 表面保護シート
KR20120089285A (ko) 도막 보호 시트
JP5052503B2 (ja) 自動車ブレーキディスク用アンチラスト粘着フィルム
JP5989432B2 (ja) 塗膜保護シート
JP5358108B2 (ja) ホイール保護用フィルム
US20160355706A1 (en) Double-Sided Self-Adhesive Products with High Optical Quality
JP3830375B2 (ja) 粘着シート用プライマー、粘着シート貼付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2001899A1 (ja) ホイール用保護フィルム
WO2014013791A1 (ja) 表面保護シート
JP2017155169A (ja) 粘着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402051A (zh) 加饰膜用粘合剂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