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620A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Google Patents
다용도 유아용 쿠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8620A KR20210148620A KR1020200065695A KR20200065695A KR20210148620A KR 20210148620 A KR20210148620 A KR 20210148620A KR 1020200065695 A KR1020200065695 A KR 1020200065695A KR 20200065695 A KR20200065695 A KR 20200065695A KR 20210148620 A KR20210148620 A KR 202101486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shion
- outer cover
- infant
- central
- fil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1103 thalamus Anatomy 0.000 claims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41000218691 Cupress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1514 reflex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4972 Sudden Infant Death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2440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05 fe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645 Atop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522 Gastro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12 cardiopulmon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06 childbir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49 digestiv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643 digestive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549 dyspep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685 gastrointestinal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07 health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51 lac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34 poten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47D13/083—Baby feeding cush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유아용 쿠션(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겹으로 구성되는 겉커버(10) 내측에 쿠션재(20) 또는 가압부(30)를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역류방지쿠션, 수유쿠션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여, 사용자 입장에서의 활용의 편의 및 비용부담 절감 등을 도모하도록 하는 다기능/다용도 유아용 쿠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용도 유아용 쿠션(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겹으로 구성되는 겉커버(10) 내측에 쿠션재(20) 또는 가압부(30)를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역류방지쿠션, 수유쿠션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여, 사용자 입장에서의 활용의 편의 및 비용부담 절감 등을 도모하도록 하는 다기능/다용도 유아용 쿠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신생아용/유아용 쿠션으로 다양한 제품이 시장에 판매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그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의 용어 '유아'란 사전적 의미로 생후 1년부터 만 6세까지의 어린아이를 의미하나,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유아란 생후 1년 미만의 신생아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한다.
먼저, '역류 방지 쿠션'은 소화기관이 완전히 발달하지 못한 시기 유아의 역류성 위장장애 예방을 위하여 머리 쪽 경사를 높여주어 유아 소화불량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쿠션이다. 또한, '수유 쿠션'이란 유아 수유 시 유아를 눕혀 보호자와 유아가 가까이 위치하도록 하여 수유의 편리함 및 유아의 포근함을 느끼게 해주는 쿠션이다.
그리고, 출생 후 약 100일이 지나면 유아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양팔을 이용하여 몸을 뒤집으려는 욕구가 생기며, 이 때 몸을 뒤집을 상태에서 원 자세로 다시 뒤집지 못하여 유아 호흡기가 이불 등에 파뭍여 질식하게 되는 영아 돌연사 증후군(SIDS; Sudden Infant Death Syndrome)이 발생 가능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아의 신체 양 옆에 쿠션 등의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유아가 자신의 몸을 뒤집지 못하게 예방해주는 쿠션으로 '뒤집기 방지 쿠션'이 있다.
마지막으로, 신생아 시기에 유아의 몸을 압박하여 태아 시기에 비좁은 엄마 뱃속에 있는 느낌을 주게 하여 포근함과 안정감을 주는 것으로 '중력 이불'이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쿠션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사용자가 각각의 쿠션을 별도로 구매하여 용도에 따라 개별 쿠션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곧 사용자 입장에서 비용 부담, 활용의 번거로움 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 활용이 제약되는 주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용도 변환이 가능하여, 한 개의 쿠션 제품만으로도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신규의 다용도 유아용 쿠션 구성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단일 쿠션 제품만으로도 역류 방지 쿠션, 수유 쿠션, 뒤집기 방지 쿠션, 패드, 속싸개 및 중력 이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여, 제품의 편리한 활용, 구매 비용 부담 절감 및 내부 공간의 용이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겉커버의 상면 저부와 저면 상부가 결합되어 상기 겉커버의 배면으로부터 정면 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 길이가 상기 겉커버의 전체 길이 절반 이하로 형성되며,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삽입경계부를 구비함으로써 겉커버 내부 중공부를 3공간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중공부 내측에 삽입되는 구성품의 정확한 배치를 가능하도록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겉커버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쿠션재가 중앙 쿠션, 좌측 쿠션, 우측 쿠션 3개로 분할되어 개별 쿠션의 부분 세탁 및 빠른 건조가 가능함으로써 용이한 활용을 도모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삽입부 측에 삽입되는 중앙 쿠션의 상면 일측이 경사지도록 하는 경사부를 구비함으로써, 역류 방지 쿠션으로서의 용이한 활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쿠션의 상면 타측에, 경사부와 연결되는 안착부를 구비함으로써, 유아가 겉커버의 상면 상에 눕혀진 경우, 엉덩이 부분이 하측으로 꺼지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한 수면 자세 유도를 가능하도록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쿠션의 양 측부의 일 측에서 배면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좌우 폭 크기가 커지도록 구성되는 날개부를 구비함으로써, 수유 쿠션으로 활용 시 중앙 쿠션과 산모 간 이격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한 수유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력 이불로 활용시 사용되는 가압부의 충진부들이 분리 재봉선에 의하여 인접한 충진부의 충진 주머니들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내측에 위치하는 충진물들이 상대적으로 고르게 위치하여 손쉬운 활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부의 인접한 충진 주머니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되, 내측에 충진물이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이격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압부가 유아의 팔을 직접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한 수면 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겉커버에 탈부착 가능한 속싸개를 구비함으로써, 속싸개 자체의 기능 뿐만 아니라 뒤집기 방지 쿠션으로 활용 시 유아의 자세 이탈을 방지하여, 뒤집힘을 방지하고 역류방지쿠션으로 활용시 미끄러짐 또는 낙상 등 발생가능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속싸개의 덮개부가 유아의 하체를 커버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유아의 배변 활동 및 기저귀 갈이를 육안으로 직관적으로 파악하도록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밴드삽입부가 삽입되는 겉커버의 고정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신체 크기에 따른 결합 위치의 용이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삽입부에 삽입 가능한 패드부를 구비함으로써, 좌측삽입부에 삽입된 좌측 쿠션 및 우측삽입부에 삽입된 우측 쿠션의 정면 측이, 빈 공간인 중앙삽입부 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부의 상면 및 저면을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기온 또는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부의 양 측면에 한 쌍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패드부가 중앙 쿠션의 외면에 직접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패드부를 수유 쿠션의 일 구성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은 상하 2겹으로 구성되어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정면에 중공부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한 인출부;가 구성되고, 배면의 중앙 측에 곡면형으로 내측으로 함입되는 함입부;가 구성되는 겉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겉커버는 상기 겉커버의 상면 저부와 저면 상부가 결합되어 상기 겉커버의 배면으로부터 정면 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 길이가 상기 겉커버의 전체 길이 절반 이하로 형성되며,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삽입경계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경계부는 상기 겉커버의 중공부를 중앙삽입부, 좌측삽입부 및 우측삽입부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은 상기 겉커버의 내측 중공부에 삽입되며, 쿠션 커버 내측에 완충 기능을 가지는 소재로 충진되는 쿠션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에 구비되는 상기 쿠션재는 상기 중앙삽입부 측에 삽입되는 중앙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쿠션은 상기 중앙 쿠션의 상면 저부 및 저면 상부에 연결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중앙 쿠션의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 내면을 연결하며, 좌우 폭 방향으로 이격되고, 배면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구성되는 한 쌍의 제1 연결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에 구비되는 상기 중앙 쿠션은 상기 일 경사부의 일단부 측으로부터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어 타 경사부의 일단부 측과 연결되고 상기 중앙 쿠션의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 내면을 연결하는 제2 연결면;을 포함하며, 제2 연결면의 내측에 완충 기능을 가지는 소재로 충진되는 안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에 구비되는 상기 쿠션재는 상기 중앙삽입부 측에 삽입되는 중앙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쿠션은 양 측부의 일 측에서 배면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좌우 폭 크기가 커지도록 구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에 구비되는 상기 쿠션재는 상기 좌측삽입부 측에 삽입되는 좌측 쿠션; 및 상기 우측삽입부 측에 삽입되는 우측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쿠션 및 우측 쿠션은 상기 겉커버의 중공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은 상하 2겹으로 구성되며 내측에 충전물이 삽입됨으로써 중력 이불로 사용 시 상기 겉커버에 의하여 덮여주는 유아 신체의 일 측에 대한 중력감을 부여하는 한 쌍의 가압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내측에 충전물이 삽입되는 충진 주머니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는 충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는 상기 인접한 충진 주머니들 간 말단 측에 형성되며, 개별 충진 주머니의 내부 공간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재봉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에 구비되는 상기 가압부는 인접한 충진 주머니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되, 내측에 충전물이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하 측에 유아의 팔이 위치하도록 하여 가압을 방지하는 이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은 상기 겉커버의 상면 상에 눕혀진 유아의 신체 일부를 커버하는 속싸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겉커버는 상기 겉커버의 외면 상에 형성되어 속싸개의 일 측이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싸개는 상기 속싸개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면부; 상기 저면부와 함께 유아의 상체를 감싸주며, 유아의 하체가 개방되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덮개부; 및 상기 저면부 또는 덮개부의 일 측 외면에 결합하여 밴드삽입부 측과 결합하는 결합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양 말단부가 상기 겉커버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겉거버와의 사이 공간을 따라 상기 결합 밴드의 삽입을 허용하는 밴드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에 구비되는 상기 밴드삽입부는 개별 고정부마다 상기 겉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유아의 신체 크기에 따라 상기 결합 밴드의 삽입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은 상하 2겹으로 구성되어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정면에 중공부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한 인출부;가 구성되고, 배면의 중앙 측에 곡면형으로 내측으로 함입되는 함입부;가 구성되는 겉커버; 상기 겉커버의 내측 중공부에 삽입되며, 쿠션 커버 내측에 완충 기능을 가지는 소재로 충진되는 쿠션재; 및 상하 2겹으로 구성되며 내측에 충진물이 삽입됨으로써 중력 이불로 사용 시 상기 겉커버에 의하여 덮여주는 유아 신체의 일 측에 대한 중력감을 부여하며, 상기 쿠션재와 택일적으로 사용되는 한 쌍의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겉커버는 상기 겉커버의 상면 저부와 저면 상부가 결합되어 상기 겉커버의 배면으로부터 정면 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 길이가 상기 겉커버의 전체 길이 절반 이하로 형성되며,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삽입경계부;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재는 역류 방지 쿠션 또는 수유 쿠션으로 활용 시 상기 중앙삽입부 측에 삽입되는 중앙 쿠션; 역류 방지 쿠션 또는 뒤집기 방지 쿠션으로 활용 시 상기 좌측삽입부 측에 삽입되는 좌측 쿠션; 및 역류 방지 쿠션, 뒤집기 방지 쿠션으로 활용 시상기 우측삽입부 측에 삽입되는 우측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단일 쿠션 제품만으로도 역류 방지 쿠션, 수유 쿠션, 뒤집기 방지 쿠션, 패드, 속싸개 및 중력 이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여, 제품의 편리한 활용, 구매 비용 부담 절감 및 내부 공간의 용이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겉커버의 상면 저부와 저면 상부가 결합되어 상기 겉커버의 배면으로부터 정면 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 길이가 상기 겉커버의 전체 길이 절반 이하로 형성되며,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삽입경계부를 구비함으로써 겉커버 내부 중공부를 3공간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중공부 내측에 삽입되는 구성품의 정확한 배치를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겉커버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쿠션재가 중앙 쿠션, 좌측 쿠션, 우측 쿠션 3개로 분할되어 개별 쿠션의 부분 세탁 및 빠른 건조가 가능함으로써 용이한 활용을 도모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삽입부 측에 삽입되는 중앙 쿠션의 상면 일측이 경사지도록 하는 경사부를 구비함으로써, 역류 방지 쿠션으로서의 용이한 활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쿠션의 상면 타측에, 경사부와 연결되는 안착부를 구비함으로써, 유아가 겉커버의 상면 상에 눕혀진 경우, 엉덩이 부분이 하측으로 꺼지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한 수면 자세 유도를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쿠션의 양 측부의 일 측에서 배면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좌우 폭 크기가 커지도록 구성되는 날개부를 구비함으로써, 수유 쿠션으로 활용 시 중앙 쿠션과 산모 간 이격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한 수유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은 중력 이불로 활용시 사용되는 가압부의 충진부들이 분리 재봉선에 의하여 인접한 충진부의 충진 주머니들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내측에 위치하는 충진물들이 상대적으로 고르게 위치하여 손쉬운 활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부의 인접한 충진 주머니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되, 내측에 충진물이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이격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압부가 유아의 팔을 직접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한 수면 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겉커버에 탈부착 가능한 속싸개를 구비함으로써, 속싸개 자체의 기능 뿐만 아니라 뒤집기 방지 쿠션으로 활용 시 유아의 자세 이탈을 방지하여, 뒤집힘을 방지하고 역류방지쿠션으로 활용시 미끄러짐 또는 낙상 등 발생가능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속싸개의 덮개부가 유아의 하체를 커버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유아의 배변 활동 및 기저귀 갈이를 육안으로 직관적으로 파악하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밴드삽입부가 삽입되는 겉커버의 고정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신체 크기에 따른 결합 위치의 용이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삽입부에 삽입 가능한 패드부를 구비함으로써, 좌측삽입부에 삽입된 좌측 쿠션 및 우측삽입부에 삽입된 우측 쿠션의 정면 측이, 빈 공간인 중앙삽입부 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부의 상면 및 저면을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기온 또는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효과를 보인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겉커버의 참고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겉커버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쿠션재의 참고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중앙 쿠션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중앙 쿠션의 일 측면도이고;
도 7(a)는 도 5에 따른 중앙 쿠션의 AA' 방향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5에 따른 중앙 쿠션의 BB' 방향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따른 가압부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가압부의 일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1에 따른 속싸개가 겉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1은 도 1에 따른 탈부착 베개부의 참고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이 역류 방지 쿠션으로 활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이 중력 이불로 활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이 수유 쿠션으로 활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이 뒤집기 방지 쿠션으로 활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이 속싸개 기능을 겸비한 뒤집기 방지 쿠션으로 활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겉커버의 참고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겉커버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쿠션재의 참고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중앙 쿠션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중앙 쿠션의 일 측면도이고;
도 7(a)는 도 5에 따른 중앙 쿠션의 AA' 방향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5에 따른 중앙 쿠션의 BB' 방향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따른 가압부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가압부의 일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1에 따른 속싸개가 겉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1은 도 1에 따른 탈부착 베개부의 참고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이 역류 방지 쿠션으로 활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이 중력 이불로 활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이 수유 쿠션으로 활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이 뒤집기 방지 쿠션으로 활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이 속싸개 기능을 겸비한 뒤집기 방지 쿠션으로 활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기준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참고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별 구성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또는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에 별도의 제한이 없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의 용어 '유아'란 사전적 의미로 생후 1년부터 만 6세까지의 어린아이를 의미하나,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유아란 생후 1년 미만의 신생아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다용도 유아용 쿠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다용도 유아용 쿠션(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겹으로 구성되는 겉커버(10) 내측에 쿠션재(20) 또는 가압부(30)를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역류방지쿠션, 수유쿠션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여, 사용자 입장에서의 활용의 편의 및 비용부담 절감 등을 도모하도록 하는 다기능/다용도 유아용 쿠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다용도 유아용 쿠션(1)은 겉커버(10), 쿠션재(20), 가압부(30), 속싸개(40) 및 탈부착 베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겉커버의 참고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겉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겉커버(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 2겹으로 구성되어, 내측 중공부에 쿠션재(20) 또는 가압부(30) 또는 패드부(510)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겉커버의 재질은 천연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겉커버(10)의 정면에는 후술할 쿠션재(20), 가압부(30) 및 패드부(510)를 중공부에 삽입하거나 상기 중공부로부터 꺼내기 위한 인출부(1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출부(10a)는 예를 들어 지퍼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중공부를 선택적으로 폐쇄되거나 개방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겉커버(10)의 전체 테두리의 4/5를 차지하도록 연장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겉커버(10)의 정면과 대향하는 배면은, 양 측부으로부터 중앙측으로 연장되는 경로 상에 내측으로 함입되는 함입부(10b)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함입부(10b)는 상기 쿠션(1)을 중력 이불로 활용 시 호흡기 측이 겉커버(10)에 의하여 덮여지는 것을 방지하여 유아의 용이한 호흡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함입부(10b)는 곡선/곡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함입부(10b)는 겉커버(10)의 배면 중앙 측에서 내측으로 함입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겉커버(10)는 고정부(110) 및 삽입경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상기 겉커버(10)의 외면 상에 형성되어, 후술할 속싸개(40)의 결합 밴드(450)가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겉커버(10)의 외면 상에서, 폭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이 형성되어, 한 쌍의 결합 밴드(450)와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부(110)는 사용자 휴대 시 손잡이 역할 역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결합부(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한 개 이상의 밴드삽입부(110a)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삽입부(110a)는 후술할 속싸개(40)에 형성되는 결합 밴드(450)의 삽입을 허용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길이 방향의 양 말단부가 겉커버(10)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겉커버(10)와의 사이 공간을 따라 결합 밴드(450)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양 측 밴드삽입부(110a)에 의하여 좌우 결합 밴드(450)가 결합부(1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속싸개(40)를 원 용도인 속싸개 그 자체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뒤집기 방지 쿠션으로 활용 시에도 속싸개(40)를 사용하여 유아의 자세가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 가능하다.
또한, 밴드삽입부(110a)는 개별 고정부(110)마다 겉커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유아의 신체 크기에 따라 결합 밴드(450)의 삽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삽입부(110a)는 개별 결합부(110)마다 겉커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2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속싸개(40)의 결합 위치를 사용자가 조절함으로써 유아의 신체 일부가 겉커버(10)를 이탈하여 위치하는 것을 방지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그 이점이 있다.
삽입경계부(130)는 겉커버(10)의 일 측에서 상기 겉커버(10)의 상면 저부와 저면 상부가 상호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예를 들어, 삽입경계부(130)는 겉커버(10)의 일 측 상면 저부와 저면 상부가 재봉되어 상기 겉커버(10) 중공부의 일 측을 물리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경계부(130)는 함입부(10b) 측의 겉커버(10) 배면으로부터 정면 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그 연장 길이가 겉커버(10)의 전체 길이 절반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반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겉커버(10)의 전체 길이는 상기 겉커버(10)의 정면으로부터 배면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한 쌍의 삽입경계부(130)가 형성된 측 겉커버(10)의 중공부를 3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경계부(130)가 형성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이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1)을 뒤집기 방지 쿠션으로 활용 시, 겉커버(10)의 내측에는 좌우측 쿠션(230, 250)만이 삽입되며, 중앙측에는 중앙 쿠션(210)이 삽입되지 않는다. 이 때 삽입경계부(130)에 의하여 3분할 공간에 의하여, 좌측 쿠션(230)은 좌측삽입부(130b)에, 우측 쿠션(250)은 우측삽입부(130c)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역류 방지 쿠션으로의 활용을 위해 중앙 쿠션(210)을 삽입할 때에도 상기 중앙 쿠션(210)이 정확한 위치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삽입경계부(130)의 연장 길이가 겉커버(10)의 배면 측으로부터 정면과 인접한 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경우, 인출부(10a)를 통한 중앙 쿠션(210)의 삽입이 비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겉커버(10)의 내측 중공부가 비어 있는 상태에서 중앙 쿠션(210)을 삽입할 때에, 삽입 공간이 삽입경계부(130)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어 충분한 좌우 공간 확보가 어려워 억지끼움을 통해 삽입할 수밖에 없고 이는 활용에 불편함을 주는 일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경계부(130)는 겉커버(10)의 배면으로부터 정면 측으로 연장되되 그 연장 길이가 겉커버(10)의 전체 길이 절반 이하로 형성되어, 인출부(10b)와 인접한 측 중공부는 상기 삽입경계부(130)에 의하여 분할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삽입경계부(130)를 통해 중공부를 3 공간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중앙 쿠션(210)의 용이한 삽입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삽입경계부(130)에 의하여 분할되는 중공부에 있어서, 좌측 공간을 중앙공간을 중앙삽입부(130a), 좌측 공간을 좌측삽입부(130b) 그리고 우측 공간을 우측삽입부(130c)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쿠션재의 참고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중앙 쿠션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중앙 쿠션의 일 측면도이고; 도 7(a)는 도 5에 따른 중앙 쿠션의 AA' 방향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5에 따른 중앙 쿠션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고하면, 쿠션재(20)는 겉커버(10)의 내측 중공부에 삽입되는 완충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중앙 쿠션(210), 좌측 쿠션(230) 및 우측 쿠션(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재(20)는 쿠션 커버의 내측에 솜과 같은 완충 기능을 가지는 소재로 충진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중앙 쿠션(210)은 중앙삽입부(130a) 측에 삽입되는 쿠션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1)을 역류 방지 쿠션, 중력 이불 또는 수유 쿠션으로 활용 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중앙 쿠션(210)은 길이 방향 폭 크기가 겉커버(10)의 길이 방향 폭 최대 크기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좌우 폭 최대 크기는 삽입경계부(130) 간 이격 거리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앙 쿠션(210)은 후술할 날개부(215)를 제외한 측이 대략 사각의 평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하여, 중앙 쿠션(210)은 경사부(211), 안착부(213) 및 날개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도 6 및 도 7(a)를 참고하면, 경사부(211)는 중앙 쿠션(210)의 마주보는 양 내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경사부(211)가 위치한 측 중앙 쿠션(210)의 높이를 결정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경사부(211)는 중앙 쿠션(210)의 상면 저부 및 저면 상부에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사부(211)는 중앙 쿠션(210)의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 내면을 연결하는 제1 연결면(211a)이 좌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연결면(211a)의 내측 공간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육면체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면(211a)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그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중앙 쿠션(210)의 정면과 인접한 측으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쿠션(210)의 내측에 솜을 완전 충진 시, 상기 중앙 쿠션(210)의 상면 측에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아를 중앙 쿠션(210)에 직접 눕히거나 상기 중앙 쿠션(210)이 삽입된 겉커버(10)에 눕히는 경우 정면 방향에 뉘어진 머리가 상대적으로 배면 측에 뉘어진 몸에 비하여 상측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역류 방지 쿠션으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211)는 중앙 쿠션(210)의 외피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5, 도 6 및 도 7(b)를 참고하면, 안착부(213)는 일 경사부(211)의 일단부 측으로부터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어 타 경사부(211)의 일단부 측과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양 경사부(211)의 배면과 인접한 말단부 측으로부터 곡면형으로 연장되어 그 평면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안착부(213) 역시 경사부(211)와 마찬가지로 중앙 쿠션(210)의 내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안착부(213)는 중앙 쿠션(210)의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 내면을 연결하는 제2 연결면(213a)이 예를 들어 원형 경로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안착부(213)의 내측에는 솜과 같은 충진재가 완전 충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역류 방지 등을 위하여 유아를 겉커버(10)의 상면에 경사지게 눕히는 경우, 엉덩이가 안착되는 측에 별도의 구성이 없어, 유아의 엉덩이 측이 하측으로 꺼지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이는 유아의 자세를 불편하게 하는 일 요인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쿠션(1)은 안착부(213)를 구비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날개부(215)는 중앙 쿠션(210)의 양 측부의 일 측에서 배면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이다. 즉, 날개부(215)는 중앙 쿠션(210)의 양 측부의 일 측에서 배면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상기 중앙 쿠션(210)의 좌우 폭 크기가 커지도록 연장된다. 상기 날개부(215)는 예를 들어 날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겉커버(10)의 중앙삽입부(130a)에 중앙 쿠션(210)만을 삽입하여 수유 쿠션으로 활용 가능하다.
이 때 중앙 쿠션(210)의 일 측부가 산모의 신체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날개부(215)는 산모와 중앙 쿠션(210)의 이격 공간 발생을 최소화하여 상기 중앙 쿠션(210)이 산모의 신체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가 중앙 쿠션(210)과 산모의 신체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면서 산모의 용이한 수유를 가능하게 하는 것에 그 이점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좌측 쿠션(230)은 상기 겉커버의 좌측삽입부(130b)에, 우측 쿠션(250)은 우측삽입부(130c)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양 좌측 쿠션(230) 및 우측 쿠션(250)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중앙 쿠션(210)을 중앙삽입부(130a)에서 빼낸 상태에서, 좌측 쿠션(230) 및 우측 쿠션(250)을 대응 위치에 삽입하는 경우, 뒤집기 방지 쿠션으로 활용 가능하다. 상기 좌측 쿠션(230) 및 우측 쿠션(250)은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 상대적인 것이다.
또한, 중앙 쿠션(210) 역시 중앙삽입부(130a)에 삽입하면 역류 방지 쿠션으로 활용될 수 있다. 좌측 쿠션(230) 및 우측 쿠션(250) 역시 그 길이 방향 폭 크기가 겉커버(10)의 길이 방향 폭 최대 크기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게, 좌우 폭 크기가 각각 좌측 삽입부(130b) 및 우측삽입부(130c)의 좌우 방향 폭 최대 크기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1에 따른 가압부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가압부의 일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가압부(30)는 상하 2겹으로 구성되며 내측에 충진물이 삽입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1)을 중력 이불로 활용 시 사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가압부(30)는 한 쌍의 구성으로 각각 좌측 삽입부(130b) 및 우측삽입부(130c)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압부(30)는 겉커버(10) 내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겉커버(10)의 상면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압부(30)는 충진부(310) 및 이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진부(310)는 내부에 충진물이 삽입되는 주머니 구성으로, 개별 가압부(30)마다 다수의 충진부(3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개의 충진부(310)가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 측에 제1 충진부(310a)가, 그리고 상기 제1 충진부(310a)와 이격되어 제2 충진부(310b)가, 상기 제2 충진부(310b)와 이격되어 제3 충진부(310c)가 형성되며, 각각의 이격 방향은, 충진부(310)를 겉커버(10) 내 삽입 시 상기 겉커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인접한 충진부들(310a, 310b, 310c) 간 인접한 말단 측에는 재봉선(310d)이 형성되어 각각의 충진부들(310a, 310b, 310c)의 충진물이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의 가압부에는 충진물이 채워지는 내부 공간이 하나의 공간으로 연통되어 있어 충진물이 한 쪽으로 쏠리게 위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활용 시 상기 충진물이 내부 공간에서 고르게 퍼지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조절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부(310)는 인접한 충진부들(310a, 310b, 310c) 간 인접한 말단 측에는 분리 재봉선(310d)이 형성되어 각각의 충진부들(310a, 310b, 310c)의 충진물이 삽입되는 내부를 물리적으로 분리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별도의 행위 없이도 충진물이 상대적으로 고르게 퍼지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충진물은 무게감을 주는 임의의 구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편백나무칩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백나무 사각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편백나무칩은 스트레스 해소, 정서순화, 심폐기능 강화, 아토피 예방 등 다양한 건강상 유익함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격부(330)는 인접한 충진부들의 이격 공간에 형성되어 내측에 충진물이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하면, 이격부(330)는 인접한 충진부들의 재봉선(310d) 간 이격 공간이다. 예를 들어, 이격부(330)는 인접한 제1 충진부(310a) 및 제2 충진부(310b)의 재봉선(310d) 사이에, 그리고 제2 충진부(310b) 및 제3 충진부(310c)의 재봉선(310d) 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330)는 유아의 팔을 덮어주는 위치이다. 즉, 유아가 팔을 양 옆으로 벌린 수면 자세를 취하는 경우, 양 팔이 좌우측 가압부(30)의 이격부(330) 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직접적으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한 수면 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격부(330)를 제1 충진부(310a) 및 제2 충진부(310b) 사이에, 그리고 제2 충진부(310b) 및 제3 충진부(310c)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가압부(30)가 상하방향 동일하게 형성되어 뒤집어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중력이불로 활용 시 가압부(30)가 겉커버(10)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이점이 발생한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속싸개가 겉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속싸개(40)는 겉커버(10)의 상면 상에 눕혀진 유아의 신체 일부를 커버하고 유아의 자세(예를 들어 수면 자세)를 고정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는 태아시기 산모의 뱃속에서 웅크린 상태를 유지하다가, 출산 후 산모의 자궁 안에서와 같이 팔과 다리를 움직이면 닿는 것이 없어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유아는 몸을 움츠리는 행동을 하게 되며 이것을 모로반사(놀람반사)라고 한다. 속싸개는 이러한 모로반사를 방지하는 효과적인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속싸개(40)는 저면부(410), 덮개부(430) 및 결합 밴드(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저면부(410)는 속싸개(40)의 저면으로, 유아의 얼굴을 제외한 신체가 그 상면에 눕혀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저면부(410)는 그 상면 상에 예를 들어 유아의 목 아랫 부분부터 하체가 모두 위치하도록 하는데 적정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부(430)는 저면부(410)와 함께 유아의 상체를 감싸주는 구성이며, 유아의 상체만을 감싸주며 하체를 감싸주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덮개부(430)가 저면부(410)와 함께 유아의 하체까지 모두 감싸주는 길이로 형성되면, 즉각적인 배변 활동 확인 및 기저귀 갈이가 어려우며, 이는 유아의 편안한 수면 활동을 저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430)는 오직 유아의 상체만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전술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430)는 유아의 팔, 가슴과 같은 상체 부분만을 효과적으로 감싸주며, 그 중앙 측에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속싸개를 유아로부터 용이하게 결합 및 해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예를 들어 버튼 결합을 위한 구성 또는 지퍼 결합을 위한 구성일수도 또는 공지된 다양한 구성 중 임의의 것일 수 있고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결합 밴드(450)는 저면부(410) 또는 덮개부(430)의 일 측 겉감에 결합하여 상기 밴드삽입부(110a)측과 결합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이와 같은 결합 밴드(450)를 통하여 속싸개(40)가 겉커버(10)와 결합되어, 뒤집기 방지 쿠션으로 이용 시 유아의 신체가 뒤집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역류 방지 쿠션으로 이용 시 수면 중 자리이탈로 인한 낙상 또는 미끄러짐 등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 밴드(450)는 저면부(410) 또는 덮개부(430)의 일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결합 밴드(450)의 상면 상에는 수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수버튼과 결합 밴드(45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되어 암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밴드(450)를 밴드삽입부(110a)에 삽입된 이후 다시 내측으로 절곡시킨(접은) 이후 수버튼과 암버튼을 상호 결합하여 속싸개(40)가 겉커버(10) 상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따른 탈부착 베개부의 참고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탈부착 베개부(50)는 겉커버(10)의 상면 상에 안착되거나 중앙삽입부(130a)에 삽입되는 유아용 매트 및 베개 구성이다. 이러한 탈부착 베개부(50)는 패드부(510), 연결부(530) 및 베개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510)는 겉커버(10)의 중앙삽입부(130a) 상면 상에 안착되거나 상기 중앙삽입부(130a) 내측에 삽입되는 매트 구성으로, 그 형상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다. 상기 패드부(510)는 상면과 배면이 서로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져, 선택적으로 뒤집어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부(510)의 일 면은 일반 천연소재로,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은 에어메쉬 소재로 형성되어 기온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겉커버(10)에는 삽입경계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경계부(130)는 겉커버(10)의 배면으로부터 정면 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그 연장 길이가 겉커버(10)의 전체 길이 절반 이하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1)을 뒤집기 방지 쿠션으로 활용 시, 좌측삽입부(130b)에 삽입된 좌측 쿠션(230)과 우측삽입부(130c)에 삽입된 우측 쿠션(250)의 정면 측이 빈 공간인 중앙삽입부(130a) 측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패드부(510)를 중앙삽입부(130a) 측에 삽입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 발생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510)의 상면 일 측에는 연결삽입부(511)가 형성되어 후술할 연결부(530)와의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삽입부(511)는 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패드부(510)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결합부(51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결합부(513)가 상기 패드부(5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어, 총 4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5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패드부(510)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중앙 쿠션(210)의 외면을 감싼 채 서로 결합되어 상기 패드부(510)가 중앙 쿠션(210)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 쌍의 결합부(513)는 예를 들어 벨크로 결합으로 상호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패드부(510)가 중앙 쿠션(210) 상에 결합됨으로써, 겉커버(10) 없이 중앙 쿠션(210)을 수유 쿠션으로 활용 가능한 점에 그 이점이 있다.
연결부(530)는 패드부(510)와 후술할 베개부(550)를 상호 결합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부(510)는 연결삽입부(511) 및 베개부(550)의 일 측에 삽입되어 상호 연결을 도모할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결부(530)는 베개부(55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개부(550)는 일 측이 연결부(530)와 결합되어 유아용 베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베개부(550)는 일정 수준의 탄력감 또는 푹신함을 주기 위하여 소정 상하 두께를 가지고 내부에 충진물이 충진된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이 역류 방지 쿠션으로 활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이 중력 이불로 활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이 수유 쿠션으로 활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이 뒤집기 방지 쿠션으로 활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이 속싸개 기능을 겸비한 뒤집기 방지 쿠션으로 활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유아용 쿠션(1)은 선택에 따라 역류 방지 쿠션, 수유 쿠션, 뒤집기 방지 쿠션, 유아용 베개, 속싸개 또는 중력 이불로 활용될 수 있다. 즉, 한 개의 제품으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 활용의 편의 및 비용부담 절감 등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겉커버(10)의 내측에 중앙 쿠션(210), 좌측 쿠션(230) 및 우측 쿠션(250) 삽입 시 역류 방지 쿠션으로 활용 가능하다(도 12 참고). 또한, 중앙 쿠션(210), 좌측 쿠션(230) 및 우측 쿠션(250)을 모두 겉커버(10)로부터 꺼낸 이후, 한 쌍의 가압부(30)를 각각 좌측삽입부(130b) 및 우측삽입부(130c)에 삽입 시 중력 이불로 활용 가능하다(도 13 참고). 그리고, 겉커버(10)의 내측에 중앙 쿠션(210)만을 삽입하여 수유 쿠션으로 활용 가능하며(도 14 참고), 중앙 쿠션(210)을 꺼낸 이후 좌측 쿠션(230) 및 우측 쿠션(250)만을 삽입 시 뒤집기 방지 쿠션으로 활용될 수 있다(도 15 참고). 그리고 속싸개(40)를 활용하여 일반적인 속싸개 기능 및 유아의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도 16 참고). 또한, 이 상태에서 탈부착 베개부(50)를 활용하여 유아용 패드 및 베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 : 다용도 유아용 쿠션
10 : 겉커버
10a : 인출부 10b : 함입부
110 : 고정부
110a : 밴드삽입부
130 : 삽입경계부
130a : 중앙삽입부 130b : 좌측삽입부
130c : 우측삽입부
20 : 쿠션재
210 : 중앙 쿠션
211 : 경사부 211a : 제1 연결면
213 : 안착부 213a : 제2 연결면
215 : 날개부
230 : 좌측 쿠션 250 : 우측 쿠션
30 : 가압부
310 : 충진부 310a : 제1 충진부
310b : 제2 충진부 310c : 제3 충진부
310d : 재봉선
330 : 이격부
40 : 속싸개
410 : 저면부 430 : 덮개부
450 : 결합 밴드
50 : 탈부착 베개부
510 : 패드부
511 : 연결삽입부 513 : 결합부
530 : 연결부 550 : 베개부
10 : 겉커버
10a : 인출부 10b : 함입부
110 : 고정부
110a : 밴드삽입부
130 : 삽입경계부
130a : 중앙삽입부 130b : 좌측삽입부
130c : 우측삽입부
20 : 쿠션재
210 : 중앙 쿠션
211 : 경사부 211a : 제1 연결면
213 : 안착부 213a : 제2 연결면
215 : 날개부
230 : 좌측 쿠션 250 : 우측 쿠션
30 : 가압부
310 : 충진부 310a : 제1 충진부
310b : 제2 충진부 310c : 제3 충진부
310d : 재봉선
330 : 이격부
40 : 속싸개
410 : 저면부 430 : 덮개부
450 : 결합 밴드
50 : 탈부착 베개부
510 : 패드부
511 : 연결삽입부 513 : 결합부
530 : 연결부 550 : 베개부
Claims (11)
- 상하 2겹으로 구성되어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정면에 중공부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한 인출부가 구성되고, 배면의 중앙 측에 내측으로 함입되는 함입부가 구성되는 겉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겉커버는
상기 겉커버의 상면 저부와 저면 상부가 결합되어 상기 겉커버의 배면으로부터 정면 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 길이가 상기 겉커버의 전체 길이 절반 이하로 형성되며,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삽입경계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경계부는
상기 겉커버의 중공부를 중앙삽입부, 좌측삽입부 및 우측삽입부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겉커버의 내측 중공부에 삽입되며, 쿠션 커버 내측에 완충 기능을 가지는 소재로 충진되는 쿠션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상기 중앙삽입부 측에 삽입되는 중앙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쿠션은
상기 중앙 쿠션의 상면 저부 및 저면 상부에 연결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중앙 쿠션의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는 양 내면을 연결하며, 좌우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고, 배면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구성되는 한 쌍의 제1 연결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쿠션은
상기 일 경사부의 일단부 측으로부터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어 타 경사부의 일단부 측과 연결되고 상기 중앙 쿠션의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 내면을 연결하는 제2 연결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면의 내측에 완충 기능을 가지는 소재로 충진되는 안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상기 중앙삽입부 측에 삽입되는 중앙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쿠션은
양 측부의 일 측에서 배면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좌우 폭 크기가 커지도록 구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상기 좌측삽입부 측에 삽입되는 좌측 쿠션; 및
상기 우측삽입부 측에 삽입되는 우측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쿠션 및 우측 쿠션은 상기 겉커버의 중공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
- 제1항에 있어서,
상하 2겹으로 구성되며 내측에 충진물이 삽입됨으로써 중력 이불로 사용 시 상기 겉커버에 의하여 덮여주는 유아 신체의 일 측에 대한 중력감을 부여하는 한 쌍의 가압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내측에 충진물이 삽입되는 충진 주머니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는 충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진부는
상기 인접한 충진 주머니들 간 말단 측에 형성되며, 개별 충진 주머니의 내부 공간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분리 재봉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인접한 충진 주머니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되, 내측에 충진물이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하 측에 유아의 팔이 위치하도록 하여 가압을 방지하는 이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겉커버의 상면 상에 눕혀진 유아의 신체 일부를 커버하는 속싸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겉커버는
상기 겉커버의 외면 상에 형성되어 속싸개의 일 측이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싸개는
상기 속싸개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면부; 상기 저면부와 함께 유아의 상체를 감싸주며, 유아의 하체가 개방되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덮개부; 및 상기 저면부 또는 덮개부의 일 측 외면에 결합하여 밴드삽입부 측과 결합하는 결합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양 말단부가 상기 겉커버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겉거버와의 사이 공간을 따라 상기 결합 밴드의 삽입을 허용하는 밴드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삽입부는
개별 고정부마다 상기 겉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유아의 신체 크기에 따라 상기 결합 밴드의 삽입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
- 상하 2겹으로 구성되어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정면에 중공부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한 인출부;가 구성되는 겉커버;
상기 겉커버의 내측 중공부에 삽입되며, 쿠션 커버 내측에 완충 기능을 가지는 소재로 충진되는 쿠션재; 및
상하 2겹으로 구성되며 내측에 충진물이 삽입됨으로써 중력 이불로 사용 시 상기 겉커버에 의하여 덮여주는 유아 신체의 일 측에 대한 중력감을 부여하며, 상기 쿠션재와 택일적으로 사용되는 한 쌍의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겉커버는
상기 겉커버의 상면 저부와 저면 상부가 결합되어 상기 겉커버의 배면으로부터 정면 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 길이가 상기 겉커버의 전체 길이 절반 이하로 형성되며,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삽입경계부;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재는
역류 방지 쿠션 또는 수유 쿠션으로 활용 시 상기 중앙삽입부 측에 삽입되는 중앙 쿠션; 역류 방지 쿠션 또는 뒤집기 방지 쿠션으로 활용 시 상기 좌측삽입부 측에 삽입되는 좌측 쿠션; 및 역류 방지 쿠션, 뒤집기 방지 쿠션으로 활용 시상기 우측삽입부 측에 삽입되는 우측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유아용 쿠션.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5695A KR102347004B1 (ko) | 2020-06-01 | 2020-06-01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PCT/KR2021/005854 WO2021246671A1 (ko) | 2020-06-01 | 2021-05-11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TW110119559A TW202145935A (zh) | 2020-06-01 | 2021-05-28 | 多用途幼兒墊 |
CN202110608390.0A CN113749478A (zh) | 2020-06-01 | 2021-06-01 | 多用途幼儿垫 |
KR1020210148439A KR102377264B1 (ko) | 2020-06-01 | 2021-11-02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0210148438A KR102377263B1 (ko) | 2020-06-01 | 2021-11-02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0210148437A KR102347005B1 (ko) | 2020-06-01 | 2021-11-02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0210148440A KR102333449B1 (ko) | 2020-06-01 | 2021-11-02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5695A KR102347004B1 (ko) | 2020-06-01 | 2020-06-01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8440A Division KR102333449B1 (ko) | 2020-06-01 | 2021-11-02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0210148439A Division KR102377264B1 (ko) | 2020-06-01 | 2021-11-02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0210148437A Division KR102347005B1 (ko) | 2020-06-01 | 2021-11-02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0210148438A Division KR102377263B1 (ko) | 2020-06-01 | 2021-11-02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8620A true KR20210148620A (ko) | 2021-12-08 |
KR102347004B1 KR102347004B1 (ko) | 2022-01-04 |
Family
ID=78787287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5695A KR102347004B1 (ko) | 2020-06-01 | 2020-06-01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0210148440A KR102333449B1 (ko) | 2020-06-01 | 2021-11-02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0210148439A KR102377264B1 (ko) | 2020-06-01 | 2021-11-02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0210148437A KR102347005B1 (ko) | 2020-06-01 | 2021-11-02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0210148438A KR102377263B1 (ko) | 2020-06-01 | 2021-11-02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8440A KR102333449B1 (ko) | 2020-06-01 | 2021-11-02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0210148439A KR102377264B1 (ko) | 2020-06-01 | 2021-11-02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0210148437A KR102347005B1 (ko) | 2020-06-01 | 2021-11-02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0210148438A KR102377263B1 (ko) | 2020-06-01 | 2021-11-02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KR (5) | KR102347004B1 (ko) |
CN (1) | CN113749478A (ko) |
TW (1) | TW202145935A (ko) |
WO (1) | WO2021246671A1 (ko)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9588Y1 (ko) * | 2004-05-21 | 2004-12-09 | 양병권 | 다용도 쿠션 |
US20050011008A1 (en) * | 2003-07-15 | 2005-01-20 | Lisa Welch | Infant co-sleeper and breastfeeding aid |
KR20060059965A (ko) * | 2003-09-11 | 2006-06-02 |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및 유아용 베개 |
KR20070012222A (ko) * | 2005-07-21 | 2007-01-25 |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 베이비 랙용 쿠션 |
KR20140071204A (ko) * | 2012-11-27 | 2014-06-11 | 김관영 | 유아용 침대 |
KR20160012555A (ko) * | 2014-07-24 | 2016-02-03 | 이지혜 | 신생아용 침구 |
KR20180075061A (ko) * | 2016-12-26 | 2018-07-04 | 손서원 | 견착부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워머 |
KR20180100900A (ko) * | 2017-03-02 | 2018-09-12 | 주식회사 스칸디맘코리아 |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영유아용 이불 |
JP2018529391A (ja) * | 2016-09-01 | 2018-10-11 | パペルノ スティーヴン | 乳幼児用支持パッド |
KR102072823B1 (ko) * | 2018-10-15 | 2020-02-03 | 신라래 |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 |
KR20200054047A (ko) * | 2018-11-09 | 2020-05-19 | 송은경 | 역류 방지 쿠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66088A (ko) * | 2010-09-10 | 2012-06-22 | 최봉락 | 수유 자세를 자유롭게 하는 수유 쿠션 |
CN203073888U (zh) * | 2013-01-29 | 2013-07-24 | 济南婴恩经贸有限公司 | 哺乳垫 |
KR20190006228A (ko) * | 2017-07-10 | 2019-01-18 | 최지현 |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
CN110693244A (zh) * | 2018-07-10 | 2020-01-17 | 上海芙儿优婴童睡眠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防吐奶垫 |
-
2020
- 2020-06-01 KR KR1020200065695A patent/KR10234700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5-11 WO PCT/KR2021/005854 patent/WO202124667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05-28 TW TW110119559A patent/TW202145935A/zh unknown
- 2021-06-01 CN CN202110608390.0A patent/CN113749478A/zh not_active Withdrawn
- 2021-11-02 KR KR1020210148440A patent/KR10233344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1-02 KR KR1020210148439A patent/KR10237726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1-02 KR KR1020210148437A patent/KR10234700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1-02 KR KR1020210148438A patent/KR1023772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11008A1 (en) * | 2003-07-15 | 2005-01-20 | Lisa Welch | Infant co-sleeper and breastfeeding aid |
KR20060059965A (ko) * | 2003-09-11 | 2006-06-02 |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및 유아용 베개 |
KR200369588Y1 (ko) * | 2004-05-21 | 2004-12-09 | 양병권 | 다용도 쿠션 |
KR20070012222A (ko) * | 2005-07-21 | 2007-01-25 |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 베이비 랙용 쿠션 |
KR20140071204A (ko) * | 2012-11-27 | 2014-06-11 | 김관영 | 유아용 침대 |
KR20160012555A (ko) * | 2014-07-24 | 2016-02-03 | 이지혜 | 신생아용 침구 |
KR101597215B1 (ko) | 2014-07-24 | 2016-02-29 | 이지혜 | 신생아용 침구 |
JP2018529391A (ja) * | 2016-09-01 | 2018-10-11 | パペルノ スティーヴン | 乳幼児用支持パッド |
KR20180075061A (ko) * | 2016-12-26 | 2018-07-04 | 손서원 | 견착부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워머 |
KR20180100900A (ko) * | 2017-03-02 | 2018-09-12 | 주식회사 스칸디맘코리아 |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영유아용 이불 |
KR102072823B1 (ko) * | 2018-10-15 | 2020-02-03 | 신라래 |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 |
KR20200054047A (ko) * | 2018-11-09 | 2020-05-19 | 송은경 | 역류 방지 쿠션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annakim1013/221584285342 > * |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sunnybloger/221548861597 > * |
인터넷: < https://smartstore.naver.com/emong-/products/3156727758 >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246671A1 (ko) | 2021-12-09 |
KR20210148959A (ko) | 2021-12-08 |
KR102347004B1 (ko) | 2022-01-04 |
TW202145935A (zh) | 2021-12-16 |
KR102347005B1 (ko) | 2022-01-04 |
KR102333449B1 (ko) | 2021-12-02 |
CN113749478A (zh) | 2021-12-07 |
KR102377263B1 (ko) | 2022-03-22 |
KR102377264B1 (ko) | 2022-03-22 |
KR20210148960A (ko) | 2021-12-08 |
KR20210148961A (ko) | 2021-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86429B2 (en) | Therapeutic cushion systems and methods | |
US11517488B2 (en) | Modular, deformable, cushioned, resistive infant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 |
US7886381B2 (en) | Reconfigurable support pillow system | |
US6708354B1 (en) | Adjustable wrap for pillow used for supporting baby when nursing | |
US11219318B2 (en) | Comfort apparatus for a mother and an infant | |
MX2014001188A (es) | Almohada multicomponente de cuerpo y metodos. | |
WO2017076245A1 (zh) | 一种符合脊椎医学理论的睡枕 | |
US20230172370A1 (en) | Nursing pillow | |
KR102347004B1 (ko)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
CN200987555Y (zh) | 一种护颈睡枕 | |
CN203073888U (zh) | 哺乳垫 | |
CN210930651U (zh) | 可调式多功能枕 | |
CN217013369U (zh) | 一种宝宝多姿态安睡床中床 | |
CN213607635U (zh) | 一种早产儿半月包体位辅助垫 | |
CN215126539U (zh) | 一种新型仿生体位调节枕 | |
KR200357321Y1 (ko) | 경사수유쿠션 맘마대 | |
CN206880496U (zh) | 一种高度可调的哺乳枕 | |
CN206044205U (zh) | 一种哺乳枕 | |
TWM553161U (zh) | 多功能枕 | |
KR20230002279U (ko) | 신생아 속싸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신생아 쿠션, 신생아 침대 | |
TWM655232U (zh) | 具支撐結構之枕體 | |
TWM652610U (zh) | 可調式雙層安眠枕 | |
TWM628808U (zh) | 多功能孕婦枕 | |
JP2019154786A (ja) | 枕 | |
KR20210022356A (ko) | 역류방지 쿠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