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222A - 베이비 랙용 쿠션 - Google Patents

베이비 랙용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2222A
KR20070012222A KR1020060067753A KR20060067753A KR20070012222A KR 20070012222 A KR20070012222 A KR 20070012222A KR 1020060067753 A KR1020060067753 A KR 1020060067753A KR 20060067753 A KR20060067753 A KR 20060067753A KR 20070012222 A KR20070012222 A KR 20070012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upport
head
hip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344B1 (ko
Inventor
노리꼬 니시모또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2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6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베이비 랙에 적합한 자세 유지 기능을 갖는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머리부 패드(10), 등부 패드(30) 및 엉덩이부 패드(50)를 구비하는 베이비 랙용 쿠션(9)에 있어서, 머리부 패드(10)는, 그 하부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는 목 지지부(13) 및 양측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는 한 쌍의 옆머리 지지부(14)에 의해 유아의 머리부를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등부 패드(30)는, 그 양측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면서 등부 패드(30)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하부 모서리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몸통 지지부(32)에 의해 유아의 몸통부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엉덩이부 패드(50)는, 그 하부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는 엉덩이 지지부(53)로 유아의 엉덩이부를 지지하고, 또한 엉덩이부 패드(50)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는 한 쌍의 허벅지 지지부(54)에 의해 유아의 허벅지 및 무릎을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머리부 패드(10), 등부 패드(30) 및 엉덩이부 패드(50)의 각각을 서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한다.
유아, 머리부 패드, 등부 패드, 엉덩이부 패드, 함몰부, 돌출부, 쿠션, 시트

Description

베이비 랙용 쿠션 {CUSHION FOR BABY CHAIR}
도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쿠션이 적용되는 베이비 랙을 정면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쿠션의 사시도.
도3은 쿠션을 뒤집은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쿠션의 평면도.
도5는 쿠션의 우측면도.
도6은 머리부 패드의 평면도.
도7은 머리부 패드를 하부 모서리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도6의 화살표 Ⅷ 방향으로부터 본 머리부 패드의 측면도.
도9는 도4의 Ⅸ-Ⅸ선을 따른 머리부 패드의 단면도.
도10은 등부 패드의 사시도.
도11은 도4의 ⅩⅠ-ⅩⅠ선을 따른 등부 패드의 단면도.
도12는 도4의 XⅡ-XⅡ선을 따른 등부 패드의 단면도.
도13은 엉덩이부 패드를 하부 모서리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도13의 화살표 ⅩⅣ 방향으로부터 본 엉덩이부 패드의 측면도.
도15는 도4의 ⅩⅤ-ⅩⅤ선을 따른 엉덩이부 패드의 단면도.
도16은 머리부 패드의 목 지지부가 유아의 뒷목을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17은 머리부 패드의 옆머리 지지부가 유아의 옆머리부를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18은 등부 패드의 몸통 지지부가 유아의 몸통부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19는 엉덩이부 패드가 유아의 엉덩이부, 허벅지 및 무릎을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20a는 머리부 패드와 등부 패드를 면 파스너에 의해 연결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0b는 머리부 패드와 등부 패드를 후크에 의해 연결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0c는 머리부 패드와 등부 패드를 후크에 의해 연결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0d는 머리부 패드와 등부 패드를 버튼에 의해 연결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0e는 도20a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1a는 등부 패드와 엉덩이부 패드를 후크에 의해 연결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1b는 등부 패드와 엉덩이부 패드를 면 파스너에 의해 연결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1c는 등부 패드와 엉덩이부 패드를 버튼에 의해 연결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2a는 머리부 패드와 등부 패드의 연결부를 덮는 커버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2b는 등부 패드와 엉덩이부 패드의 연결부를 덮는 커버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비 랙
3 : 시트
9 : 쿠션
10 : 머리부 패드
13 : 목 지지부
13a : 목 지지부의 능선
14 : 옆머리 지지부
14a : 옆머리 지지부의 능선
14b : 옆머리 지지부의 지지면
15, 33, 55 : 함몰부
30 : 등부 패드
32 : 몸통 지지부
32a : 몸통 지지부의 능선
32b : 몸통 지지부의 지지면
32c : 몸통 지지부의 단부의 경사면
50 : 엉덩이부 패드
52 : 돌출부
53 : 엉덩이 지지부
53a : 엉덩이 지지부의 능선
53c : 엉덩이 지지부의 지지면
54 : 허벅지 지지부
54a : 허벅지 지지부의 능선
54b : 허벅지 지지부의 지지면
54c : 허벅지 지지부의 단부의 경사면
70, 80 : 연결부
90, 91 : 연결부의 커버
100 : 유아
101 : 머리부
102 : 몸통부
103 : 엉덩이부
104 : 허벅지
105 : 무릎
106 : 하지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8-107816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0-296734호 공보
본 발명은 베이비 랙(baby rack)의 시트에 설치되는 자세 유지용 쿠션에 관한 것이다.
베이비 랙의 시트 구조로서, 쿠션성을 갖는 시트를 그 대략 전체면에 걸쳐 일체형의 커버로 덮은 구조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혹은 베이비 베드에 사용되는 쿠션으로서, 평판형의 베이스 시트를 그 전체 주위에 걸쳐 돌출부 혹은 벽부로 둘러싼 쿠션이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8-10781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0-296734호 공보
특허 문헌 1과 같은 시트 구조에서는, 유아의 지지면이 대략 평탄하게 구성 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의 자세 유지 효과를 거의 기대할 수 없다. 한편, 특허 문헌 2와 같은 쿠션에서는, 유아를 둘러싸도록 하여 돌출부 혹은 벽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충격에 대한 유아의 보호 효과는 높다. 그러나, 베이비 랙은 실내에서 유아를 일시적으로 눕히거나, 혹은 앉히는 용도로 제공되는 것이고, 그 쿠션에는 차일드 시트와 같은 고도의 충격 완충 기능은 요구되지 않는다. 오히려, 유아를 쾌적한 자세로 유지하는 것을 우선한 쿠션이 요구된다. 또한, 베이비 랙은 신생아로부터 4세 정도의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유아의 성장에 맞추어 자세 유지 기능을 적절하게 변화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베이비 랙에 적합한 자세 유지 기능을 갖는 쿠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아(100)의 머리부(101), 등부 및 엉덩이부(103)를 각각 지지하기 위해 베이비 랙(1)의 시트(3) 상에 배치되는 머리부 패드(10), 등부 패드(30) 및 엉덩이부 패드(50)를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 패드는, 상기 머리부 패드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는 목 지지부(13) 및 상기 머리부 패드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는 한 쌍의 옆머리 지지부(14)에 의해 유아의 머리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등부 패드는, 상기 등부 패드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고, 또한 상기 등부 패드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하부 모서리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몸통 지지부(32)에 의해 유아의 몸통부(102)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엉덩이부 패드는, 상기 엉덩이부 패드 하부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는 엉덩이 지지 부(53)로 유아의 엉덩이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는 한 쌍의 허벅지 지지부(54)에 의해 상기 유아의 허벅지(104) 및 무릎(105)을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머리부 패드, 상기 등부 패드 및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각각이 서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된 베이비 랙용 쿠션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쿠션에 따르면, 우선 머리부 패드의 목 지지부로 유아의 뒷목을 지지함으로써, 유아의 머리부를 그 턱이 약간 들어 올려진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아의 기도의 압박을 방지하여 유아에 호흡을 편안히 행하게 할 수 있다. 옆머리 지지부를 유아의 머리부에 측방으로부터 댐으로써, 유아의 머리부의 옆으로 쓰러짐, 옆으로 어긋남을 억제하여 머리부를 정면을 향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등부 패드의 몸통 지지부에 의해 유아의 몸통부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유아의 체간(體幹)의 옆으로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 몸통 지지부는 등부 패드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상부 모서리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옆으로 어긋남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엉덩이부 패드의 엉덩이 지지부를 유아의 엉덩이부에 댐으로써, 시트의 전방으로의 엉덩이부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엉덩이부 전방 어긋남에 의한 복부의 굴곡, 혹은 압박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엉덩이부 패드의 허벅지 지지부가 유아의 허벅지로부터 무릎에 걸친 범위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유아의 대퇴부의 외측으로의 개방을 적절하게 규제하면서, 유아의 무릎을 적절하게 내측으로 구부려 하지(下肢)를 적절한 배향에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아의 하반신의 굴근(屈筋)과 신근(伸筋)의 균형이 적절하게 유지되어 신체의 변형, 혹은 위축이 방지된다. 그리고, 엉덩이부 패드의 허벅지 지지부를 무릎의 외측에 댐으로써 하지를 적절한 방향을 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하지를 전체 주위에 걸쳐 둘러쌀 필요도 없어 유아의 발의 움직임에 관한 자유도를 비교적 용이하게 높일 수도 있다. 또한, 머리부 패드, 등부 패드 및 엉덩이부 패드는 서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유아의 성장에 따라서 필요한 패드만을 시트 상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적용 연령 범위가 넓은 베이비 랙이라도, 유아의 성장에 따른 적절한 자세 유지 기능을 용이하면서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부의 능선(13a)이 상기 머리부 패드의 좌우 방향 중앙부를 바닥으로 하는 오목 곡선을 그리도록 높이 방향에 관해 만곡해도 좋다. 이러한 만곡을 목 지지부에 부여함으로써, 유아의 뒷목을 머리부 패드의 좌우 방향 중앙으로 자연스럽게 위치 결정하여 머리부의 옆으로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옆머리 지지부의 내주에는, 상기 목 지지부 및 상기 옆머리 지지부로 둘러싸인 함몰부(15)를 향해 하향 구배를 그려 연장되는 지지면(14b)이 마련되어도 좋다. 이러한 지지면을 마련함으로써, 유아의 옆머리부를 옆머리 지지부에서 광범위하게 걸쳐 지지하여 머리부를 보다 자연스럽게 정면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옆머리 지지부의 능선(14a)이 상기 머리부 패드의 상부 모서리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낮아지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 해, 옆머리 지지부에 의한 둘러싸이는 느낌을 경감하여 유아의 개방감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머리부 패드의 상부 모서리의 적어도 중앙부에는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고, 그것에 의해 상기 목 지지부 및 상기 옆머리 지지부로 둘러싸인 함몰부(15)가 상기 머리부 패드의 상부 모서리측으로 개방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본 형태에 따르면, 유아의 머리 정수리를 구속하는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유아의 개방감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등부 패드의 상기 몸통 지지부의 높이를 상기 등부 패드의 하부 모서리측으로부터 상부 모서리측을 향해 점차 감소시켜도 좋다. 몸통 지지부의 높이를 이와 같이 변화시킴으로써, 유아의 허리부 부근을 몸통 지지부에서 깊게 지지하여 허리부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한편, 유아의 어깨 부근을 몸통 지지부에서 얕게 지지하여 유아의 팔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능선(53a)이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좌우 방향 중앙부를 바닥으로 하는 오목 곡선을 그리도록 높이 방향에 관해 만곡해도 좋다. 이러한 만곡을 엉덩이 지지부의 능선에 부여함으로써, 유아의 하지를 내측으로 보다 확실하게 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엉덩이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허벅지 지지부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 경우에는, 엉덩이부 패드 상에, 엉덩이 지지부와 허벅지 지지부에 의해 주위가 둘러싸인 함몰부를 생기게 하고, 그 함몰부에 수용되는 엉덩이부의 위치 결정 효과를 높여 엉덩이부의 옆으로 어긋남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부 패드와 상기 엉덩이부 패드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몸통 지지부와 상기 허벅지 지지부를 연속시킨 경우에는, 등부 패드와 엉덩이부 패드가 분리 가능한 구성이라도, 마치 이들이 일체화되어 있는 것처럼 허벅지 지지부로부터 몸통 지지부까지 능선형으로 연결되는 돌출부를 생기게 하고, 그것에 의해 유아를 보다 자연스럽게 지지하면서, 그 체간의 옆으로 어긋남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허벅지 지지부의 능선(54a)이 상기 몸통 지지부의 능선(32a)의 연장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통 지지부와 상기 허벅지 지지부를 연속시킨 경우에는, 등부 패드와 엉덩이부 패드의 일체감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 지지부와 상기 허벅지 지지부의 각각의 대향하는 단부에 경사면(32c, 54c)이 형성된 경우에는, 몸통 지지부와 허벅지 지지부의 대향 부분에 약간 간극을 생기게 하고, 그것에 의해 등부 패드와 엉덩이부 패드 사이에서 쿠션을 용이하게 절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베이비 랙의 시트에 리클라이닝(reclinig)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라도, 쿠션에 의한 저항을 경감하여 리클라이닝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등부 패드에 대해 상기 머리부 패드가 상기 시트의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해지도록 상기 머리부 패드와 상기 등부 패드의 연결부(70)가 구성되어도 좋다. 본 형태에 따르면, 머리부 패드의 위치를 유아의 머리부의 위치에 맞추어 변화시켜 머리부를 적합한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머리부 패드와 상기 등부 패드의 연결 부(70) 및 상기 등부 패드와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연결부(80)의 각각을 덮는 커버(90, 91)를 쿠션이 구비해도 좋다. 이러한 커버를 설치한 경우에는 패드 사이의 연결 부분에 간극이 생기지 않으므로, 쿠션이 분할 구조라도, 마치 일체형의 쿠션과 같은 자세 유지 효과 혹은 쿠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첨부 도면의 참조 부호를 괄호 기입으로 부기하였지만,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이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베이비 랙용 쿠션을 설명한다. 도1은 베이비 랙을 그 정면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다. 베이비 랙(1)은 랙 본체(2)와 랙 본체(2)에 설치되는 시트(3)를 구비하고 있다. 랙 본체(2)는 시트 지지부(4)와, 그 시트 지지부(4)를 지지하는 절첩 가능한 다리부(도1에서는 일부만 도시함)(5)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3)는 코어재로서의 베이스판, 혹은 쿠션재를 천 등의 커버로 덮어 구성되어 있다. 시트 지지부(4)에는 시트(3)의 시트부(3a)에 대한 등부(3b)의 경사를 변화시키는 리클라이닝 기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그 리클라이닝 기구는 공지의 베이비 랙과 같은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시트(3) 상에는, 유아를 구속하기 위한 어깨 벨트(6), 허리 벨트(7) 및 가랑이 벨트(8)가 설치되어 있다. 다리부(5)의 선단부에는 캐스터(5a)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3) 상에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쿠션(9)이 설치되어 있다. 도2는 쿠션(9)의 사시도, 도3은 쿠션(9)을 뒤집은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쿠션(9)의 평면도, 도5는 쿠션(9)의 우측면도이다. 그것들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 이, 쿠션(9)은 머리부 패드(10), 등부 패드(30) 및 엉덩이부 패드(50)를 구비하고 있다. 머리부 패드(10)는 유아의 머리부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등부 패드(30)는 유아의 등부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엉덩이부 패드(50)는 유아의 엉덩이부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들 패드(10, 30, 50)는 서로 다른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 패드(10)와 등부 패드(30)는 연결부(70)를 거쳐서 서로 연결되고, 등부 패드(30)와 엉덩이부 패드(50)는 연결부(80)를 거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4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머리부 패드(10)는 등부 패드(30)에 대해 시트(3)의 길이 방향(도4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다.
도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패드(10, 30, 50)에는 벨트 관통 구멍(10a, 30a, 50a)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머리부 패드(10)는 벨트 관통 구멍(10a)에 어깨 벨트(6)를 통과시킴으로써 시트(3) 상에 설치되고, 등부 패드(30)는 벨트 관통 구멍(30a)에 허리 벨트(7)를 통과시킴으로써 시트(3) 상에 설치되고, 엉덩이부 패드(50)는 벨트 관통 구멍(50a)에 가랑이 벨트(8)를 통과시킴으로써 시트(3) 상에 설치된다.
도2, 도4,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 패드(10)는 베이스 시트(11)와, 그 베이스 시트(11)의 외주를 따라 마련된 돌출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시트(11)는 라운딩을 띤 외주 형상을 갖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2)는, 머리부 패드(10)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는 목 지지부(13)와, 머리부 패드(10)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는 한 쌍의 옆머리 지지부(14)를 구비 하고 있다. 목 지지부(13)는 유아의 뒷목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옆머리 지지부(14)는 유아의 머리부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목 지지부(13)와 옆머리 지지부(14)는, 그것들의 능선(13a, 14a)이 상방으로부터 보아 U자형을 그려 연결되도록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옆머리 지지부(14)는 머리부 패드(10)의 상부 모서리에 거의 도달한 위치에서 종료하고, 머리부 패드(10)의 상부 모서리의 적어도 중앙에는 돌출부(12)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베이스 시트(11) 상에는, 하부 모서리 및 양측 모서리가 돌출부(12)로 둘러싸이는 한편 상부 모서리측이 개방된 함몰부(15)가 생긴다. 함몰부(15)는 유아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도7 및 도8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목 지지부(13)의 능선(13a)은 머리부 패드(10)의 좌우 방향의 중심부를 바닥으로 하는 오목 곡선을 그리도록 높이 방향[머리부 패드(10)의 두께 방향]에 관해 만곡하고 있다. 도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옆머리 지지부(14)의 능선(14a)은 그 목 지지부(13)의 능선(13a)의 양단부에 연속되고, 머리부 패드(10)의 상부 모서리를 향해 외측으로 약간 팽창되는 호를 그리면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옆머리 지지부(14)의 능선(14a)은 목 지지부(13)의 능선(13a)과의 접속부를 정점(12a)으로 하고, 그 정점(12a)으로부터 머리부 패드(10)의 상부 모서리측(도5에 있어서 우측)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옆머리 지지부(14)의 선단부는 베이스 시트(11)와 대략 동일 높이이다. 즉, 머리부 패드(10)의 돌출부(12)는 목 지지부(13)와 옆머리 지지부(14)의 경계 위치에 정점(12a)을 갖고, 그것들의 정 점(12a)으로부터 능선(13a, 14a)을 따라 이격되는 만큼 돌출부(12)의 높이, 바꾸어 말하면 베이스 시트(11)로부터의 돌출량은 감소된다.
도6 및 도7에 해칭을 붙여 도시한 바와 같이, 옆머리 지지부(14)의 내주, 즉 능선(14a)보다도 내측의 영역에는 함몰부(15)를 향해 하향 구배를 그리는 지지면(14b)이 마련되어 있다. 도9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면(14b)은 함몰부(15)에 수용되는 유아의 머리부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경사면으로서 기능한다. 지지면(14b)은 구배 일정한 경사면으로 형성해도 좋고, 절구형으로 함몰된 오목면형으로 형성해도 좋다.
돌출부(12)의 높이, 지지면(14b)의 경사각, 함몰부(15)의 크기 등의 각 부의 치수는 베이비 랙(1)이 대상으로 하는 유아의 체격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되어도 좋다. 단, 목 지지부(13)의 높이는 유아의 뒷목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뒷머리부의 돌출량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고, 함몰부(15)의 넓이도 뒷머리부의 크기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적으로서, 베이스 시트(11)의 표면, 바꾸어 말하면 함몰부(15)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돌출부(12)의 정점(12a)의 높이를 30 ㎜ 정도, 목 지지부(13)의 최소 높이(중앙부의 높이)를 9 ㎜ 정도로 설정하고, 도9에 도시한 지지면(14b)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각(θa)을 39°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함몰부(15)는, 도6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경 107 ㎜ 정도의 평탄한 원형 영역(Ch)이 확보되도록 그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 패드(10)의 돌출부(12)는 표피재(16)의 내측에, 적절한 쿠션성을 갖는 탄성 재료를 내장재(17)로서 설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표피재(16) 에는, 메쉬 천과 같이 통기성을 갖는 소재, 혹은 통기성이 부족한 천 등의 소재에 관통 구멍을 추가공하여 통기성을 확보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내장재(17)로서는 코튼, 우레탄, 저반발 우레탄, 겔 등의 탄성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내장재(17)에 통기 구멍을 형성해도 좋고, 연결 기포를 갖는 우레탄 소재 등을 내장재(17)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단, 베이스 시트(11) 및 돌출부(12)의 양방에 내장재(17)가 설치되어도 좋다.
도2, 도4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부 패드(30)는 베이스 시트(31)와, 그 베이스 시트(31)의 좌우 방향 양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몸통 지지부(32)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시트(31)는 머리부 패드(10)의 베이스 시트(11)와 마찬가지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몸통 지지부(32)는 등부 패드(30)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능선형으로 돌출되면서, 등부 패드(30)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하부 모서리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베이스 시트(31) 상에는, 상부 모서리측 및 하부 모서리측이 각각 개방된 함몰부(33)가 생긴다. 함몰부(33)는 유아의 등부를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 지지부(32)의 능선(32a)은 등부 패드(30)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하부 모서리까지 거의 똑바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 지지부(32)의 능선(32a)은 등부 패드(30)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상부 모서리를 향해 하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몸통 지지부(32)의 높이는 등부 패드(30)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상부 모서리를 향함에 따라서 점차 감소하고 있다.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부 패드(30)의 능선(32a)보다도 내측의 영역에는, 함몰부(33)를 향해 하향 구배를 그리는 지지면(32b)이 마련되어 있다. 지지면(32b)은, 함몰부(33)에 수용되는 유아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경사면으로서 기능한다. 지지면(32b)은 구배 일정한 경사면으로 형성해도 좋고, 볼록형 또는 오목형으로 만곡시켜도 좋다. 또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 지지부(32)의 하부 모서리측(도5에 있어서 좌측 단부측)의 단부에는 경사면(32c)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면(32c)은, 베이비 랙(1)의 시트(3)의 등부(3b)가 시트부(3a)에 대해 일으켜진 경우의 몸통 지지부(32)와 엉덩이부 패드(5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몸통 지지부(32)의 크기는 베이비 랙(1)이 대상으로 하는 유아의 체격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해도 좋다. 단, 몸통 지지부(32)는 유아를 측방으로부터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는 크기 및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적으로서, 베이스 시트(31)의 표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 몸통 지지부(32)의 최대 높이를 40 ㎜ 정도, 최소 높이를 30 ㎜ 정도로 설정하고,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몸통 지지부(32)의 지지면(32b)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각(θb)을 39°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함몰부(33)의 평탄 부분의 최소폭(Wb)(도4)은 147 ㎜ 정도, 등부 패드(30)의 하부 모서리에 있어서의 함몰부(33)의 폭(Wc)(도4)은 156 ㎜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부 패드(30)의 몸통 지지부(32)는 표피재(34)의 내측에 적절한 쿠션성을 갖는 탄성 재료를 내장재(35)로서 설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표피재(34) 및 내장재(35)의 소재는 머리부 패드(10)의 표피재(16) 및 내장재(17)와 마찬가지로 선택해도 좋다. 베이스 시 트(31) 및 몸통 지지부(32)의 양방에 내장재(35)가 설치되어도 좋다.
도2, 도4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엉덩이부 패드(50)는 베이스 시트(51)와, 그 베이스 시트(51)와, 그 베이스 시트(51)의 외주를 따라 마련된 돌출부(52)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시트(51)는 머리부 패드(10) 및 등부 패드(30)의 베이스 시트(11, 31)와 마찬가지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2)는, 엉덩이부 패드(50)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는 엉덩이 지지부(53)와, 엉덩이부 패드(50)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는 한 쌍의 허벅지 지지부(54)를 구비하고 있다. 엉덩이 지지부(53)는 유아의 엉덩이부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허벅지 지지부(54)는 유아의 대퇴부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엉덩이 지지부(53)와 허벅지 지지부(54)는 그것들의 능선(53a, 54a)이 상방으로부터 보아 U자형을 그려 연결되도록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허벅지 지지부(54)는 엉덩이부 패드(50)의 상부 모서리에 거의 도달한 위치에서 종료하고, 엉덩이부 패드(50)의 상부 모서리의 적어도 중앙에는 돌출부(52)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베이스 시트(51) 상에는, 하부 모서리 및 양측 모서리가 돌출부(52)로 둘러싸이는 한편 상부 모서리측이 개방된 함몰부(55)가 생긴다. 함몰부(55)는 유아의 엉덩이부를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부 패드(30)와 엉덩이부 패드(50)가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허벅지 지지부(54)는 등부 패드(30)의 몸통 지지부(32)에 연속되고, 또한 허벅지 지지부(54)의 능선(54a)은 능선(32a)의 연장 상에 위치한다.
도14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엉덩이 지지부(53)의 능선(53a)은 엉덩 이부 패드(50)의 좌우 방향의 중심부를 바닥으로 하는 오목 곡선을 그리도록 높이 방향[엉덩이부 패드(50)의 두께 방향]에 관해 만곡하고, 그 양단부에 엉덩이 지지부(53)의 정점(53b)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허벅지 지지부(54)의 능선(54a)은 엉덩이 지지부(53)의 정점(53b)으로부터 엉덩이부 패드(50)의 상부 모서리측(도5에 있어서 우측)을 향해 약간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지고, 그 선단부(상부 모서리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능선(54a)의 높이는 등부 패드(30)의 하부 모서리에 있어서의 몸통 지지부(32)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다.
도13 및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벅지 지지부(54)의 능선(54a)보다도 내측의 영역에는, 함몰부(55)를 향해 하향 구배를 그리는 지지면(54b)이 마련되어 있다. 지지면(54b)은, 함몰부(55)에 수용되는 유아의 엉덩이부로부터 대퇴부를 경유하여 무릎에 이르는 범위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경사면으로서 기능한다. 지지면(54b)은 구배 일정한 경사면으로 형성해도 좋고, 절구형으로 함몰된 오목면형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5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엉덩이 지지부(53)의 능선(53a)보다도 내측의 영역에도, 함몰부(55)를 향해 하향 구배를 그리는 지지면(53c)이 마련되어 있다. 지지면(53c)은, 함몰부(55)에 수용되는 유아의 엉덩이부, 보다 상세하게는 엉덩이부에 장착된 기저귀의 표면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경사면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벅지 지지부(54)의 상부 모서리측(도5에 있어서 우측 단부측)의 단부에는 경사면(54c)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면(54c)은 등부 패드(30)의 경사면(32c)과 마찬가지로, 베이비 랙(1)의 시트(3)의 등부(3b)가 시트부(3a)에 대해 일으켜진 경우의 몸통 지지부(32)와 엉덩이 부 패드(5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52)의 높이, 지지면(53c, 54b)의 경사각 등의 각 부의 치수는 베이비 랙(1)이 대상으로 하는 유아의 체격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해도 좋다. 단, 엉덩이 지지부(53)의 높이는 유아의 엉덩이부를 수용할 수 있고, 또한 유아의 하지가 엉덩이 지지부(53)를 무리 없이 타고 넘을 수 있는 높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벅지 지지부(54)의 높이 및 위치는 유아의 허벅지 및 무릎에 외측으로부터 접하고, 또한 유아의 무릎이 허벅지 지지부(54)를 넘어서 좌우 방향 외측으로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적으로서, 베이스 시트(51)의 표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 엉덩이 지지부(53)의 중앙의 높이를 13 ㎜ 정도, 허벅지 지지부(54)의 최대 높이를 43 ㎜ 정도, 지지면(53c, 54b)의 각각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각(θc)(도5 및 도15 참조)을 39°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엉덩이부 패드(50)의 상부 모서리에 있어서의 함몰부(55)의 폭(Wc)(도4)은 등부 패드(30)의 함몰부(33)의 폭과 동등하게 156 ㎜ 정도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함몰부(55)의 높이(Hc)(도5)는 160 ㎜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엉덩이부 패드(50)의 돌출부(52)는 표피재(56)의 내측에 적절한 쿠션성을 갖는 탄성 재료를 내장재(57)로서 설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표피재(56) 및 내장재(57)의 소재는 머리부 패드(10)의 표피재(16) 및 내장재(17)와 마찬가지로 선택해도 좋다. 베이스 시트(51) 및 돌출부(52)의 양방에 내장재(57)가 설치되어도 좋다.
다음에, 시트(3)에 유아를 눕히거나, 혹은 착석시켰을 때의 쿠션(9)의 작용 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머리부 패드(10)에 있어서는, 유아의 머리부가 함몰부(15)에 수용되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 패드(10)의 목 지지부(13)가 유아(100)의 뒷목에 대어 목부가 등 뒤로부터 지지된다. 이에 의해, 유아(100)의 머리부(101)를 그 턱이 약간 들어 올려진 자세로 유지하고, 기도의 압박을 방지하여 호흡을 편안히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목 지지부(13)의 능선(13a)이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 곡선을 그려 만곡하고 있으므로, 유아(100)의 목부를 좌우 방향 중앙으로 자연스럽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101)가 옆머리 지지부(14)의 지지면(14b)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지지되기 때문에, 머리부(101)가 자연스럽게 정면을 향하게 되어 머리부의 옆으로 쓰러짐, 옆으로 어긋남도 방지된다. 이들의 작용은, 특히 목을 가누기 전인 유아에 대해 효과적이다. 또한, 옆머리 지지부(14)가 머리부 패드(10)의 상부 모서리를 향함에 따라서 점차 낮아지므로 옆머리 지지부(14)에 의한 둘러싸이는 느낌이 경감되어, 개방감이 높다. 또한, 돌출부(12)가 양측 모서리에서 종료되어 함몰부(15)가 머리부 패드(10)의 상부 모서리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머리 정수리가 돌출부(12)에 의해 과도하게 구속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유아의 개방감이 높아진다.
등부 패드(30)에 있어서는,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 지지부(32)가 유아(100)의 본체부(102)에 외측으로부터 대어 본체부(102)가 측방으로부터 지지된다. 이에 의해, 유아(100)의 체간의 옆으로 어긋남이 방지된다. 또한, 몸통 지지부(32)가 등부 패드(30)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하부 모서리까지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으므로 옆으로 어긋남 방지 효과가 높다. 또한, 도5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통 지지부(32)의 높이가 등부 패드(30)의 하부 모서리측으로부터 상부 모서리측을 향해 점차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유아의 허리부에서는 몸통 지지부(32)가 높고, 유아의 겨드랑이 아래에서는 몸통 지지부(32)가 낮아진다. 따라서, 유아의 허리부 부근을 몸통 지지부(32)에서 깊게 지지하여 허리부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한편, 유아의 어깨 부근을 몸통 지지부(32)에서 얕게 지지하여 유아의 팔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엉덩이부 패드(50)에 있어서는, 엉덩이 지지부(53)의 지지면(53c)이 유아(100)의 엉덩이부(103)에 대어 엉덩이부(103)가 지지된다. 이에 의해, 시트(3)의 전방으로의 유아(100)의 어긋남이 억제된다. 특히, 시트(3)의 등을 일으켜 유아(100)를 앉히는 자세를 취한 경우라도 유아(100)의 엉덩이부(103)가 전방으로 어긋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엉덩이부의 전방 어긋남에 의한 복부의 굴곡, 혹은 압박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엉덩이부(103)를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55)의 주위에는, 엉덩이 지지부(53)와 허벅지 지지부(54)가 일체적로 연결되어 연장되어 있으므로 유아의 엉덩이부(103)의 위치 결정 효과가 높고, 엉덩이부(103)의 옆으로 어긋남도 방지된다.
또한, 엉덩이부 패드(50)에 있어서는, 허벅지 지지부(54)가 유아(100)의 허벅지(104)로부터 무릎(105)에 걸친 범위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허벅지(104)의 외측으로의 개방을 적절하게 규제하면서 무릎(105)을 적절하게 내측으로 구부릴 수 있다. 이에 의해, 무릎(105)의 외측으로의 개방이 억제되어 하지(106) 가 적절한 배향에 유지된다. 게다가, 엉덩이 지지부(53)의 능선(53a)이 오목 곡선을 그리도록 만곡하고 있으므로, 하지(106)를 보다 안정적으로 내측을 향하게 할 수 있다. 이들의 작용에 의해, 유아(100)의 하반신의 굴근과 신근의 균형이 적절하게 유지되어 신체의 변형이나 위축도 방지된다. 하지(106)가 돌출부(52)를 타고 넘어 시트(3)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엉덩이부 패드(50)가 구성되고, 하지(106)를 둘러싸는 돌출부, 혹은 벽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발의 움직임이 저해되지 않는다.
본 형태의 쿠션(9)에 있어서는, 등부 패드(30)와 엉덩이부 패드(50)가 서로 다른 부품으로서 설치되어 연결부(8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등부 패드(30)와 엉덩이부 패드(50)의 경계 부분에서 쿠션(9)을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3)의 등부(3b)의 경사를 변화시킨 경우에도 쿠션(9)이 저항이 되지 않아, 시트(3)의 리클라이닝 조작을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등부 패드(30)의 몸통 지지부(32)와 엉덩이부 패드(50)의 허벅지 지지부(54)의 각각의 대향 부분에 경사면(32c, 54c)이 마련됨으로써, 쿠션(9)을 보다 한층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의 쿠션(9)에서는, 머리부 패드(10), 등부 패드(30) 및 엉덩이부 패드(50)의 각각이 서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유아의 성장 단계에 따라서 이들 패드(10, 30, 50)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신생아기(월령에서 2, 3개월까지)에는 모든 패드(10, 30, 50)를 사용하고, 착석할 수 있는 초기(월령에서 2, 3개월 내지 5, 6개월까지)는 등부 패드(30)와 엉덩이부 패드(50)를 사용하고, 착석할 수 있는 중기(월령에서 5, 6월 내지 11, 12월까지)는 엉덩이부 패드(50)만을 사용하고, 착석할 수 있는 후기(월령에서 13개월 이후)는 쿠션(9)을 사용하지 않는 등의 사용 형태가 가능하다. 또한, 머리부 패드(10)가 등부 패드(30)에 대해 시트(3)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됨으로써, 머리부 패드(10)의 위치를 유아의 머리부의 위치에 맞추어 변화시켜 머리부를 적합한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다.
다음에, 패드(10, 30, 50)의 연결부(70, 80)에 대해 설명한다. 도20a 내지 도20e는, 머리부 패드(10)와 등부 패드(30) 사이의 연결부(70)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20a의 예에서는, 등부 패드(30)의 상부 모서리 중앙에 띠형부(71)가 설치되고, 그 띠형부(71)의 표면 및 머리부 패드(10)의 이면의 각각에 면 파스너(72A, 72B)가 접합되어 있다. 이들 면 파스너(72A, 72B)를 이용하여 머리부 패드(10)와 등부 패드(30)가 연결된다. 본 예에서는, 면 파스너(72A, 72B)의 중복 범위를 시트(3)의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등부 패드(30)에 대한 머리부 패드(10)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띠형부(71)를 등부 패드(3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머리부 패드(10)의 위치 조정 범위를 확대해도 좋다. 머리부 패드(10)의 면 파스너(72B)는 시트(3)의 표피재와 접하기 때문에 후크형의 돌기를 갖지 않는 메스측, 바꾸어 말하면 루프측의 면 파스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0b의 예에서는, 등부 패드(30)의 상부 모서리에 한 쌍의 띠형부(73)가 설치되고, 각 띠형부(73)의 표면에 후크(74A)가, 머리부 패드(10)의 이면의 띠형부(73)에 대응한 위치의 각각에 후크(74A)와 맞물림 가능한 복수의 후크(74B)가 상 하 방향으로 적절하게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등부 패드(30)의 후크(74A)를 머리부 패드(10)의 어느 한쪽의 위치의 후크(74B)와 맞물리게 함으로써 머리부 패드(10)와 등부 패드(30)가 연결된다. 또한, 후크(74A)와 맞물리게 하기 위해 후크(74B)를 변경함으로써, 등부 패드(30)에 대한 머리부 패드(10)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20c의 예에서는, 후크(74A, 74B)를 맞물리게 하여 머리부 패드(10)와 등부 패드(30)를 연결하는 점에서 도20b의 예와 공통된다. 단, 머리부 패드(10) 띠형부(73)에 대응한 위치의 각각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가이드(75)가 설치되고, 각 슬라이드 가이드(75)에 단일의 후크(74B)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20b의 예와 다르다. 본 예에서는, 머리부 패드(10)의 후크(74B)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등부 패드(30)에 대한 머리부 패드(10)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20d의 예에서는, 머리부 패드(10)의 하부 모서리에 한 쌍의 버튼(76)이 설치되고, 등부 패드(30)의 한 쌍의 띠형부(73)의 각각에는, 버튼(76)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버튼 홀(77)이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버튼(76)을 어느 한쪽의 버튼 홀(77)에 통과시킴으로써 머리부 패드(10)와 등부 패드(30)를 연결할 수 있고, 버튼 홀(77)의 선택을 변경함으로써 등부 패드(30)에 대한 머리부 패드(10)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20e는, 도20a의 변형예이며, 머리부 패드(10)의 이면측에 면 파스너(72B)를 덮는 커버(78)가 추가되고, 등부 패드(30)의 띠형부(71)는 그 커버(78)의 하단 부 개구부를 거쳐서 커버(78)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면 파스너(72B)가 머리부 패드(10)의 이면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면 파스너(72B)를 후크형의 돌기가 존재하는 오스측의 면 파스너로서 해도 상관없다. 또한, 도20a 내지 도20e의 예에 있어서, 머리부 패드(10) 및 등부 패드(30)의 각각에 설치된 구성 요소를 서로 교체해도 패드(10, 30)를 마찬가지로 연결할 수 있다.
도21a 내지 도21c는, 등부 패드(30)와 엉덩이부 패드(50) 사이의 연결부(80)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21a는, 등부 패드(30)의 하부 모서리의 한 쌍의 띠형부(81)에 설치된 후크(82A)를 엉덩이부 패드(50)의 이면에 마련된 후크(82B)와 맞물리게 하여 패드(30, 50)를 연결하는 예이다. 도21b는, 등부 패드(30)의 하부 모서리 중앙의 띠형부(83)에 설치된 면 파스너(84A)를 엉덩이부 패드(50)의 이면에 설치된 면 파스너(84B)에 중첩하여 패드(30, 50)를 연결하는 예이다. 도21c는 엉덩이부 패드(50)의 이면에 설치된 버튼(85)을, 등부 패드(30)의 띠형부(81)의 버튼 홀(86)에 통과시켜 패드(30, 50)를 연결하는 예이다. 또한, 도21a 내지 도21c의 예에 있어서도, 등부 패드(30) 및 엉덩이부 패드(50)의 각각에 설치된 구성 요소를 서로 교체해도 좋다. 도21b의 예에 있어서는, 면 파스너(84B)를 메스측의 면 파스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2a 및 도22b는 연결부(70, 80)의 각각을 덮는 커버(90, 91)를 등부 패드(30)의 이면측의 상하부 모서리로부터 연장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커버(90, 91)는 도3 및 도10에도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90, 91)를 설치한 경우에는 패드(10, 30, 50)의 연결 부분에 간극이 생기지 않으므로, 쿠션(9)을 분할 구조로 하고 있는 데에도 불구하고, 마치 일체형의 쿠션과 같은 자세 유지 효과, 혹은 쿠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형태로 실시해도 좋다. 예를 들어, 머리부 패드(10)는 목 지지부(13)와 옆머리 지지부(14)가 분리된 구성이라도 좋다. 엉덩이부 패드(50)는 엉덩이 지지부(53)와 허벅지 지지부(54)가 분리된 구성이라도 좋다. 패드를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후크, 끈, 버클, 버튼 등의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각 패드를 시트의 커버 또는 시트의 내장재(쿠션재 혹은 베이스판)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한 형태에서는, 시트(3)의 커버에 어깨 벨트(6), 허리 벨트(7) 및 가랑이 벨트(8)를 각각 통과시키기 위한 벨트 관통 구멍이 마련되므로, 그것들의 벨트 관통 구멍을 이용하여 패드(10, 30, 50)의 각각 시트(3)에 연결해도 좋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머리부 패드에 의해 유아의 머리부를 그 턱이 약간 들어 올려진 자세로 유지하여 그 기도의 압박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아의 머리부의 옆으로 쓰러짐, 옆으로 어긋남을 억제하여 그 머리부를 정면을 향하게 할 수 있고, 등부 패드에 의해 유아의 체간의 옆으로 어긋남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엉덩이부 패드에 의해 유아의 엉덩이부 전방 어긋남에 의한 복부의 굴곡, 혹은 압박을 방지하면서, 유아의 하지를 적절한 배향에 유지하여 유아의 하반신의 굴근과 신근의 균형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신체의 변형, 혹은 위축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엉덩이부 패드의 허벅지 지지부를 무릎의 외측에 댐으로써 하지를 적절한 방향을 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하지를 전체 주위에 걸쳐 둘러쌀 필요가 없어져 유아의 발의 움직임에 관한 자유도를 비교적 용이하게 높일 수도 있다. 그리고, 머리부 패드, 등부 패드 및 엉덩이부 패드를 서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한 것에 의해, 적용 연령 범위가 넓은 베이비 랙이라도, 유아의 성장에 따른 적절한 자세 유지 기능을 용이하면서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Claims (13)

  1. 유아의 머리부, 등부 및 엉덩이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해 베이비 랙의 시트 상에 배치되는 머리부 패드, 등부 패드 및 엉덩이부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 패드는, 상기 머리부 패드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는 목 지지부 및 상기 머리부 패드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는 한 쌍의 옆머리 지지부에 의해 유아의 머리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등부 패드는, 상기 등부 패드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고, 또한 상기 등부 패드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하부 모서리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몸통 지지부에 의해 유아의 몸통부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엉덩이부 패드는,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는 엉덩이 지지부로 유아의 엉덩이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는 한 쌍의 허벅지 지지부에 의해 상기 유아의 허벅지 및 무릎을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머리부 패드, 상기 등부 패드 및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각각이 서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용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부의 능선이 상기 머리부 패드의 좌우 방향 중앙부를 바닥으로 하는 오목 곡선을 그리도록 높이 방향에 관해 만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용 쿠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옆머리 지지부의 내주에는, 상기 목 지지부 및 상기 옆머리 지지부로 둘러싸인 함몰부를 향해 하향 구배를 그려 연장되는 지지면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용 쿠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옆머리 지지부의 능선이 상기 머리부 패드의 상부 모서리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용 쿠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패드의 상부 모서리의 적어도 중앙부에는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고, 그것에 의해 상기 목 지지부 및 상기 옆머리 지지부로 둘러싸인 함몰부가 상기 머리부 패드의 상부 모서리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용 쿠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부 패드의 상기 몸통 지지부의 높이가 상기 등부 패드의 하부 모서리측으로부터 상부 모서리측을 향해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용 쿠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능선이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좌우 방향 중앙부를 바닥으로 하는 오목 곡선을 그리도록 높이 방향에 관해 만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용 쿠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허벅지 지지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용 쿠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등부 패드와 상기 엉덩이부 패드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몸통 지지부와 상기 허벅지 지지부가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용 쿠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 지지부의 능선이 상기 몸통 지지부의 능선의 연장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통 지지부와 상기 허벅지 지지부가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용 쿠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지지부와 상기 허벅지 지지부의 각각의 대향하는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용 쿠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부 패드에 대해 상기 머리부 패드가 상기 시트의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해지도록 상기 머리부 패드와 상기 등부 패드의 연결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용 쿠션.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패드와 상기 등부 패드의 연결부 및 상기 등부 패드와 상기 엉덩이부의 패드의 연결부의 각각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용 쿠션.
KR1020060067753A 2005-07-21 2006-07-20 베이비 랙용 쿠션 KR101265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11925A JP4758699B2 (ja) 2005-07-21 2005-07-21 ベビーラック用クッション
JPJP-P-2005-00211925 2005-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222A true KR20070012222A (ko) 2007-01-25
KR101265344B1 KR101265344B1 (ko) 2013-05-20

Family

ID=3719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753A KR101265344B1 (ko) 2005-07-21 2006-07-20 베이비 랙용 쿠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06471B2 (ko)
EP (1) EP1745724A1 (ko)
JP (1) JP4758699B2 (ko)
KR (1) KR101265344B1 (ko)
CN (1) CN1903605B (ko)
HK (1) HK1098990A1 (ko)
TW (1) TWI37563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449B1 (ko) * 2020-06-01 2021-12-02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4722B2 (en) * 2005-06-14 2009-05-19 John Trezza Back-to-front via process
US8042869B2 (en) * 2007-07-13 2011-10-25 Kids Ii, Inc. Child seat liner
US8419128B1 (en) 2007-10-03 2013-04-16 Jamie S. Leach Car seat insert with elastic under-body panel
JP5730013B2 (ja) 2008-04-25 2015-06-03 株式会社日本触媒 ポリアクリル酸(塩)系吸水性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18541B2 (ja) * 2008-11-25 2013-10-16 地方独立行政法人 大阪府立病院機構 低出生体重児または早産児用のポジショニング用具
KR100906369B1 (ko) 2009-01-14 2009-07-06 김세영 수유 쿠션
US8648161B2 (en) 2009-02-06 2014-02-11 Nippon Shokubai Co., Ltd. Polyacrylic acid (salt) -based water-absorbent resin and a method for producing it
US7958582B1 (en) 2009-10-22 2011-06-14 Scamardo Mark C Travel pillow
JP5707143B2 (ja) * 2011-01-17 2015-04-22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乳幼児支持パッド構造
US20130088063A1 (en) * 2011-10-10 2013-04-11 Emmanuel Montes Child Neck Support Apparatus for Seats
DE102012108054A1 (de) * 2011-12-21 2013-06-27 Recaro Child Safety Gmbh & Co. Kg Fahrzeugsitzvorrichtung
US9487110B2 (en) 2014-03-05 2016-11-08 Pidyon Controls Inc. Car seat
US8911015B2 (en) 2013-03-05 2014-12-16 Yochanan Cohen Car seat
US10220734B2 (en) 2013-03-05 2019-03-05 Pidyon Controls Inc. Car seat
US9662258B2 (en) * 2013-05-21 2017-05-30 N.M. Beale Company, Inc. Patient colonoscopy abdominal compression device and method
US20150238024A1 (en) * 2014-02-24 2015-08-27 Sassy 14, Llc Baby seat with blanket
JP6381290B2 (ja) * 2014-05-23 2018-08-29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ペット用姿勢保持台
US9616782B2 (en) 2014-08-29 2017-04-11 Pidyon Controls Inc. Car seat vehicle connec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JP6447904B2 (ja) * 2014-10-01 2019-01-09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ペット用姿勢保持台
US20160096456A1 (en) * 2014-10-07 2016-04-07 Artsana Usa, Inc. Removable calf support for a child safety seat
US9339120B2 (en) 2014-10-16 2016-05-17 Miriam Speer Bodily support assembly
KR20180017026A (ko) 2015-05-12 2018-02-20 피? 컨트롤스 인코포레이티드 카시트 및 연결 시스템
WO2017014339A1 (ko) * 2015-07-22 2017-01-26 이지혜 신생아용 침구
USD819986S1 (en) 2015-10-06 2018-06-12 Artsana Usa, Inc. Removable calf support for a child safety seat
KR101779956B1 (ko) * 2016-04-29 2017-09-19 김은이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HK1231677A2 (zh) * 2017-02-09 2017-12-22 李惠樑 種輪椅坐墊
US10070738B1 (en) 2017-06-15 2018-09-11 Nelson A. Royalty Carry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10334963B2 (en) 2017-06-15 2019-07-02 Nelson A. Royalty Human carrying or transpor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DE202017003248U1 (de) * 2017-06-20 2017-07-12 BRITAX RÖMER Kindersicherheit GmbH Neugeboreneneinlage für einen Kindersitz
CN108158458A (zh) * 2017-12-28 2018-06-15 刘湘 可调式婴幼儿臀部清洗台
JP6528219B2 (ja) * 2018-04-20 2019-06-12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ペット用姿勢保持台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42611A1 (fr) 1978-11-07 1980-06-27 Citroen Sa Siege pour vehicule
US4394783A (en) 1980-12-01 1983-07-26 Simmons Elizabeth J Body cushion
US4383713A (en) * 1981-01-08 1983-05-17 Roston Stewart A Orthopedic support apparatus for infants
US4631766A (en) * 1985-02-25 1986-12-30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Neonatal infant seat
US4912788A (en) * 1988-05-17 1990-04-03 Robert Lonardo Seat pad for invalid patients
US5129705A (en) * 1989-12-19 1992-07-14 Wray Thomas E Head support
US5056533A (en) * 1990-10-17 1991-10-15 Toni Solano Support cushion
US5310245A (en) * 1992-03-09 1994-05-10 Christine Lyszczasz Cushion support apparatus for infants
US5228745A (en) * 1992-07-16 1993-07-20 Hazel Robert P Child or infant car seat assembly
US5439008A (en) * 1992-12-09 1995-08-08 Bowman; Karolen C. Infant reflux restraint apparatus
US5383711A (en) * 1993-09-14 1995-01-24 Houghteling; Barbara S. Head support
JPH08107816A (ja) * 1994-10-11 1996-04-30 Konbi Kk ベビー用シートのカバー
US5842739A (en) * 1995-11-30 1998-12-01 Forever Children Adjustable baby head and body support
US5735576A (en) * 1996-06-18 1998-04-07 Noel Joanna, Inc. Head support for infants and toddlers
CA2181397A1 (en) 1996-07-17 1998-01-18 Laurie L. Tandrup Infant support and restraint system
US6012189A (en) * 1996-12-23 2000-01-11 Dudley; Sherri H. Multi-purpose bunting bag
US5916089A (en) * 1997-02-06 1999-06-29 Ive; Diana R. Support article for use with infant carrier device
JP3068534B2 (ja) 1997-10-14 2000-07-24 九州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GB9725494D0 (en) * 1997-12-02 1998-02-04 Britax Excelsior Child safety seat
JPH11198694A (ja) * 1998-01-12 1999-07-27 Takata Kk チャイルドシート
US6052849A (en) * 1998-03-18 2000-04-25 Center For Orthotic & Prosthetic Care, L.L.C. Method and apparatus to prevent positional plagiocephaly in infants
JP4118415B2 (ja) * 1998-11-02 2008-07-16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幼児の保護具
AU140976S (en) * 1999-02-05 2000-06-27 Aprica Kassai Kk A child seat for vehicles
JP2000296734A (ja) * 1999-02-08 2000-10-24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プロテクタ、育児器具のプロテクタ、育児器具および新生児用ベッド
US6139100A (en) * 1999-03-19 2000-10-31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s car seat with multi-positionable headrest
US6088855A (en) * 1999-07-26 2000-07-18 Connolly; Christopher Cervical neck support for children
JP2001070107A (ja) * 1999-09-01 2001-03-21 Lucky Kogyo Kk パッド付ベビーキャリア
JP4702988B2 (ja) * 1999-09-06 2011-06-15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USD441967S1 (en) * 1999-09-17 2001-05-15 Concord Kinderautositze-und Kindermöbel-sowie Geräteherstellungsgesellschaft mbH Insert for child's seat
JP3068534U (ja) * 1999-10-27 2000-05-12 株式会社ティーレックス 乳幼児用マット
US6543844B1 (en) * 2000-02-15 2003-04-08 Bloorview Macmillan Centre Seating furniture for children
US6341818B1 (en) * 2000-02-29 2002-01-29 Esther A. L. Verbovszky Child's car seat insert
US6454352B1 (en) * 2000-04-14 2002-09-24 George Konovalov Car seat pad
US6363558B1 (en) * 2000-04-20 2002-04-02 Noel Joanna, Inc. Infant support with an improved securement device
US6266832B1 (en) * 2000-05-25 2001-07-31 Pamela A. Ezell Infant cranial support system
US20020014793A1 (en) * 2000-05-30 2002-02-07 Santha Isabelle M. Infant seat insert
JP4817591B2 (ja) * 2000-08-31 2011-11-16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頭部保護パッド、および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
CN2453777Y (zh) * 2000-11-28 2001-10-17 张宗汉 婴儿坐卧垫
US6292964B1 (en) * 2001-02-05 2001-09-25 Macarena M. Rose Inclined support pillow
JP2003040005A (ja) * 2001-07-27 2003-02-13 Aprica Kassai Inc 育児器具の下半身保護構造および下半身保護パッド
US6752457B2 (en) * 2002-07-29 2004-06-22 Gold Bug, Inc. Infant support cushion with adjustable side flaps
JP2004216998A (ja) 2003-01-10 2004-08-05 Combi Corp ベビーカー
JP3981023B2 (ja) * 2003-01-28 2007-09-26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ハンモック
US6926359B2 (en) * 2003-03-26 2005-08-09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 seat cover
JP2005001541A (ja) * 2003-06-12 2005-01-06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JP4072483B2 (ja) * 2003-09-01 2008-04-0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又は育児器具の頭部プロテクタの高さ調整装置
JP4299095B2 (ja) 2003-10-03 2009-07-22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乳児用姿勢保持構造
KR20060059965A (ko) * 2003-09-11 2006-06-02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및 유아용 베개
US20050210592A1 (en) * 2004-03-26 2005-09-29 The Boppy Company Infant sleep positioner
US7252330B2 (en) * 2004-04-15 2007-08-07 Evenflo Company, Inc. Children's car seat pillow
US6951367B1 (en) * 2004-05-26 2005-10-04 Dinnan Jane L Vehicle seat pad
JP4823592B2 (ja) * 2005-07-12 2011-11-2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用クッション
US7311357B2 (en) * 2005-08-25 2007-12-25 Gold Bug, Inc. Infant surround support
US20080034505A1 (en) * 2006-08-10 2008-02-14 Thomas Victor S Infant head support, safety and comforting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449B1 (ko) * 2020-06-01 2021-12-02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KR20210148960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KR20210148959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KR20210148620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KR20210148961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58699B2 (ja) 2011-08-31
CN1903605B (zh) 2010-05-12
TWI375631B (en) 2012-11-01
HK1098990A1 (en) 2007-08-03
US20070029851A1 (en) 2007-02-08
JP2007022503A (ja) 2007-02-01
TW200714505A (en) 2007-04-16
US7806471B2 (en) 2010-10-05
EP1745724A1 (en) 2007-01-24
KR101265344B1 (ko) 2013-05-20
CN1903605A (zh)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344B1 (ko) 베이비 랙용 쿠션
KR101302305B1 (ko) 베이비 카용 쿠션
US7841657B2 (en) Cushion for retaining posture of child and structure using same cushion
EP1767125B1 (en) Sling type baby holding carrier
KR20120070544A (ko) 베이비 캐리어
JP6342163B2 (ja) 子守帯
JP2001070107A (ja) パッド付ベビーキャリア
JP2009508625A (ja) 踵支持用保護ブーツ
KR101274892B1 (ko) 차일드 시트용 쿠션
JP2021514696A (ja) ベビーキャリア
JP2004181268A (ja) 子守帯および使用者装着部材
JP6408764B2 (ja) 子守帯
JP3127392U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0473921Y1 (ko) 유아용 아기띠
KR102326818B1 (ko) 어깨 외전 보조기
JPS63137Y2 (ko)
JP6945912B1 (ja) 保育補助具
KR20170051038A (ko) 유아용 캐리어
JP6408765B2 (ja) 子守帯
KR20060017976A (ko) 자세 교정용 복대
JP2003040005A (ja) 育児器具の下半身保護構造および下半身保護パッド
KR20230041568A (ko) 유아용 하네스
JPH08322685A (ja) 子守帯
KR20070023495A (ko) 통기성 아기 포대기
JP2023082266A (ja) 子守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