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6670A - 도로 표식 도색 차량 - Google Patents

도로 표식 도색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6670A
KR20070016670A KR1020050071526A KR20050071526A KR20070016670A KR 20070016670 A KR20070016670 A KR 20070016670A KR 1020050071526 A KR1020050071526 A KR 1020050071526A KR 20050071526 A KR20050071526 A KR 20050071526A KR 20070016670 A KR20070016670 A KR 20070016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air
vehicle
road marking
transf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100B1 (ko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김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진 filed Critical 김경진
Priority to KR102005007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100B1/ko
Priority to PCT/KR2006/003035 priority patent/WO2007018362A1/en
Publication of KR20070016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E01C23/2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specially adapted for automatic spraying of interrupted, individual or variable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상의 차선이나 유턴표시와 같은 표식을 도색시에 작업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계속적인 작업수행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도로 표식 도색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도료가 채워진 상태의 도료공급수단과, 상기 도료공급수단에 채워진 도료를 강제이송시키기 위한 펌프와, 압축에어를 발생시키는 에어컴프레서와, 상기 도료를 도로면상에 분사시켜주기위한 배출시켜주는 도료살포수단이 구비되는 도로 표식 도색 차량에 있어서, 상기 도료살포수단은 상기 도료공급수단으로 부터 이송된 도료가 안내되는 원통형상의 도료이송관과, 그 도료이송관의 외측 둘레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되어 상기 에어컴프레서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에어가 이송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이송관과, 상기 에어이송관의 단부 외주면에 밀착구비되되 다수의 분사노즐이 일정간격을 유비하며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분사노즐이 막히는 경우 인접한 다른 분사노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분사노즐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 표식 도색 차량을 이용하여 도로상의 차선이나 유턴표시, 좌회전표시, 목적지 등의 이정표와 같은 표식(標識)을 도색하게 되면, 어느 하나의 분사노즐이 막히는 경우에도 인접한 분사노즐로 즉시 대체하여 도색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의 연속성을 기대할 수 있고, 교체 또는 수리 등의 작업시간을 단축시켜주어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로, 차선, 표식, 도색, 분사

Description

도로 표식 도색 차량{road line-marking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식 도색 차량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식 도색 차량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식 도색 차량을 구성하는 도료살포수단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a는 도 4의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료살포수단의 분사노즐 어셈블리를 회전시킨 상태의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C"-"C"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D"-"D"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식 도색 차량의 시스템 회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식 도색 차량의 유턴표식을 도색하는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차량 10: 도료공급수단
20: 펌프 30: 도료살포수단
32: 도료이송관 34: 에어이송관
36: 분사노즐 어셈블리 37,37',37": 분사노즐
50: 이송수단 70: 에어컴프레서
본 발명은 도로 표식 도색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상의 차선이나 유턴표시와 같은 표식을 도색시에 작업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계속적인 작업수행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도로 표식 도색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이동하는 도로에는 몇 가지 규칙에 따라서 황색 또는 흰색으로 이루어진 차선(車線)이 한줄이나 두줄의 실선과 점선으로 각각 표시되고 있다.
한편, 도로상에는 차선 이외에도 유턴표시, 좌회전표시, 목적지 등의 이정표와 같은 표식(標識)이 필요에 따라 도색된다.
이와 같이 차선을 포함하여 모든 도로상에 표시되는 표식을 도색하는 방식을 살펴보면 페인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차선도색에 필요한 일체의 장비를 차량의 적재함에 싣고 차량이 주행해 가면서 페인트와 같은 도료를 노즐을 통해 분사해 나가 는 분사식과, 돌가루(CaCO3 )와 수지 등을 사용하되 기타 첨가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도료를 차량의 적재함에 탑재된 융해조에 넣고 가열해서 용융상태로 만들어 차선을 도색하는 용융식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이때, 상기 분사식과 융융식은 도로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나, 작업속도면에서는 분사식이 유리하나 표식이 단시간에 닳아 없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용융식은 표식이 장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그 도색작업 속도가 더디고, 후에 차선의 변경 등으로 인해 제거시에는 LPG가스 등을 이용하여 도료를 용융시킨 후 제거해야 하므로 그 제거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식의 경우에는 종래에는 도료통에 담겨진 도료를 노즐을 통해 분사시켜 주게 되는데, 그 분사노즐이 하방향으로 고정되어 도색작업을 수행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사용하는 경우 분사노즐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하여 작업을 중단하고 상당시간 교체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능률의 저하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도료상에 이물질이 섞여있는 경우에도 노즐의 수리 및 교체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이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하여 도로상의 표식을 도색하는 경우 분사노즐이 막히 면 인접한 다른 분사노즐을 위치이동시켜 계속적인 도색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도로 표식 도색 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도로 표식 도색 차량에 관한 것으로; 도료가 채워진 상태의 도료공급수단(10)과, 상기 도료공급수단(10)에 채워진 도료를 강제이송시키기 위한 펌프(20)와, 압축에어를 발생시키는 에어컴프레서(70)와, 상기 도료를 도로면상에 분사시켜주기위한 배출시켜주는 도료살포수단(30)이 구비되는 도로 표식 도색 차량(1)에 있어서; 상기 도료살포수단(30)은 상기 도료공급수단(10)으로 부터 이송된 도료가 안내되는 원통형상의 도료이송관(32)과, 그 도료이송관(32)의 외측 둘레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되어 상기 에어컴프레서(70)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에어가 이송되는 유로(35)를 형성하는 에어이송관(34)과, 상기 에어이송관(34)의 단부 외주면에 밀착구비되되 다수의 분사노즐(37)이 일정간격을 유비하며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분사노즐이 막히는 경우 인접한 다른 분사노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분사노즐 어셈블리(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식 도색 차량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식 도색 차량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식 도색 차량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식 도색 차량을 구성하는 도료살포수단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는 도 4의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료살포수단의 분사노즐 어셈블리를 회전시킨 상태의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C"-"C"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D"-"D"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식 도색 차량의 시스템 회로 블럭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식 도색 차량의 유턴표식을 도색하는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식 도색 차량(1)은 페인트와 같은 도료가 채워진 상태의 도료공급수단(10)과, 상기 도료공급수단(10) 내부의 도료를 강제로 배출시키기 위한 펌프(20)와, 상기 펌프(20)에 의해 강제 이송된 도료를 도로면상에 분사시켜주기위한 배출시켜주는 도료살포수단(30)과, 상기 도료살포수단(30)을 이송시켜주기 위한 이송수단(50)이 구비되어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개별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도료공급수단(10)은 도료가 채워지는 수용부를 갖는 몸체(12)와, 그 몸체(12)의 상단에 도료의 증발을 막고, 부족분을 채우는 경우 개폐가능한 뚜껑(14)으로 이루어져 차량(1)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차량(1)은 도료공급수단(10) 이외에도 압축에어를 상기 도료살포수단(30)에 강제로 투입시키기 위한 에어컴프레서(70)가 더 장착되며, 상기 도료공급수단(10)에 채워진 액상의 도료는 상기 펌프(20)에 의해 상기 도료살포수단(30) 에 강제로 투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차량(1)의 일측에는 도료살포수단(30)을 차량의 길이방향 즉 X축방향으로 이송시키거나 또는 차량의 측방향 즉 Y축방향으로 이송시키거나 또는 Z축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이송수단(50)의 일측 단부가 고정설치되며, 그 타단부에는 도료살포수단(30)이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도료살포수단(30)은 도 3 내지 도 5b에 의하면, 상기 도료공급수단(30)에 연결된 배관(L1)으로 부터 이송된 페인트와 같은 도료가 안내되는 원통형상의 도료이송관(32)과, 그 도료이송관(32)의 외측 둘레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되어 에어컴프레서(70)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에어가 이송되는 유로(流路)(35)를 형성하는 에어이송관(34)과, 상기 도료이송관(32) 및 에어이송관(34)의 단부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에어이송관(34)의 일단부 외주면에 밀착되어 다수의 분사노즐(37)이 일정간격을 유비하며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분사노즐 어셈블리(36)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도료이송관(32)의 일단부는 밀폐된 구조를 가지며 그 일측부에 지면(地面)쪽으로 향하도록 수직하는 방향으로 도료이동공(32a)이 형성되고, 그 도료이송관(32)의 외측부에 구비된 에어이송관(34)에도 동일한 도료이동공(34a)이 형성되며, 별도의 중공형상의 연결관(37)의 양단부를 상기 도료이동공(32a,34a)에 연결시켜 연통되게 한다.
또한, 상기 에어이송관(34)도 그 일단부는 밀폐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에어이송관(34)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35)내부의 압축에어가 배출될 수 있는 한 쌍의 에어이동공(34b,34b')이 도료이동공(34a)의 양측에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외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 어셈블리(36)는 상기 에어이송관(34)의 단부 외주면에 밀착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캡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36a)가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그 외주면에는 하나이상의 분사노즐(37,37',37")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37,37',37")은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분사노즐(37,37',37")은 몸체의 중앙부에 관통되는 도료배출공(37a)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다수의 에어배출공(37b,37b')이 상기 도료배출공(37a)의 단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분사노즐(37,37',37")은 바디(36a)의 외주면에 그 이음매 부분에 용접(37c)을 하여 밀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36a)의 외부일측에는 손잡이(39)가 돌출 구비된다. 따라서, 어느하나의 분사노즐(예를 들면, 37)의 도료배출공(37a)이 이물질 등에 의해 막혔을 경우에는 손잡이(39)를 잡고 분사노즐 어셈블리(36)의 바디(36a)를 회동시켜 인접한 다른 분사노즐(예를 들면 37')이 하측을 향하도록 위치를 이동시켜 에어이송관(34)의 도료이동공(34a)과 도료배출공(37a)이 연통되고, 에어이동공(34b,34b')과 에어배출공(37b,37b')이 연통되어 도색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이송관(34)의 외주면 일측에는 다수의 걸림홈(40,40',40")이 동일 궤도상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 어셈블리(36)의 바디 (36a)의 측벽 테두리에는 경첩(41)에 의해 회동가능하되 내주면에 걸림편(42a)이 돌출형성된 날개부(42)가 구비되어 에어이송관(34)의 단부에 분사노즐 어셈블리(36)가 결합시에 날개부(42)의 걸림편(42a)이 걸림홈(40,40',40"중에 어느 하나)에 체결되도록 하고 날개부(42)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부(43,44)를 서로체결시켜 분사노즐 어셈블리(36)가 에어이송관(34)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43,44)는 걸림고리(43a)와 이에 체결되는 체결레치(44a)를 이용하여 구성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도시락용기 등에 체결을 위해 사용되는 공지(公知)의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분사노즐 어셈블리(36)는 이송수단(50)에 고정되어 X축/Y축/Z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송수단(50)은 도 2와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크게 상기 도료살포수단(30)을 차량의 길이방향인 X축방향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X축 이송수단(52)과, 상기 도료살포수단(30)을 차량의 측면인 Y축방향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Y축 이송수단(56)과, 상기 도료살포수단(30)을 승강시켜주기 위한 승강수단(60)으로 세분화되어 구성되며, 이들은 모터 및 레크와 피니언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X축 이송수단(52)은 제1가이드부재(53)가 차량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제1가이드부재(53)을 따라 이동하는 제1몸체(54)가 구비되며, 그 제1몸체(54)의 일측에는 구동축에 피니언(55a)이 고정된 상태의 제1모터(55)가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53)의 상면에는 레크(53a)가 그 길이방향으로 구비 된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부재(53)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눈금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금속띠 형상의 제1위치표시수단(53b)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54)의 일측에는 제1몸체(54)가 이동시에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센서인 제1위치감지수단(52a)이 상기 제1위치표시수단(53b)을 향하여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위치감지수단(52a)은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포토센서(photo sensor)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1몸체(54)의 상단에는 차량의 측방향으로 제2가이드부재(57)가 구비되고, 그 일측면에는 다수의 눈금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금속띠 형상의 제2위치표시수단(57b)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그 제2가이드부재(57)에는 제2몸체(58)의 상단부가 걸쳐져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몸체(54)의 상단에는 상기 제2가이드부재(57)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회전축(58a)으로 지지되어 있어, 도색을 마친 후 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X축가이드부재(53)와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회동시켜 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58)의 일측에는 상기 제2몸체(58)가 Y축 방향으로 이동시에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위치감지수단(53b)을 구성하는 센서와 동일하게 제2위치감지수단(56a)이 상기 제2위치표시수단(57b)을 향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가이드부재(57)의 일측에는 제2몸체(58)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모터(59)가 구비되며, 그 제2모터(59)의 구동축 단부에는 피니언(59a)이 체결고정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재(57)의 중앙개구부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크(57a)가 설치되어 제2모터(59)가 구동되어 피니언(59a)이 회전하게 되면 이에 치합된 레크(57a)를 따라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몸체(58)의 측면에는 별도의 제3모터(61)가 구비되고, 그 제3모터(61)의 구동축에 피니언(61a)이 일체로 구비되고, 레크(62a)가 구비된 제3가이드부재(62)가 구비되고 그 단부에는 도료살포수단(30)의 일측부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3모터(6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3가이드부재(62)가 승강되어 그 하부에 고정되는 도료살포수단(30)을 축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구성하여 도색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방향으로 도료살포수단(30)을 상승시키고, 도색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지표면쪽으로 하향이동시켜 도료를 분사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제3가이드부재(62)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눈금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금속띠 형상의 제3위치표시수단(63)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58)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3가이드부재(62)가 Z축 방향으로 이동시에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위치감지수단(52a)을 구성하는 센서와 동일하게 제3위치감지수단(60a)이 상기 제3위치표시수단(63)을 향하여 설치되어 그 이동거리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스위치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차선 등과 같은 도로 표식을 임의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수동으로 조작하여 도로 표식을 도색하는 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50)을 구성하는 X축 이송수단(52), Y축 이송수단(56), Z축 이송수단(60)은 모터와 렉크 및 피니언으로 이루어진 구성만을 설명하였으나,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와 같은 공지(公知)의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구성함도 동일한 기술적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료는 통상의 페인트를 사용함도 가능하나 도료공급수단(10)의 몸체(12)를 금속재로 구성하고, 그 하부에 LPG등의 열원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버너(미도시됨)를 구비하여 분말상태의 도료를 용융시킨 상태의 것을 사용함도 가능하다.
아울러, 도료살포수단(30)의 후단에 야간에 차량의 전조등의 빛에 의해 반사되는 글라스비드와 같은 반사체를 도포할 수 있는 반사체공급수단(미도시됨)을 더 구비함도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8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식 도색 차량의 작동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1)으로 부터 공급받거나 또는 별도의 공급원으로 부터 공급받는 전원(100)을 투입받고 시스템 전반의 제어 및 감시를 담당하는 제어판넬(110)은 차량(1)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시스템프로그램 및 차선의 폭/길이/간격, 유턴표시나 좌회전표시와 같은 규격화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20)와, 그 메모리부(120)의 데이터와 외부감시데이터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30), 상기 제어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LED 또는 LCD 등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140)로 구성된다.
따라서, 시스템의 구동을 위한 전원스위치(102)를 작동시키면, 제어판넬(110)은 시스템을 초기화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도색을 위해 위치조정스위치(104)를 조작하면 X축/Y축/Z축 이송수단(52,56,60)의 모터구동드라이버(미도시됨)를 구동시켜 제1 내지 제3모터(55,59,61)를 도색이 필요한 도로의 상면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순차적으로 X축/Y축/Z축 이송수단(52,56,60)을 이동시켜 초기 시작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는 제1 내지 제3 위치감지수단(52a,56a,60a)으로 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130)는 메모리부(120)에 기저장되어 있는 설정데이터와 비교하여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직선의 차선을 그리는 경우에는 별도의 차선/유턴/좌회전/중앙선/이정표 등을 세분화한 다수의 표식선택스위치(106)가 구비된다. 따라서, 간단히 직선형의 차선만을 페인팅하는 경우에는 차선용 표식선택스위치(106)로 선택하면 X축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X축 이송수단을 구동시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도료살포수단(30)을 서서히 이동시킬 준비를 하고, 별도의 도색시작스위치(108)를 조작하게 되면 제어부(130)는 펌프(20)와 에어컴프레서(7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이들을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펌프(20)의 작동에 따라 도료공급수단(10)의 도료는 도료살포수단(30)으로 강제이송되며, 상기 에어컴프레서(70)의 작동에 의해 압축에어 역시 상기 도료살포수단(30)으로 강제투입된다.
이때, 상기 도료살포수단(30)은 상기 도료공급수단(10)에 연결된 배관(L1)으로 부터 이송된 도료가 도료이송관(32)의 내부를 통해 그 단부에 형성된 도료이동 공(32a)과 연결관(38) 및 에어이송관(34)에 형성된 도료이동공(34a)을 따라 분사노즐 어셈블리(36)의 분사노즐(37)에 형성된 도료배출공(37a)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 에어컴프레서(70)의 압축에어는 에이이송관(34)의 유로(35)를 통해 에어이송관(34)의 단부에 형성된 에어이동공(34b,34b')을 통해 분사노즐 어셈블리(36)의 에어배출공(37b,37b')으로 배출시켜주게 된다. 따라서 도료는 분무되어 도로에 표식을 만들면서 X축 이송수단(52)이 구동되어 차량(1)의 길이방향으로 도료살포수단(30)이 서서히 제1가이드레일(53)을 따라 이동하며 직선형의 차선을 페인팅하게 된다.
한편, 유턴이나 좌회전의 경우에는 X축방향과 Y축방향으로 이동하며 차선을 도색하게 된다. 이때, 표식을 Y축방향과 X축방향을 번갈아 이동하면서 부분적으로 도색하는 경우에는 액적(液滴)상태로 분무되는 도료가 번질우려가 있으므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안이나 글씨부분만 절개한 상태의 도색용 판(200)을 별도로 구비하여 도색작업을 수행하여 도색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작업하던 중에 분사노즐 어셈블리(36)의 분사 노즐(37)이 막히는 경우에는 날개부(42)의 결합부(43,44)를 서로 해제시킨 후 날개부(42)를 회동시켜 에어이송관(34)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40)에서 걸림편(42a)을 이탈시킨 후 분사노즐 어셈블리(36)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39)를 잡고 회전시켜 다른 분사노즐(37' 또는 37")이 하측을 향하도록 이동시켜 에어이송관(34)의 도료이동공(34a)과 분사노즐(37' 또는 37")의 도료배출공이 연통되도록 하고, 에어이동공(34b,34b')과 분사노즐(37' 또는 37")의 에어배출공이 연통되게 조정한 후 날개부(42)를 다시회동시켜 걸림편(42a)을 걸림홈(40' 또는 40")에 끼우고 날개부(42)의 결합부(43,44) 를 서로 결합시키면 도색작업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길게 연장되는 중앙선이나 차선을 도색하는 경우에는 차량(1)을 일정속도로 예를 들어 대략 시속10Km이내의 속도로 운행하면서 계속적으로 도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로 표식 도색 차량을 이용하여 도로상의 차선이나 유턴표시, 좌회전표시, 목적지 등의 이정표와 같은 표식(標識)을 도색하게 되면, 어느 하나의 분사노즐이 막히는 경우에도 인접한 분사노즐로 즉시 대체하여 도색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의 연속성을 기대할 수 있고, 교체 또는 수리 등의 작업시간을 단축시켜주어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도료가 채워진 상태의 도료공급수단(10)과, 상기 도료공급수단(10)에 채워진 도료를 강제이송시키기 위한 펌프(20)와, 압축에어를 발생시키는 에어컴프레서(70)와, 상기 도료를 도로면상에 분사시켜주기위한 배출시켜주는 도료살포수단(30)이 구비되는 도로 표식 도색 차량(1)에 있어서;
    상기 도료살포수단(30)은 상기 도료공급수단(10)으로 부터 이송된 도료가 안내되는 원통형상의 도료이송관(32)과, 그 도료이송관(32)의 외측 둘레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되어 상기 에어컴프레서(70)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에어가 이송되는 유로(35)를 형성하는 에어이송관(34)과, 상기 에어이송관(34)의 단부 외주면에 밀착구비되되 다수의 분사노즐(37)이 일정간격을 유비하며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분사노즐이 막히는 경우 인접한 다른 분사노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분사노즐 어셈블리(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식 도색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이송관(32)의 일단부는 밀폐된 구조를 가지며 그 일측부에 도료이동공(32a)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이송관(34)에도 동일한 도료이동공(34a)이 형성되어 연결관(38)의 양단부를 상기 도료이동공(32a,34a)에 연통되게 구비하고, 상기 에어이송관(34)의 도료이동공(34a) 일측에는 상기 유로(35) 내부의 압축에어가 배 출될 수 있는 한쌍의 에어이동공(34b)이 형성되어 상기 분사노즐 어셈블리의 하나의 분사노즐(37)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식 도색 차량.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 어셈블리(36)는;
    상기 에어이송관(34)의 단부 외주면에 밀착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캡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36a)와,
    상기 바디(36a)의 외주면에는 몸체의 중앙부에 관통되는 도료배출공(37a)이 형성되고 그 측면에는 다수의 에어배출공(37b)이 상기 도료배출공(37a)의 단부를 향하도록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3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식 도색 차량.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36a)의 일측에는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39)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식 도색 차량.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이송관(34)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걸림홈(40)이 일정간격을 유지하 며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 어셈블리(36)의 바디(36a)의 측벽 테두리에는 경첩(41)에 의해 회동가능하며 상기 걸림홈(40)에 대응되는 위치에 착탈가능한 걸림편(42a)이 돌출형성된 날개부(42)를 형성하고, 상기 날개부(42)의 외측에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에어이송관(34)으로 부터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부(43,4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식 도색 차량.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살포수단(30)은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는 이송수단(50)에 의해 일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식 도색용 차량.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50)은 상기 도료살포수단(30)을 상기 차량(1)의 길이방향인 X축방향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X축 이송수단(52)과, 상기 도료살포수단(30)을 차량(1)의 측면 Y축방향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Y축 이송수단(56)과, 상기 도료살포수단(30)을 승강시켜주기 위한 승강수단(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식 도색용 차량.
KR1020050071526A 2005-08-05 2005-08-05 도로 표식 도색 차량 KR100706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526A KR100706100B1 (ko) 2005-08-05 2005-08-05 도로 표식 도색 차량
PCT/KR2006/003035 WO2007018362A1 (en) 2005-08-05 2006-08-02 Road line-marking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526A KR100706100B1 (ko) 2005-08-05 2005-08-05 도로 표식 도색 차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700U Division KR200403852Y1 (ko) 2005-08-05 2005-08-05 도로 표식 도색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670A true KR20070016670A (ko) 2007-02-08
KR100706100B1 KR100706100B1 (ko) 2007-04-12

Family

ID=37727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526A KR100706100B1 (ko) 2005-08-05 2005-08-05 도로 표식 도색 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6100B1 (ko)
WO (1) WO200701836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055B1 (ko) * 2014-11-28 2015-05-26 이대우 주차장 차선 도색장치
KR20180049557A (ko) * 2016-11-03 2018-05-11 주식회사 시명 차선 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
CN108330802A (zh) * 2018-02-09 2018-07-27 陈善兰 一种道路工程用弧形左转待转车道线的自动划线机
KR102147789B1 (ko) * 2020-03-26 2020-08-25 (주)라인테크 돌출차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돌출차선 시공방법
CN111809497A (zh) * 2020-07-19 2020-10-23 谭凡杰 一种道路划线装置及其施工方法
CN115595028A (zh) * 2022-10-09 2023-01-13 天途路业集团有限公司(Cn) 一种适用于道路划线车点状涂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876B1 (ko) 2010-07-15 2011-02-08 김보석 고휘도 차선도색장치
KR101054789B1 (ko) 2011-01-05 2011-08-05 주식회사 알에스테크 차선표시 시설장비
KR101239192B1 (ko) * 2012-08-29 2013-03-05 안신영 차선 도색장치 및 시공방법
CA2923039C (en) 2015-03-09 2023-09-12 Heritage Research Group Void reducing asphalt membrane composi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sphalt paving applications
CA2923021C (en) * 2015-03-10 2023-08-01 Heritage Research Group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asphalt binder compositions including void reducing asphalt membrane compositions for paving applications
KR20170040606A (ko) 2015-10-05 2017-04-13 조봉현 도로의 노면 표시 장치
GB201613168D0 (en) * 2016-07-29 2016-09-14 Micropply Ltd Ground printers
KR102071866B1 (ko) * 2018-07-30 2020-01-31 근우테크 주식회사 듀얼구동 제어 및 3축 제어를 이용한 자동 차선도장장치
CN110158412A (zh) * 2019-06-06 2019-08-23 江西赣粤中路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道路弯道处的彩色路面及其施工方法和施工设备
CN111472248A (zh) * 2020-04-16 2020-07-31 徐化荣 道路划线装置及其施工方法
CN114164740B (zh) * 2021-11-26 2022-12-13 江西省交通投资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排水路面透水标线喷甩一体式自动划线机及划设方法
WO2023194739A1 (en) * 2022-04-06 2023-10-12 Micropply Limited Improved ground deposition machine for sloping surfaces
GB202205018D0 (en) * 2022-04-06 2022-05-18 Micropply Ltd Autonomous ground deposition machine with multiple accessory means
WO2023194742A1 (en) * 2022-04-06 2023-10-12 Micropply Limited Improved deposition arrangement for a ground deposition machine
GB202205452D0 (en) * 2022-04-12 2022-05-25 Micropply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marking a ground surfa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625Y2 (ko) * 1989-07-27 1992-08-05
JPH0630283Y2 (ja) * 1990-03-17 1994-08-17 株式会社丸山製作所 ノズル装置
US5486067A (en) * 1993-12-14 1996-01-23 Pavement Marking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rking a surface
US5526982A (en) * 1993-12-23 1996-06-18 The Toro Company Adjustable sprinkler nozzle
KR200206219Y1 (ko) * 2000-06-15 2000-12-01 하홍식 약액 분사노즐
KR20020013460A (ko) * 2001-12-31 2002-02-20 최장선 융착식 차선도색차량
KR100573731B1 (ko) * 2003-10-07 2006-04-24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노면 도색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055B1 (ko) * 2014-11-28 2015-05-26 이대우 주차장 차선 도색장치
KR20180049557A (ko) * 2016-11-03 2018-05-11 주식회사 시명 차선 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
CN108330802A (zh) * 2018-02-09 2018-07-27 陈善兰 一种道路工程用弧形左转待转车道线的自动划线机
CN108330802B (zh) * 2018-02-09 2020-07-14 海门市初享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道路工程用弧形左转待转车道线的自动划线机
KR102147789B1 (ko) * 2020-03-26 2020-08-25 (주)라인테크 돌출차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돌출차선 시공방법
CN111809497A (zh) * 2020-07-19 2020-10-23 谭凡杰 一种道路划线装置及其施工方法
CN115595028A (zh) * 2022-10-09 2023-01-13 天途路业集团有限公司(Cn) 一种适用于道路划线车点状涂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18362A1 (en) 2007-02-15
KR100706100B1 (ko) 200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100B1 (ko) 도로 표식 도색 차량
KR200403852Y1 (ko) 도로 표식 도색 차량
KR101565002B1 (ko) 스프레드 노즐 선택이 가능한 복합식 차선 시공장치
KR100968910B1 (ko) 철도차량의 외부표면 도료 자동도포 장치
JP6906241B2 (ja) 多成分接着剤を粒状混合物に吐出するための装置、吐出方法、および装置の使用
JP2005207221A (ja) 路面塗色装置
KR101709545B1 (ko)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KR100501992B1 (ko) 차선도색차량
KR100817609B1 (ko)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KR101595462B1 (ko) 차선, 횡단보도, 문자기호의 미끄럼방지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공법
KR101252655B1 (ko) 돌출차선표시용 시공장치
JP2019060220A (ja) 車路誘導線施工装置及び方法
KR101483848B1 (ko) 차선 도색용 도료용융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기
KR101054789B1 (ko) 차선표시 시설장비
KR100760261B1 (ko) 노면용 문자도색장치
KR101841144B1 (ko) 차선도색장치의 도료 분사노즐 시스템
CN112221796A (zh) 电控式喷洒装置及具有其的洒水车
KR101554451B1 (ko) 소형차선도색차량
KR20100059519A (ko) 도로 노면 도색 장치
KR102140947B1 (ko) 이분 연속구동형 돌출차선 시공장치
EP4176946A1 (en) Marking device, trailer unit for a marking device and method for marking a number, letter or symbol
KR20120038714A (ko) 도로 특수문자 인쇄 장치
KR100744413B1 (ko) 복렬 컬럼으로 구성된 스태커 크레인 구조를 가진 선체외판 자동 도장시스템
KR101549354B1 (ko) 차선 도색장치
KR101834198B1 (ko) 차선도색장치의 도료 분사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