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5569A - 커피 체리 화장품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커피 체리 화장품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5569A
KR20070015569A KR1020067023441A KR20067023441A KR20070015569A KR 20070015569 A KR20070015569 A KR 20070015569A KR 1020067023441 A KR1020067023441 A KR 1020067023441A KR 20067023441 A KR20067023441 A KR 20067023441A KR 20070015569 A KR20070015569 A KR 20070015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osmetic composition
cherries
coffee cherry
che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6043B1 (ko
Inventor
두산 밀코빅
Original Assignee
브이디에프 퓨쳐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디에프 퓨쳐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브이디에프 퓨쳐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15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n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체리 조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반숙성(sub-ripe) 속성 건조된 커피 체리로부터의 추출물이다. 구체적으로 계획된 화장품 조성물은 샴푸, 로션, 크림, 밤(balm), 및 연고로 포뮬레이트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항산화 효과, 항염증 효과, UV-차단 효과, 항 돌연변이 효과, 화학물질 보호 효과, 흉터 감소 효과, 피부 미백 효과, 보습 효과, 주름 감소 효과,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커피 체리 화장품 조성물 및 방법{COFFEE CHERRY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본 발명은 2004년 4월 8일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60/560,865호; 및 2004년 10월 12일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60/618,900호; 및 우리의 국제특허출원 PCT 제US03/11950호 및 PCT 제US03/11951호와 더욱 관련되어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모든 건들은 여기서 참고자료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화장품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커피 체리, 커피 체리 조제물 및 그것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많은 화장품 포뮬레이션(formulations)은 특히 바람직한 결과를 위해 하나 이상의 식물로부터의 식물 추출물 또는 조제물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이와 같은 포뮬레이션에 사용되는 식물들은 의학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들이다. 예를 들어, 카모마일(chamomile) 추출물은 염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자주 사용되고, 알로에 베라 추출물은 피부 자극을 완화하는데 사용되며, 카렌듈라(calendula) 추출물은 자주 방부제로 사용된다.
두드러지게, 보통 식품 또는 음료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비의학적 식물들, 및 특별한 식물들은 화장품 포뮬레이션에서 빠져 있는 것이 보통이며, 화장품에서 비의학적 식용 식물의 가장 알려진 용도로는 마스크를 위한 오이, 및 탈피를 위한 아몬드 및 살구를 들 수 있다. 다른 예로, 미국특허출원 제200405453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볶거나 볶지 않은 카페인이 제거된 커피 열매가 지성 피부의 치료를 위해 국소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추출물은 적어도 어느 정도 피지선(sebaceous gland)의 활성을 정상화하는 것으로 보고되지만, 다양한 단점이 남아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특정 포뮬레이션에 의존하는, 이와 같은 추출물의 화학적 안정성은 바람직한 것보다 낮아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미국특허출원 제20020187239호 및 WO 제2002062159호에서 기재된 바에 의하면, 발명자들은 식물 추출물의 제조를 위해 기본 물질로서 식물성 폐품(예를 들어, 커피 제품으로부터 커피 체리 펄프의 사용)의 사용을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커피 제품은 전형적으로 숙성된 커피 체리의 수확을 요구하고, 그것은 상당한 수준의 미생물 성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론적으로, 폐기 물질(즉, 펄프)은 거의 예외없이 다양한 진균독(mycotoxins)에 고도로 오염되었기 때문에 사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독이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는 수많은 화장품 포뮬레이션이 있지만, 특히 이와 같은 포뮬레이션이 커피 식물의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들 모두 또는 대부분은 하나 이상의 단점을 가진다. 결론적으로, 여전히 개선된 화장품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커피 체리 또는 부분 및/또는 그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화장품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목적의 구체적으로 계획되는 한 측면에 있어서, 화장품 조성물은 커피 체리 조제물을 포함하고, 좀더 바람직한 커피 체리 조제물은 반숙성(sub-ripe) 커피 체리 및/또는 속성 건조된 커피 체리로부터 제조되는데, 여기서 반숙성 커피 체리는 속성 건조되어 커피 체리의 진균독(mycotoxin) 수준이 아플라톡신(aflatoxins) 총합이 20 ppb 미만, 오크라톡신(ochratoxins) 총합이 10 ppb 미만, 및 퓨모니진(fumonisins) 총합이 5 ppm 미만이다. 여전히 좀더 바람직한 커피 체리 조제물은 둘 이상의 커피 체리의 열매, 펄프, 점액, 및 커피 체리의 껍질로부터 제조되는 알코올성 및/또는 수용성 추출물이다.
계획된 화장품 조성물은 다양한 포뮬레이션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한 포뮬레이션은 샴푸, 로션, 크림, 밤(balm), 및 연고를 포함한다. 또한, 화장품 조성물은 커피 체리 조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정보와 관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것은 정보가 하나 이상의 항산화 효과, 항염증 효과, UV-차단 효과, 항 돌연변이 효과, 하나 이상의 화학물질 보호 효과, 흉터 감소 효과, 피부 미백 효과, 보습 효과, 주름 감소 효과,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조성물과 관련될 수 있도록 계획된다.
커피 체리 조제물의 구체적인 성질에 의존하여, 상기 조제물은 커피산, 필수 모노사카리아드, 커피 점액 폴리사카라이드, 및 트리고넬린(trigonell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두 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인식되며, 여기서 이러한 종류들은 추출물 내에서 적어도 총합 1 중량%의 양, 및 더 일반적으로는 적어도 총합 5 중량%로 존재한다. 계획된 커피산의 예는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 페룰린산(ferulic acid), 및 카페익산(caffeic acid)을 포함하고, 필수 모노사카리아드는 아라비노스, 푸코오스, 만노스, 크실로오스, 및 갈락토오스를 포함한다.
결론적으로, 화장품 조성물 마케팅의 방법은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커피 체리 조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방법에서, 커피 체리 조제물은 커피 체리(가장 바람직하게는 반숙성 커피 체리 및/또는 속성 건조된 커피 체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화장품 조성물(예를 들어, 포뮬레이션을 포함하는 용기 및/또는 상기 용기를 포함하는 패키지 상에 인쇄되는)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목적, 특성, 양상 및 장점은 하기의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자들은 커피 체리, 부분 및/또는 그것의 추출물이 화장품, 및 특별히 국소적으로 적용되는 화장품(예를 들어, 피부 또는 머리에)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일반적으로 어떠한 커피 체리, 부분 및/또는 그것의 추출물은 여기에 사용하기에 유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커피 체리, 부분 및/또는 추출물은 반숙성 및/또는 속성 건조된 커피 체리로부터의 것들을 포함하며, 그것들은 특히 진균독 수준이 낮다.
여기서 사용된, "커피 체리"란 용어는 외과피 및 외부 중과피(즉, 펄프)는 내부 외과피(즉, 점액) 및 내과피(즉, 껍질)를 둘러싸고, 차례로 씨(즉, 열매; beans)를 둘러싼 커피 나무(커피어 스펙; Coffea spec.)의 완전한 열매를 나타낸다. 따라서, 커피 체리란 용어는 특별히 전체의 커피 체리를 나타내며, 그것은 체리의 줄기를 포함하거나 하지 않을 수 있다.
"반숙성 커피 체리"란 용어는 숙성 단계에 이르지 못한 커피 체리를 나타내며, 그것은 일반적으로 감염되기 쉽거나 균 감염의 존재 및/또는 진균독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반숙성 커피 체리는 커피 체리의 숙성 단계에서, 속성 건조될 때, 아플라톡신 총합이 20 ppb 미만, 퓨모니진(fumonisins) 총합이 5 ppm 미만, 버미톡신(vomitoxins) 총합이 5 ppm 미만 및 오크라톡신 총합이 5 ppb 미만인 진균독 수준을 보여줄 것이다. 속성 건조된 커피 체리는 전형적으로 잔여 수분 함량이 20%(wt/wt)을 넘지 않고, 좀더 전형적으로는 6-12%(wt/wt)를 넘지 않도록 수확시 0-48시간(좀더 바람직하게는 6-24시간 사이에)내에 건조된다.
다른 관점에서 볼 때, 반숙성 커피 체리는 전형적으로 약간의 녹색(5% 이상, 좀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을 나타낼 것이며 전형적으로 어떤 표면 흠집(예를 들어, 흠, 벤 상처, 및/또는 체리의 5% 미만의 영역을 덮는 구멍)도 없다. 반숙성 커피 체리는 또한 커피 체리가 손으로 따졌던 곳에서 차후에 원을 그리며 채집하기 위해 커피 나무 상에 남아 있을 것이며 커피 열매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색 분류 기계(예를 들어, CCD 장치)는 커피 체리가 대단위로 수확된 곳에서 색의 양을 근거로 하여 반숙성 커피 체리를 확인하거나 선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자동으로 분류될 수 있다.
좀더 인식되어야 하는 것은 하기의 수많은 양상 및 실시예들이 반숙성 단계에 있는 커피 체리를 사용하는 동안, 완벽히 숙성된 커피 체리 또한 여기에 적당한 것으로 여겨진다는 점이며, 특히 이와 같이 숙성된 커피 체리에 실질적인 표면 손상(즉, 표면 영역의 5%를 넘지 않는) 및/또는 세균 감염(즉,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아플라톡신이 총합이 20 ppb 미만, 퓨모니진 총합이 5 ppm 미만, 버미톡신 총합이 5 ppm 미만 및 오크라톡신 총합이 5 ppb 미만인 진균독 수준의 결과로 체내 침입된)이 없는 곳에서 그러하다. 따라서, 모든 계획된 화장품 제품 및/또는 커피 체리는 다양한 비율에서 반숙성 커피 체리뿐만 아니라 완벽히 숙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당한 비율은 숙성 100% 대 반숙성 0%, 바람직하게는 숙성 90% 대 반숙성 10%, 좀더 바람직하게는 속성 75% 대 반숙성 25%, 심지어 좀더 바람직하게는 숙성 50% 대 반숙성 50%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숙성 25% 미만 대 반숙성 75% 미만이다.
여기서 더 사용되는, "속성 건조된" 커피 체리란 용어는 곰팡이, 균류, 및/또는 이스트의 성장을 제한하는 프로토콜 하에서 건조되는 전체의 커피 체리를 의미하며, 이와 같은 건조된 커피 체리는 아플라톡신 총합이 20 ppb 미만, 퓨모니진 총합이 5 ppm 미만, 버미톡신 총합이 5 ppm 미만 및 오크라톡신 총합이 5 ppb 미만 정도인 진균독 수준을 보여줄 것이다. 속성 건조된 커피 체리는 전형적으로 잔여 수분 함량이 20%(wt/wt)을 넘지 않고, 좀더 전형적으로는 6-12%(wt/wt)를 넘지 않도록 수확시 0-48시간(좀더 바람직하게는 6-24시간 사이에)내에 건조된다. 적당한 건조 공정들(그것의 속성 건조된 커피 체리 부분이라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거나 있지 않은)은 공기 건조, 태양 건조, 스프레이 건조, 동결 건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여전히 계속 사용되는, "진균독"이란 용어는 사람 및 동물에 감염되었을 때 심각한 독성을 나타내는 곰팡이, 균류, 및/또는 이스트를 형성하는 어떤 독성 물질을 나타낸다. 특별하게 계획된 진균독은 아플라톡신(및 구체적으로는 B1, B2, G1, 및 G2), 퓨모니진(및 구체적으로는 B1, B2, 및 B3), 오크라톡신, 데옥시니발레놀(DON, 버미톡신), T-2 톡신, 및 제랄레논(zearalenone)을 포함한다. "아플라톡신 총합"이란 용어는 따라서 모든 아플라톡신 변형물의 합을, "퓨모니진 총합"이란 용어는 모든 퓨모니진 변형물의 합을, 그리고 "오크라톡신 총합"이란 용어는 따라서 모든 오크라톡신 변형물의 합을 나타낸다.
적당한 커피 체리, 부분 및/또는 추출물의 전형적인 조제물은 우리의 일반적인 소유인 PCT/US03/11950("저진균독 커피 체리 제품"의 제목으로) 및 PCT/US03/1195.1("커피 체리 제품의 방법"의 제목으로)인 시리얼 번호로 출원되어 있는 국제특허출원에 기재되어 있으며, 그것은 여기서 특별히 참조로서 통합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커피 체리 제품은 진균독이 낮거나 심지어는 없지만, 국소적인 사용을 위한, 허용되고/되거나 묵인되는 진균독의 양은 영양 제품을 위해 필요한 양보다 높을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계획된 커피 체리 조제물은 반숙성 및/또는 속성 건조된 커피 체리, 또는 반숙성 및/또는 속성 건조된 커피 체리의 일부분 이상(예를 들어, 10% 이상, 더 전형적으로는 20% 이상, 가장 전형적으로는 50% 이상)을 포함하는 커피 체리의 일단(batch)으로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화장품 포뮬레이션에서, 커피 체리 조제물은 화장품 제품에 혼합하기에 적당한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거나 더 이상의 혼합없이 직접 적용하기 위해 포뮬레이트(formulated)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계획된 커피 체리 조제물은 기계적으로 처리되는 물질(예를 들어, 동결 건조된 파우더, 또는 그 반대로 분쇄되거나 탈수된 물질, 또는 압축된 커피 체리로부터 얻어진 액체)처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커피 체리는(예를 들어, 기계적 공정의 단계 후에) 화학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적당한 화학적 공정 단계는 용매 추출 또는 분류(fractionation)를 포함함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커피 체리 분쇄되거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성분(및/또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지 않은 성분이 없는 물질을 얻기 위해)이 풍부한 용액을 얻기 위해 수용액 및/또는 알코올 용매와 추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조된 추출물은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예를 들어, 이온 교환, 크기 배제, 또는 여과), 또는 커피 체리의 성분 또는 일부분의 첨가방법을 사용하여 특별한 성분이 정제되고/되거나 풍부하게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조성물(들)에 의존하여, 추출물은 커피 체리(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커피 체리의 열매, 펄프, 점액, 및/또는 커피 체리의 껍질)의 선택된 부분으로부터도 제조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주의해야 하는 것은 50 중량%를 초과하는 반숙성 커피 체리의 건조 물질은 카보하이드레이트, 및 특히 폴리사카라이드로 나타내어진다는 점이다. 잔여물은 다양한 단백질(약 10 중량%에서 12 중량%), 비누화될 있는 지질(약 10 중량%에서 18 중량%), 비누화될 없는 지질(약 10 중량%), 및 피토스테롤(phytosterols), 토코페롤(tocopherols), 디터페닉(diterpenic) 알코올(예를 들어 카페스톨(cafestol), 카웰(kahweol), 카우라닉(kauranic) 유도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지방 친화성 성분을 포함한다. 커피 체리는 또한 전형적으로 페룰린산, 퀴닉산(quinic acid), 카페익산, 및 클로로제닉산으로 대표되는 다양한 페놀산(일반적으로 약 5 중량%)을 포함한다. 카페인은 약 0.5 중량%에서 약 2 중량% 사이에서 존재할 수 있고 그보다 더 높을 수도 있다.
커피 체리 (추출물)의 구체적인 성분에 의존하는, 계획된 조제물 및/또는 추출물의 조제물은 따라서 다양한 양의 커피산(예를 들어, 클로로제닉산, 페룰린산, 및 카페익산), 필수 모노사카리아드(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아라비노스, 만노스, 크실로오스, 푸코오스, N-아세틸갈락토사민, N-아세틸글루코사민, 및 N-아세틸뉴라미닉산), 커피 점액 폴리사카라이드, 및/또는 트리고넬린을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커피산, 필수 모노사카리아드, 커피 점액 폴리사카라이드, 및/또는 트리고넬린은 화장품 조성물, 조제물, 또는 추출물 내에 전체 1 중량% 이상의 양, 좀더 바람직하게는 전체 2-5 중량%,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체 5 내지 20 중량% 사이로 존재한다.
계획된 화장품 포뮬레이션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화장품 포뮬레이션은 피부, 손톱, 및/또는 머리에 국소적으로 적용된다. 결과적으로, 구체적인 조성물 및 적용 방식은 다양하게 고려될 수 있으며, 모든 알려진 화장품 조성물 및/또는 포뮬레이션은 여기서 사용되기 위해 적당하게 고려된다. 예를 들어, 적당한 화장품 제품은 겔, 크림, 무스, 연고, 액체(스프레이식 또는 다르게 적용되는) 립스틱 포뮬레이션 등을 포함하며, 그것들은 모두 세척제, 피부 보호제, 및/또는 기능성 화장품처럼 사용될 수 있다. 업계에 알려진 화장품에 사용되기 위한 수많은 포뮬레이션(예를 들어, Cosmetic and Toiletry Formulation Volume 8 by Ernest W. Flick; Noyes Publications; 2nd edition, January 15, 2000; ISBN: 0815514549를 참조)이 존재하며, 그들 모두는 여기서 사용되기에 적당한 것으로 여겨진다.
대부분의 경우, 계획된 화장품 조성물은 약 0.1 중량%에서 약 80 중량% 사이의 양, 좀더 바람직하게는 약 1 중량%에서 약 40 중량% 사이의 양,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 중량%에서 약 20 중량% 사이의 양으로 커피 체리 조제물을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커피 체리 조제물이 고농축되는 곳에서는, 또한더욱 낮은 양이 또한 계획된다. 또한 여전히 계획된 본 발명의 목적물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세제, 항산화제, 비타민, 미네랄(예를 들어, 합성 보론), 방향제, 식물 호르몬, 알파 하이드록시산, 아세틸화된 화합물(예를 들어, N-아세틸 시스테인) 등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작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전히 계획된 면에서, 커피 체리(반숙성 및/또는 숙성될 수 있는)는 건조 단계없이 화장품 포뮬레이션에 직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커피 체리는 분쇄되고, 분말화되고, 또는 페이스트 또는 퓨레로 풀어질 수 있고, 그것은 다음에 화장품 포뮬레이션으로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커피 체리는 또한 커피 체리 주스 또는 주스 농축액을 얻기 위해 압축될 수 있으며, 그것은 다음에 화장품 포뮬레이션에 포함된다. 또한 건조되지 않은 커피 체리로부터의 어떤 물질이 바람직하게 포뮬레이션에 포함되는 동안, 다른 용도, 특히 영양상 적용의 용도 또한 여기서 확실히 계획되는 점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그러한 주스, 퓨레, 및 다른 물질은 스낵바, 음료, 또는 다른 식용물에 다양한 농도(예를 들어, 약 0.01 중량%에서 약 99.9 중량% 사이, 좀더 일반적으로는 0.1 중량%에서 약 50 중량% 사이, 가장 일반적으로는 1 중량%에서 약 20 중량% 사이)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적당한 식품 및 용도들은 PCTIUS03/11950 및 PCT/US03/11951이란 시리얼 번호인 우리의 국제특허출원에 기재되어 있으며, 그것들은 여기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추가적으로 계획된 용도들은 물질의 조성물에서 항산화제로서 계획된 커피 체리 조제물의 용도를 포함하며, 여기서 커피 체리 조제물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약 0.01 중량%에서 약 99.9 중량% 사이, 좀더 일반적으로 0.1 중량%에서 약 50 중량% 사이, 가장 일반적으로 전체 조성물의 1 중량%에서 약 20 중량% 사이이다.
또한 여전히, 계획된 조성물 및 방법들은 또한 커피 나무외의 식물로부터의 식물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클로로제닉산, 카페익산, 및 페룰린산을 포함하는 식물들이 특히 바람직하다는 점이 주목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선택적인 식물들에서 클로로제닉산, 카페익산, 및 페룰린산은 0.1 중량% 이상(또는 0.5 중량%에서 약 5 중량%, 및 심지어는 그보다 높게)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자들은 여기에 존재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국소적 적용에 대해 수많은 장점을 나타내도록 하였다. 다른 것들 중에서는, 본 발명자들은 서로 다른 그들의 잠재적인 다양한 성분(예를 들어, 페룰린산, 카페익산, 또는 클로로제닉산)에서 수많은 커피 체리 성분 보완물이 UV 보호제, 및/또는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커피 체리 제품이 다양한 폴리사카라이드, 및 특히 점액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도록 하였고, 그것은 피부에 이로운 효과(예를 들어, 수분을 매개로 하거나 다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계획된 이로운 효과는 개선된 피부 톤, 증가된 박리, 케라틴올리틱(keratinolytic) 효과, 주름의 감소, 생물학적 및/또는 외관상의 노화의 감소, 과색소 형성(hyperpigmentation; 예를 들어, 흑반, UV 노출에 관련되거나, 나이와 관련된 것 등)의 감소, 직접적 또는 간접적 산화적 손상의 감소(항산화 특성), 자극 및/또는 염증 감소, 및/또는 개선된 느낌(예를 들어, 증가된 부드러움)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이 커피 체리 조제물(반숙성 및/또는 속성 건조된 커피 체리로부터 바람직하게 제조된)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정보와 관련되어 판매될 수 있도록 하였다. 수많은 방식의 연상 방법이 제공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연상 방법은 정보가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기에 인쇄되거나 정보가 용기를 포함하는 패키지 상에 인쇄되는 물리적 연상 방법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정보는 또한 판매 진열 및/또는 팸플릿 또는 간행물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정보는 문자 또는 인쇄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래픽 형태로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나타날 수도 있고/있거나 상업적 광고 또는 정보 광고와 같이 나타날 수도 있다.
특히 계획된 면에서, 정보는 커피 체리 조제물 및/또는 바람직한 효과를 가지는 커피 체리 조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과 관련될 수 있다. 다른 계획된 효과 중에, 커피 체리 조제물 및/또는 커피 체리 조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항산화 효과, 항염증 효과, UV 보호 효과, 항 돌연변이 효과, 화학물질 보호 효과, 흉터 감소 효과, 피부 미백 효과, 주름 감소 효과, 보습 효과,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고 사용하며 여기서 기재된 전형적인 조성물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전체의 커피 체리의 수확
커피 체리의 성숙도는 전체의 체리의 녹색 및 적색(또는 황색, 적용될 수 있 는 곳에서)의 양을 육안으로 측정하여 결정되었다. 숙성된 체리와 같이, 녹색 체리는 일반적으로 크기가 증가할 것이며 차후에 적색의 양의 증가가 나타날 것이다. 현재의 실시예에서, 커피 체리는 4단계의 숙성 단계에서 수집된다: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녹색(비성숙; 일반적으로 커피 체리의 5% 미만이 적색 또는 황색), 기본적으로 녹색이고 약간의 적색을 가짐(반성숙, 단계 1; 일반적으로 커피 체리의 25% 미만이 적색 또는 황색), 기본적으로 적색이고 약간의 녹색을 가짐(반성숙, 단계 2; 일반적으로 커피 체리의 25% 미만이 녹색), 및 부서지지 않고, 흠집이 없는 적색(거의 성숙; 일반적으로 커피 체리의 10% 미만이 녹색; 흠, 벤 상처, 다르게는 부서진 표면의 영역이 5% 미만). 가능한 범위에서, 전체의, 부서지지 않고 잘리지 않은 체리가 수집되었다.
전체의 커피 체리의 속성 건조
샘플 추출을 위한 전체의 커피 체리는 하기의 공정에 따라 공기 건조기의 분리된 트레이(tray) 상에서 수확 후 1-12 시간 동안 체리를 건조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커피 체리(400-600 g)는 비이커 내에서 중량을 달고, 수돗물로 두 번 세척한 다음 증류수로 한 번 세척하였다. 상기 세척된 커피 체리는 배수를 위해 공기 건조기의 트레이 상에 두었고, 다음에 150-160°F에서 16-18시간 동안 중량가 일정해지도록 건조하였다. 건조는 두 번의 연속적인 1시간 간격의 중량가 1 g 이하의 차이를 보일 때 중단되었다. 건조된 전체의 체리의 일반적인 수득량은 160-220 g 이었다. 더 나아간 분석에서 건조된 체리의 잔여 수분 함량은 6-12%로 나타 났다.
진균독 분석
영양 제품(및 특히 차(tea)에 사용하기 위한)에 사용하기 위한 비성숙, 반성숙, 및 거의 성숙 단계(앞을 참조)에서의 전체의 커피 체리의 생존력을 결정하기 위해, 선택된 진균독의 수준이 측정되었으며 커피 제품으로부터의 상대적인 제품 및 적색, 숙성 커피 체리 부산물에 대하여 비교되었다. 하기의 표 1에서 명확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반숙성 수확 단계들의 속성 건조된 커피 체리는 1 ppb(아플라톡신 및 오크라톡신에 대해 측정한 것과 같이)의 검출 한계 미만의 진균독 수준을 가졌다.
진균독 농도는 ELISA 및 HPLC 분석에 의해 독립적인 실험에서 측정되었다. 하기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자들은 서로 다른 반숙성 수확 단계들로부터의 모든 샘플들은 인간에 국소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 직접 사용하기에 적당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대조적으로, 흠(일반적으로 체리 표면의 20%를 초과하는)이 있는 적색의 숙성 체리로부터 커피제품(주로 커피 체리로부터의 펄프, 점액, 및 껍질로 구성된)을 제조하는 동안 일반적인 부산물은 아플라톡신 및 오크라톡신 모두에서 상당한 함량을 가진다.
[표 1]
숙성도 아플라톡신 오크라톡신
비성숙, 속성 건조된 녹색 < lppb < lppb
반성숙 단계 1, 속성 건조된 대부분 녹색이며 약간 적색을 가짐 < lppb < lppb
반성숙 단계 2, 속성 건조된 대부분 적색이며 약간 녹색을 가짐 < lppb < lppb
거의 숙성, 속성 건조된 적색, 흠집이 없는 영역 <5% < lppb < lppb
성숙(커피제품의 부산물) 적색, 흠집이 없는 영역 >20% > 200 ppb > 500 ppb
속성 건조된 반숙성 전체의 커피 체리를 위한 폴리페놀(PP), 클로로제닉산 (CG), 및 카페인(CF) 분석
또한 일련의 실험들에서, 다양한 반숙성 단계에서 속성 건조된 전체의 커피 체리로부터의 전체 폴리페놀, 클로로제닉산, 및 카페인의 수준이 측정되었고 녹색 및 볶은 커피 열매에 대해 비교되었다. 표 2에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였다.
흥미롭게도, 모든 반숙성 수확 단계의 속성 건조된 커피 체리의 폴리페놀 (PP) 수준이 색 또는 볶은 커피 열매의 수준보다 다소 낮은 동안, 속성 건조된 반숙성 커피 체리에서 폴리페놀의 상당한 양은 여전히 남아있다. 유사하게, 다양한 반숙성 단계에서 속성 건조된 전체의 커피 체리의 클로로제닉산(CG)은 볶은 커피와 비교하였을 때, 상당한 고수준으로 남아있으나, 녹색 열매와 비교해서는 다소 낮다. 모든 반숙성 수확 단계의 속성 건조된 커피 체리의 카페인(CF) 수준은 실질적으로 녹색 및 볶은 커피 열매(모든 주어진 데이터는 건조 물질을 기반으로 하며 열매의 건조 중량을 일정하게 되지 않는 것이 지적된다)의 카페인 수준 사이에 있다.
폴리페놀 분석: 건조된 전체의 커피 체리(또는 녹색 열매 또는 볶은 열매) (1.00 g)를 회전 스틸 나이프 커피 분쇄기에서 30초간 빻아 가루로 만든 샘플을 얻 었다. 가루로 만든 샘플을 100 mL 증류수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끓이기 위해 엘리메이어 플라스크(Erlenmeyer flask)에서 30분간 가열하였다. 가열기가 제거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였다. 생성된 서스펜션(suspension)을 100 mL 눈금 실린더에 옮기고 100 mL의 부피가 되도록 물을 가하였다. 다음에 상기 혼합물을 엘리메이어 플라스크로 다시 옮기고, 잠시 동안 교반하고, 고체가 침전되도록 하였다. 상기 상청액의 일정 분량(~3 mL)은 0.45 ㎛ 아크로디스크(Acrodisc) 필터를 통해 여과되고, 생성된 맑은 용액은 용량 플라스크를 사용하여 증류수와 1:10으로 희석되었다(9.00 mL 증류수로 1.00 mL를 희석).
폴린 시오칼투(Folin-Ciocalteu) 방법은 하기와 같이 희석된 용액의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었다. 1 mL의 희석된 용액을 시험관에 가하고, 은 1 mL의 0.2N 폴린 시오칼투 페놀 시약(시그마 용액(Sigma 용액), 2N, 물로 1:10으로 희석)과 혼합하고, 실온에서 5분간 방치되었다. 1 mL의 1N NaHCO3가 첨가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은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되었다. 폴리페놀 수준은 카테킨에 대해 표준화된 자외-가시선(UV-visible)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λmax=750 nm에서 블랭크를 증류수로 하여 측정되었다.
클로로제닉산: 클로로제닉산의 측정은 업계에 잘 알려진 표준 분석 및 분리 프로토콜을 사용한 앞에서 준비된 상기 여과된 맑은 용액의 HPLC 분리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유사하게, 카페인의 측정은 업계에 잘 알려진 표준 분석 및 분리 프로토콜을 사용한 앞에서 준비된 상기 여과된 맑은 용액의 HPLC 분리를 사용하여 수 행되었다(전형적인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Bispo M.S., et al. in J. Chromatogr. Sci.; 2002, Jan;40(1):45-8, 또는 Nakakuki, H. et al. in J. Chromatogr. A.;1999, Jul 2;848(1-2):523-7을 참조).
[표 2]
숙성도 % PP % CG % CF CG/CF
비성숙, 속성 건조된 녹색 3.80 2.64 1.03 2.56
반성숙 단계 1, 속성 건조된 대부분 녹색이며 약간 적색을 가짐 3.28 2.70 1.00 2.70
반성숙 단계 2, 속성 건조된 대부분 녹색이며 약간 적색을 가짐 3.54 2.00 0.70 2.86
거의 성숙, 속성 건조된 적색, 흠집이 없는 영역 <5% 3.35 N/D N/D N/D
녹색 커피 열매 녹색 4.58 3.31 0.95 3.48
볶은 커피 열매 갈색 3.93 0.50 1.20 0.42
액상 커피 체리 추출물의 조제물
속성 건조된 반숙성 커피 체리는 가루로 만든 샘플을 제조하기 위해 회전 스틸 나이프 커피 분쇄기 내의 여러 가지 일단에서 10-30초간 빻아진다. 상기 가루로 만든 샘플(20.0 g)은 80 mL의 끓는 증류수에 첨가되며 생성된 혼합물은 엘리메이어 플라스크에서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허용된다. 상기 고체는 여과되며 여과액은 동결 건조되고 분말화된다. 제2 일단은 용매로서 40 부피% 에탄올/물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여과액은 동결 건조되고 분말화된다.
10 중량%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파우더 모두는, 각각, 물에 다시 떠돌도록 하고 상기 용액은 녹지 않은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다시 여과된다. 얻어진 커피 체리 조제물은 다음에 하기의 비율로 화장품 베이스 포뮬레이션에 첨가된다:
바디 로션( 오일 인 워터 )
a) PEG-7 경화 캐스터 오일 2.00%
PEG-20 글리세릴 로레이트(laurate) 1.00%
코코글리세라이드 3.00%
세테릴 알코올 1.00%
세테릴 이소노나노에이트 4.00%
옥틸 스테레이트 4.00%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0.30%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b) 증류수 73.40%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0.30%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글리세린 3.00%
c) 커피 체리 추출물 5.00%
d)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미네랄 오일 3.00%
C13-C14 이소파라핀, 폴리소베이트 85
혼합물 a)는 약 70℃에서 녹여지고 혼합물 b)는 약 70℃로 가열되고 교반하면서 혼합물 a)에 가해진다. 교반은 로션이 약 30℃로 냉각될 때까지 계속된다. 다음에 교반하면서 c) 및 d)가 첨가되고, 상기 로션은 균일화된다.
겔-로션
a)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미네랄 오일, 5.00%
C13-14 이소파라핀, 폴리소베이트 85
미레쓰-3 미리스테이트 4.00%
b) 증류수 85.00%
페녹시에탄올(및) 메틸파라벤(및) 0.50%
에틸파라벤(및) 부틸파라벤(및)
프로필파라벤(및) 이소부틸파라벤
잔탄 검 0.50%
c) 커피 체리 추출물 5.00%
혼합물 a)는 약 50℃에서 녹여진다. 혼합물 b)는 실온에서 분산되고 교반하면서 a)에 첨가된다. 다음에 조성물 c)가 교반하면서 첨가된다.
오일-인- 워터 크림
a) 세테릴 알코올 (및) 세테레스-20 8.00%
코코글리세라이드 2.00%
세테릴 알코올 2.00%
디카프릴릴 에터 8.00%
오레일 에루케이트 7.00%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0.30%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b) 증류수 62.40%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0.30%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글리세린 5.00%
c) 커피 체리 추출물 5.00%
혼합물 a)는 약 70℃에서 녹여지고 혼합물 b)는 약 70℃로 가열되고 교반하면서 혼합물 a)에 가해진다. 교반은 크림이 약 30℃로 냉각될 때까지 계속된다. 다음에 교반하면서 c)가 첨가되고, 상기 크림은 균일화된다.
워터 -인-오일 크림
a) 디이소스테로일 폴리글리세릴-3 다이머 딜리놀레트 3.00%
비스왁스 0.60%
캐스터 오일, 하이드레이트 0.40%
파라피늄 서브리퀴듐 5.00%
이소헥사데칸 10.00%
PPG-15 스테릴 에터 2.00%
디메티콘 0.50%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0.30%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b) 증류수 68.40%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0.30%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글리세린 3.00%
MgSO4 *7H20 1.00%
c) 커피 체리 추출물 5.00%
d) 실리카 디메틸 실릴레이트 0.50%
혼합물 a)는 약 80℃로 가열되고, 혼합물 b)는 80℃로 되게 하고 교반하면서 a)에 첨가된다. 교반은 크림이 약 30℃로 냉각될 때까지 계속되고, 다음에 교반하면서 c) 및 d)가 첨가되고, 상기 크림은 균일화된다.
샴푸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터 설페이트 15.0%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4.0%
N-에탄올-N-메틸 도데카노익 산 아미드 3.0%
EDTA-Na2 0.3%
pH를 6.0으로 조절하기 위한 말레익산 q.s.
방부제 0.5%
커피 체리 추출물 10.00%
정제된 물 나머지
총계 100.0%
모든 성분은 같이 혼합되고 그 부피는 약 90 ml가 되게 한다. 다음에 pH가 조절되고 상기 부피는 최종적으로 100 ml로 조절된다(모든 퍼센트는 중량% 이다).
바디 워시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터 설페이트 16.0%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5.0%
N-에탄올-N-메틸 팜 커넬 오일 지방산 아미드 2.5%
글리세린 3.0%
양성자회된 셀룰로오스 0.1%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레이트 3.0%
EDTA-Na2 0.3%
pH를 6.0으로 조절하기 위한 시트르산 q.s.
방부제 0.5%
커피 체리 추출물 7.5%
정제된 물 나머지
총계 100.0%
모든 성분은 같이 혼합되고 그 부피는 약 90 ml가 되게 한다. 다음에 pH가 조절되고 상기 부피는 최종적으로 100 ml로 조절된다(모든 퍼센트는 중량% 이다).
페이스 워시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터 설페이트 20.0%
N-에탄올-N-메틸 도데카노익산 아미드 4.8%
글리세린 3.0%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0.3%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레이트 1.5%
EDTA-Na2 0.3%
pH를 6.0으로 조절하기 위한 시트르산 q.s.
방부제 0.5%
커피 체리 추출물 10.0%
정제된 물 나머지
총계 100.0%
모든 성분은 같이 혼합되고 그 부피는 약 90 ml가 되게 한다. 다음에 pH가 조절되고 상기 부피는 최종적으로 100 ml로 조절된다(모든 퍼센트는 중량% 이다).
따라서, 낮은-진균독 커피 체리 제품의 특별한 구체예 및 적용이 공개되었다. 그러나, 여기의 본 발명의 개념과 다르지 않게 이미 기재된 것들 외에 많은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의도를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이,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해석에서, 모 든 용어들은 문맥과 일치하는 양식에서 가능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포함한다" 및 "포함하는"이란 용어는 배타적이지 않은 양식으로 구성요소, 성분, 또는 단계를 나타내도록 해석되어야 하며, 상기 인용되는 구성요소, 성분, 또는 단계는 존재하거나, 사용되거나, 또는 표현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 성분, 또는 단계와 결합할 수 있다.

Claims (20)

  1. 커피 체리 조제물(preparation)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체리 조제물은 반숙성(sub-ripe) 커피 체리로부터의 조제물인 화장품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숙성 커피 체리는 속성 건조되고 진균독(mycotoxin) 수준이 아플라톡신(aflatoxins) 총합이 20 ppb 미만, 오크라톡신(ochratoxins) 총합이 10 ppb 미만, 및 퓨모니진(fumonisins) 총합이 5 ppm 미만인 화장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체리 조제물은 속성 건조된 커피 체리로부터의 조제물인 화장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체리는 속성 건조되고 진균독(mycotoxin) 수준이 아플라톡신(aflatoxins) 총합이 20 ppb 미만, 오크라톡신(ochratoxins) 총합이 10 ppb 미만, 및 퓨모니진(fumonisins) 총합이 5 ppm 미만인 화장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체리 조제물이 하나 이상의 수용성 추출물 및 알코올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둘 이상의 커피 체리의 열매(bean), 커피 체리의 펄프(pulp), 커피 체리의 점액(mucilage), 및 커피 체리의 껍질(hull)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제물은 커피산, 커피 폴리페놀, 필수 모노사카리아드, 커피 점액 폴리사카라이드, 및 트리고넬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두 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두 종류 이상의 화합물은 추출물 내에서 적어도 총합 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화장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두 종류 이상의 화합물은 조제물 내에서 적어도 총합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화장품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커피산의 종류는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 페룰린산(ferulic acid), 및 카페익산(caffe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필수 모노사카리아드의 종류는 아라비노스, 푸코오스, 만노스, 크실로오스, 및 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샴푸, 로션, 크림, 밤(balm), 및 연고로 포뮬레이트되는 화장품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체리 조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관련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항산화 효과, 항염증 효과, UV-차단 효과, 항 돌연변이 효과, 화학물질 보호 효과, 흉터 감소 효과, 피부 미백 효과, 보습 효과, 주름 감소 효과, 및 항바이러스 효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과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15.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커피 체리 조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마케팅의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체리 조제물은 커피 체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화장품 조성물과 관련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하나 이상의 포뮬레이션을 포함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를 포함하는 패키지 상에 인쇄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체리 조제물은 반숙성(sub-ripe) 커피 체리로부터의 조제물인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체리 조제물은 속성 건조된 커피 체리로부터의 조제물인 방법.
KR1020067023441A 2004-04-08 2004-11-03 커피 체리 화장품 조성물 및 방법 KR101196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6086504P 2004-04-08 2004-04-08
US60/560,865 2004-04-08
US61890004P 2004-10-12 2004-10-12
US60/618,900 2004-10-12
PCT/US2004/036630 WO2005102373A2 (en) 2004-04-08 2004-11-03 Coffee cherry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569A true KR20070015569A (ko) 2007-02-05
KR101196043B1 KR101196043B1 (ko) 2012-10-31

Family

ID=35197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441A KR101196043B1 (ko) 2004-04-08 2004-11-03 커피 체리 화장품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4) US20070281048A1 (ko)
EP (2) EP1753387B1 (ko)
JP (2) JP4340317B2 (ko)
KR (1) KR101196043B1 (ko)
BR (1) BRPI0418729B1 (ko)
CA (1) CA2564595C (ko)
DK (1) DK1753387T3 (ko)
ES (1) ES2388606T3 (ko)
MA (1) MA28568B1 (ko)
MX (1) MXPA06011530A (ko)
PL (1) PL1753387T3 (ko)
PT (1) PT1753387E (ko)
WO (1) WO200510237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677A1 (en) * 2012-10-29 2014-05-08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The inhibitory melanogenesis by coffee oil extracted by supercritical co2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8320A1 (en) 2003-04-16 2004-11-18 Vdf Futureceuticals Methods for coffee cherry products
PT1615506E (pt) 2003-04-16 2014-06-25 Vdf Futureceuticals Produtos de cereja de café com baixo teor em micotoxinas e métodos para a sua produção
KR101196043B1 (ko) 2004-04-08 2012-10-31 브이디에프 퓨쳐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커피 체리 화장품 조성물 및 방법
JP2005350431A (ja) * 2004-06-14 2005-12-22 Furabamin:Kk カフェイン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CA2570210C (en) 2004-06-15 2013-01-08 The Boots Company Plc Hair growth compositions comprising centella asiatica and green coffee extracts
US8246937B2 (en) * 2004-07-06 2012-08-21 Avon Products, Inc. Hair and skin care composition
FI116387B (fi) * 2004-11-24 2005-11-15 Gilvaria Oy Luonnonmukainen puhdistusaine, jolla on antioksidanttinen koostumus
US8691247B2 (en) * 2006-12-26 2014-04-08 Ad Lunam Labs Inc. Skin rejuvenation cream
JP5392742B2 (ja) * 2008-04-25 2014-01-22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メラニン生成阻害剤
US20100173024A1 (en) * 2008-12-01 2010-07-08 LifeSpan Extension,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altering health, wellbeing, and lifespan
WO2010106798A1 (ja) * 2009-03-18 2010-09-23 花王株式会社 エネルギー消費促進剤
US8568749B2 (en) * 2009-04-02 2013-10-29 Sesvalia Us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kin rejuvenation
US8440237B2 (en) 2009-04-27 2013-05-14 Mary Kay Inc. Botanical anti-acne formulations
WO2011079212A2 (en) * 2009-12-24 2011-06-30 LifeSpan Extension,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dentifying, producing and using plant-derived products modulating cell function and aging
ES2364633B1 (es) * 2010-02-26 2012-08-07 Feliu Pont Gonzalez Uso de las cenizas de las cascarillas del cafe tostado como tratamiento contra la psoriasis.
RU2013108970A (ru) * 2010-07-30 2014-09-10 Нестек С.А. Применение смеси обжаренных и зеленых кофейных зерен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игментации кожи
BR112013002216B1 (pt) * 2010-07-30 2018-11-06 L'oreal uso cosmético de grãos de café torrado
MX350475B (es) * 2010-07-30 2017-09-07 Loreal * Uso de granos de café verdes para regular trastornos de pigmentación de la piel.
CN102234677B (zh) * 2011-04-28 2015-09-02 王英平 一种串珠镰孢菌发酵转化人参二醇组皂苷的方法
WO2013016257A1 (en) 2011-07-25 2013-01-31 Us Cosmeceu Techs Llc Botanical antioxida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thereof
EP2792245B1 (en) * 2011-12-14 2018-12-05 Ramirez Velez, Andres Method for obtaining coffee honey from the pulp or husks and the mucilage of the coffee bean
KR102245069B1 (ko) 2011-12-19 2021-04-26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피부톤 향상을 위한 식물 추출물의 조합물
US10800561B2 (en) 2012-01-20 2020-10-13 Koffeefruit Pte. Ltd. Preparation of coffee-based extracts and powders
WO2014158271A1 (en) * 2013-03-14 2014-10-02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Food products and chocolate compositions containing coffee cherry byproduct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9849077B2 (en) 2014-03-10 2017-12-26 Mary Kay Inc.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CN108347957A (zh) * 2015-09-04 2018-07-31 寇菲福瑞特私人有限公司 咖啡果实提取物和粉末的制备
WO2018052971A1 (en) * 2016-09-15 2018-03-22 Bex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of use for commodities analysis, collection, resource-allocation, and tracking
JP7007105B2 (ja) * 2017-04-28 2022-01-24 花王株式会社 クロロゲン酸類含有組成物
KR20230154560A (ko) 2022-05-02 2023-11-09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 제형 화장품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커피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 제형 화장품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6872A (en) * 1946-05-22 1950-10-24 Standard Brands Inc Preparation of green coffee
US2526782A (en) * 1948-05-08 1950-10-24 Thorpe Jay Lee Air cleaner and deodorizer
US2557294A (en) 1949-04-13 1951-06-19 Kellogg Helen Louise Coffee extract enriched with extra flavor
GB836464A (en) 1957-07-29 1960-06-01 Ramon Perech Method of producing a water soluble coffee concentrate
US2872323A (en) * 1958-03-11 1959-02-03 Perech Ramon New method of producing water soluble coffee concentrate
FR1533371A (fr) * 1967-06-07 1968-07-19 Produits dermo-cosmétiques à base d'extraits de caféier
US3585041A (en) * 1968-07-23 1971-06-15 Us Agriculture Process for lowering aflatoxin levels in aflatoxin-contaminated substances
US3798323A (en) 1971-08-25 1974-03-19 Shell Oil Co Methods of controlling mycotoxin production using certain dialkyl enol phosphates
IT1039861B (it) 1975-07-15 1979-12-10 Snam Progetti Processo di estrazione di micotossine da farine di natura vegetalemarco canella e giancarlo sodini
US4165752A (en) 1975-10-07 1979-08-28 Bustamante Carlos R Tobacco substitute made from coffee cherries and a process for making such
LU76148A1 (ko) * 1976-11-08 1978-07-10
FR2372797A1 (fr) 1976-12-03 1978-06-30 Anvar Procede d'hydrolyse catalytique chimique d'a-amino-nitriles ou de leurs sels
US4199606A (en) 1977-09-22 1980-04-22 Bland Bobby Propionic acid on a carrier material as a preservative
GB2026839B (en) 1979-04-09 1983-09-01 Bustamante C R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mokable coffee product
US4484012A (en) * 1984-02-29 1984-11-20 General Foods Corporation Production of mannitol and higher manno-saccharide alcohols
US4867992A (en) * 1987-03-16 1989-09-19 General Foods Corporation Natural coffee flavor by fermentation
US5178832A (en) * 1987-09-28 1993-01-12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Selective immobilization and detection of mycotoxins in solution
FR2609395B1 (fr) * 1988-02-23 1992-01-10 Serobiologiques Lab Sa Utilisation de bases xanthiques comme principe actif d'une composition pharmaceutique, notamment dermatologique, ou cosmetique, composition notamment utile comme matiere de base pour la preparation de composition pharmaceutique ou cosmetique et composition pharmaceutique ou cosmetique ainsi preparee
US5133958A (en) 1989-04-20 1992-07-28 Erwin Stuckler Agent for nail, skin and hair care
JP2665990B2 (ja) * 1990-10-04 1997-10-22 長谷川香料株式会社 精製クロロゲン酸の製造方法
ZA935171B (en) 1992-08-03 1994-03-02 Nestle Sa An anti-urease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GB2274058B (en) 1992-11-26 1997-06-25 Eladevi Shah Herbal Compositions
FR2706305B1 (fr) 1993-06-15 1995-08-25 Payot Laboratoires Dr Ng Composition cosmétique ou pharmaceutique anti-radicaux libres pour application topique.
US6025188A (en) 1994-08-12 2000-02-15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Fumonisin detoxific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US5792931A (en) 1994-08-12 1998-08-11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Fumonisin detoxific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JPH0892057A (ja) * 1994-09-16 1996-04-09 Ichimaru Pharcos Co Ltd コーヒーノキ種子抽出物配合化粧料
DE4436270C1 (de) * 1994-10-11 1996-03-07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Chlorogensäure als Antioxidans in haarkosmetischen Zubereitungen
JP2642316B2 (ja) * 1994-10-20 1997-08-20 弘 長澤 抗癌剤
JPH08301722A (ja) 1995-05-09 1996-11-19 Pola Chem Ind Inc 皮膚化粧料
US5639794A (en) 1995-06-07 1997-06-17 Proguard, Inc. Use of saponin i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athogen control
US5698599A (en) 1996-03-04 1997-12-16 Rj Reynolds Tobacco Company Method of inhibiting mycotoxin production
IT1282998B1 (it) 1996-05-13 1998-04-03 Demus S P A Procedimento per rimuovere micotossine da una partita di caffe' verde:
FR2750863B1 (fr) * 1996-07-10 1998-09-25 Oreal Utilisation d'un polyholoside dans une composition destinee a favoriser la desquamation de la peau, et composition la comprenant
US6202321B1 (en) * 1997-04-02 2001-03-20 Paul B. Soucy Drying apparatus for coffee beans and similar crops
IT1296083B1 (it) * 1997-11-07 1999-06-09 Demus S P A Perfezionamenti di un procedimento per rimuovere micotossine da una partita di caffe' verde
US5935623A (en) 1998-01-15 1999-08-10 Milwhite, Inc. Use of thermally treated clays in animal feeds
FR2779645B1 (fr) 1998-06-11 2002-06-07 Sederma Sa Compositions a usage cosmetique ou dermopharmaceutique contenant un melange d'extrait de cafe vert et de beurre de karite
FI109964B (fi) * 1998-11-02 2002-11-15 Lp Tutkimuskeskus Oy Menetelmä ja laite viljajyvien käsittelemiseksi
US6272915B1 (en) * 1999-04-23 2001-08-14 Baker Hughes Incorporated Dual transmitter multi-capacitance flow meter
CN1273797A (zh) * 1999-05-13 2000-11-22 许健康 咖啡饮料、咖啡酒及其制备方法
US20020160067A1 (en) * 2001-04-25 2002-10-31 Oncology Science Corporation Therapeutic prepar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a therapeutic preparation using coffee beans as a substrate
US6861062B2 (en) * 2000-03-01 2005-03-01 Victor Silva Skin cream
JP4088021B2 (ja) 2000-06-15 2008-05-21 株式会社コーセー 皮膚外用剤および皮膚外用剤組成物
US6572915B1 (en) * 2000-06-27 2003-06-03 Vdf Futurceuticals Process for enriching foods and beverages
US20020146466A1 (en) * 2001-02-05 2002-10-10 Nobuyoshi Kuboyama Solid form compositions containing an extract of a raw material as the active ingredient and process of preparing the same
US20020187239A1 (en) * 2001-02-06 2002-12-12 Dusan Miljkovic Nutraceuticals and methods of obtaining nutraceuticals from tropical crops
WO2002063971A2 (en) * 2001-02-15 2002-08-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ffee compositions with enhanced flavor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 making
US20030152612A1 (en) * 2002-01-03 2003-08-14 Pugliese Peter T. Method and article to control cellulite
US20040054534A1 (en) 2002-09-13 2004-03-18 Junqua Jean-Claude Client-server voice customization
EP1569615A1 (en) 2002-12-13 2005-09-07 L'oreal Use of an extract of decaffeinated coffee beans in the preparation of a composition intended to correct or prevent the disorders associated with a greasy skin by topical administration
WO2004098320A1 (en) 2003-04-16 2004-11-18 Vdf Futureceuticals Methods for coffee cherry products
PT1615506E (pt) * 2003-04-16 2014-06-25 Vdf Futureceuticals Produtos de cereja de café com baixo teor em micotoxinas e métodos para a sua produção
DE10325156A1 (de) 2003-05-28 2004-12-23 Coty B.V. Wirkstoffzubereitung mit Pflanzenextrakten für Kosmetika
KR101196043B1 (ko) * 2004-04-08 2012-10-31 브이디에프 퓨쳐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커피 체리 화장품 조성물 및 방법
ATE375384T1 (de) 2004-05-07 2007-10-15 Biodyn Gmbh Spirituose aus kaffeekirsch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JP6183989B2 (ja) 2013-02-28 2017-08-23 横河電機株式会社 電圧電流発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677A1 (en) * 2012-10-29 2014-05-08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The inhibitory melanogenesis by coffee oil extracted by supercritical co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6011530A (es) 2007-03-21
JP2009185036A (ja) 2009-08-20
DK1753387T3 (da) 2012-09-10
US10653614B2 (en) 2020-05-19
WO2005102373B1 (en) 2006-06-01
JP2007532539A (ja) 2007-11-15
JP5396122B2 (ja) 2014-01-22
EP1753387A2 (en) 2007-02-21
US20120014890A1 (en) 2012-01-19
EP2457448A2 (en) 2012-05-30
US20170065516A1 (en) 2017-03-09
EP1753387A4 (en) 2009-07-29
PL1753387T3 (pl) 2013-02-28
EP2457448B1 (en) 2020-05-06
US20070281048A1 (en) 2007-12-06
EP2457448A3 (en) 2015-04-15
US20100068318A1 (en) 2010-03-18
CA2564595A1 (en) 2005-11-03
EP1753387B1 (en) 2012-05-23
WO2005102373A3 (en) 2006-03-30
ES2388606T3 (es) 2012-10-16
JP4340317B2 (ja) 2009-10-07
MA28568B1 (fr) 2007-05-02
BRPI0418729B1 (pt) 2019-01-29
BRPI0418729A (pt) 2007-09-11
US7959957B2 (en) 2011-06-14
WO2005102373A2 (en) 2005-11-03
US9884006B2 (en) 2018-02-06
KR101196043B1 (ko) 2012-10-31
CA2564595C (en) 2012-10-02
PT1753387E (pt)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3614B2 (en) Coffee cherry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s
dos Santos et al. Coffee by-products in topical formulations: A review
US10632166B2 (en) Bioactive compositions from theacea plants and use thereof in beverages, functional foods, nutriceuticals, supplements and the like
KR101836348B1 (ko) 카카오닙스의 추출물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5224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조성물
KR101966755B1 (ko) 동백나무 유래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EP4295693A1 (en) Method for promoting antioxidant activity of purple tea leaves
ZA200608698B (en) Coffee cherry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Nowak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selected parts of L. harvested at two ripening stages
KR101061722B1 (ko) 연호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JP2022519263A (ja) 光防御用植物由来組成物
KR100449345B1 (ko)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2056058B1 (ko) 동자꽃 지상부 기반으로 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amargo Coffee by-products in topical formulations: A review
VERWENDUNG et al. LLLLLGGG GGGGGGGG LLLLL GGGGGGGG
Zam Research Article Simple and fast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polyphenol and the separation of proanthocyanidins from carob pods
KR20110080815A (ko) 파프리카 잎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제, 식품첨가제,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