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228A -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228A
KR20190006228A KR1020170086932A KR20170086932A KR20190006228A KR 20190006228 A KR20190006228 A KR 20190006228A KR 1020170086932 A KR1020170086932 A KR 1020170086932A KR 20170086932 A KR20170086932 A KR 20170086932A KR 20190006228 A KR20190006228 A KR 20190006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caring
cover portion
cover
bab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현
Original Assignee
최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현 filed Critical 최지현
Priority to KR1020170086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6228A/ko
Publication of KR20190006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47D13/083Baby feeding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가 개시된다. 상기 보조 기구는 누워서하는 모유수유를 위한 보조 기구이면서 동시에 성인이 누워서 아기를 돌보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보조 기구에 해당하고, 상기 보조 기구는, 폭 방향의 단면이 반원 또는 반타원 형태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내부 공간에 아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전방개구(16) 및 후방개구(17)를 갖는 메인프레임(10); 및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AN AUXILIARY DEVICE FOR BABY CARE}
본 발명은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엄마가 옆으로 누워서 모유수유를 할 때에 엄마의 팔과 다리를 보다 편안하게 위치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아기에게는 안전하고 편안한 수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누워서하는 모유수유를 위한 보조 기구에 관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에 관한 발명으로서, 상기한 누워서하는 모유수유의 용도 이외에도, 부모 등의 성인이 누워서 아기를 재우는 경우에, 또는 누워서 아기를 돌보는 경우에, 또는 아기가 누워서 젖병으로 수유를 하는 경우에도 부모 등의 성인과 아이 모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보조 기구에 관한 발명이다.
유아에게 엄마의 젖을 먹이는 모유수유(母乳授乳; breast-feeding)는 인간의 역사와 함께해온 엄마의 매우 중요하고 신성한 행위에 해당한다.
많은 연구 결과에 따르면, 모유수유는 유아와 엄마 모두에게 긍정적이고 유리한 효과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아에게는 모유가 가장 이상적인 음식에 해당하고, 모유에는 중추신경계 발달에 중요한 콜레스테롤과 DHA가 풍부하며, 모유에는 각종 면역 물질 및 항체가 포함되어 감염 질환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천식, 습진, 임파종, 당뇨 등의 비감염성 질환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충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고, 높은 철분 함유로 인해 빈혈 발생이 감소되고, 인지 능력의 발달과 정서적 안정을 높임으로써 사회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엄마에게는 아기가 모유수유를 할 때에 옥시토신이 분비되어 자궁을 수축시키고 산후 출혈을 감소시키며, 젖분비호르몬이 분비되어 배란이 억제되므로 자연 피임 효과가 있고, 칼로리 활용이 높아져 체중 감소에 도움이 되며, 칼슘 대사를 촉진함으로써 골다공증의 발생이 감소하고, 유방암, 난소암 등의 발생 빈도가 감소한다.
엄마가 아기에게 모유수유를 수행함에 있어 엄마가 취할 수 있는 자세는 다양할 수 있는데, 예컨대 요람식 자세(Cradle-hold), 교차 요람식 자세(Cross-cradle hold), 풋볼자세(Football hold), 옆으로 눕기 자세(Lying down) 등이 있다.
상기 요람식 자세는 일반적인 모유수유의 자세로서, 아기에게 물릴 쪽의 팔로 아기를 안은 다음에 아기 배를 엄마 몸에 완전히 밀착시키고, 아기의 머리는 감싸고 있는 팔꿈치에 놓고 손으로는 엉덩이를 받쳐줌으로써 수유하는 자세에 해당한다. 상기 교차 요람식 자세는 적 먹을 유방의 반대편 팔로 아기를 감싸 안고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아기 머리를 잡은 다음에 나머지 손가락으로 목을 받쳐줌으로써 수유하는 자세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풋볼자세는 엄마가 럭비공을 옆구리에 끼운 채 아기에게 물릴 쪽의 팔로 아기의 등을 받쳐 안고 손으로는 아기의 목과 머리를 받쳐줌으로써 수유하는 자세에 해당한다. 상기 옆으로 눕기 자세는 아기와 나란하게 누워서 서로 바라보는 수유 자세로서, 앉아 있기가 힘든 산모나 제왕절개 산모에게 적합하고, 특히 밤중 수유시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자세이다.
이 중에서, 옆으로 누워서 먹이는 자세는 베개를 2~3개 정도 준비하여 엄마의 머리를 높게 하고 어깨 뒤에 배치하며, 옆으로 누운 엄마의 위쪽 다리 밑에 쿠션 등을 넣어 다리를 아기 방향으로 구부리면 엄마가 좀 더 편안한 자세로 수유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베개, 쿠션 등을 이용하여 이와 같이 누워서 모유수유를 하는 경우에도 엄마의 불편함은 여전히 존재하는데, 예컨대 엄마의 손, 팔 등이 아기를 덮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엄마는 손이나 팔의 무게가 아기를 누르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만 하고, 또한 다리를 너무 들어올리면 자칫 아기를 덮칠 수도 있으므로 최대한 다리를 아래쪽으로 펴주어야만 하기에 아랫배에 계속해서 힘이 들어가야 하며, 이는 제왕절개 산모에게는 수술부위에 큰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엄마는 수유중인 아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손을 이용하여 아기를 계속해서 잡아주어야 하는 경우가 있고, 베개, 쿠션 등을 사용하기는 하지만 수유 시간이 장시간 계속될 경우에 엄마, 특히 제왕절개 산모에게는 여전히 많은 불편함과 통증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엄마가 옆으로 누워서 모유수유를 할 경우에 엄마의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여 엄마에게 더 나은 편안함과 안정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야기 또한 엄마의 팔·다리 무게에 눌리지 않고 안전함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 또는 장비에 관한 요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7321호(고안의 명칭: "경사수유쿠션 맘마대")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엄마가 누워서 모유수유를 함에 있어 보다 편안한 자세로 아기에게 수유를 할 수 있게 하는 보조 기구를 제공하고, 또한 부수적으로 모유수유 외에도 부모 등의 성인이 누워서 아기를 돌볼 때에서 성인과 아기 모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는, 누워서하는 모유수유를 위한 보조 기구이면서 성인이 누워서 아기를 돌보는 경우에 사용되는 보조 기구에 해당하고, 상기 보조 기구는, 폭 방향의 단면이 반원 또는 반타원 형태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내부 공간에 아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전방개구 및 후방개구를 갖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프레임은 양 단부에 u자 형상의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u자 형상의 결합홈에 압착가압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상기 결합홈에 압착가압되는 양 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에는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1 굴곡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굴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굴곡부는 엄마의 팔을 안착하기 위한 형상을 갖고, 그리고 상기 제2 굴곡부는 엄마의 다리를 안착하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프레임 및 상기 커버부의 후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개구를 마감하도록 구성되는 마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함에 따라 그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프레임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방개구의 방향에서 상기 후방개구의 방향으로 하강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경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판의 내부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열선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복수의 커버들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커버들 중 제1 커버에 상기 제1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커버들 중 제2 커버에 상기 제2 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형상과 동일하도록 폭 방향의 단면이 반원 또는 반타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워서하는 모유수유를 위한 보조 기구에 의하면, 엄마가 누워서 아기에게 모유를 수유함에 있어 엄마가 보다 편안한 자세를 갖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엄마의 근골격계 질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워서하는 모유수유를 위한 보조 기구에 의하면, 엄마가 누워서 수유를 하면서 보조 기구의 상부면에 팔 또는 다리를 거치시킬 수 있어 엄마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유 자세가 불안정하여 원활한 수유가 제한되는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워서하는 모유수유를 위한 보조 기구에 의하면, 메인프레임의 후방개구를 마감하도록 구성되는 마감부재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하절기, 동절기 등의 계절에 따라 보조 기구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메인프레임(10)과 커버부(20)가 결합된 상태의 보조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c는 도 3b의 보조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30)가 부가된 보조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보조 기구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10)과 경사판(40)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구의 하절기 사용예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구의 동절기 사용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 내부에 열선(42)이 내장되는 경사판(40)의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프레임(10)의 내부벽에 블루투스 스피커(50) 또는 간접등(60)이 구비되는 보조 기구의 예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10)의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누워서하는 모유수유(lying down breast-feeding)'를 위한 보조 기구이면서 동시에 부모 등의 성인이 누워서 아기를 돌보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보조 기구에 대해 기술할 것이며, 도 1은 그러한 보조 기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중 메인프레임(10)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10)은 본 보조 기구에서 중심축(뼈대, 골조 등)의 역할을 하는 요소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은 폭 방향의 단면이 반원 또는 반타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그 내부 공간에는 아기를 수용 및 보호하고 그 상부 측에서 엄마의 팔 또는 다리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따라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쉽게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단단하면서도 동시에 경량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재질은 단단하면서도 동시에 경량 특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목재, 금속,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10)은 폭 방향의 단면이 반원 또는 반타원 형태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내부 공간에 아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길이방향의 양 단이 개방된 상태, 즉 전방개구(16) 및 후방개구(17)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모유수유를 위한 아기의 머리는 상기 전방개구(16)를 통해 메인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후방개구(17)는 계절, 온도 등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사용예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10)은 메인바디(11)와, 상기 메인바디(11)의 양 단부에 u자 형상의 결합홈(1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2)은 후술할 커버부(20, 도 2 참조)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경우에 상기 메인프레임(10)에의 상기 커버부(20)의 결합을 보조하기 위한 요소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상기 결합홈(12)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양 단부에 u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는 도 1에 도시된 메인프레임(10)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양 단부에는 u자 형상의 제1 결함홈(12)이 구비되는데, 상기 커버부(20)의 양단이 상기 u자 형상의 결합홈(12)에 압착가압됨으로써 상기 커버부(20)가 상기 메인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결합홈(12)에 압착가압되는 양 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커버부(20)에 엄마의 팔 또는 다리가 안착되는 경우에 그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0)의 하면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부면과 접촉됨에 반해, 상기 커버부(20)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되어 엄마의 팔, 다리 등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에 해당하므로 상기 커버부(20)는 친환경 소재의 재질(예컨대, 항균 폴리우레탄, 메모리폼, 등)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엄마와 아기의 피부 및 호흡기 질환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는 소프트한 느낌, 보송보송한 느낌, 매끄러운 느낌 등을 갖도록 추가로 표면처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본 보조 기구의 심미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에는 제1 굴곡부(21)와, 상기 제1 굴곡부(21)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굴곡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굴곡부(21)는 엄마의 팔을 안착하기 위한 형상을 갖고, 따라서 팔의 형상에 대응하는 인체공학적인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상기 제2 굴곡부(22)는 엄마의 다리를 안착하기 위한 형상을 갖고, 따라서 다리(특히, 허벅지)의 형상에 대응하는 인체공학적인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굴곡부(21, 22)에는 엄마의 팔 또는 다리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영역에 해당하므로,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굴곡부(21, 22)의 외부 노출 면에 촉감이 부드럽고 친환경적인 소재(예컨대, 대나무 직물 기반의 섬유, 너도밤나무를 이용한 섬유 등)로 제조되는 커버가 추가로 도포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굴곡부(21, 22)의 외부 노출 면에 통기성이 우수한 메쉬 커버(mesh cover) 등이 부착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20)에 복수 개의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하의 본 명세서에는 두 개의 굴곡부(21, 22)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대표하여 예시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부(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20)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복수 개의 커버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는 제1 굴곡부(21) 및 제2 굴곡부(22)를 포함하고, 여기서, 메인프레임(10)의 전방개구(16)의 측에 형성되는 제1 굴곡부(21)는 엄마의 팔을 안착하기 위한 형상을 갖고,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후방개구(17)의 측에 형성되는 제2 굴곡부(22)는 엄마의 다리를 안착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이상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메인프레임(10)에는 굴곡부가 형성되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커버부(20)에만 굴곡부들(21, 22)이 형성되는 구조를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프레임(10)의 상부면에 소정의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에 결합되는 커버부(20)에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굴곡부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굴곡부가 형성되도록 보조 기구를 구현하는 것도 또한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프레임(10)과 커버부(20) 모두에 굴곡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에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형상과 동일하도록 폭 방향의 단면이 반원 또는 반타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메인프레임(10)과 도 2에 도시된 커버부(20)는 상호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를 형성하는데, 이하에서 메인프레임(10)과 커버부(20)의 결합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메인프레임(10)과 커버부(20)가 결합된 상태의 보조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c는 도 3b의 보조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는 메인프레임(10)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메인프레임(10)의 양 단부에 형성된 결합홈(12)에 압착가압됨으로써 상기 커버부(20)가 상기 메인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그 결합된 상태가 도 3b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20)는 결합홈(12)에 압착가압되는 양 단부에서 그 중앙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12)의 폭은 상기 커버부(20) 말단의 두께보다 약간 작도록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약한 힘을 가하더라고 상기 결합홈(12)에 상기 커버부(20)가 용이하게 압착가압될 수 있다.
또한, 도 3c는 도 3b에 도시된 보조 기구의 정면도를 도시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가 결합홈(12)에 압착가압됨으로써 효과적으로 메인프레임(10)에 커버되어 결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버부(20)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복수의 커버들로 구성되는 경우에, 각각의 커버 사이에는 인접한 커버의 탈부착을 위한 탈부착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탈부착수단은 벨크로, 단추, 지퍼, 홈/돌출부, 등일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커버부(20)가 복수의 커버들로 분리 구성되는 경우에, 커버들이 메인프레임(10)에 결합되는 것에 더하여, 커버들 상호 간의 추가적인 결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 결합력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에 도시된 보조 기구는 전방개구(16) 및 후방개구(17)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갖는 보조 기구로서, 양 방향이 모두 개방된 내부 공간을 통해 공기의 흐름이 유도되고 따라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절기와 같이 온도가 높을 경우에 원활한 공기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시원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동절기 등과 같이 따뜻한 수유 환경이 필요한 경우에 전방개구(16) 및 후방개구(17)를 모두 개방된 상태로 본 보조 기구를 사용하게 되면 아기에게 차가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는데, 이하의 도 4는 이러한 제약에 관한 보완책을 제시한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메인프레임(10)의 상부면에만 커버부(20)가 커버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내부면에도 추가 커버부(미도시)가 커버될 수도 있다. 상기 추가 커버부의 두께는 상기 커버부(20)의 두께보다 더 작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추가 커버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친환경적인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누워서 수유를 하는 도중에 아기가 메인프레임(10)의 내부면과 접촉하거나 충돌을 하게 될 경우에 아기의 충격을 완화하고, 그에 따라 아기의 부상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30)가 부가된 보조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보조 기구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는 메인프레임(10)과 커버부(20)의 후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후방개구(17)를 마감하도록 구성되는 마감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서는 마감부재(30)가 메인프레임(10) 및 커버부(2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감부재(30)가 상기 메인프레임(10)에만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커버부(20)에만 결합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마감부재(30)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벨크로, 단추, 지퍼, 홈/돌출부 등의 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들 수단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10)의 후방개구(17) 측에는 홈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마감부재(30)는 상기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감부재(30)의 돌출부를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마감부재(30)를 상기 메인프레임(10)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30)는 그 전면부가 메인프레임(10)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그 후단이 외기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막혀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다른 말로, 상기 마감부재(3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후방개구(17)를 마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프레임(10) 및 커버부(20)의 후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부재(30)를 더 구비함으로써, 동절기 등에 추운 외기가 보조 기구의 내부 공간을 향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수유 환경을 보다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30)가 결합되어 보조 기구가 사용되는 경우에, 엄마의 다리 등이 보조 기구의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발생하는 하중, 압력 등이 상기 마감부재(30)에도 전달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하중 등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마감부재(30)는 메인프레임(10) 후단부와의 결합부로부터 그 하부 방향으로 연장함에 따라 그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는 그 내부 공간에 아기를 눕히고 엄마가 누워서 모유수유를 가능하게 하는 보조 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아기가 눕혀지는 보조기구 내부의 바닥면에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아기 이불, 도포, 담요 등을 깔아주어도 무방할 수 있다.
하지만, 펜션, 유아놀이방, 자모실, 야외 등 아기에게 청결함을 확실하게 보장해줄 수 없는 환경에서 모유수유를 진행해야 하거나, 또는 아기의 머리를 엄마의 가슴에 밀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는 경우 등과 같이 특수한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특수한 경우를 극복하여 개선하기 위한 추가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자는 경사판(40)의 사용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을 제안하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5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10)과 경사판(40)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워서하는 모유수유를 위한 보조 기구는 메인프레임(10)과 탈부착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전방개구(16)의 방향에서 후방개구(17)의 방향으로 하강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경사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판(40)은 아기를 그 위에 눕혔을 때에 머리가 놓이는 부분이 높고 다리가 놓이는 부분이 낮도록 형성됨으로써, 누워서 수유시 아기의 머리가 엄마의 가슴에 밀착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참고로, 상기 경사판(40)은 상기 메인프레임(10)과 유사하게 가볍고 단단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솜 또는 스펀지를 삽입하여 아기에게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함으로써 편안한 수유를 보조할 수 있다.
특히, 경사판(40)의 상부면은 아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친환경 소재의 재질로 상부면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경사판(40)을 메시 커버 등으로 도포함으로써 통기성을 개선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판(40)은 필요할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그러한 결합예가 도 5a와 도 5b에 각각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40)의 길이방향의 양측에는 결합홈(41)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양 단부가 상기 경사판(40)의 결함홈(41)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메인프레임(10)에의 경사판(40)의 결합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판(40)은 메인프레임(10)에의 탈착이 용이하고, 특히 경사판(4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분리 및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판(40)의 양측에 소정의 탈부착 수단, 예컨대 벨크로(43)가 구비될 수 있고, 메인프레임의 대응하는 위치에도 소정의 탈부착 수단, 예컨대 벨크로(18)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벨크로(18, 43) 등을 이용하여 메인프레임(10)과 경사판(40)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한 메인프레임(10)과 경사판(40)의 탈부착 가능한 결합을 구현하기 위한 예로서 결합홈에의 가압 방식, 벨크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들은 결합의 일 예에 불과하며, 지퍼, 단추, 똑딱이 등의 다른 방식의 결합 또한 활용 가능함은 명백하다.
추가로,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판(40)의 구현예를 도시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40)은 그 내부에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열선(42)이 더 내장될 수 있다.
동절기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마감부재(30)를 이용하여 후방개구(17)를 마감함으로써 아기의 따뜻한 환경을 마련할 수는 있으나, 날씨가 매우 춥거나(혹한기 등) 또는 집에 외풍이 심한 등의 추가적인 요인들로 인해 아기에게 좀 더 따뜻한 환경을 제공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판(40)은 그 내부에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열선(42)을 더 내장하고, 그 열선(42)을 활성화함으로써 상기한 특수 케이스를 또한 극복할 수 있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구의 하절기 사용예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구의 동절기 사용예를 도시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부(20)에는 엄마의 팔을 안착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 제1 굴곡부(21), 및 엄마의 다리를 안착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 제2 굴곡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엄마가 누워서 모유수유함에 있어, 제1 굴곡부(21) 및 제2 굴곡부(22)를 이용하여 팔과 다리를 편안하게 거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엄마의 편안한 자세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절기 등의 따듯하거나 더운 환경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30)를 생략하여 보조 기구를 사용할 수 있고, 동절기 등의 시원하거나 추운 환경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30)를 통해 후방개구(17)를 마감한 채로 보조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보조 기구 전체를 감싸는 부가적인 커버(예컨대, 얇은 천)를 구비하여 상기 커버부(20)의 상부면 및/또는 상기 경사판(40)을 덮어줄 수 있고, 그에 따라 엄마의 팔·다리 피부에 땀이 차거나 짓무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부가적인 커버는 벨크로, 단추, 지퍼, 등에 의해 커버부(20) 및/또는 경사판(40)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들 수단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특히 제1 및 제2 굴곡부(21, 22)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며, 그에 따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마가 아기의 좌측에서 누워서 우측 팔과 다리를 굴곡부(21, 22)에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엄마가 아기의 우측에 누워서 좌측 팔과 다리를 굴곡부(21, 22)에 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프레임(10)의 내부벽에 블루투스 스피커(50) 또는 간접등(60)이 구비되는 보조 기구의 예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9a에 도시된 보조 기구와 관련하여, 경우에 따라 엄마는 누워서 모유수유를 하면서 동시에 아기에게 자장가 등의 청각적 자극을 제공하기를 희망할 수도 있다. 예컨대, 메인프레임(1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블루투스 스피커(50)에는 통신부, 저장부, 믹서, 릴레이, 전처리부, 증폭부, 스피커부,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엄마의 휴대 단말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전달받아 이를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벽 시간에 아기가 잠에서 깨어 조명을 켜지 않은 채 누워서 모유수유를 하는 경우에 은은한 불빛으로 아기를 조명하기 위한 간접등(60)이 상기 메인프레임(10)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내부벽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워서하는 모유수유를 위한 보조 기구에 의하면, 엄마가 누워서 아기에게 모유를 수유함에 있어 엄마가 보다 편안한 자세를 갖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엄마의 관련 질환(예컨대, 근골격계 질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워서하는 모유수유를 위한 보조 기구에 의하면, 엄마가 누워서 수유를 하면서 보조 기구의 상부면에 팔 또는 다리를 거치시킬 수 있어 엄마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유 자세가 불안정하여 원활한 수유가 제한되는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워서하는 모유수유를 위한 보조 기구에 의하면, 메인프레임의 후방개구를 마감하도록 구성되는 마감부재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하절기, 동절기 등의 계절에 따라 보조 기구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반송하거나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메인프레임 11: 메인바디
12: 결합홈 16: 전방개구
17: 후방개구 18: 벨크로
20: 커버부 21: 제1 굴곡부
22: 제2 굴곡부 30: 마감부재
40: 경사판 41: 결합홈
42: 열선 43: 벨크로
50: 블루투스 스피커 60: 간접등

Claims (10)

  1.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로서,
    상기 보조 기구는 누워서하는 모유수유를 위한 보조 기구이면서 성인이 누워서 아기를 돌보는 경우에 사용되는 보조 기구에 해당하고,
    상기 보조 기구는,
    폭 방향의 단면이 반원 또는 반타원 형태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내부 공간에 아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전방개구(16) 및 후방개구(17)를 갖는 메인프레임(10); 및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부(20)
    를 포함하는,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양 단부에 u자 형상의 결합홈(12)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u자 형상의 결합홈(12)에 압착가압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10)에 결합되는,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결합홈(12)에 압착가압되는 양 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20)에는 제1 굴곡부(21) 및 상기 제1 굴곡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굴곡부(2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굴곡부(21)는 엄마의 팔을 안착하기 위한 형상을 갖고, 그리고 상기 제2 굴곡부(22)는 엄마의 다리를 안착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 및 상기 커버부(20)의 후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후방개구(17)를 마감하도록 구성되는 마감부재(30)를 더 포함하는,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3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후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함에 따라 그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방개구(16)의 방향에서 상기 후방개구(17)의 방향으로 하강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경사판(40)을 더 포함하는,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40)의 내부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열선(42)이 내장되는,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20)는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복수의 커버들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커버들 중 제1 커버에 상기 제1 굴곡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커버들 중 제2 커버에 상기 제2 굴곡부(22)가 형성되는,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형상과 동일하도록 폭 방향의 단면이 반원 또는 반타원 형태를 갖는,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KR1020170086932A 2017-07-10 2017-07-10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KR20190006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932A KR20190006228A (ko) 2017-07-10 2017-07-10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932A KR20190006228A (ko) 2017-07-10 2017-07-10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228A true KR20190006228A (ko) 2019-01-18

Family

ID=6532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932A KR20190006228A (ko) 2017-07-10 2017-07-10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62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9478A (zh) * 2020-06-01 2021-12-07 Joien有限公司 多用途幼儿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321Y1 (ko) 2003-07-16 2004-07-23 조성희 경사수유쿠션 맘마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321Y1 (ko) 2003-07-16 2004-07-23 조성희 경사수유쿠션 맘마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9478A (zh) * 2020-06-01 2021-12-07 Joien有限公司 多用途幼儿垫
WO2021246671A1 (ko) * 2020-06-01 2021-12-09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1347B1 (en) Nursing wedge
US6581226B1 (en) Open frame pillow and head support system
US20060174413A1 (en) Substitutive pillow
CN204950319U (zh) 孕妇枕
KR101597215B1 (ko) 신생아용 침구
GB2297252A (en) Arm support
CA2505699A1 (en) Convert-a-pillow
KR20190006228A (ko) 아기 돌봄을 위한 보조 기구
KR101123376B1 (ko) 수유용 영아 받침시트
KR200469436Y1 (ko)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
KR20110006436U (ko) 수유쿠션 및 다용도베개 세트
CN203168670U (zh) 母婴枕毯
KR101677806B1 (ko) 다용도 수유 쿠션
US20060101579A1 (en) Breast feeding support device
KR20150000736U (ko) 젖병 고정기
CN211631820U (zh) 鸟巢式婴儿包被
CN203073888U (zh) 哺乳垫
KR20120055799A (ko) 신생아와 유아의 다기능 쿠션기능 및 침대
CN208659680U (zh) 一种儿科降温装置
KR101886795B1 (ko) 다기능 유아용 침구
CN201617509U (zh) 一种婴童助长椅
JP2008068051A (ja) 乳房型装着式哺乳装置
CN205285790U (zh) 用于促进肩颈健康管理的枕头
CN218500324U (zh) 靠垫
CN211460947U (zh) 早产儿v型摆位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