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470A - 증기 조리기 - Google Patents

증기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2470A
KR20070012470A KR1020067023682A KR20067023682A KR20070012470A KR 20070012470 A KR20070012470 A KR 20070012470A KR 1020067023682 A KR1020067023682 A KR 1020067023682A KR 20067023682 A KR20067023682 A KR 20067023682A KR 20070012470 A KR20070012470 A KR 20070012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eating
ceiling
heating chamber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6947B1 (ko
Inventor
유우지 안도오
신야 우에다
가즈유끼 마쯔바야시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04Air-treatment devices for ovens, e.g. regulating 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3Details moisturising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이 증기 조리기는 밥이나 국수와 같은 입상물 또는 선상물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식품을 가열하는 경우에는, 증기 가열 히터에 통전하지 않거나, 혹은 매우 약한 전력으로 통전하고, 증기 공급관(94A 내지 94C)으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실질적으로 가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증기 공급관(94B)으로부터의 80 ℃ 내지 90 ℃의 증기를 증기 분사관(111)의 개구(111a)로부터 바로 아래를 향해 분출한다. 그러면, 접시형 케이스(51) 내에 있어서의 증기 분사관(111)의 단부 주변에 있는 증기가 개구(111a)로부터 분출되는 증기에 의해 인입되고, 대량의 증기가 한 공기의 밥이나 한 접시의 국수로 분출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밥알의 표면이 금방 100 ℃를 넘는 것이 방지되어 밥알의 표면에서의 응축이 효율적으로 행해지고, 밥알에 대한 응축 잠열의 공급과 응축수(탕)의 침투가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증기 조리기, 증기 공급관, 접시형 케이스, 증기 분사관, 흡인 이젝터

Description

증기 조리기 {STEAM COOKER}
본 발명은 증기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증기를 이용하여 식품 등의 피가열물의 가열 조리를 행하는 증기 조리 장치로서, 조리 케이스 내에 증기를 분사하는 것이 있다(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2515033호 공보 참조). 이 증기 조리 장치는 조리 케이스의 내부에 증기 분사 노즐부를 갖는 증기 공급관을 배치하고, 증기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증기를, 증기 공급관을 거쳐서 상기 증기 분사 노즐부로부터 식품 트레이 내의 식품을 향해 분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증기 조리 장치는 조리 케이스의 내부에 증기 분사 노즐부를 갖는 증기 공급관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특히 가정용 조리 기구로서는 청소성이나 사용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증기는 1개의 관의 하부에 일렬로 구멍을 배치한 증기 분사 노즐부로부터 식품 트레이 내를 향해 분출할 뿐이므로, 예를 들어 한 공기의 밥을 따뜻하게 하는 경우와 같이 입상물 혹은 선상물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식품을 가열하는 경우에는, 식품에 대해 집중하여 증기를 분사할 수 없어 가열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입상물 또는 선상물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식품이라도, 덩어리의 표면적이 큰 식품이라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증기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증기 조리기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 장치와,
상기 증기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동시에 복수의 증기 공급구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히터에 의해 승온하여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 승온 장치와, 상기 증기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증기를 상기 증기 승온 장치의 증기 공급구로 유도하는 증기 공급관과, 천장에 증기 취출구가 마련되는 동시에 피가열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실과, 상기 증기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증기를 상기 가열실로 유도하여 상기 가열실 내에 분사하는 증기 분사관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실 내의 피가열물을 상기 증기 분사관으로부터 분사되는 증기 및 상기 증기 승온 장치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증기 취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과열 증기에 의해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증기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증기는, 예를 들어 80 ℃ 내지 90 ℃의 증기가 되어 증기 분사관으로부터 피가열물로 분사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증기 승온 장치의 히터로의 통전이 오프되고, 증기 공급관에 의한 상기 증기 승온 장치로의 증기의 공급이 정지됨으로써, 상기 피가열물이 밥이나 국수와 같은 입상물 또는 선상물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입상물 또는 선상물의 표면이 금방 100 ℃를 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예를 들어 밥알의 표면에서의 증기의 응축이 효율적으로 행해지고, 밥알에 대한 응축 잠열의 공급과 응축수(탕)의 침투가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증기 조리기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 장치와, 상기 증기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동시에 복수의 증기 공급구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히터에 의해 승온하여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 승온 장치와, 천장에 증기 취출구가 마련되어 상기 증기 승온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증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과열 증기에 의해 피가열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실을 갖는 동시에, 상기 가열실의 천장에 마련된 상기 증기 취출구 중 하나는 상기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증기 승온 장치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일단부는 상기 증기 승온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증기 공급구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한편, 타단부는 상기 가열실측으로 구부러져 있고, 상기 타단부의 개구는 상기 개구의 상기 가열실의 천장에 대한 투영이 상기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상기 증기 취출구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증기 분사관과, 상기 히터로의 통전을 온ㆍ오프하는 히터 통전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실 내의 피가열물을 상기 증기 분사관으로부터의 증기에 의해서도 가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히터 통전 제어 수단에 의해 증기 승온 장치의 히터로의 통전이 오프되면, 증기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고 복수의 증기 공급구로부터 상기 증기 승온 장치로 공급된 증기는 승온되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복수의 증기 공급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증기 분사관으로 공급된, 예를 들어 80 ℃ 내지 90 ℃의 증기는 그대로 가열실의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증기 취출구로부터 피가열물에 대해 효과적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상기 피가열물이 밥이나 국수와 같은 입상물 또는 선상물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입상물 또는 선상물의 표면이 금방 100 ℃를 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예를 들어 밥알의 표면에서의 증기의 응축이 효율적으로 행해지고, 밥알에 대한 응축 잠열의 공급과 응축수(탕)의 침투가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일 실시예의 증기 조리기에서는, 상기 가열실에 있어서의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상기 증기 취출구의 직경은 상기 증기 분사관에 있어서의 상기 타단부의 개구의 외경보다도 크고, 상기 증기 분사관에 있어서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가열실에 있어서의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상기 증기 취출구보다도 상기 증기 승온 장치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기 승온 장치 내에 있어서의 상기 증기 분사관 주변에 있는 증기가 상기 증기 분사관에 있어서의 상기 타단부의 개구로부터 분출되는 증기의 이젝터 효과에 의해 끌어들여지고, 대량의 증기가 상기 입상물 또는 선상물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피가열물로 분출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한 공기의 밥을 단시간에 균일하게 따뜻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의 증기 조리기에서는 상기 증기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흡인하는 동시에, 상기 증기 승온 장치에 있어서의 각 증기 공급구로 분출하는 증기 흡인 이젝터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기 분사관을 통해 나온 증기는 증기 흡인 이젝터의 기능에 의해 상기 증기 분사관에 있어서의 상기 타단부의 개구로부터 매우 고속으로 분출된다. 따라서, 상기 증기 승온 장치 내에 있어서의 상기 증기 분사관 주변에 있는 증기가 상기 증기 분사관의 개구로부터 분출되는 증기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끌어들여지고, 보다 대량의 증기가 피가열물로 분출된다.
또한, 일 실시예의 증기 조리기에서는 상기 가열실의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상기 증기 취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 수단에 의해 상기 가열실의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상기 증기 취출구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히터 통전 제어 수단에 의해 증기 승온 장치의 히터로의 통전을 온으로 하면, 상기 증기 분사관에 공급된, 예를 들어 80 ℃ 내지 90 ℃의 증기는 상기 가열실의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증기 취출구로부터 피가열물로 분사되지 않고, 상기 증기 승온 장치 내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 증기 승온 장치에 의해 가열된 100 ℃ 이상의 과열 증기가 상기 가열실의 천장에 마련되어 개방되어 있는 상기 증기 취출구로부터 피가열물로 분사된다. 따라서, 상기 피가열물이 고깃덩어리와 같이 표면적이 큰 덩어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과열 증기의 응축 잠열을, 예를 들어 고깃덩어리에 부여하는 동시에, 100 ℃의 응축수(탕)를 상기 고깃덩어리 내에 침투시켜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고, 얼룩이 없고 마무리가 양호한 가열 조리를 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 수단에 의한 상기 가열실의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상기 증기 취출구의 개폐와, 상기 히터 통전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증기 승온 장치의 히터로의 통전의 온ㆍ오프를 행함으로써, 입상물 또는 선상물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피가열물에 대한 가열과, 표면적이 큰 덩어리로 이루어지는 피가열물에 대한 가열의 양쪽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의 증기 조리기에서는 상기 가열실의 천장에 마련된 상기 증기 취출구 중, 상기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증기 취출구 이외의 증기 취출구는 상기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증기 취출구를 중심으로 한 소정 반경의 영역보다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기 승온 장치 내에 있어서의 상기 증기 분사관 주변에 있는 증기가 상기 증기 분사관의 개구로부터 분출되는 증기에 의해 끌어들여져 상기 가열실로 분출될 때의 분출 효과가 손상되지 않고, 상기 입상물 또는 선상물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피가열물에 대해, 예를 들어 80 ℃ 내지 90 ℃의 대량의 증기를 효과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증기 조리기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 장치와, 상기 증기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동시에 복수의 증기 공급구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히터에 의해 승온하여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 승온 장치와, 천장에 증기 취출구가 마련되어 상기 증기 승온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증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과열 증기에 의해 피가열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실을 갖는 동시에, 상기 가열실의 천장에 마련된 상기 증기 취출구 중 하나는 상기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증기 승온 장치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일단부는 상기 증기 승온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증기 공급구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한편, 타단부측은 상기 가열실에 있어서의 상기 천장의 대략 중앙부까지 연장되어 개방되어 있는 증기 분사관과, 상기 증기 분사관의 상기 타단부측의 개방 단부에 대향하여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증기 분사관으로부터 분사되는 증기의 분사 방향을 상기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증기 취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바꾸는 정풍판과, 상기 히터로의 통전을 온ㆍ오프하는 히터 통전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실 내의 피가열물을 상기 증기 분사관 및 정풍판을 거쳐서 공급되는 증기에 의해서도 가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히터 통전 제어 수단에 의해 증기 승온 장치의 히터로의 통전이 오프되면, 증기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어 복수의 증기 공급구로부터 상기 증기 승온 장치로 공급된 증기는 승온되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복수의 증기 공급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증기 분사관으로 공급된, 예를 들어 80 ℃ 내지 90 ℃의 증기는 정풍판에 의해 방향이 바뀌고, 가열실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증기 취출구로부터 피가열물에 대해 분사된다. 따라서, 상기 피가열물이 밥이나 국수와 같은 입상물 또는 선상물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입상물 또는 선상물의 표면이 금방 100 ℃를 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예를 들어 밥알의 표면에서의 증기의 응축이 효율적으로 행해지고, 밥알에 대한 응축 잠열의 공급과 응축수(탕)의 침투가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이상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기 조리기는 증기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예를 들어 80 ℃ 내지 90 ℃의 증기로서 증기 분사관으로부터 피가열물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기 조리기는 히터 통전 제어 수단에 의해 증기 승온 장치의 히터로의 통전을 오프하면, 증기 분사관에 공급된, 예를 들어 80 ℃ 내지 90 ℃의 증기를 그대로 가열실의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증기 취출구로부터 피가열물에 대해 효과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기 조리기는 히터 통전 제어 수단에 의해 증기 승온 장치의 히터로의 통전을 오프하면, 증기 분사관에 공급된, 예를 들어 80 ℃ 내지 90 ℃의 증기를 정풍판에 의해 분사 방향을 바꾸고, 가열실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증기 취출구로부터 피가열물에 대해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가열물이, 예를 들어 밥이나 국수와 같은 입상물 또는 선상물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입상물 또는 선상물의 표면이 금방 100 ℃를 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입상물 또는 선상물의 표면에서의 증기의 응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밥알에 대한 응축 잠열의 공급과 응축수(탕)의 침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한 공기의 밥을 단시간에 따뜻하게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증기 조리기에 있어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하는 증기 조리기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하는 증기 조리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4a는 도3에 있어서의 포트의 평면도이다.
도4b는 도4a에 있어서의 Ⅳ-Ⅳ'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5a는 도3에 있어서의 증기 발생 장치 전체의 측면도이다.
도5b는 도5a의 V-V'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6은 도1에 도시하는 증기 조리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7a는 도3에 있어서의 증기 승온 장치를 하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7b는 도3에 있어서의 증기 승온 장치를 증기 공급구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8은 도7a에 있어서의 접시형 케이스의 중심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9는 도8에 있어서의 증기 분사관의 개구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10은 상기 접시형 케이스의 오목부의 개구를 덮개 부재로 막은 상태의 증기 승온 장치를 하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11은 도8과는 다른 증기 분사관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의 증기 조리기에 있어서의 외관 사시도이다. 본 증기 조리기(1)는 직육면체형의 캐비닛(10)의 정면의 상부에 조작 패널(11)을 설치하고, 캐비닛(10)의 정면에 있어서의 조작 패널(11)의 하측에는 하단부측의 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도어(12)를 설치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12)의 상부에는 핸들(13)이 설치되고, 도어(12)에는 내열 유리제의 창(14)이 끼워 넣어져 있다.
도2는 상기 증기 조리기(1)의 도어(12)를 개방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캐비닛(10) 내에 직육면체형의 가열실(20)이 설치되어 있다. 가열실(20)은 도어(12)에 면하는 정면측에 개구부(20a)를 갖고, 가열실(20)의 측면, 바닥면 및 천 장부면이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12)는 가열실(20)에 면하는 측이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열실(20)의 주위 및 도어(12)의 내측에 단열재(도시하지 않음)가 적재되어 있고, 가열실(20) 내부와 외부가 단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열실(20)의 바닥면에는 스테인레스제의 수용 접시(21)가 설치되고, 수용 접시(21) 상에는 피가열물을 적재하기 위한 스테인레스강 선제의 래크(24)(도3 참조)가 설치된다. 또한, 가열실(20)의 양 측면 하부에는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측면 증기 취출구(22)(도2에서는 한쪽만 보이고 있음)가 마련되어 있다.
도3은 상기 증기 조리기(1)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증기 조리기(1)는 가열실(20)과, 증기용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30)와, 물탱크(30)로부터 공급된 물을 증발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 장치(40)와, 증기 발생 장치(40)로부터의 증기를 가열하는 증기 승온 장치(50)와, 증기 발생 장치(40)나 증기 승온 장치(50)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8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열실(20) 내에 설치된 수용 접시(21) 상에는 격자형의 래크(24)가 적재되고, 그 래크(24)의 대략 중앙에 피가열물(90)이 적재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30)의 하측에 설치된 접속부(30a)는 제1 급수 파이프(31)의 일단부에 마련된 깔때기형의 수용구(31a)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급수 파이프(31)로부터 분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급수 파이프(32)의 단 부에는 펌프(35)의 흡입측이 접속되고, 그 펌프(35)의 토출측에는 제3 급수 파이프(33)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급수 파이프(31)로부터 분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위 센서용 파이프(38)의 상단부에는 물탱크용 수위 센서(3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급수 파이프(31)로부터 분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대기 개방용 파이프(37)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배기 덕트(6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급수 파이프(33)는 수직으로 배치된 부분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굴곡되는 L자형을 이루고 있고, 제3 급수 파이프(33)의 타단부에는 보조 탱크(3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보조 탱크(39)의 하단부에는 제4 급수 파이프(34)의 일단부가 접속되고, 그 제4 급수 파이프(34)의 타단부에는 증기 발생 장치(40)의 하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증기 발생 장치(40)에 있어서의 제4 급수 파이프(34)의 접속점보다도 하측에는 배수 밸브(70)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 밸브(70)의 타단부에는 배수 파이프(71)의 일단부가 접속되고, 배수 파이프(71)의 타단부에는 배수 탱크(7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보조 탱크(39)의 상부는 대기 개방용 파이프(37)와 배기 덕트(65)를 거쳐서 대기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30)가 제1 급수 파이프(31)의 수용구(31a)에 접속되면, 물탱크(30) 내의 물은 물탱크(30)와 동일 수위가 될 때까지 대기 개방용 파이프(37) 내에 상승한다. 그때, 물탱크용 수위 센서(36)에 연결되는 수위 센서용 파이프(38)는 선단부가 밀폐되어 있으므로 수위는 오르지 않지만, 물탱크(30)의 수위에 따라서 수위 센서용 파이프(38)의 밀폐된 공간의 압력은 대기압으로부터 상승한다. 이 압력 변화를 물탱크용 수위 센서(36) 내의 압력 검출 소자(도시하지 않음)로 검출 함으로써, 물탱크(30) 내의 수위가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펌프(35)가 정지 중일 때의 수위 측정에서는, 대기 개방용 파이프(37)는 불필요하지만, 펌프(35)의 흡인 압력이 직접 상기 압력 검출 소자에 작용하여 물탱크(30)의 수위 검출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 단부를 갖는 대기 개방용 파이프(37)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증기 발생 장치(40)는 하측에 제4 급수 파이프(34)의 타단부가 접속된 포트(41)와, 포트(41) 내의 바닥면 근방에 배치된 히터부(42)와, 포트(41) 내의 히터부(42)의 상측 근방에 배치된 수위 센서(43)와, 포트(41)의 상측에 설치된 증기 흡인 이젝터(44)를 갖고 있다. 또한, 가열실(20)의 측면 상부에 마련된 흡입구(25)의 외측에는 팬 케이싱(26)을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팬 케이싱(26)에 설치된 송풍 팬(28)에 의해 가열실(20) 내의 증기는 흡입구(25)로부터 흡입되고, 제1 파이프(61) 및 제2 파이프(62)를 거쳐서 증기 발생 장치(40)의 증기 흡인 이젝터(44)의 입구측으로 송입된다. 제1 파이프(61)는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고, 일단부가 팬 케이싱(2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파이프(62)는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일단부가 제1 파이프(61)의 타단부에 접속되는 한편, 타단부가 증기 흡인 이젝터(44)의 내측 노즐(45)의 입구측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증기 흡인 이젝터(44)는 내측 노즐(45)의 외측을 둘러싸는 외측 노즐(46)을 구비하고 있고, 내측 노즐(45)의 토출측이 포트(41)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증기 흡인 이젝터(44)의 외측 노즐(46)의 토출측에는 제3 파이프(63)의 일단부가 접속되고, 그 제3 파이프(63)의 타단부에는 증기 승온 장치(50)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팬 케이싱(26), 제1 파이프(61), 제2 파이프(62), 증기 흡인 이젝터(44), 제3 파이프(63) 및 증기 승온 장치(50)에서 외부 순환로(6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가열실(20)의 측면의 하측에 마련된 방출구(27)에는 방출 통로(64)의 일단부가 접속되고, 방출 통로(64)의 타단부에는 배기 덕트(65)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배기 덕트(65)의 타단부에는 배기구(66)가 마련되어 있다. 증기 방출 통로(64)의 배기 덕트(65)측에는 라디에이터(69)가 외부 장착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순환로(60)를 형성하는 제1 파이프(61), 제2 파이프(62)의 접속부에는 배기 통로(67)를 거쳐서 배기 덕트(6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배기 통로(67)에 있어서의 제1, 제2 파이프(61, 62)의 접속측에는 배기 통로(67)를 개폐하는 댐퍼(6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는 가열실(20)의 천장측이며 또한 대략 중앙에 개구를 하측으로 하여 배치된 접시형 케이스(51)와, 이 접시형 케이스(51) 내에 배치된 증기 가열 히터(52)를 갖고 있다. 접시형 케이스(51)의 바닥면은 가열실(20)의 천장면에 설치된 금속제의 천장 패널(54)로 형성되어 있다. 천장 패널(54)에는 복수의 천장 증기 취출구(5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천장 패널(54)은 상하 양면이 도장 등에 의해 암색으로 마무리되어 있다. 또한, 사용을 거듭함으로써 암색으로 변색되는 금속 소재나 암색의 세라믹 성형품에 의해 천장 패널(54)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는 가열실(20)의 상부에 좌우 양측을 향해 연 장되는 증기 공급 통로(23)(도3에 있어서는 한쪽만 보이고 있음)의 일단부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증기 공급 통로(23)는 가열실(20)의 양 측면을 따라서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그 타단부에는 상기 가열실(20)의 양 측면 하측에 마련된 측면 증기 취출구(22)에 접속되어 있다.
도4a, 도4b, 도5a 및 도5b는 상기 증기 발생 장치(4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4a, 도4b, 도5a 및 도5b에 따라서 증기 발생 장치(4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a 및 도4b는 상기 증기 발생 장치(40)의 포트(41)의 구성도이고, 도4a는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4b는 도4a에 있어서의 Ⅳ-Ⅳ'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4a 및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트(41)는 수평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통부(41a)와, 통부(41a)의 하측에 마련되는 동시에 중앙을 향해 서서히 낮아지는 경사면을 갖는 바닥부(41b)와, 바닥부(41b)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급수구(41c)로 개략 구성된다. 포트(41)의 횡단면 형상은 종횡비가 1 : 2.5이지만, 가늘고 긴 형상, 즉 직사각형이나 타원형이면 상관없다. 단, 직사각형인 경우의 종횡비가 1 : 2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2.5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1 : 3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포트(41) 내에 있어서의 바닥부(41b) 근방에는 히터부(42)를 배치하고 있다. 이 히터부(42)는 U자형의 대관경의 시즈 히터인 제1 증기 발생 히터(42A)와, 그 U자형의 제1 증기 발생 히터(42A)의 내측에 대략 동일 수평면 상에 배치된 U자형의 소관경의 시즈 히터인 제2 증기 발생 히터(42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 고, 히터부(42)는 포트(41)의 통부(41a)의 측벽을 따라서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히터부(42)의 외연과 통부(41a)의 측벽의 최단 거리는 2 ㎜ 내지 5 ㎜로 되어 있다. 또한, 히터부(42)의 하단부는 포트(41)의 바닥부(41b)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히터부(42)의 최하부와 포트(41)의 바닥부(41b)의 최단 거리는 2 ㎜ 내지 5 ㎜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증기 발생 히터(42A)로서 700 W의 대관경의 시즈 히터를 이용하고, 제2 증기 발생 히터(42B)로서 300 W의 소관경의 시즈 히터를 이용하고 있다. 제1 증기 발생 히터(42A)는 대략 반원호형의 만곡부(42Aa)와, 그 만곡부(42Aa)의 양단부로부터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직선부(42Ab, 42Ac)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증기 발생 히터(42B)는 대략 반원호형의 만곡부(42Ba)와, 그 만곡부(42Ba)의 양단부로부터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직선부(42Bb, 42Bc)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증기 발생 히터(42A)에 있어서의 만곡부(42Aa)의 최소 곡률 반경(r1)은 사용하는 대관경의 시즈 히터에 의해 정해진다. 또한, 제2 증기 발생 히터(42B)에 있어서의 만곡부(42Ba)의 최소 곡률 반경(r2)(<r1)은 사용하는 소관경의 시즈 히터에 의해 정해진다.
상기 포트(41) 내에 있어서의 히터부(42)의 상측 근방이며, 또한 제2 증기 발생 히터(42B)의 내측의 비발열부(도4a의 C영역)측의 측벽에 수위 센서(43)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포트(41) 내에 있어서의 수위 센서(43)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단면이 역ㄷ자형인 구획판(47)을 설치하고 있다. 이 구획판(47)은 포트(41) 내의 측벽으로 단면 직사각형의 통체를 형성하고 있다. 구획판(47)의 하단부는 포 트(41)의 바닥부(41b)보다도 상측이고, 또한 제1, 제2 증기 발생 히터(42A, 42B)의 최하부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구획판(47)의 상단부는 히터부(42)의 최하부로부터 수위 센서(43)의 설치 위치까지의 높이의 2배 이상의 높이로 하고 있다. 또한, 포트(41) 내의 수위 센서(43)에 대향하는 측벽에는 온도 센서(48)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수위 센서(43)는 자기 가열 서미스터이고, 수중에서는 20 ℃ 내지 100 ℃의 수온에 따라서 100 ℃ 내지 140 ℃ 정도의 온도를 검출한다. 이에 대해, 공기 중에서는 대략 140 ℃ 내지 150 ℃ 전후의 온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온도 센서(48)에 의해 검출된 물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수위 센서(43)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를 판정함으로써, 수위 센서(43)의 설치 위치에 물이 있는지 여부, 즉 포트(41)의 물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이다.
도5a 및 도5b는 상기 포트(41)를 포함하는 증기 발생 장치(40) 전체의 구성도이고, 도5a는 측면도이고, 도5b는 도5a의 V-V'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5a 및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에 제1, 제2 증기 발생 히터(42A, 42B)가 배치된 포트(41)의 상측 개구를 덮도록 상기 흡인 이젝터(44)를 설치하고 있다. 이 증기 흡인 이젝터(44)에 있어서의 내측 노즐(45)의 입구(45a)로부터 유입된 유체(증기)는 내측 노즐(45)의 토출구(45b)로부터 토출되고, 외측 노즐(46)의 토출구(46a)로부터 토출된다. 그때, 내측 노즐(45)의 토출측이 포트(41)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고 있으므로, 포트(41) 내에서 발생한 포화 증기는 외측 노즐(46)의 토출구(46a)측으로 끌어들여지고, 내측 노즐(45)의 토출구(45b)로부터 토출된 증기 와 함께 외측 노즐(46)의 토출구(46a)로부터 토출된다. 즉, 포트(41) 내의 물이 비등하여 발생한 100 ℃, 1기압의 포화 증기는 외부 순환로(60)(도3에 도시함)를 통과하는 순환 기류에 흡인된다. 증기 흡인 이젝터(44)의 구조에 의해 포화 증기는 빠르게 빨아 올려져, 증기 발생 장치(40) 내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포화 증기의 방출이 방해되지 않는 것이다.
다음에, 본 증기 조리기(1)의 제어계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장치(80)는 마이크로 컴퓨터 및 입출력 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 팬(28)과, 증기 가열 히터(52)와, 댐퍼(68)와, 배수 밸브(70)와, 제1 증기 발생 히터(42A)와, 제2 증기 발생 히터(42B)와, 조작 패널(11)과, 물탱크용 수위 센서(36)와, 수위 센서(43)와, 가열실(20)(도3에 도시함)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81)와, 가열실(20) 내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센서(82)와, 펌프(35)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물탱크용 수위 센서(36), 수위 센서(43), 온도 센서(81) 및 습도 센서(82)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송풍 팬(28), 증기 가열 히터(52), 댐퍼(68), 배수 밸브(70), 제1 증기 발생 히터(42A), 제2 증기 발생 히터(42B), 조작 패널(11) 및 펌프(35)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제어한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증기 조리기(1)의 동작에 대해 도6 및 도3에 따라서 설명한다. 조작 패널(11)의 전원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눌리면 전원이 온으로 되고, 조작 패널(11)의 조작에 의해 가열 조리의 운전이 개시된다. 그러면, 우선, 제어 장치(80)는 배수 밸브(70)를 폐쇄하고, 댐퍼(68)에 의해 배기 통로(67)를 폐 쇄한 상태에서 펌프(35)의 운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펌프(35)에 의해 물탱크(30)로부터 증기 발생 장치(40)의 포트(41) 내로 제1 내지 제4 급수 파이프(31 내지 34)를 거쳐서 급수된다. 그 후, 포트(41) 내의 수위가 소정 수위에 도달한 것을 수위 센서(43)가 검출하면, 펌프(35)를 정지하여 급수를 멈춘다.
다음에, 상기 제1, 제2 증기 발생 히터(42A, 42B)에 통전하여 포트(41) 내에 고인 소정량의 물을 제1, 제2 증기 발생 히터(42A, 42B)에 의해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증기 발생 히터(42A, 42B)의 통전과 동시에, 또는 포트(41) 내의 물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면, 송풍 팬(28)을 온으로 하는 동시에, 증기 승온 장치(50)의 증기 가열 히터(52)에 통전한다. 그러면, 송풍 팬(28)은 가열실(20) 내의 공기(증기를 포함함)를 흡입구(25)로부터 흡입하고, 외부 순환로(60)로 공기(증기를 포함함)를 송출한다. 그때, 송풍 팬(28)에 원심 팬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프로펠러 팬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고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 팬(28)에 이용하는 원심 팬을 직류 모터로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순환 기류의 유속을 최대한 빠르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증기 발생 장치(40)의 포트(41) 내의 물이 비등하면 포화 증기가 발생하고, 발생한 포화 증기는 증기 흡인 이젝터(44)의 부위에서 외부 순환로(60)를 통과하는 순환 기류에 합류한다. 그리고, 증기 흡인 이젝터(44)로부터 나온 증기는 제3 파이프(63)를 거쳐서 고속으로 증기 승온 장치(50)로 유입한다.
그리고,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로 유입한 증기는 증기 가열 히터(52)에 의해 가열되어 대략 300 ℃(조리 내용에 따라서 다름)의 과열 증기가 된다. 이 과열 증기의 일부는 하측의 천장 패널(54)에 마련된 복수의 천장 증기 취출구(55)로부터 가열실(20) 내의 하방을 향해 분출된다. 또한, 과열 증기의 다른 일부는 증기 승온 장치(50)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증기 공급 통로(23)를 거쳐서 가열실(20)의 양 측면의 측면 증기 취출구(22)로부터 분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가열실(20)의 천장측으로부터 분출된 과열 증기가 중앙의 피가열물(90)측을 향해 세게 공급되는 동시에, 가열실(20)의 좌우 측면측으로부터 분출된 과열 증기는 수용 접시(21)에 충돌한 후, 피가열물(90)의 하방으로부터 피가열물(90)을 둘러싸도록 상승하면서 공급된다. 그 결과, 가열실(20) 내에 있어서, 중앙부에서는 내리 불고, 그 외측에서는 상승하는 형태의 대류가 생긴다. 그리고, 대류하는 증기는 차례로 흡입구(25)로 흡입되고, 외부 순환로(60)를 통해 다시 가열실(20) 내로 복귀된다는 순환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가열실(20) 내에서 과열 증기의 대류를 형성함으로써, 가열실(20) 내의 온도ㆍ습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증기 승온 장치(50)로부터의 과열 증기를 천장 증기 취출구(55)와 측면 취출구(22)로부터 분출하고, 래크(24) 상에 적재된 피가열물(90)에 효율적으로 충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과열 증기의 충돌에 의해 피가열물(90)을 가열한다. 그 경우, 피가열물(90)의 표면에 접촉한 과열 증기는 피가열물(90)의 표면에서 결로할 때에 잠열을 방출함으로써도 피가열물(90)을 가열한다. 이에 의해, 과열 증기의 대량의 열을 확실하고 또한 빠르게 피가열물(90) 전체면에 균등하게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얼룩이 없고 마무리가 양호한 가열 조리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열 조리 운전 시에 있어서, 시간이 경과하면 가열실(20) 내의 증기량이 증가하고, 양적으로 잉여가 된 만큼의 증기는 방출구(27)로부터 방출 통로(64) 및 배기 덕트(65)를 거쳐서 배기구(66)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그때, 방출 통로(64)에 설치한 라디에이터(69)에 의해 방출 통로(64)를 통과하는 증기를 냉각하여 결로시킴으로써, 외부로 증기가 그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69)에 의해 방출 통로(64) 내에서 결로된 물은 방출 통로(64) 내를 흘러내려 수용 접시(21)로 유도되고, 조리에 의해 발생한 물과 함께 조리 종료 후에 처리된다.
조리 종료 후, 상기 제어 장치(80)에 의해 조작 패널(11)에 조리 종료의 메시지가 표시되고, 또한 조작 패널(11)에 설치된 버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신호의 소리를 울린다. 이들 메시지나 버저에 의해 조리 종료를 알게 된 사용자가 도어(12)를 개방하면, 제어 장치(80)는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어(12)가 개방된 것을 검지하고, 배기 통로(67)의 댐퍼(68)를 차례로 개방한다. 그러면, 외부 순환로(60)의 제1 파이프(61)가 배기 통로(67)를 거쳐서 배기 덕트(65)에 연통하고, 가열실(20) 내의 증기는 송풍 팬(28)에 의해 흡입구(25), 제1 파이프(61), 배기 통로(67) 및 배기 덕트(65)를 거쳐서 배기구(66)로부터 배출된다. 이 댐퍼 동작은 조리 중에 사용자가 도어(12)를 개방해도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증기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피가열물(90)을 가열실(20) 내로부터 꺼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증기 조리기의 가열 원리는 100 ℃ 이상의 과 열 증기를 피가열물(90)의 표면에 공급하고, 과열 증기의 응축 잠열에 의해 피가열물(90)에 대량의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다. 즉, 피가열물(90)의 표면 온도가 100 ℃ 이하이고, 분출하는 증기가 100 ℃ 이상의 과열 증기인 경우에, 피가열물(90)의 표면에 부착된 과열 증기가 응축하여 응축 잠열을 피가열물(90)에 부여하는 동시에, 응축에서 발생한 100 ℃의 물(탕)이 피가열물(90) 내에 침투하여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한 공기의 밥을 따뜻하게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본 증기 조리기의 가열 원리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것이다. 즉, 밥 한알 한알은 작은 형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밥에 과열 증기를 부여하면, 결과적으로 한알 한알에 대량의 열을 부여하게 되고, 밥알의 표면이 금방 100 ℃를 넘게 된다. 그런데, 밥알의 표면이 100 ℃를 넘으면, 과열 증기가 밥알의 표면에서 응축ㆍ증발을 반복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응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밥알 내에 100 ℃의 응축수(탕)를 침투시킬 수 없고(즉, 속까지 열이 전해지기 어려움), 적성 온도라 불리우는 60 ℃ 내지 70 ℃가 될 때까지 5분 정도 걸리게 된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한 공기의 밥을 따뜻하게 하는 경우에는 증기를 가열하지 않고, 온도가 80 ℃ 내지 90 ℃인 증기를 분출한 쪽이 따뜻하게 하는 시간이 빨라지는 것이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증기 승온 장치(50)에 이하와 같은 고안을 연구하여 한 공기의 밥을 따뜻하게 하는 경우와 같은 작은 식품이라도, 덩어리의 표면적이 큰 식품이라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인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에 대해 도7a 및 도7b 에 따라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7a는 증기 승온 장치(50)를 하측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7b는 증기 승온 장치(50)를 증기 공급구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증기 승온 장치(50)는, 도7a 및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대략 오각형인 오목부(51a)를 갖는 접시형 케이스(51) 내에 대전력(1000 W)인 대관경의 시즈 히터인 증기 가열 히터(52)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7a 및 도7b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접시형 케이스(51)의 오목부(51a)의 개구는 가열실(20)의 천장면에 설치된 금속제의 천장 패널(54)(도3에 도시함)로 덮여 있다.
상기 접시형 케이스(51)의 오목부(51a)는 증기 공급관(94A, 94B, 94C)이 접속된 제1 측벽(91)과, 그 제1 측벽(91)의 일방측에 R부(105A)를 거쳐서 인접하고, 제1 측벽(91)에 대해 대략 직각인 제2 측벽(92A)과, 상기 제1 측벽(91)의 타방측에 R부(105B)를 거쳐서 인접하고, 제1 측벽(91)에 대해 대략 직각이고 또한 제2 측벽(92A)에 평행한 제3 측벽(92B)과, 상기 제2 측벽(92A)과 R부(106A)를 거쳐서 인접하고, 제2 측벽(92A)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제4 측벽(93A)과, 상기 제3 측벽(92B)과 R부(106B)를 거쳐서 인접하고, 제3 측벽(92B)에 대해 둔각을 이루고 또한 제4 측벽(93A)에 대해 둔각을 이루고 있는 제5 측벽(93B)을 갖고 있다. 또한, 제4 측벽(93A)과 제5 측벽(93B)은 R부(107)를 거쳐서 인접하고 있다. 또한, 접시형 케이스(51)를 교축 가공으로 형성함으로써, 오목부(51a)의 코너부인 만곡면을 갖는 R부(105A, 105B, 106A, 106B, 107)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접시형 케이스(51)에 있어서, 증기 공급관(94A, 94B, 94C)이 접속된 제1 측벽(91)측(도7a의 우측)이 본 증기 조리기(1)의 배면측이고, 제4 측벽(93A), 제 5 측벽(93B)측(도7a의 좌측)이 전방면측이다. 제1 측벽(91)의 대략 중앙에 증기 공급구(95B)를 갖는 증기 공급관(94B)을 접속하고, 그 증기 공급관(94B)의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증기 공급구(95A, 95C)를 갖는 증기 공급관(94A, 94C)을 각각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제2 측벽(92A)의 전방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증기 취출구(101A, 102A, 103A, 104A)를 마련하는 동시에, 그 증기 취출구(101A 내지 104A)에 대향하는 제3 측벽(92B)의 위치에 증기 취출구(101B, 102B, 103B, 104B)를 마련하고 있다. 이 증기 취출구(101A 내지 104A) 및 증기 취출구(101B 내지 104B)는 도3에 도시하는 증기 공급 통로(2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증기 공급관(94A, 94B, 94C)의 입구측에 도3에 도시하는 제3 파이프(63)를 거쳐서 증기 발생 장치(40)의 증기 흡인 이젝터(44)의 토출측을 접속하고 있다.
또한, 상기 증기 가열 히터(52)는 증기 공급구(95A, 95B, 95C)로부터 유입되는 증기의 흐름의 중심선(L)에 대해 대략 선대칭인 평면형이며, 중심선(L)에 대략 평행하게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군데의 제1, 제2 비발열부(52b, 52c)와, 그 제1, 제2 비발열부(52b, 52c)의 선단부에 일단부가 각각 접속되고 오목부(51a) 중앙을 향해 만곡되는 대략 U자형의 2군데의 제1, 제2 발열부(52a-1, 52a-2)와, 그 2군데의 제1, 제2 발열부(52a-1, 52a-2)의 타단부 사이를 접속하는 대략 역ㄷ자형의 제3 발열부(52a-3)를 갖고 있다. 그리고, 증기 가열 히터(52)의 제1 내지 제3 발열부(52a-1 내지 52a-3)의 외주 및 제1, 제2 비발열부(52b, 52c)의 일부의 외주에는 나선형의 방열 핀(56)이 권취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증기 가열 히터(52)는 제1, 제2 비발열부(52b, 52c)를 증기 공급관(94A, 94C)의 외측에 있어서의 제1 측벽(91)을 관통하여 고정함으로써, 접시형 케이스(51)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비발열부(52b, 52c)의 선단부에는 전기 배선(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된다.
도8은 상기 접시형 케이스(51)의 중심선(L)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접시형 케이스(51)의 오목부(51a) 내에 있어서, 중심선(L) 상에 배치되어 있는 증기 공급관(94B)에는 중심선(L)을 따라서 수평으로 배치된 증기 분사관(111)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증기 분사관(111)의 타단부는 오목부(51a)의 대략 중앙부에서 가열실(20)측을 향해 굴곡되고, 천장 패널(54)의 일부를 구성하는 접시형 케이스(51)의 덮개 부재(54a)에 있어서의 내면의 최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덮개 부재(54a)에는 증기 분사관(111)의 타단부의 개구(111a)를 둘러싸도록 구멍(112)이 마련되어 있다.
도9는 도8에 있어서의 상기 증기 분사관(111)의 개구(111a) 부근의 확대도이다. 증기 분사관(111)의 개구(111a)는 내경이 15 ㎜인 원형을 갖고 있고, 덮개 부재(54a)의 구멍(112)은 직경이 24 ㎜인 원형을 이루고 있고, 증기 분사관(111)의 개구(111a)와 덮개 부재(54a)의 구멍(112)은 동심원을 구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증기 분사관(111)의 개구(111a)와 덮개 부재(54a)의 구멍(112)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된다. 또한, 증기 분사관(111)의 상기 타단부는 덮개 부재(54a)의 내면으로부터 증기 승온 장치(50)측으로 대략 2 ㎜ 내지 5 ㎜ 끌어들여져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시형 케이스(51)의 덮개 부재(54a)에 구멍(112)을 개폐하는 개폐 수단(113)을 마련하고 있다. 이 개폐 수단(113)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원형의 판을 그 외주부의 일점 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9에 파선과 실선으로 표현하고 있는 바와 같이 회전 슬라이드함으로써, 구멍(112)을 개폐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간단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우선, 한 공기의 밥이나 한 접시의 국수를 따뜻하게 하는 경우와 같이 작은 입상, 혹은 가는 선상의 피가열물의 집합체를 가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접시형 케이스(51)의 덮개 부재(54a)에 마련된 개폐 수단(113)을 회전 슬라이드시키고, 덮개 부재(54a)의 구멍(112)을 개방한다. 그것과 더불어, 예를 들어 상기 밥이 수북한 밥공기 혹은 상기 국수가 수북한 접시를 래크(24) 상에 있어서의 증기 분사관(111)의 개구(111a)의 바로 아래에 적재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에 의해 가열 조리를 행하는 것이다. 그 경우, 제어 장치(80)는 증기 가열 히터(52)에 통전하지 않거나, 혹은 매우 약한 전력(단속이라도 좋음)으로 통전하고, 증기 공급관(94A 내지 94C)으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실질적으로 가열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증기 공급관(94B)으로부터 공급되는 80 ℃ 내지 90 ℃의 증기가 증기 분사관(111)의 개구(111a)로부터 바로 아래를 향해 분출된다. 그때,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기 분사관(111)의 개구(111a)와 덮개 부재(54a)의 구멍(112)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증기 분사관(111)의 상기 타단부는 덮개 부재(54a)의 내면으로부터 대략 2 ㎜ 끌어들여져 있다. 그리고, 증기 분사관(111)을 통해 나온 증기는 증기 흡인 이젝터(44)의 기능에 의해 개구(111a)로부터 매우 고속으로 분출되므로,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51a) 내에 있어서의 증기 분사관(111)의 상기 타단부 주변에 있는 증기가 개구(111a)로부터 분출되는 증기에 의해 끌어들여지고, 대량의 증기가 피가열물(90)인 한 공기의 밥이나 한 접시의 국수로 분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한 공기의 밥을 따뜻하게 하는 경우에는 과열 증기가 아닌, 증기 발생 장치(40)로부터의 80 ℃ 내지 90 ℃의 증기를 피가열물(90)에 분사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밥알의 표면이 금방 100 ℃를 넘는 것을 방지하고, 밥알의 표면에서의 증기의 응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밥알에 대한 응축 잠열의 공급과 응축수(탕)의 침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2분 정도로 한 공기의 밥을 적성 온도라 불리우는 60 ℃ 내지 70 ℃로 따뜻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 경우, 상기 덮개 부재(54a)의 구멍(112) 주위에 상기 과열 증기를 분출하기 위한 천장 증기 취출구(55)가 마련되어 있으면, 증기 분사관(111)의 상기 타단부 주변에 있는 증기의 일부가 구멍(112) 주위의 천장 증기 취출구(55)로부터도 분출되므로, 개구(111a)로부터 분출되는 증기에 의해 증기 분사관(111)의 주위로부터 끌어들여지는 상기 증기의 분출 효과가 저하되게 된다.
도10은 상기 접시형 케이스(51)의 오목부(51a)의 개구를 덮개 부재(54a)로 막은 상태의 증기 승온 장치(50)를 하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천장 증기 취출구(55)를, 구멍(112)을 중심으로 한 소정 반경 내에는 마련하지 않도록 하고, 접시형 케이스(51)의 제1 내지 제5 측벽(91 내지 93B)을 따라서 일렬로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증기 분사 관(111)의 개구(111a)로부터 분출되는 증기에 끌어들여져 구멍(112)으로부터 분출되는 증기의 분출 효과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피가열물(90)에 대해 80 ℃ 내지 90 ℃의 대량의 증기를 효과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정 반경은, 예를 들어 구멍(112)의 직경이 24 ㎜인 경우에는 50 ㎜ 정도이다.
다음에, 통상의 가열 조리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접시형 케이스(51)의 덮개 부재(54a)에 마련된 개폐 수단(113)을 회전 슬라이드시켜 덮개 부재(54a)의 구멍(112)을 폐쇄한다. 그것과 더불어, 예를 들어 고깃덩어리와 같은 피가열물(90)을 래크(24) 상에 적재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에 의해 가열 조리를 행하는 것이다. 그 경우, 제어 장치(80)는 증기 가열 히터(52)에 통전하고, 증기 공급관(94A, 94C)으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가열하여 과열 증기가 발생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증기 발생 장치(40)(도3에 도시함)로부터 공급된 증기는 증기 공급구(95A, 95C)를 통해 접시형 케이스(51)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증기 가열 히터(52)에 의해 가열되어 과열 증기가 생성되고, 이 생성된 과열 증기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54a)에, 접시형 케이스(51)의 제1 내지 제5 측벽(91 내지 93B)을 따라서 일렬로 마련된 천장 증기 취출구(55)로부터 가열실(20) 내로 분출된다. 또한, 상기 생성된 과열 증기의 일부는 중심선(L)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2, 제3 측벽(92A, 92B)에 마련된 증기 취출구(101A 내지 104A, 101B 내지 104B)로부터 증기 공급 통로(23)(도3에 도시하는)를 거쳐서 가열실(20) 내로 분출된다.
여기서, 상기 통상의 가열 조리를 행하는 경우에, 상기 개폐 수단(113)이 덮개 부재(54a)의 구멍(112)을 개방하고 있으면, 접시형 케이스(51)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증기 분사관(111)의 개구(111a)와 덮개 부재(54a)의 구멍(112)으로부터의 분출량이 많고, 접시형 케이스(51)의 주위에 위치하고 있는 천장 증기 취출구(55)로부터의 분출량은 적어진다. 결과적으로, 증기 승온 장치(50)로부터의 증기가 가열실(20) 내로 균등하게 나오기 어려워지고, 표면적이 큰 피가열물(90)을 조리하는 경우, 혹은 대량의 피가열물(90)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접시형 케이스(51)의 중앙부와 주위부에서 구운 얼룩이나 온도 얼룩이 생기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덮개 부재(54a)의 구멍(112)을 폐쇄함으로써 증기 분사관(111) 내의 정압이 많이 오르기 때문에, 증기 분사관(111)을 통해 나온 증기는 증기 분사관(111)의 상기 타단부와 개폐 수단(113)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접시형 케이스(51)의 오목부(51a) 내로 방출되고, 결과적으로 접시형 케이스(51)의 주위에 위치하고 있는 천장 증기 취출구(55)로부터 대량의 과열 증기가 균일하게 분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고깃덩어리와 같은 큰 표면적을 갖는 피가열물(90)을 가열 조리하는 통상의 가열 조리의 경우에는 덮개 부재(54a)의 구멍(112)을 폐쇄하고, 증기 가열 히터(52)에 의해 가열된 대량의 과열 증기를 천장 증기 취출구(55)로부터 피가열물(90)로 분사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과열 증기의 응축 잠열을 피가열물(90)에 부여하는 동시에, 100 ℃의 응축수(탕)를 피가열물(90) 내에 침투시켜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고, 얼룩이 없고 마무리가 양호한 가열 조리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덮개 부재(54a)에 있어서의 천장 증기 취출구(55)를 주위에 일렬로 설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요컨대, 덮개 부재(54a)에 있어서의 구멍(112)을 중심으로 한 소정 반경 내에는 마련되지 않도록 하고, 개구(111a)로부터 분출되는 증기에 의해 끌어들여지는 증기의 분출 효과가 저하되지 않는 것이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작은 입상 혹은 가는 선상의 피가열물의 집합체를 가열하는 경우에는 증기 가열 히터(52)에 통전하지 않거나, 혹은 매우 약한 전력(단속이라도 좋음)으로 통전하고, 통상의 가열 조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증기 가열 히터(52)에 통전하는 절환 제어는 제어 장치(80)에 의해 조작 패널(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히터 통전 제어 수단을 제어 장치(80)로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증기 분사관(111)을, 그 타단부를 가열실(20)측을 향해 굴곡시켜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상관없다. 즉, 증기 분사관(120)에 있어서의 증기 공급관(94B)에 접속되지 않은 쪽의 타단부는 오목부(51a)의 대략 중앙부까지 연장하여 개방되어 있다. 또한, 증기 분사관(120)의 개구(120a)에 대향하는 동시에, 덮개 부재(54a)에 대해 대략 45도로 경사져 정풍판(121)을 설치한다. 그리고, 정풍판(121)에 의해 개구(120a)로부터 분사되는 증기의 분사 방향을 덮개 부재(54a)의 구멍(112)을 향하는 방향으로 바꾸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증기 분사관(111)을 증기 승온 장 치(50)의 접시형 케이스(51) 내에 설치하고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증기 흡인 이젝터(44)로부터의 증기를 제3 파이프(63)와는 다른 증기 분사관에 의해 접시형 케이스(51)를 거치지 않고 직접 가열실(20) 내로 유도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Claims (7)

  1.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 장치(40)와,
    상기 증기 발생 장치(40)에서 발생되는 동시에, 복수의 증기 공급구(95)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히터(52)에 의해 승온하여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 승온 장치(50)와,
    상기 증기 발생 장치(40)에서 발생된 증기를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의 증기 공급구(95)로 유도하는 증기 공급관(63, 94)과,
    천장에 증기 취출구(55)가 마련되는 동시에, 피가열물(90)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실(20)과,
    상기 증기 발생 장치(40)에서 발생된 증기를 상기 가열실(20)로 유도하여 상기 가열실 내(20)에 분사하는 증기 분사관(111)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실(20) 내의 피가열물(90)을 상기 증기 분사관(111)으로부터 분사되는 증기 및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증기 취출구(55)로부터 취출되는 과열 증기에 의해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조리기.
  2.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 장치(40)와,
    상기 증기 발생 장치(40)에서 발생되는 동시에, 복수의 증기 공급구(95)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히터(52)에 의해 승온하여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 승온 장치(50)와,
    천장에 증기 취출구(55, 112)가 마련되어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증기 취출구(55, 112)로부터 취출되는 과열 증기에 의해 피가열물(90)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실(20)을 갖는 동시에,
    상기 가열실(20)의 천장에 마련된 상기 증기 취출구(55, 112) 중 하나는 상기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 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일단부는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증기 공급구(95)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한편, 타단부측은 상기 가열실(20)측으로 구부러져 있고, 상기 타단부의 개구(111a)는 상기 개구(111a)의 상기 가열실(20)의 천장에 대한 투영이 상기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상기 증기 취출구(112)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증기 분사관(111)과,
    상기 히터(52)로의 통전을 온ㆍ오프하는 히터 통전 제어 수단(80)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실(20) 내의 피가열물(90)을 상기 증기 분사관(111)으로부터의 증기에 의해서도 가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조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20)에 있어서의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상기 증기 취출구(112)의 직경은 상기 증기 분사관(111)에 있어서의 상기 타단부의 개구(111a)의 외경보다도 크고,
    상기 증기 분사관(111)에 있어서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가열실(20)에 있어서 의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상기 증기 취출구(112)보다도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조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 장치(40)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흡인하는 동시에,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에 있어서의 각 증기 공급구(95)로 취출하는 증기 흡인 이젝터(4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조리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20)의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상기 증기 취출구(112)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11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조리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20)의 천장에 마련된 상기 증기 취출구(55, 112) 중 상기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증기 취출구(112) 이외의 증기 취출구(55)는 상기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증기 취출구(112)를 중심으로 한 소정 반경의 영역보다 외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조리기.
  7.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 장치(40)와,
    상기 증기 발생 장치(40)에서 발생되는 동시에, 복수의 증기 공급구(95)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히터(52)에 의해 승온하여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 승온 장치(50)와,
    천장에 증기 취출구(55, 112)가 마련되어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증기 취출구(55, 112)로부터 취출되는 과열 증기에 의해 피가열물(90)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실(20)을 갖는 동시에,
    상기 가열실(20)의 천장에 마련된 상기 증기 취출구(55, 112) 중 하나는 상기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 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일단부는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증기 공급구(95)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한편, 타단부측은 상기 가열실(20)에 있어서의 상기 천장의 대략 중앙부까지 연장하여 개방되어 있는 증기 분사관(120)과,
    상기 증기 분사관(120)의 상기 타단부측의 개방 단부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증기 분사관(120)으로부터 분사되는 증기의 분사 방향을 상기 천장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증기 취출구(112)를 향하는 방향으로 바꾸는 정풍판(121)과,
    상기 히터(52)로의 통전을 온ㆍ오프하는 히터 통전 제어 수단(80)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실(20) 내의 피가열물(90)을 상기 증기 분사관(120) 및 정풍판(121)을 거쳐서 공급되는 증기에 의해서도 가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조리기.
KR1020067023682A 2004-05-14 2005-05-09 증기 조리기 KR100816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44884A JP3764743B2 (ja) 2004-05-14 2004-05-14 蒸気調理器
JPJP-P-2004-00144884 2004-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470A true KR20070012470A (ko) 2007-01-25
KR100816947B1 KR100816947B1 (ko) 2008-03-25

Family

ID=3539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682A KR100816947B1 (ko) 2004-05-14 2005-05-09 증기 조리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87714B2 (ko)
EP (1) EP1757861B1 (ko)
JP (1) JP3764743B2 (ko)
KR (1) KR100816947B1 (ko)
CN (1) CN100477944C (ko)
WO (1) WO20051115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98Y1 (ko) * 2009-10-30 2010-10-07 (주)금성주방 증기취사기
KR200450499Y1 (ko) * 2009-11-13 2010-10-07 (주)금성주방 증기취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8465B1 (ja) * 2005-07-28 2007-01-17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4732213B2 (ja) * 2006-03-30 2011-07-27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DE102006021181B3 (de) * 2006-05-06 2007-05-03 Laux, Thomas, Dr. Zahnprothesen-Trägerimplantat
US7810488B2 (en) * 2007-05-18 2010-10-12 Market Forge High efficiency atmospheric steamer
KR101232488B1 (ko) * 2007-08-08 2013-02-1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증기 조리기
US8080766B2 (en) * 2007-10-26 2011-12-20 Premark Feg L.L.C. Steam oven system with steam generator
JP5243608B2 (ja) * 2009-07-30 2013-07-24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8499683B2 (en) * 2009-08-08 2013-08-06 Steven Michael Shei Hot and cold food holding appliance
BR112012027798A2 (pt) * 2010-04-28 2016-08-09 Sharp Kk dispositivo de cozimento
US20130206015A1 (en) * 2011-08-12 2013-08-15 Bret David Jacoby Solid Fuel Grill Temperature Control System
FR2980335B1 (fr) * 2011-09-26 2015-03-06 Centre Nat Machinisme Agricole Installation et procede de traitement de produits alimentaires, tels que des produits alveoles, en vue notamment d'une expansion desdits produits
JP6042190B2 (ja) * 2012-11-30 2016-12-14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9222678B2 (en) * 2013-02-25 2015-12-29 General Electric Company Reducing pre-heat time in an oven
US9814355B2 (en) * 2013-11-12 2017-11-14 Henny Penny Corporation Pressure assist feature for pressure fryer
US9655468B2 (en) 2014-01-10 2017-05-23 2T2J, Inc. Apparatus and process for rapidly cooking food
JP6283816B2 (ja) * 2014-02-24 2018-02-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10845774B2 (en) * 2014-06-12 2020-11-24 SmartyPlans, Inc. Cooking device operable to sense an ingredient characteristic and a cooking environment
JP6496498B2 (ja) * 2014-06-27 2019-04-03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102226003B1 (ko) 2014-09-02 2021-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EP3106757B1 (en) * 2015-06-19 2019-01-30 Whirlpool Corporation Oven with water feeding system
EP3319490B1 (en) * 2015-07-07 2019-03-20 Koninklijke Philips N.V. A pressure cooking device
DE102016215650A1 (de) * 2016-08-19 2018-02-22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argerät
USD909811S1 (en) 2016-12-30 2021-02-09 Whirlpool Corporation Panel for an oven
EP3576537A1 (en) * 2017-02-02 2019-12-11 Illinois Tool Works, Inc. Steam generator and associated steam cooking system
CN107224195B (zh) * 2017-07-31 2019-10-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蒸箱及其蒸汽控制装置和方法
CN110051212B (zh) * 2018-01-18 2021-02-02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烹饪器具用蒸汽进出装置及蒸汽饭煲
WO2019195038A1 (en) * 2018-04-06 2019-10-10 A. J. Antunes & Co.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steam generators
CN111972972B (zh) * 2019-05-24 2022-12-06 九阳股份有限公司 蒸汽加热用烹饪锅具及烹饪器具
CN111713960A (zh) 2019-03-21 2020-09-29 天扬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蒸煮装置与蒸煮方法
IT201900019343A1 (it) * 2019-10-18 2021-04-18 Atihc Apparecchiatura per la cottura degli alimenti
CN111067375B (zh) * 2020-01-14 2022-11-1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蒸烤一体机及其烹饪方法
CN113180459B (zh) * 2020-01-14 2022-06-2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增压蒸箱
TWI705782B (zh) 2020-02-05 2020-10-01 天揚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蒸氣烹煮裝置
DE102020202503A1 (de) 2020-02-27 2021-09-02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Dampfgar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aushalts-Dampfgargeräts
DE102020212058A1 (de) 2020-09-24 2022-03-2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Dampfgargerät mit Überhitzer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1909A (en) * 1978-05-15 1980-07-08 Sanyo Electric Co., Ltd. Combination microwave and gas oven
JPS5459372A (en) 1977-10-13 1979-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team oven
JPS54136398U (ko) 1978-03-15 1979-09-21
JPS54127769A (en) 1978-03-27 1979-10-03 Mitsubishi Electric Corp Cooker
JPS5541706U (ko) 1978-09-08 1980-03-18
JPS5563325A (en) * 1978-11-01 1980-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orced convection type cooker
US4281636A (en) * 1979-06-07 1981-08-04 Vegh Elmer S Steam processor
US4552123A (en) * 1984-12-12 1985-11-12 Thermo Electron Corporation Gas-fired steam cooker
JP2515033Y2 (ja) 1989-11-06 1996-10-23 日本電熱株式会社 蒸気調理装置
DE4116425A1 (de) * 1990-06-26 1992-01-02 Esser Hans Peter Vorrichtung zum erhitzen von nahrungsmitteln
US6152024A (en) * 1994-09-26 2000-11-28 Tippmann; Eugene 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food product
US6008482A (en) 1994-10-24 1999-12-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icrowave oven with induction steam generating apparatus
JPH094849A (ja) 1995-06-22 1997-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装置
JPH08128639A (ja) * 1994-10-31 1996-05-21 Sanden Corp 調理装置
US6107605A (en) * 1997-09-12 2000-08-22 Middleby-Marshall, Inc. Pressure regulator for steam oven
US6310325B1 (en) * 1998-02-18 2001-10-30 Colburn Treat, Llc. Steamer oven with controlled condensing of steam
FR2786083B1 (fr) * 1998-11-19 2001-01-05 Seb Sa Cuiseur a vapeur a remplissage lateral d'eau
FR2794014B1 (fr) * 1999-05-31 2001-07-27 Seb Sa Appareil culinaire electrique multi-fonctions
JP2001145568A (ja) * 1999-11-19 2001-05-29 Shokkyo Kk 食品加工調理方法及び食品加工調理装置
AU2880001A (en) * 1999-12-06 2001-06-12 Jyeshtharaj Bhalphandra Joshi A fuel-efficient steam cooking device
US6237469B1 (en) * 2000-05-03 2001-05-29 Crown Food Service Equipment Ltd. Gas powered pressureless steam cooker
JP2002153380A (ja) 2000-11-17 2002-05-28 Nakanishi Mfg Co Ltd 調理加熱装置
US6453802B1 (en) * 2001-03-27 2002-09-24 Market Forge Industries, Inc. Connectionless food steamer with automatic electric steam trap
US6516709B1 (en) * 2001-11-05 2003-02-11 Uni-Splendor Corporation Apparatus for steaming food
JP2003262338A (ja) * 2002-03-11 2003-09-19 Naomoto Kogyo Kk 過熱蒸気調理器及び蒸気発生装置
JP3671168B2 (ja) * 2002-06-21 2005-07-13 直本工業株式会社 食品調理装置
JP2004138346A (ja) * 2002-10-18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過熱蒸気調理装置
JP4334201B2 (ja) * 2002-11-11 2009-09-30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2004205130A (ja) * 2002-12-26 2004-07-22 Sharp Corp 加熱調理器
JP2004251478A (ja) * 2003-02-18 2004-09-09 Sharp Corp 加熱調理器
JP3827679B2 (ja) * 2003-08-21 2006-09-27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3732200B2 (ja) * 2004-01-07 2006-01-05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7208702B2 (en) * 2004-11-22 2007-04-24 Goodway Electrical Co., Ltd. Steam cook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98Y1 (ko) * 2009-10-30 2010-10-07 (주)금성주방 증기취사기
KR200450499Y1 (ko) * 2009-11-13 2010-10-07 (주)금성주방 증기취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57861B1 (en) 2013-12-18
US20070227364A1 (en) 2007-10-04
JP3764743B2 (ja) 2006-04-12
CN1985127A (zh) 2007-06-20
US7487714B2 (en) 2009-02-10
KR100816947B1 (ko) 2008-03-25
CN100477944C (zh) 2009-04-15
WO2005111508A1 (ja) 2005-11-24
EP1757861A1 (en) 2007-02-28
EP1757861A4 (en) 2011-03-02
JP2005326086A (ja)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947B1 (ko) 증기 조리기
US8256409B2 (en) Heating cooker
JP3722820B2 (ja) 蒸気調理器
US7802564B2 (en) Steam cooking apparatus
WO2005083329A1 (ja) 蒸気調理器
JP2007032890A (ja) 加熱調理器
JP4278629B2 (ja) 加熱調理器
JP2005241188A (ja) 蒸気調理器および蒸気発生装置
JP4563270B2 (ja) 加熱調理器
JP2006283584A (ja) 送風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JP2007003113A (ja) 加熱調理器
JP2006284013A (ja) 加熱調理器
JP2006284015A (ja) 加熱調理器および蒸気発生装置
JP4403092B2 (ja) 加熱調理器
JP4185871B2 (ja) 蒸気調理器
JP4405318B2 (ja) 蒸気調理器
JP4473043B2 (ja) 蒸気調理器
JP3868465B1 (ja) 加熱調理器
JP4191065B2 (ja) 蒸気調理器および蒸気発生装置
JP4287796B2 (ja) 蒸気調理器
JP2007017076A (ja) 加熱調理器
JP4689535B2 (ja) 加熱調理器
JP2005241190A (ja) 蒸気調理器および蒸気発生装置
JP4732213B2 (ja) 加熱調理器
JP2007078226A (ja) 加熱調理器およびこの加熱調理器で用いられる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