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376B1 - 수유용 영아 받침시트 - Google Patents

수유용 영아 받침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376B1
KR101123376B1 KR1020110084752A KR20110084752A KR101123376B1 KR 101123376 B1 KR101123376 B1 KR 101123376B1 KR 1020110084752 A KR1020110084752 A KR 1020110084752A KR 20110084752 A KR20110084752 A KR 20110084752A KR 101123376 B1 KR101123376 B1 KR 101123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seat body
sheet
headrest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열
Original Assignee
김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열 filed Critical 김진열
Priority to KR1020110084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47D13/083Baby feeding cushion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모가 영아를 간편하게 안고 수유를 하거나 돌보기 위한 받침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포쿠션을 이용하여 머리받이부와 등받이부 및 엉덩이받이부가 일체로 성형된 시트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시트본체 전체에는 직물시트를 감싸 형성하되, 머리받이부에는 함몰부 및 함몰부로부터 돌출된 융출부를 형성하여 영아의 머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하고, 등받이부에는 반복의 통기홈부를 형성하여 영아의 등 부분으로부터 원활한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엉덩이받이부에는 걸림턱부를 형성하여 영아의 신체가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영아의 머리 부분이 안정적으로 안치되면서도 받쳐지도록 함에 따라 목 가눔이 완전하지 못한 영아를 안정적인 자세로 수유하거나 돌볼 수 있는 것이고, 수유용 받침시트 전체를 사용자의 팔로 감싸 안을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자세로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통기성이 우수하여 수유시 체온 상승으로 인한 답답함과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며, 수유용 받침시트 내에서 영아가 미끄러짐 없이 안정적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보호자는 물론 영아 모두 만족스러운 사용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유용 영아 받침시트 {Sheet for supporting and nursing infants}
본 발명은 산모가 영아를 간편하게 안고 수유를 하거나 돌보기 위한 받침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받이부와 등받이부 엉덩이받이부가 시트본체로부터 곡면의 홈 형태로 형성된 받침시트를 구비하되, 상기 머리받이부에는 영아의 머리가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앉혀지도록 개선하고, 상기 등받이부에는 원활한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개선하며, 상기 엉덩이받이부에는 영아가 미끄러지도록 하지 않으면서도 시트본체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개선함에 따라 사용상의 편리성이 뛰어난 특징의 수유용 영아 받침시트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잦은 수유를 요하는 신생아의 경우 근골격이 완전하게 발달하지 않아 매우 조심스럽게 다뤄야 하는 것이고, 수유 이외에도 보호자는 수시로 영아를 안아주는 등의 보살핌이 필요한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영아는 두터운 이불이나 요 등을 이용하여 영아의 몸을 감깐 상태에서 수유를 하거나 달래기를 하게 되는데, 상기의 이불이나 요는 영아의 몸 전체를 감싸주면서 포근함과 안락함을 주기 위한 것이고, 목 가눔이 익숙하지 못한 영아의 머리를 자연스럽게 받쳐주기 때문에 안전한 상태에서 수유를 하거나 영아를 돌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불이나 요 등은 부피가 매우 커서 사용이 부담스러운 것이고, 하절기에는 영아가 더위를 느끼게 되는 것이며, 오염이 쉽게 되면서도 오염되는 경우에는 시트커버 전체를 세탁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로운 것이 사실이다.
이에, 근자에 들어서는 다양한 형태로 된 수유 보조기구가 안출되어 수유시의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하고 있는 것으로서, 수유 쿠션 또는 수유 시트라 불리고 있다.
이와 같은 수유 쿠션은 연질 탄력재로 된 발포 패드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머리받이부와 등받이부 및 엉덩이받이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직물시트가 이들을 감싼 형태로 만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수유 쿠션에 영아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수유 쿠션을 들어 더욱 간편하게 수유를 하거나 영아를 돌볼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유 쿠션은 영아의 머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감싸 지지하지 못하므로 목 가눔이 어려운 영아의 머리를 손으로 받쳐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고, 통기성도 원활하지 못하여 사용감이 우수하지 못한 것이며, 영아가 수유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져 내려오는 사례가 빈번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기존의 수유 쿠션은 다양한 신체 크기를 갖는 영아를 위해 머리받이부가 넓은 면적의 홈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신생아인 경우에는 머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므로 부득이 보호자가 신생아의 머리를 받쳐준 상태에서 수유를 하거나 돌봐야 하는 것이고, 넓적한 패드 형태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영아의 등 부분에서 땀으로 인한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는 영아의 경우 신체 온도가 유아나 성인에 비해 높은 편이고 수유시에는 많은 힘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체온이 더욱 상승하면서 많은 땀을 흘리게 되는데 영아의 등 부분이 연질 탄력재로 된 수유 쿠션에 밀착됨에 따라 영아의 등 부분에서는 체온의 발열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더욱 많은 땀을 흘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수유 쿠션은 영아의 다리가 편안하게 걸쳐지도록 엉덩이받이부에 하향 곡면 형태의 허벅지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이와 같은 허벅지 지지부는 오히려 영아의 무게중심이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촉진하여 사용 중 영아의 몸이 수유 쿠션으로부터 점점 미끄러져 내려감에 따라 빈번하게 영아의 몸을 다시 바로잡아 주어야 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수유 쿠션은 많은 장점을 제공하고자 개발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보호자 및 영아는 다양한 면에서의 불편함을 갖거나 느끼고 있어 상기와 같은 수유 쿠션에 대한 구조적인 개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발포쿠션을 이용하여 머리받이부와 등받이부 및 엉덩이받이부가 일체로 성형된 시트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시트본체 전체에는 직물시트를 감싸 형성하되, 머리받이부에는 함몰부 및 함몰부로부터 돌출된 융출부를 형성하여 영아의 머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하고, 등받이부에는 반복의 통기홈부를 형성하여 영아의 등 부분으로부터 원활한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엉덩이받이부에는 걸림턱부를 형성하여 영아의 신체가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수유 쿠션이 갖고 있던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한 특징을 갖는 수유용 영아 받침시트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포시트를 성형하여 머리받이부와 등받이부 및 엉덩이받이부가 일체로 형성되게 한 시트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시트본체의 표면에는 직물시트를 감싸 부착 형성하여 된 수유용 영아 받침시트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이부에는 제1요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요함부의 중앙부에는 시트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방형의 제2요함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요함부의 내측에는 제2요함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융출부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등받이부에는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통기홈부를 상,하 반복하여 형성하고 이들 통기홈부의 끝단은 폐곡선 형태의 연결홈부에 의해 이어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엉덩이받이부에는 끝단부에 걸림턱부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영아의 머리 부분이 안정적으로 안치되면서도 받쳐지도록 함에 따라 목 가눔이 완전하지 못한 영아를 안정적인 자세로 수유하거나 돌볼 수 있는 것이고, 수유용 받침시트 전체를 사용자의 팔로 감싸 안을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자세로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통기성이 우수하여 수유시 체온 상승으로 인한 답답함과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며, 수유용 받침시트 내에서 영아가 미끄러짐 없이 안정적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보호자는 물론 영아 모두 만족스러운 사용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유용 받침시트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유용 받침시트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유용 받침시트의 머리받이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유용 받침시트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유용 받침시트의 등받이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유용 받침시트의 엉덩이받이부 확대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유용 받침시트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유용 받침시트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유용 받침시트는, 발포수지를 가압 성형하여 된 시트본체(10)에 대하여 곡면 홈 형태로 된 머리받이부(20)와 등받이부(30) 및 엉덩이받이부(40)가 상부로부터 하향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머리받이부(20)는 영아의 머리 부분이 앉혀지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등받이부(30)는 영아의 등 부분이 밀착되어 체중을 지탱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엉덩이받이부(40)는 영아의 체중을 분산하여 지탱하면서도 시트본체(10) 내에 영아가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굴곡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트본체(10)의 표면 전체에는 직물시트(11)가 감싸져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직물시트(11)는 영아의 피부에 자극을 주지않으면서도 부드러운 소재를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시트본체(10)는 하부의 경질쿠션층(12)과 상부의 연질쿠션층(13)에 의해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은 시트본체(10)의 머리받이부(20)와 등받이부(30)의 사이 양측부에는 만곡의 요홈 형태로 된 팔목홈부(14)(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팔목홈부(14)(14')는 상기의 시트본체(10)를 보호자의 한 쪽 허벅지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오른손 또는 왼손을 이용하여 시트본체(10)를 감싼 후 상기 팔목홈부(14)(14')를 통해 손목 부분이나 팔뚝 부분이 팔목홈부(14)(14')로 위치되게 함에 따라 더욱 안정적인 자세로 시트본체(10) 및 내부의 영아를 감싸 안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의 팔목홈부(14)(14')에 의해 영아가 안치된 상태의 시트본체(10)를 전체적으로 감싸 안을 수 있으므로 영아는 더욱 안락함을 느끼게 되는 동시에 보호자는 손목이나 팔뚝에서 느끼던 시트본체(10)와의 간섭(기존의 수유쿠션은 팔목홈부가 없어 보호자의 팔이 넓게 뻗어진 상태로 감싸게 되므로)이 상대적으로 약화되므로 그에 따른 통증이나 이물감이 크게 줄어 사용 만족도가 뛰어난 것이다.
특히, 영아의 머리 부분이 안치되기 위한 머리받이부(20)는 도 3의 단면도와 같이 시트본체(10)로부터 넓게 함몰된 제1요함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요함부(21)의 바닥 중앙부에는 시트본체(10)의 수직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진 제2요함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제2요함부(22)의 바닥부에는 제2요함부(22)의 형상과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융출부(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넓은 면적으로 된 제1요함부(21)에 의해서는 영아의 머리 부분 중 양측부와 간섭하여 머리가 지나치게 흔들거리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영아의 머리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제1요함부(21)의 내측면에 의해 이를 지지하여 안정적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제1요함부(21) 내의 제2요함부(22)는 영아의 머리 부분 중 뒷부분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제1요함부(21)와 제2요함부(22) 간의 경계부에 의해 영아의 머리 뒷부분에 대한 양측 지지가 가능하여 영아의 머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요함부(22) 내의 융출부(23)는 제1요함부(21)의 내측으로는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인데, 이는 상기 융출부(23)가 영아의 머리 부분 중 가장 뒷쪽 중앙에 위치하면서 머리가 작은 영아의 경우 머리 부분이 지나치게 제2요함부(22) 내측으로 안치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수유 중 땀이 많이 발생하는 영아의 머리 부분에 대한 통기성을 확보 및 확대시킴에 따라 더욱 쾌적한 상태에서의 수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시트본체(10)는 전기한 바와 같이 경질쿠션층(12)과 연질쿠션층(12)의 이중 가압 성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인데, 이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하부에는 경질쿠션층(12)이 위치하여 영아의 체중에 대하여 안정적인 지지와 시트본체(1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고, 상측의 연질쿠션층(13)은 부드러운 탄성력으로 인해 영아가 포근하고 안락한 상태를 느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경질쿠션층(12)과 연질쿠션층(13)은 인체에 무해한 EVA 발포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이중 쿠션층 구조의 시트본체(10)의 외표면 전체에는 역시 인체에 무해하고 부드러운 소재로 된 직물시트(11)를 감싸 밀착 형성하여 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직물시트(11)는 필요에 따라 쿠션층으로부터 벗겨 세척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위생적인 측면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영아의 체중을 상당부분 지탱하기 위한 등받이부(30)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연속하여 반복 형성된 통기홈부(31)(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통기홈부(31)(31')의 끝단에는 이들 통기홈부(31)(31')를 서로 연결하는 폐곡선 형태의 연결홈부(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통기홈부(31)(31')는 연결홈부(32)는 영아의 등 부분에 대한 통기성을 향상시켜 수유 중 체온의 상승으로 인해 땀을 흘리거나 더위를 느끼게 되는 영아에 대하여 쾌적한 상태에서의 사용이나 휴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이 영아의 체온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는 통기홈부(31)(31') 내의 공기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홈부(32)로 이동하여 외기와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 통기성이 매우 우수한 것이다.
또한, 영아의 엉덩이가 앉혀지는 부분인 엉덩이받이부(40)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시트본체(10)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 엉덩이받이부(40)의 끝단에는 상측으로 융출된 걸림턱부(4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중으로 인해 영아가 엉덩이받이부(40)로부터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수유쿠션으로부터 영아가 자꾸 미끄러져 내려와 이를 다시 올려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걸림턱부(41)는 다리를 올리고 있거나 오므리고 있는 영아의 특성상 허벅지의 하부와는 거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엉덩이 부분에서만 간섭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영아가 느끼게 되는 이물감은 그리 크지 않아 불편함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엉덩이받이부(40)의 저면에는 만곡의 곡률로 된 안치홈부(42)를 형성하여 된 것으로, 상기의 안치홈부(42)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시트를 보호자의 한 쪽 허벅지 상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 허벅지의 상측에 상기 안치홈부(42)가 위치하도록 하여 본 발명의 받침시트를 사용하게 되면 받침시트가 보호자의 허벅지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받침시트의 등받이 부분을 받치고 있는 한쪽 손과 상기 안치홈부(42)에 위치하는 한쪽의 허벅지만으로도 받침시트의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다른 한 손을 이용하여 수유를 위한 다양한 동작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극대화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수유용 영아 받침시트는 기존의 수유쿠션이 갖고 있던 제반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더불어 영아는 물론 보호자 모두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에서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시트본체 11 : 직물시트
12 : 경질쿠션층 13 : 연질쿠션층
14,14' : 팔목홈부
20 : 머리받이부 21 : 제1요함부
22 : 제2요함부 23 : 융출부
30 : 등받이부 31,31' : 통기홈부
32 : 연결홈부
40 : 엉덩이받이부 41 : 걸림턱부
42 : 안치홈부

Claims (4)

  1. 발포시트를 성형하여 머리받이부와 등받이부 및 엉덩이받이부가 일체로 형성되게 한 시트본체를 구성하되, 상기 시트본체는 하측의 경질쿠션층과 상측의 연질쿠션층으로 구성하여 상기 시트본체의 표면에 직물시트를 감싸 부착 형성하고, 상기 머리받이부에는 요함부를 형성하며, 상기 등받이부에는 통기홈부를 형성하여 된 수유용 영아 받침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본체(10)는, 머리받이부(20)와 등받이부(30)의 사이 양측에 팔목홈부(14)(14')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머리받이부(20)의 요함부는, 제1요함부(21)의 중앙부에 시트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방형의 제2요함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제2요함부(22)의 내측에는 제2요함부(22)와 대응하는 형상의 융출부(23)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등받이부(30)의 통기홈부는, 시트본체(10)의 상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통기홈부(31)(31')를 상,하 반복하여 형성하고 이들 통기홈부(31)(31')의 끝단은 폐곡선 형태의 연결홈부(32)에 의해 이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엉덩이받이부(40)는, 시트본체(10)의 상측 끝단부에 걸림턱부(41)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영아 받침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084752A 2011-08-24 2011-08-24 수유용 영아 받침시트 KR101123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752A KR101123376B1 (ko) 2011-08-24 2011-08-24 수유용 영아 받침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752A KR101123376B1 (ko) 2011-08-24 2011-08-24 수유용 영아 받침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376B1 true KR101123376B1 (ko) 2012-03-23

Family

ID=4614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752A KR101123376B1 (ko) 2011-08-24 2011-08-24 수유용 영아 받침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3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856B1 (ko) * 2013-03-27 2013-10-21 김현정 수유용 받침시트
WO2014129739A1 (ko) * 2013-02-20 2014-08-28 Park Moon Hwan 영아 시트 침대
KR20160046393A (ko) 2014-10-20 2016-04-29 박용직 수유 시트
KR20240010827A (ko) 2022-07-18 2024-01-25 주식회사 폴레드 수유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이들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69B1 (ko) * 2009-01-14 2009-07-06 김세영 수유 쿠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69B1 (ko) * 2009-01-14 2009-07-06 김세영 수유 쿠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739A1 (ko) * 2013-02-20 2014-08-28 Park Moon Hwan 영아 시트 침대
KR101516703B1 (ko) * 2013-02-20 2015-05-04 김슬기 영아 시트 침대
CN105007782A (zh) * 2013-02-20 2015-10-28 朴文焕 婴儿座椅床
KR101320856B1 (ko) * 2013-03-27 2013-10-21 김현정 수유용 받침시트
KR20160046393A (ko) 2014-10-20 2016-04-29 박용직 수유 시트
KR20240010827A (ko) 2022-07-18 2024-01-25 주식회사 폴레드 수유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이들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4183B1 (en) S-shaped pillow for flexible body support
EP0789527B1 (en) Support pillow with lumbar support for use in nursing and other applications
JP5490822B2 (ja) 授乳クッション
KR101516703B1 (ko) 영아 시트 침대
ES2885425T3 (es) Dispositivo de contorneado de respaldo
KR101123376B1 (ko) 수유용 영아 받침시트
JP6240121B2 (ja) 椅子
KR200469668Y1 (ko) 기능성 방석
KR200389920Y1 (ko)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유아용 수유쿠션
JP3182222U (ja) 頸部支持器具
KR101737588B1 (ko) 자세 교정용 침구류 패키지
KR20220000089U (ko) 유아용 침구 겸 포대기
EP1557117A1 (en) Unit for supporting a baby
KR20150038795A (ko) 맞춤형 기능성 베개
JP6457051B2 (ja) 椅子
KR102571552B1 (ko)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JP2002325656A (ja) C字型クッション
KR101447831B1 (ko) 영유아용다용도포대기
KR20220003052U (ko) 수유 아기띠
KR101640056B1 (ko) 수유 시트
KR20100002801U (ko) 수유쿠션
KR20120055799A (ko) 신생아와 유아의 다기능 쿠션기능 및 침대
KR20120055899A (ko) 팔베개
JP3206959U (ja) 乳幼児用おくるみシート
KR102612662B1 (ko) 힙시트와 수유시트로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아기용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