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215B1 - 신생아용 침구 - Google Patents

신생아용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215B1
KR101597215B1 KR1020140094144A KR20140094144A KR101597215B1 KR 101597215 B1 KR101597215 B1 KR 101597215B1 KR 1020140094144 A KR1020140094144 A KR 1020140094144A KR 20140094144 A KR20140094144 A KR 20140094144A KR 101597215 B1 KR101597215 B1 KR 101597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wborn
newborn baby
lid
bedding
ba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2555A (ko
Inventor
이지혜
Original Assignee
이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35557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9721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혜 filed Critical 이지혜
Priority to KR1020140094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215B1/ko
Publication of KR20160012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41B13/065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with sleep positioning fea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44Donning fac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생아용 침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신생아용 침구는, 신생아의 몸을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며, 이불이 신생아를 눌러줄 수 있도록 충진물이 저장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용 침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며, 신생아의 양다리를 끼워 신생아를 이불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허벅지 착용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용 침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신생아의 몸을 덮는 덮개부의 양측에 충진물이 저장되는 가압부가 구비되어 신생아의 양팔과 양측 어깨부터 가슴, 배를 지그시 눌러주도록 덮어 신생아가 수면 중 팔다리를 허우적대다 깨는 것을 방지하고, 안아주는 느낌으로 신생아가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저면에 신생아의 양 허벅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허벅지 착용구가 구비됨으로써, 신생아가 수면 중 이불을 차서 체온이 떨어지거나 배앓이를 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생아의 얼굴에 이불이 덮거나 스스로 엎드려 자다 질식사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Description

신생아용 침구 {Bedding for Newborn Baby}
본 발명은 신생아용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신생아의 몸을 덮는 덮개부와 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충진물이 저장되는 가압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압부의 무게로 인해 신생아가 수면중 팔다리를 허우적대다 스스로 깨거나, 수면 자세의 변경을 통해 요나 이불이 신생아의 코와 입을 막아 질식사 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안아주는 느낌으로 신생아가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덮개부의 저면에 신생아의 양다리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허벅지 착용구를 구비함에 따라, 신생아가 수면중 이불을 차서 감기에 걸리거나 배앓이를 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생아용 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엄마 뱃속에서 양수로 둘러싸여 안정적으로 웅크리고 있었던 신생아는 태어나 공기중에 노출되면 불안감을 느끼게 되므로 외부의 작은 자극에도 쉽게 잠에서 깨고, 수면중 팔을 허우적대다 스스로 놀라서 깨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산부인과 병원에서는 아기를 담요로 단단히 싸서 재우는 방식을 채택하여 수면시 온기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가정에서도 일정기간 엄마의 뱃속과 같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강보나 속싸개로 몸을 감싸주도록 하고 있다.
또한, 부검이나 사망 당시의 상황이나 병력검토 등 사후검사에서도 사망원인을 찾을 수 없는 신생아 나 영아(0~12개월)의 갑작스러운 죽음인 영아 돌연사 증후군(SIDS ; Sudden Infant Death Syndrome)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미국에서는 오랜 동안의 연구끝에 아이를 엎드려 재우는 습관, 모체의 흡연, 모유수유를 안 할 경우, 아이를 이불로 너무 감싸는 습관, 미숙아와 같은 위험인자를 가진 아기들에서 보다 더 잘 발생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신생아가 수면중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속싸개로 몸을 감싼 후 엎드려 재우거나, 옆으로 눕혀 재우는 것보다 바로 눕혀 재우는 것이 좋다는 것이 육아상식이 되었고, 신생아가 잠을 자면서 자세를 바꾸지 않도록 사소한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신생아가 바로 누워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종래 "유아용 안전 침구(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9-0073411호)"가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종래 유아용 안전 침구에 의하면 유아가 눕혀지는 침구용 깔개와 유아 의복에 부착되어 있는 제1 및 제2 고정수단에 의해 유아의 등이 바닥면에 항상 고정될 수 있어, 보호자가 잠시 자리를 비우거나 소홀히 한 경우에도 유아가 몸을 뒤집어 바닥에 엎어져 장시간 방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질식사고 또는 영아 돌연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유아용 안전 침구의 경우, 침구용 깔개와 유아 의복에 고정수단을 부착하여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더불어, 유아의 의복에 부착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유아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방해하고, 오히려 답답함을 느낄 수 있어 유아가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유아용 안전 침구는 부모가 잠든 유아에게 상기 제 2고정수단이 부착된 옷을 입히고, 침구용 깔개의 제 1고정수단에 눕히는 과정이 번거로운 문제점 또한 있었다.
이와 더불어 종래 유아용 안전침구는 등이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을뿐 팔, 다리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형태로서 유아가 수면중 팔, 다리를 허우적대다가 스스로 깨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그리고, 종래 "유아용 침구(공개실용신안 2000-0011290호)"에 의하면 자리에 까는 요, 요위에 덮는 이불 및 상기 요와 이불의 양측 가장자리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이불이 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잠정적으로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단추, 지퍼, 매직 테이프, 벨크로 테이프 및 안전벨트 잠금장치로 구성됨으로써, 이불을 요에 잠정고정시켜 유아 또는 어린이가 이불을 걷어차지 못하도록 하여 유아 또는 어린이의 수면시 충분한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유아용 침구에 의하면, 요와 이불의 양측 가장자리를 결합하여 신생아가 바로 누워 수면을 취하더라도 몸을 뒤척일 경우 요와 이불 사이로 들어가 신생아의 얼굴에 이불이 덮여 질식사할 위험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신생아의 몸을 덮는 덮개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충진물이 저장되는 가압부가 구비되어 신생아의 양팔과 양측 어깨부터 가슴, 배, 다리의 일부를 지그시 눌러주도록 덮어 잠든 신생아를 깨우지 않으면서 수면중 팔다리를 허우적대다 깨는 것을 방지하고, 안아주는 느낌으로 신생아가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저면에 신생아의 양다리를 끼울 수 있도록 허벅지 착용구가 구비됨으로써, 수면 자세의 변경을 요나 이불이 신생아의 코와 입을 막아 질식사 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신생아가 수면 중 이불을 차서 감기에 걸리거나 배앓이를 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생아용 침구는, 신생아의 몸을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며, 신생아를 눌러줄 수 있도록 충진물이 저장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저면에 형성되며, 신생아의 양다리를 끼워 신생아를 이불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허벅지 착용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생아의 몸을 덮는 덮개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충진물이 저장되는 가압부가 구비되어 신생아의 양팔과 양측 어깨부터 가슴, 배를 지그시 눌러주도록 덮어 주어 수면중 팔다리를 허우적대다 깨는 것을 방지하고, 안아주는 느낌으로 신생아가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저면에 신생아의 양다리를 끼울 수 있도록 허벅지 착용구가 구비됨으로써, 수면중 신생아의 뒤척임으로 인해 이불이 신생아의 얼굴을 덮어 질식사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신생아가 수면 중 이불을 차서 감기에 걸리거나 배앓이를 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신생아용 침구의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대한 신생아용 침구 중 덮개부와 가압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신생아용 침구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신생아용 침구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대한 신생아용 침구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대한 신생아용 침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대한 신생아용 침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대한 신생아용 침구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신생아용 침구의 사시도이며, 도 2은 본 발명에 대한 신생아용 침구 중 덮개부와 가압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신생아용 침구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신생아용 침구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대한 신생아용 침구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생아용 침구(1)에 있어서, 중앙에 신생아의 몸을 덮는 덮개부(10)와; 상기 덮개부(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며, 신생아의 양측을 눌러줄 수 있도록 충진물(30)이 저장되는 가압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10)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며, 신생아의 양다리를 끼워 신생아가 수면중 뒤척임으로 인해 상기 덮개부(10)가 신생아의 얼굴을 덮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허벅지 착용구(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신생아용 침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신생아용 침구(1)는 신생아의 연약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땀흡수가 잘되는 이중의 순면재질로 형성된 덮개부(10)와 상기 덮개부(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충진물(30)이 저장되는 가압부(20)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와 상기 덮개부(10)와 가압부(30) 사이에 재봉선(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써 신생아의 양팔과 어깨, 가슴, 배의 양측 일부를 상기 가압부(20)가 지그시 눌러주도록 덮어줌으로써 수면중에 팔을 허우적대다가 깜짝 놀라 스스로 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20)의 눌러주는 압력으로 인해 엄마의 뱃속과 같은 심리적 안정감을 주어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잠든 신생아를 눕히고 상기 침구(1)를 덮어주는 방식으로 종래에 요와 이불이 고정된 침구에 신생아를 눕히는 과정보다 간편하여 신생아가 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20)의 충진물(30)은 신생아의 태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좁쌀, 메밀 등 알맹이가 작고, 차가운 성질을 갖으면서 구매 단가가 저렴한 곡물을 사용하고, 신생아에게 적당한 무게감을 주면서도 수면중 팔이나 다리가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대략 500g의 곡물을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0)와 상기 가압부(20)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10)와 상기 가압부(20)사이를 연결하는 결합수단(60)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덮개부(10)와 상기 가압부(20)를 각각 분리하여 세탁, 교환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60)은 지퍼, 벨크로 파스너, 스냅단추, 연결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누구나 쉽게 분리,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덮개부(10)와 가압부(20)의 폭을 신생아의 크기와 수면 습관에 따라 서로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어 신생아에게 꼭 맞는 침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허벅지 착용구(40)는 상기 덮개부(10)로부터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허벅지 착용구(40)의 양단과 상기 덮개부(1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70)이 구비되어 상기 허벅지 착용구(40)를 통해 신생아의 양다리를 삽입하여 신생아의 뒤척임에 의해 상기 침구(1)가 신생아의 얼굴을 덮어 호흡곤란을 일으키거나 수면중 이불을 걷어차서 감기, 배앓이와 같은 증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70)은 상기 덮개부(10)의 저면에 신생아의 머리에서 다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암벨크로 파스너와 이와 대응결합되는 상기 허벅지 착용구(40)의 양단에 구비된 수벨크로 파스너 또는 상기 덮개부(10)의 저면에 신생아의 머리에서 다리 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된 암스냅단추와 상기 허벅지 착용구(40)의 양단에 구비된 수스냅단추가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써 상기 허벅지 착용구(40)의 양단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생아의 다리 굵기나 수면중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신생아의 머리에서 다리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신생아의 허벅지, 무릎, 또는 발목 부위에 끼울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허벅지 착용구(40)의 양단은 상기 덮개부(10)의 저면에 재봉되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순면재질이나 신축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허벅지 착용구(40)에 신생아의 허벅지를 끼웠을때 상기 덮개부(10)의 상부가 신생아의 목이나 어깨부위를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허벅지 착용구(40)가 신생아의 발목에서 허벅지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덮개부(10)가 신생아의 얼굴을 덮어 질식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신생아용 침구(1) 중 상기 가압부(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시간 사용한 좁쌀 등의 상기 충진물(30)을 교환할 수 있도록 상부면 일측에 충진물 개폐부(22)가 구비되어 신생아의 땀, 분유 등의 이물질로 오염된 상기 충진물(30)을 새로운 충진물로 갈아주어 청결한 이불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충진물 개폐부(22)는 신생아가 몸을 뒤척이거나 상기 침구(1)를 보관시 상기 충진물(30)이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가압부(20)는 방수, 방풍, 투습 섬유인 고어 텍스(Gore-Tex)와 같은 방수 원단을 사용하여 신생아의 땀, 분유, 배설물 등에 의해 오염되어 세균, 곰팡이 증식 등에 의해 발생을 방지하고, 땀의 배출과 통풍을 원활하게 하여 상기 가압부(20)를 청결한 상태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2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0)의 양측 및 하부에 형성되어 신생아를 눌러주는 무게를 증가시키고, 상기 덮개부(10)를 중심으로 사각의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신생아를 눌러주는 무게를 분산시켜 신생아가 수면중 뒤척이는 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신생아용 침구(1)의 상기 덮개부(1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름철에 단겹의 망사로 구비하여 신생아의 땀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겨울철에 이중의 망사 또는 이중의 순면재질로 구비하여 하부 일측에 형성된 보온재 개폐부(13)를 통해 오리털, 거위털, 목화 또는 인조솜 등의 보온재(50)를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계절이나 실내 온도에 따라 신생아의 체온을 유지하고 편안하게 수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10)는 통풍이 잘되는 면재질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보온재 개폐부(13)는 상기 충진재 개폐부(22)와 마찬가지로 신생아가 수면 중 뒤척이거나 상기 침구(1)를 보관할 시 상기 보온재(50)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덮개부(10)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봉선(2)에 의해 연속적으로 세부분으로 구획되며, 각각 단겹 또는 이중으로 망사 또는 면재질을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신생아가 열이 나거나, 감기에 걸렸을 때 등 신생아의 몸 상태에 따라 상기 침구(1)를 덮어주어 체온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재봉선(2)에 의해 구획된 상기 덮개부(10)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는 망사로 형성되며, 중간부는 보온재 개폐부(13)에 의해 상기 보온재(50)를 충진할 수 있는 이중의 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9(b)와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구획 중 상기 보온재 개폐부(13)가 구비되어 상기 보온재(50)를 충진할 수 있는 이중의 면이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10)의 일부에만 상기 보온재(50)를 구비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신생아용 침구(1)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신생아용 침구의 겉이불(3)의 내부에 삽입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이불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사각 모서리에는 상기 겉이불(3)의 내측 모서리에 구비된 연결부재(4)와 결합하여 상기 겉이불(3)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연결고리(5)가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신생아용 침구(1)에 대한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그 실시예를 바람직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에 대한 신생아용 침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바닥 또는 매트리스에 요(100)를 깔고 베개(200)에 신생아의 머리를 올려 바로 눕힌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10)가 신생아의 몸통에 오도록 덮어준다.
이때,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덮개부(10)의 하부 일측에는 오리털, 거위털, 목화 또는 인조솜 등의 보온재(50)를 삽입할 수 있는 보온재 개폐부(13)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재봉선(2)에 의해 세부분으로 구획되어 일부 구획에 상기 보온재 개폐부(13)를 구비하여 상기 보온재 개폐부(13)를 통해 상기 보온재(50)를 충진하여 계절이나 주위 온도의 변화에도 신생아의 체온을 유지하여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10)의 저면에 구비된 상기 허벅지 착용구(40)에 신생아의 양다리를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신생아가 수면중 엎드려 자는 자세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침구(1)가 신생아의 얼굴을 덮어 호흡곤란이 발생되는 것이나 침구를 발로 차서 감기, 배앓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가압부(20)를 신생아의 양팔과 양측 어깨부터 가슴, 배 부위를 지그시 압박하도록 눌러주어 엄마의 뱃속 압력과 같은 포근한 느낌을 주어 심리적으로 안정되게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20)는 신생아의 크기나 신생아가 수면중 움직이는 정도에 따라 좌우 양측면이나 3면 또는 각 모서리부분에 형성되어 신생아를 눌러주는 무게를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신생아가 시간이 지나면서 외부환경에 적응하면서도 항상 평안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침구(1)를 덮어주고 상기 허벅지 착용구(40)에 신생아의 양다리만 잡아 끼워주는 단순한 과정으로 잠든 신생아를 깨우지 않으면서 수면중인 신생아가 움직이다 스스로 깨는 것을 방지하고, 신생아가 요나 이불에 코와 입이 막혀 질식사 하는 것을 예방함과 아울러 엄마의 뱃속과 같은 느낌으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침구 2. 재봉선
3. 겉이불 10. 덮개부
13. 보온재 개폐부 20. 가압부
22. 충진물 개폐부 30. 충진물
40. 허벅지 착용구 50. 보온재
60. 결합수단 70. 연결수단
100. 요 200. 배게

Claims (10)

  1. 신생아의 몸을 덮는 덮개부(10)와, 상기 덮개부(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며, 신생아를 눌러줄 수 있도록 충진물(30)이 저장되는 가압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신생아용 침구(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0)는 상기 덮개부(1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부(10)와 가압부(20)가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10)와 상기 가압부(20) 사이를 연결하는 결합수단(60)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20)의 일측에는 상기 충진물(30)을 교환할 수 있도록 충진물 개폐부(22)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충진물(30)은 좁쌀, 메밀 등 알갱이가 작고 차가운 성질을 갖는 곡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용 침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60)은 지퍼, 벨크로 파스너, 스냅단추, 연결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용 침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0)는 상기 덮개부(10)의 좌우 양측면이나 3면 또는 각 모서리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충진물(30)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방수 원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용 침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0)의 저면 중앙에는 신생아의 양다리를 끼워 신생아를 침구(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쌍의 허벅지 착용구(4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허벅지 착용구(40)는 상기 덮개부(10)로부터 분리,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허벅지 착용구(40)의 양단과 상기 덮개부(1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용 침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70)은 벨크로 파스너 또는 스냅단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용 침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0)는 이중의 망사 또는 천 중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부(10) 일측에는 보온재(5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보온재 개폐부(1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용 침구.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94144A 2014-07-24 2014-07-24 신생아용 침구 KR101597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144A KR101597215B1 (ko) 2014-07-24 2014-07-24 신생아용 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144A KR101597215B1 (ko) 2014-07-24 2014-07-24 신생아용 침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555A KR20160012555A (ko) 2016-02-03
KR101597215B1 true KR101597215B1 (ko) 2016-02-29

Family

ID=5535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144A KR101597215B1 (ko) 2014-07-24 2014-07-24 신생아용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2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449B1 (ko) 2020-06-01 2021-12-02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KR200495426Y1 (ko) 2020-11-27 2022-05-18 송은경 기능성 수유쿠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307Y1 (ko) * 2018-01-19 2019-05-30 박혜정 아기용 이불
KR102127677B1 (ko) * 2019-12-02 2020-06-29 황금상 유아용 다기능 침구
KR102488474B1 (ko) * 2021-03-31 2023-01-13 주식회사 래빗앤린맘 신생아용 침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512Y1 (ko) * 2000-01-06 2000-07-15 유동오 침구
KR200241275Y1 (ko) * 2000-04-14 2001-09-13 김소일 어린이용이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190A (ja) * 1996-01-31 1997-08-12 Norio Akaoka 錘を使った寝具
KR20110006777U (ko) * 2009-12-29 2011-07-06 김성태 어깨 보온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512Y1 (ko) * 2000-01-06 2000-07-15 유동오 침구
KR200241275Y1 (ko) * 2000-04-14 2001-09-13 김소일 어린이용이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449B1 (ko) 2020-06-01 2021-12-02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KR20210148959A (ko)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KR20210148960A (ko)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KR20210148620A (ko)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KR20210148961A (ko)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KR200495426Y1 (ko) 2020-11-27 2022-05-18 송은경 기능성 수유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555A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9873B2 (en) Wearable blanket with distributed weight system
US7584515B2 (en) Snuggle pockets
US7337482B2 (en) Safet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597215B1 (ko) 신생아용 침구
US11490663B2 (en) Infant sleep garment
US8276224B1 (en) Bed sheet with integrated sleeping garment
US20130168422A1 (en) Upper-body infant bonding garment
US20100115700A1 (en) Sweet dreams blanket
WO2019089112A1 (en) Infant sleeping bag, blanket & sheet
US4811429A (en) Unitary sleepwear
GB2297252A (en) Arm support
US20070157384A1 (en) Infant's safety bedding to reduce sids
US200700283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nuggling a baby
KR101584240B1 (ko)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WO2017014339A1 (ko) 신생아용 침구
US20140259403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soiling of bedclothing
KR20090073411A (ko) 유아용 안전 침구
KR102292036B1 (ko)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
US20160235216A1 (en) Multi-Function Infant Pillow and Mat
KR101777191B1 (ko) 유아용 슬리핑 하우징
KR200248496Y1 (ko) 영·유아용 침구
KR200474967Y1 (ko) 영아용 다기능 구멍 담요
CN210158408U (zh) 适用于婴幼儿的可穿脱防踢被
CN209573263U (zh) 一种新生儿袋鼠式环抱袋
KR20230002279U (ko) 신생아 속싸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신생아 쿠션, 신생아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362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1117

Effective date: 2017072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