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279U - 신생아 속싸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신생아 쿠션, 신생아 침대 - Google Patents

신생아 속싸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신생아 쿠션, 신생아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279U
KR20230002279U KR2020220001260U KR20220001260U KR20230002279U KR 20230002279 U KR20230002279 U KR 20230002279U KR 2020220001260 U KR2020220001260 U KR 2020220001260U KR 20220001260 U KR20220001260 U KR 20220001260U KR 20230002279 U KR20230002279 U KR 202300022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wborn
swaddle
fixing band
cushion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은경
Original Assignee
송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은경 filed Critical 송은경
Priority to KR2020220001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2279U/ko
Publication of KR20230002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27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41B13/065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with sleep positioning fe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 A47D15/001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8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beds, play-pens or cra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Abstract

본 고안은 신생아를 감싸는 속싸개에 관한 것으로, 탈착이 용이하고, 고정 밴드를 부가하여 신생아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감싸 고정시켜 모로반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신생아 속싸개와 이를 이용한 쿠션 및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신생아용 속싸개로서, 상단에 머리 삽입구가 형성되고, 종방향의 지퍼를 구비하여 신생아의 신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자루형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단 양측에서 대각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소매부, 상기 몸통부로부터 하단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 사이의 상기 몸통부 하단이 가로방향으로 절개되어 개폐수단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는 하부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속싸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생아 속싸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신생아 쿠션, 신생아 침대{Infant wrappers, functional cushions and beds}
본 고안은 신생아를 감싸는 속싸개에 관한 것으로, 탈착이 용이하고, 고정 밴드를 부가하여 신생아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감싸 고정시켜 모로반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신생아 속싸개와 이를 이용한 쿠션 및 침대에 관한 것이다.
신생아는 출생 후 외부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출생 이전의 모체환경과의 차이점으로 인하여 다양한 무의식적 행동 반응 현상을 일으킨다. 갓난아기 때부터 생후 100일 정도의 기간까지 신생아 반응 현상을 일으키며, 이 현상들은 신생아 검사의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신생아의 반응현상 중 대부분은 무의식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그 중에서 신생아가 잠을 자던 중 팔과 발을 벌리고 손가락을 밖으로 펼쳤다가 무엇을 껴안듯이 다시 몸쪽으로 팔과 다리를 움츠리는 행동을 하는 모로반사 현상이나 신생아가 수면 중에 손톱으로 얼굴을 긁는 행동은 신생아의 깊은 숙면을 방해하며 얼굴에 상처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행동은 출생 후 3개월이 경과하면서 자연스럽게 없어지지만, 그 이전까지는 신생아를 돌보는 보호자가 신생아의 곁에서 이러한 반응으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하지만, 보호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하루종일 신생아를 감시할 수는 없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모로반사의 방지를 위한 신생아 속싸개에 관련된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었다.
이와 관련된 기존의 고안으로는, 등록실용신안 20-0472504 "신생아 속싸개"가 있다. 해당 고안은 신생아 속싸개가 후면대와 제1,2압박대로 구성되어 벨크로 테잎과 스냅 단추를 이용하여 탈부착하도록 구성되었다. 해당 고안의 속싸개는 탈부착 되는 하부압박대로 속싸개를 조끼처럼 이용할 수 있고 팔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는 있으나 다리를 고정하지 못하여 신생아의 주 수 차이에 따라 신생아의 무의식적 행동을 막기에 압박력이 부족할 수 있다.
또한, 이 외의 특허로는 등록특허 10-2240073 "유아용 속싸개"가 있다. 해당 특허는 유아의 몸체를 감싸는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편안한 압박감을 주어 유아가 안정적으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자 했다. 해당 특허의 유아용 속싸개는 띠의 형태로 구성을 간소화하여 유아의 몸체를 감싸기에는 적합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신생아를 보조하는 기구가 신체 안정뿐만 아니라 체온유지, 신체 긁힘 방지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목적으로 하여 생산되는 것을 볼 때, 해당 특허는 신생아를 보조하기에는 다소 미비한 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신생아를 전체적으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탈착이 용이하며, 완전 탈의하지 않고도 기저귀 교체가 용이한 신생아용 속싸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1. 등록실용신안 20-0472504 "신생아 속싸개" 2. 등록특허 10-1584240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3. 등록특허 10-2240073 "유아용 속싸개" 4. 공개특허 10-2020-0140798 "조정가능한 랩을 갖는 포대기 장치"
본 고안은 개폐수단이 구비된 속싸개로써, 고정 밴드를 부가하여 신생아의 신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고정 밴드와 속싸개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능적인 속싸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고안은 「신생아용 속싸개로서, 상단에 머리 삽입구가 형성되고, 종방향의 지퍼를 구비하여 신생아의 신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자루형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단 양측에서 대각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소매부, 상기 몸통부로부터 하단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 사이의 상기 몸통부 하단이 가로방향으로 절개되어 개폐수단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는 하부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속싸개」를 제공한다.
상기 몸통부 중간부의 양측이 내측으로 내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하부 개폐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스냅 단추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매부는 후면 상단에 형성된 인출구 및 상기 인출구를 덮어 감싸도록 구성된 소매 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매 덮개의 뒤집힘에 따라 인출구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를 둘러싸고, 순차적으로 덮으며 감싸 맞댄 상태로 결합하여 신생아의 몸통과 팔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 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중앙부가 내입되어 수용부가 형성된 쿠션, 상·하단이 상기 수용부에 결합된 쿠션·고정 밴드 결합부, 제5항의 신생아 속싸개 및 제5항의 고정 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밴드는 상기 쿠션·고정 밴드 결합부의 아래로 지나 가로로 배치하고, 상기 신생아 속싸개를 상기 쿠션의 수용부에 안착시켜 상기 고정 밴드로 감싸 고정시킴으로써 신생아 속싸개와 쿠션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쿠션」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매트, 상기 매트가 수용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침대, 상·하단이 상기 매트에 결합된 매트·고정 밴드 결합부, 제5항의 신생아 속싸개 및 제5항의 고정 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밴드는 상기 매트·고정 밴드 결합부의 아래로 지나 가로로 배치하고, 상기 신생아 속싸개를 상기 매트 위에 안착시켜 상기 고정 밴드로 감싸 고정시킴으로써 신생아 속싸개와 매트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쿠션」을 함께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가 있다.
1. 신생아의 무의식적인 모로반사 반응을 차단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2. 소매부 후면 상단에 인출구와 소매 덮개가 형성되어, 보호자가 소매 덮개를 뒤집어 인출구를 개방함으로써 신생아의 손을 외부로 손쉽게 노출 시킬 수 있다.
3. 다리부 사이에 하부 개폐부가 형성되어 속싸개를 전체 탈의하지 않고도 기저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4. 쿠션, 침대의 매트 등과 결합이 용이하여 신생아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5. 몸통부 중간부의 양측이 내측으로 내입되도록 형성되어, 신생아 속싸개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신생아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6. 몸통부 내측에 내부 고정 밴드를 추가하여, 속싸개의 내측에서 신생아의 팔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생아 속싸개 일실시예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생아 속싸개 일실시예의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매 덮개를 접어 인출구를 개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 밴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신생아 속싸개와 고정 밴드의 결합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신생아 속싸개와 고정 밴드를 별도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끼움부를 복수개로 구비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신생아 속싸개, 고정 밴드, 쿠션을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신생아 속싸개, 고정 밴드, 침대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신생아 속싸개와 쿠션이 결합할 경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고안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고안이 제공하는 신생아 속싸개 사용 시 기준으로, 신생아가 뉘여지는 부분을 '전면(前面)', 신생아 속싸개가 바닥면과 닿는 부분을 '후면(後面)'으로 칭하며, 신생아의 머리 쪽을 '상부', 다리쪽을 '하부'라 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좌', '우'와 '가로', '세로'는 도면을 보는 자 기준으로 호칭한다.
본 고안은 「신생아용 속싸개로서, 상단에 머리 삽입구(11)가 형성되고, 종방향의 지퍼(12)를 구비하여 신생아의 신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자루형의 몸통부(10), 상기 몸통부(10)로부터 상단 양측에서 대각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소매부(20), 상기 몸통부(10)로부터 하단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30) 및 상기 다리부(30) 사이의 상기 몸통부(10) 하단이 가로방향으로 절개되어 개폐수단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는 하부 개폐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속싸개」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생아 속싸개의 사시도이다.
상기 몸통부(10)는 신생아의 신체를 감싸도록 자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10)는 개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면에 종방향의 지퍼(12)를 구비하여 신생아가 속싸개를 쉽게 탈착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머리 삽입구(11)는 상기 몸통부(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신생아가 상기 몸통부(10)에 뉘여졌을 때, 상기 머리 삽입구(11)에 신생아의 목부분을 위치시켜 안정적으로 신생아 속싸개를 착의할 수 있다.
상기 소매부(20)는 상기 몸통부(10)의 상단 양측에 한 쌍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매부(20)는 대각상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신생아의 나비잠을 유도할 수 있다.
나비잠이란 갓 태어난 신생아가 손, 발 등 신체 근력이 적기 때문에 수면 중 두 팔이 자연스럽게 위로 올라가는 현상을 뜻하며, 이러한 모습이 나비 같은 모양이라 하여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또한, 아직 폐가 성숙하지 않은 신생아는 나비잠을 잠으로써 흉강의 면적을 넓혀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대각상방으로 연장된 상기 소매부(20)는 신생아의 나비잠을 유도하면서도 모로반사로 인해 신생아의 팔이 움찔할 때의 큰 움직임을 막아주어 신생아의 안정적인 수면을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10) 및 소매부(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는 내측 끼움부(미도시)와 내부 고정 밴드(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끼움부는 상기 몸통부(10) 및 소매부(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끼움부는 상기 내부 고정 밴드가 통과하여 고정되고, 상기 내부 고정 밴드를 상기 몸통부(10) 및 소매부(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고정 밴드는 상기 몸통부(10)에 위치하는 신생아의 몸을 감싸서 고정할 수 있다. 몸통부(10)는 자루형으로 신생아의 몸통넓이보다 넓은 폭의 내부공간으로 형성되어 신생아가 속싸개를 착용할 경우 신생아가 몸통부(10)의 내부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뒤집기, 이탈 등의 행동을 통하여 수면의 질이 떨어지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내부 고정 밴드는 몸통부(10)의 내부에서 신생아를 몸통부(10)에 고정시켜 신생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효과가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내부 고정 밴드는 상기 소매부(20)에 위치하는 신생아의 팔을 감싸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고정 밴드는 상기 소매부(20)의 내부에서 신생아 팔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고정 밴드는 상기 내측 끼움부를 통과한 상태로, 신생아 몸통이나 팔의 둘레에 따라 조이거나 풀면서 조절하여 내부 고정 밴드의 두 단부를 매듭짓거나, 스냅 단추, 벨트 결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30)는 상기 몸통부(10)의 하단에 한 쌍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신생아가 상기 몸통부(10)에 뉘여 졌을 때, 한 쌍으로 형성된 상기 다리부(30)에 신생아의 다리를 각각 삽입하여 신생아의 양다리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분리된 형태로 신생아 속싸개(1)를 착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폐부(15)는 상기 다리부(30) 사이의 상기 몸통부(10) 하단이 가로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개폐부(15)는 상기 몸통부(10) 하단이 절개되어 분리된 전후면 양측단에 개폐수단을 부가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폐부(15)는 개폐수단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신생아 속싸개를 완전 탈의하지 않고 열고 닫을 수 있으므로 기저귀를 교체할 때 신생아를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 개폐부(15)만을 개방하여 기저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개폐부(15)는 다리부(30)의 내측단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폐부(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다리부(30)의 내측을 따라서 형성될 경우, 개방시 양쪽 다리부(30)의 내측을 따라서 다리부(30) 사이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개방면적이 최대화되므로 기저귀 등의 교체가 용이하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개폐부(15)는 다리부(30)의 내측단부에서 다리부(30) 사이의 몸통부(10) 하단까지 가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개방면적이 최대화되어 바람직하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도 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몸통부(10)는 후면에 별도의 고정 수단을 끼울 수 있는 끼움부(1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끼움부(13)는 상기 몸통부(1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13)는 상·하단이 고정되어있고 좌·우가 개방되어있어 고정수단은 좌·우 방향으로 끼울 수 있다. 상기 끼움부(13)는 단수개 또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10) 중간부의 양측이 내측으로 내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몸통부(10)의 측면은 중간부의 양측이 내측으로 내입 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10)가 충분한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하부와 달리, 상기 몸통부(10)의 측면이 오목하게 굴곡진 형태는 허리 부분을 고정시켜 신생아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 끼움부와 내부 고정 밴드, 그리고 몸통부(10) 중간부의 양측이 내측으로 내입됨으로써 신생아 속싸개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신생아의 움직임에 따른 모로반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하부 개폐부(15)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스냅 단추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개폐부(15)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스냅 단추가 구비되었다.
상기 하부 개폐부(15)는 구비된 스냅 단추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일반적인 신생아 속싸개를 사용할 경우 바지를 완전히 탈의해야 기저귀를 교체가 가능하다는 점과 비교하여 하여 편의성면에서 우수하다.
이는 기존의 실용·신안등록 20-0472504 "신생아 속싸개"와 등록특허 10-1584240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와 비교할 수 있다.(비교기술 1)
이는 아래 "신생아 속싸개"와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의 도면을 첨부한 [참고도 1]을 통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비교기술 2)
[참고도 1]
먼저, "신생아 속싸개"는 후면대에 연결되고 신생아의 상체를 차례대로 덮는 제1압박대와 제2압박대가 벨크로 테잎에 의하여 탈부착 되면서 신생아의 몸을 압박·고정시키고, 하부압박대를 탈착하여 하체를 감싸도록 구성되었다. 신생아 속싸개의 도 6은 하부압박대를 착용하고, 도 7은 하부압박대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것 이다. 해당 고안에 따라 하부압박대를 착용하면 신생아의 하체가 완전히 감싸지게 된다. 또한,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의 하부도 도 6을 참조하면, 중앙부에 구비된 지퍼를 따라 열거나 닫는 형태로 구성되어있고, 신생아의 하체를 완전히 감싸도록 구성되었다.
본원 고안의 상기 다리부(30)는 신생아 속싸개의 하단에 형성되어 신생아의 다리를 직접 넣을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서 옷과 같은 형태를 지니며, 한 쌍의 다리부(30) 사이에 형성된 하부 개폐부(15) 또한, 스냅 단추를 이용하여 신생아 속싸개 하단의 개폐가 용이하다.
비교기술인 "신생아 속싸개"와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는 신생아의 하체를 완전히 수납하는 형태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속싸개를 탈의하거나 기저귀를 교체할 때 결합수단을 다시 해체하여 신생아의 하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을 위해서, "신생아 속싸개"는 하체압박대 하단에 스냅 단추로 잠긴 결합부를 해체하고 잠시 접어 위로 올려두어야 한다. 또는, 하체압박대 위로 제1,2압박대가 차례로 포개어 결합하기 때문에, 완전 분리를 위해서는 상체를 압박하는 제1,제2압박대까지 모두 분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는 지퍼를 이용하여 신생아의 하체를 외부로 꺼낼 수 있는데, 도 9를 참조하면 지퍼는 속싸개의 뒷면으로부터 개방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신생아를 항시 정면으로 눕히는 것은 상식이다. 따라서, 지퍼 개방을 위해서는 보호자가 신생아를 안거나, 신생아의 하체를 부자연스럽게 들춘 상태를 유지해야 하여 신생아가 잠에서 깨거나, 칭얼 거림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비교기술들은 기저귀 교체를 위해서 양측의 다리부(30)를 별도의 조작으로 개방하여 신생아의 하체만 보이도록 남기거나, 신생아의 하체를 들어올려 속싸개 위로 두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신생아를 자극하게 되고, 들었다 놓는 과정에서 일정한 충격력이 신생아에게 가해지게 되어 신생아의 숙면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비교기술들은 신생아용 속싸개의 바지를 완전히 탈의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기저귀의 교체가 가능하나, 본원 고안은 양 다리가 각각 다리부(30)에 삽입되어 입혀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 개폐부(15)만을 개방하여 기저귀를 교체할 수 있어, 최대한 적은 움직임으로 기저귀의 교체가 가능하여 신생아의 수면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소매부(20)는 후면 상단에 형성된 인출구(21) 및 상기 인출구(21)를 덮어 감싸도록 구성된 소매 덮개(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매 덮개(22)의 뒤집힘에 따라 인출구(21)가 개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소매 덮개(22)를 넘기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소매부(20)의 후면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인출구(21)와 인출구(21)를 덮어 감싸도록 구성된 소매 덮개(22)를 도시한 것이다.
(b)는 신생아의 손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소매 덮개(22)를 뒤집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c)는 소매 덮개(22)가 소매부(20) 의 전면을 향하도록 완전히 뒤집혀 인출구(21)가 개방되고, 신생아의 손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는 손의 위치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신생아의 주먹쥔 손이 손가락이 보이는 내측방향으로 향하도록 도시되었지만, 실제로 인출구(21)는 소매부(20)의 후면에 형성되므로, 신생아가 나비잠의 형태로 손을 위치할 경우 [도 3]에서 손의 그림은 손등이 보이도록 도시될 것이 명백하다.
상기 인출구(21)는 상기 소매부(20)의 후면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신생아 속싸개를 착용했을 때, 상기 인출구(21)는 신생아의 손을 출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신생아가 우유병 등을 잡거나 손에 땀이 찰 경우 개방하여 땀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소매 덮개(22)는 상기 인출구(21)를 덮어 감싸도록 구성되며, 전면에서 후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기존의 신생아용 속싸개는 신생아의 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완전 밀폐되거나, 손을 노출할 경우 탈착식으로 구성된 장갑형식의 손 보호 장갑을 별도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인출구(21)를 덮는 소매 덮개(22)는 별도의 보호 장갑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분실의 위험이 낮고, 신생아를 돌볼 때 보호자가 한 손으로 개폐하기도 용이하다. 또한, 소매 덮개(22)를 뒤집는 방법은 성인의 기준에서는 간단하지만 신생아가 직접 뒤집을 정도의 난이도는 아니기 때문에 신생아가 직접 소매 덮개(22)를 뒤집거나 자연적으로 뒤집어져 손이 노출되어 신생아의 얼굴에 상처를 입을 가능성이 미미하다.
만약, 인출구가 정면에 형성된 경우에는 신생아가 손을 움직일 때 인출구의 둘레에 신생아의 손가락이 걸려서 잡아 내리거나 이물감이 느껴져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구(21)는 소매부(20)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고안과 같이 상기 인출구(21)가 소매부(20)의 후면에 형성될 경우, 상기 소매부(20)의 정면은 막혀있는 매끄러운 면으로 형성되어 신생아의 손가락에 걸리는 부분이 없으므로 인출구가 정면에 형성된 경우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몸통부(10)를 둘러싸고 순차적으로 덮으며 감싸 맞댄 상태로 결합하여 신생아의 몸통과 팔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 밴드(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밴드(40)는 신생아 몸통을 양측에서 순차적으로 덮으며 감싼 상태에서 벨크로 테잎(41a,b)을 이용하여 접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 밴드(40)는 신생아의 몸통을 둘러싸고 순차적으로 덮으며 감싸 맞댄 상태로 결합하여 신생아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고정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밴드(40)는 벨크로 테잎(41a,b)을 이용하여 접지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고정 밴드(40)와, 고정 밴드(40) 끝단에 벨크로 테잎(41a,b)이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 밴드(40)를 펼친 상태에서 노출되는 면을 '후면'으로 칭하고, 상기 고정 밴드(40)의 양 측을 신생아 몸통쪽으로 덮을 때 노출되는 면을 '전면'이라고 칭할 때, 신생아 몸통에 먼저 덮이는 부분의 전면에 벨크로 테잎 루프면(41a)을 구비하고, 나중에 덮이는 부분의 후면에 벨크로 테잎 후크 면(41b)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신생아 속싸개와 상기 고정 밴드(40)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벨크로 테잎의 루프면(41a)은 소정의 너비로 구비되어 벨크로 테잎의 후크면(41b)이 루프면의 어느 위치라도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밴드(40)는 신생아의 몸통만 감싸거나 신생아의 몸통과 양팔을 고정 시켜 감쌀 수 있으며 신생아가 성장하더라도 일정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 밴드(40)는 상기 신생아 속싸개와 직접 결합하도록 별도의 결합 수단을 구비한 결합부(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고정 밴드(40)와 상기 신생아 속싸개가 직접 결합하도록 별도의 결합 수단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구성된 보조 결합부(14) 및 결합부(42)가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결합부(42)는 상기 고정 밴드(40)의 전면 내측에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지퍼의 일측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결합부(14)는 상기 신생아 속싸개 측면에 형성되어 지퍼의 타측부로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보조 결합부(14) 및 결합부(42)는 지퍼 결합으로 인하여, 상기 고정 밴드(40)와 신생아 속싸개는 상기 벨크로 테잎(41a,b)의 접착 상태와 관계없이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밴드(40)가 벨크로 테잎(41a,b) 결합 상태에서 기저귀 교체, 신생아 속싸개 탈의 등의 이유로 잠시 벨크로 테잎(41a,b) 결합을 풀어도 고정 밴드(40)의 분실 위험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42)는 지퍼 외에 스냅 단추, 단추, 벨크로 테잎(41a,b) 등으로 구성 될 수 있고,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13)는 몸통부(10)의 양측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도 7]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상기 신생아 속싸개의 후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끼움부(13)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 밴드(40)가 상기 끼움부(13)에 삽입된 상태로 좌·우측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중앙부가 내입되어 수용부(51)가 형성되고, 쿠션·고정 밴드 끼움부(52)가 구비된 쿠션(50), 제5항의 신생아 속싸개 및 제5항의 고정 밴드(4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밴드(40)를 상기 쿠션·고정 밴드 끼움부(52)에 끼우고, 상기 신생아 속싸개를 상기 쿠션(50)의 수용부(51)에 안착시켜 상기 고정 밴드(40)로 감싸며 고정시킴으로써 신생아 속싸개와 쿠션(50)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쿠션(50)은 소정의 너비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50)은 중앙부가 내입되어 신생아를 눕힐 수 있는 수용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쿠션·고정 밴드 끼움부(52)는 상기 쿠션(50)의 수용부(51)에 구비되고, 상·하단을 고정하여 상기 고정 밴드(40)를 끼우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쿠션·고정 밴드 끼움부(52)에 상기 고정 밴드(40)를 끼운 뒤, 그 위에 신생아를 누이고, 상기 고정 밴드(40)를 순차적으로 덮어 신생아와 상기 쿠션(50)을 결합할 수 있다.
이는 [도 8] 내지 [도 10]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50)과 고정 밴드(40)를 도시한 것이다. 쿠션(50) 중앙부가 내입되어 수용부(51)가 형성되었고, 수용부(51)에는 쿠션·고정 밴드 끼움부(52)가 구비되었다. 쿠션·고정 밴드 끼움부(52)는 상·하단이 고정되어있고 좌·우가 개방되어있어 고정 밴드(40)는 쿠션·고정 밴드 끼움부(52)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다.
[도 9]는 고정 밴드(40)가 쿠션(50)의 쿠션·고정 밴드 끼움부(52)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쿠션(50)의 수용부(51)에 신생아를 누이고, 고정 밴드(40)를 순차적으로 덮어 신생아와 쿠션(50)의 결합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매트·고정 밴드 끼움부(62)가 구비된 매트(61) 및 상기 매트(61)가 수용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침대(60), 제5항의 신생아 속싸개 및 제5항의 고정 밴드(4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밴드(40)를 상기 매트·고정 밴드 끼움부(62)에 끼우고, 상기 신생아 속싸개를 상기 매트(61)에 안착시켜 상기 고정 밴드(40)로 감싸며 고정시킴으로써 신생아 속싸개와 매트(61)를 결합 할 수 있다.
상기 매트(61)는 소정의 너비와 두께를 갖고 신생아를 눕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트·고정 밴드 끼움부(62)는 상기 매트(61)의 전면에 구비되며 중심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고정 밴드 끼움부(62)는 상기 매트(61)의 전면에 상·하단을 고정하여 상기 고정 밴드(40)를 끼우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매트·고정 밴드 끼움부(62)에 상기 고정 밴드(40)를 끼운 뒤, 그 위에 신생아를 누이고, 상기 고정 밴드(40)를 순차적으로 덮어 신생아와 상기 매트(61)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61)가 수용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침대(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11] 내지 [도 13]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60)와 매트(61), 고정 밴드(40)를 도시한 것이다. 매트·고정 밴드 끼움부(62)가 구비된 매트(61)와, 매트(61)가 수용되는 침대(60) 프레임이 구비되었다. 매트·고정 밴드 끼움부(62)는 상·하단이 고정되어있고 좌·우가 개방되어있어 고정 밴드(40)는 쿠션·고정 밴드 끼움부(52)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다.
[도 12]는 고정 밴드(40)가 매트(61)의 매트·고정 밴드 끼움부(62)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매트(61) 위에 신생아를 눕히고, 고정 밴드(40)를 순차적으로 덮어 신생아와 매트(61)의 결합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끼움부(13)는 상기 몸통부(10)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밴드(40)는 상기 몸통부(10)가 쿠션(50)과 결합할 경우, 상기 끼움부(13) 및 쿠션·고정 밴드 끼움부(52)에 지그재그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밴드(40)는 상기 몸통부(10)가 침대(60)와 결합할 경우, 상기 끼움부(13) 및 매트·고정 밴드 끼움부(62)에 지그재그로 결합 될 수 있다.
[도 14]는 후면에 2개의 상기 끼움부(13)가 구비된 몸통부(10)와 쿠션(5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고정 밴드(40)는 몸통부(10)에 구비된 일측의 끼움부(13)를 통과하고, 쿠션(50)의 수용부(51)에 구비된 쿠션·밴드 끼움부(52)를 통과하며, 타측의 끼움부(13)를 통과할 수 있다. 즉, 고정 밴드(40)는 몸통부의 끼움부(13)→쿠션(50)의 쿠션·고정 밴드 끼움부(52)→몸통부의 끼움부(13)를 순서대로 지그재그 형식으로 통과하여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밴드(40)는 필요에 따라 신생아 속싸개 전면으로 포개어 결합하거나, 쿠션(50)의 후면으로 둘러서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 : 신생아 속싸개
10 : 몸통부
11 : 머리 삽입구 12 : 지퍼
13 : 끼움부 14 : 보조 결합부
15 : 하부 개폐부
20 : 소매부
21 : 인출구 22 : 소매 덮개
30 : 다리부
40 : 고정 밴드
41a,b : 벨크로 테잎 42 : 결합부
50 : 쿠션
51 : 수용부 52 : 쿠션·고정 밴드 끼움부
60 : 침대
61 : 매트 62 : 매트·고정 밴드 끼움부

Claims (8)

  1. 신생아용 속싸개로서,
    상단에 머리 삽입구(11)가 형성되고, 종방향의 지퍼(12)를 구비하여 신생아의 신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자루형의 몸통부(10);
    상기 몸통부(10)로부터 상단 양측에서 대각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소매부(20);
    상기 몸통부(10)로부터 하단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30); 및
    상기 다리부(30) 사이의 상기 몸통부(10) 하단이 가로방향으로 절개되어 개폐수단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는 하부 개폐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속싸개(1).
  2. 제1항에서,
    상기 몸통부(10) 중간부의 양측이 내측으로 내입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속싸개(1).
  3. 제1항에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하부 개폐부(15)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스냅 단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속싸개(1).
  4. 제1항에서,
    상기 소매부(20)는,
    후면 상단에 형성된 인출구(21); 및
    상기 인출구(21)를 덮어 감싸도록 구성된 소매 덮개(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매 덮개(22)의 뒤집힘에 따라 인출구(21)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속싸개(1).
  5. 제1항에서,
    상기 몸통부(10)를 둘러싸고, 순차적으로 덮으며 감싸 맞댄 상태로 결합하여 신생아의 몸통과 팔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 밴드(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신생아 속싸개(1).
  6. 제5항에서,
    상기 고정 밴드(40)는 신생아 몸통을 양측에서 순차적으로 덮으며 감싼 상태에서 벨크로 테잎(41a, 41b)을 이용하여 접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신생아 속싸개(1).
  7. 중앙부가 내입되어 수용부(51)가 형성된 쿠션(50);
    상·하단이 상기 수용부(51)에 결합된 쿠션·고정 밴드 결합부(52);
    제5항의 신생아 속싸개(1); 및
    제5항의 고정 밴드(4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밴드(40)는 상기 쿠션·고정 밴드 결합부(52)의 아래로 지나 가로로 배치하고, 상기 신생아 속싸개(1)를 상기 쿠션의 수용부(51)에 안착시켜 상기 고정 밴드(40)로 감싸 고정시킴으로써 신생아 속싸개(1)와 쿠션(50)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쿠션.
  8. 매트(61);
    상기 매트(61)가 수용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침대(60);
    상·하단이 상기 매트(61)에 결합된 매트·고정 밴드 결합부(62);
    제5항의 신생아 속싸개(1); 및
    제5항의 고정 밴드(4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밴드(40)는 상기 매트·고정 밴드 결합부(62)의 아래로 지나 가로로 배치하고, 상기 신생아 속싸개(1)를 상기 매트(61) 위에 안착시켜 상기 고정 밴드(40)로 감싸 고정시킴으로써 신생아 속싸개(1)와 매트(61)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침대.
KR2020220001260U 2022-05-23 2022-05-23 신생아 속싸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신생아 쿠션, 신생아 침대 KR202300022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260U KR20230002279U (ko) 2022-05-23 2022-05-23 신생아 속싸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신생아 쿠션, 신생아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260U KR20230002279U (ko) 2022-05-23 2022-05-23 신생아 속싸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신생아 쿠션, 신생아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279U true KR20230002279U (ko) 2023-11-30

Family

ID=88968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260U KR20230002279U (ko) 2022-05-23 2022-05-23 신생아 속싸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신생아 쿠션, 신생아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2279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504Y1 (ko) 2012-06-22 2014-05-07 함진희 신생아 속싸개
KR101584240B1 (ko) 2014-09-25 2016-01-11 박정혜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KR20200140798A (ko) 2018-02-02 2020-12-16 스와들디자인스, 엘엘씨 조정가능한 랩을 갖는 포대기 장치
KR102240073B1 (ko) 2020-06-25 2021-04-14 황금상 유아용 속싸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504Y1 (ko) 2012-06-22 2014-05-07 함진희 신생아 속싸개
KR101584240B1 (ko) 2014-09-25 2016-01-11 박정혜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KR20200140798A (ko) 2018-02-02 2020-12-16 스와들디자인스, 엘엘씨 조정가능한 랩을 갖는 포대기 장치
KR102240073B1 (ko) 2020-06-25 2021-04-14 황금상 유아용 속싸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25473A1 (en) Swaddling garment
US7111344B2 (en) Infant sleeping system
US11490663B2 (en) Infant sleep garment
KR102240073B1 (ko) 유아용 속싸개
US20130168422A1 (en) Upper-body infant bonding garment
US10758067B2 (en) Infant sleeping bag, blanket and sheet
WO2019146810A1 (ko) 영아용 속싸개
CN111954472A (zh) 具有可调整包覆件的襁褓装置
KR101597215B1 (ko) 신생아용 침구
US20200146463A1 (en) Neonate medical wraps for a baby and parent, and related methods
KR101922307B1 (ko) 영아용 속싸개
KR101584240B1 (ko)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US20180021224A1 (en) Pacifier Holder ("PH") & Eye Cover ("EC" attachment)
US20190246811A1 (en) Infant carrier
US9968205B1 (en) Infant sleeping bag, blanket and sheet
KR20230002279U (ko) 신생아 속싸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신생아 쿠션, 신생아 침대
KR200335689Y1 (ko) 아기 포대기
KR200433802Y1 (ko) 유아용 포대기
KR101361158B1 (ko) 손가락의 욕창방지기능이 구비되는 치매환자용 보호복
TWM559665U (zh) 親子育兒袋
KR200474967Y1 (ko) 영아용 다기능 구멍 담요
KR102328674B1 (ko)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
CN211961632U (zh) 一种婴童纱布护肚可拆袖睡袋
KR200495683Y1 (ko) 영아용 기능성 감싸개
CN212466405U (zh) 一种新生儿护理鸟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