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240B1 -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 Google Patents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240B1
KR101584240B1 KR1020140128232A KR20140128232A KR101584240B1 KR 101584240 B1 KR101584240 B1 KR 101584240B1 KR 1020140128232 A KR1020140128232 A KR 1020140128232A KR 20140128232 A KR20140128232 A KR 20140128232A KR 101584240 B1 KR101584240 B1 KR 101584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opening
waist
le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혜
Original Assignee
박정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혜 filed Critical 박정혜
Priority to KR1020140128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의 몸 전체를 감싸 안정감을 주는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통부의 전면에서부터 허리부의 전면과 다리부의 전면과 후면을 지나 허리부의 후면까지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부가 형성되어 개폐수단의 조작에 따라 다리부가 양측으로 갈라지는 형태로 변형이 됨으로써 착용 상태에서도 기저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포대기나 띠로 바로 업거나 안을 수 있고 카시트나 유모차에도 바로 앉힐 수 있는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단에 머리구멍이 형성된 통체 형상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된 허리부; 및 상기 허리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고 하단이 막힌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머리구멍을 통해 외부와 통하는 수용공간이 상기 몸통부와 허리부 및 다리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통부의 전면에서부터 상기 허리부의 전면 및 상기 다리부의 전면과 후면을 지나 상기 허리부의 후면까지 절개되어 개폐수단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개폐부에 의해 상기 다리부가 양측으로 갈라져 벌어지는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Functional inner wrapper for baby}
본 발명은 영유아의 몸 전체를 감싸 안정감을 주는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통부의 전면에서부터 허리부의 전면과 다리부의 전면과 후면을 지나 허리부의 후면까지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부가 형성되어 개폐수단의 조작에 따라 다리부가 양측으로 갈라지는 형태로 변형이 됨으로써 착용 상태에서도 기저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포대기나 띠로 바로 업거나 안을 수 있고 카시트나 유모차에도 바로 앉힐 수 있는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유아 속싸개라 함은 갓난아기와 생후 100일 정도의 신생아를 포함하는 영유아의 팔다리가 요동하지 않도록 몸 전체를 감싸 잡아줌으로써 영유아에게 육체적 및 심리적으로 안정과 숙면을 제공하는 의류이자 침구류이다.
이러한 통상의 영유아 속싸개는 사각 평면의 직물로 구성되어 영유아의 머리를 일측 모서리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영유아의 팔이 위치하는 양측 모서리부를 영유아의 배 위로 겹치도록 번갈아가며 감싼 후 영유아의 다리가 위치하는 아래측 모서리부를 영유아의 다리가 위치하는 아래측 모서리부를 영유아의 배 위로 겹쳐서 영유아의 몸 전체를 감싸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통상의 영유아 속싸개는 양측 모서리부와 아래측 모서리부가 상호 겹쳐지면서 영유아를 감싸는 형태이므로 영유아가 몸부림을 치면 쉽게 풀어지면서 안정적인 자세가 유지되지 못하여 칭얼대거나 숙면을 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영유아의 팔다리가 곧게 뻗어 몸에 밀착된 상태로 감싸지면서 태아가 자궁 속에서 취하는 자세와는 달라 영유아가 심하게 몸부림치므로 더욱 쉽게 풀어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영유아의 몸을 감싸면서 영유아가 태아의 자세와 대응되는 나비잠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가 개발되어 현재 시중에 유통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A)와 허리부(B) 및 다리부(C)를 포함하고 몸통부(A)의 상측에 머리구멍(D)이 형성되며 몸통부(A)와 허리부(B) 및 다리부(L)의 전면에 개폐수단(E)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부(F)가 형성된 형태로 구성된다.
즉, 개폐수단(E)을 조작하여 개폐부(F)를 개방한 상태에서 영유아를 내부로 수용한 후 개폐수단(E)을 조작하여 개폐부(F)를 폐쇄하면 영유아의 머리만을 제외하고 몸 전체를 감싸게 되면서 영유아가 심하게 몸부림치더라도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F)가 몸통부(A)와 허리부(B) 및 다리부(C)의 후면에는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개폐부(F)를 개방하더라도 몸통부(A)와 허리부(B) 및 다리부(C)의 후면이 막혀 속싸개를 벗어 영유아의 다리를 밖으로 빼내지 않는 이상은 영유아의 다리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형태이다.
따라서 착용 상태에서 아기의 다리를 양측으로 벌리지 못하므로 기저귀 교체가 불편하고 포대기나 띠로 바로 업거나 안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유모차나 카시트에도 바로 앉힐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실용신안공보 제20-0432892호, 2006.12.01.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종래의 기능성 속싸개의 착용으로 인한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도록 영유아의 다리 사이 공간이 쉽게 확보되고 영유아의 다리를 양측으로 벌릴 수 있는 형태로 변형 가능하게 하여 착용 상태에서도 기저귀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고 포대기나 띠를 통해 바로 업거나 안을 수 있으며 유모차나 카시트에도 바로 앉힐 수 있는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는 상단에 머리구멍이 형성된 통체 형상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된 허리부; 및 상기 허리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고 하단이 막힌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머리구멍을 통해 외부와 통하는 수용공간이 상기 몸통부와 허리부 및 다리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통부의 전면에서부터 상기 허리부의 전면 및 상기 다리부의 전면과 후면을 지나 상기 허리부의 후면까지 절개되어 개폐수단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개폐부에 의해 상기 다리부가 양측으로 갈라져 벌어지는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통부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공간이 양측으로 넓어지고 상단 양측이 상단 중간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높은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허리부에 비하여 상기 수용공간이 상대적으로 더 넓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통부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몸통부의 전면 양측 상단에 손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손구멍은 상기 몸통부의 전면 양측 상단에 덧댄 덮개에 의해 입구가 덮여 상기 덮개를 까뒤집지 않는 이상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개폐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드패스너 또는 상기 개폐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스냅단추 중의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패스너는 슬라이더가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를 따라 양방향으로 개폐되는 이중 슬라이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허리부의 일측에는 영유아용 악세사리가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리부는 하단 양측이 하단 중간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하단 양측 내부에 일정깊이의 발삽입공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통부에는 상기 머리구멍을 따라 영유아용 모자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탈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몸통부의 전면에서 시작하여 허리부의 전면과 다리부의 전면과 후면을 지나 허리부의 후면에 이르기까지 개폐부가 형성되어 다리부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태가 가능함에 따라 착용 상태에서도 기저귀를 교체할 수 있고 포대기나 띠를 사용하여 업거나 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모차나 카시트에도 바로 앉힐 수 있으므로 아기가 편안하게 잠든 상태에서도 상기한 행위들을 손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다리부의 하단 양측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발삽입공간이 구비됨에 따라 다리부가 양측으로 벌어진 형태에서도 영유아의 발이 발삽입공간 내부에 위치되므로 영유아의 발이 밖으로 빠져 노출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통부의 양측에는 덮개에 의해 입구가 노출되지 않는 손구멍이 형성되어 덮개를 까뒤집으면 입구가 노출됨에 따라 영유아의 손을 밖으로 빼내는 것이 가능하므로 영유아가 손을 빨거나 손을 갖고 놀거나 노리갯감을 만질 수 있다.
한편, 허리부의 일측에 노리개젖꼭지나 치발기 등과 같은 노리갯감을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고리가 구비됨에 따라 노리갯감을 바닥에 떨어뜨리지 않게 되므로 노리갯감의 분실이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몸통부에는 머리구멍을 따라 탈착식 모자가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추운 겨울 외출시 유아의 머리에 탈착식 모자도 일체로 착용 가능하므로 체온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의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의 배면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의 사용 상태도.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의 실물 사진.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는 갓난아기와 생후 100일 정도의 신생아를 포함하는 영유아의 팔다리가 요동하지 않도록 하면서 나비잠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형태로 몸 전체를 감싸 잡아주는 영유아용 의류이자 침구류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는 착용한 상태에서도 기저귀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포대기나 아기띠로 바로 업거나 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모차나 카시트에도 바로 앉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유아가 잠든 상태에서 영유아가 깨우지 않으면서 상기한 행위들을 가능하게 한 것이 큰 특징이다.
이러한 큰 특징은 머리구멍을 제외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도록 몸통부와 허리부 및 다리부가 상하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몸통부의 전면에서부터 시작하여 허리부의 전면과 다리부의 전면과 후면을 지나 허리부의 후면에 이르기까지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부가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다리부의 전면과 후면에서 개폐부를 개폐하면 다리부가 양측으로 갈라지면서 영유아의 양다리 사이에 전후로 뚫린 공간이 확보됨에 따라 착용 상태에서도 기저귀를 교체할 수 있고 포대기나 띠로 영유아를 업거나 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모차나 카시트에도 바로 앉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유아의 기저귀를 교체할 때 영유아의 다리를 다리부 밖으로 완전히 빼낼 필요가 전혀 없으므로 실내는 물론이고 실외에서도 낮은 기온으로 인해 기저귀 교체를 꺼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영유아를 재우거나 함께 외출하기 위해 포대기나 띠, 그리고 유모차나 카시트를 이용할 때 착용 상태 그대로 이용 가능함에 따라 다른 옷으로 갈아입히지 않아도 되고 영유아가 잠든 상태에서도 수면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의 구조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직물로 이루어진 몸통부(100)와 허리부(200)와 다리부(300) 및 개폐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몸통부(100)와 허리부(200) 및 다리부(300)에 의해 영유아를 수용하여 영유아의 몸 전체를 감싸는 수용공간(500)이 몸통부(100)와 허리부(200) 및 다리부(3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400)에 의해 영유아를 수용공간(500)의 내부로 수용 가능하게 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통부(100)는 상단에 형성된 머리구멍(110)을 제외하고 상단이 막힌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영유아의 머리를 밖으로 한 채로 영유아의 상체와 양팔을 감싸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몸통부(100)는 도 3 및 4와 같이 영유아가 양팔을 위로 뻗은 "W"자 형상인 나비잠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수용공간(500)이 넓어지고 상단 양측이 상단 중간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몸통부(100)의 전면 상단 양측에 도 3과 같이 손구멍(120)이 각각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구멍(120)은 영유아가 손을 빨거나 손을 갖고 놀거나 노리개젖꼭지나 치발기 등의 노리갯감을 갖고 놀 수 있도록 영유아의 손을 밖으로 빼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단, 손구멍(120)은 도 3과 같이 몸통부(100)의 전면 양측 상단에 덧댄 덮개(130)에 의해 입구가 덮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보호자가 덮개(130)를 까뒤집지 않은 이상 손구멍(120)의 입구가 노출되지 않아 영유아가 스스로 손을 밖으로 뺄 수 없도록 한 것이다.
즉, 덮개(130)를 통해 손구멍(120)의 입구를 간편하게 막을 수 있고 손구멍(120)의 입구를 막을 때 영유아의 손이 상해를 입는 폐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몸통부(100)의 상단 양측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 가능하지만, 도 3과 같이 영유아가 수용공간(500)의 형태에 의해 자연스럽게 취해지는 나비잠 자세와 어울리도록 나비의 날개를 연상시키는 물결무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통부(100)의 전면에는 외관의 미려함을 높이기 위하여 나비넥타이나 리본 등과 같은 장식부재(1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단, 장식부재(150)는 아기가 입으로 빨 수도 있으므로 아기에게 해가 없는 직물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통부(100)에는 머리구멍(110)을 따라 영유아용 모자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탈착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외출시 상기 탈착부재에 영유아용 모자를 일체로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영유아용 모자를 통해 영유아의 체온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탈착부재는 도 3과 같이 단추(160)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냅단추(미도시), 벨크로테이프(미도시), 슬라이드패스너(미도시) 등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허리부(200)는 몸통부(10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된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영유아의 허리를 감싸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허리부(200)는 영유아의 허리를 제대로 감쌀 수 있도록 몸통부(100)와 다리부(300)에 비하여 수용공간(500)이 상대적으로 좁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허리부(200)의 일측에는 도 3과 같이 영유아의 손이 손구멍(120)을 통해 밖으로 나와 노리개젖꼭지나 치발기 등의 노리갯감을 갖고 놀 때 상기 노리갯감을 포함하는 영유아용 악세사리를 연결하는 연결고리(2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고리(210)에 영유아용 악세사리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영유아가 영유아용 악세사리를 손으로 갖고 놀다가 손에서 놓치더라도 분실이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다리부(300)는 허리부(20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고 하단이 막힌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영유아의 양다리를 감싸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다리부(300)는 영유아가 양다리로 발차기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도 3 및 4와 같이 허리부(200)에 비하여 수용공간(500)이 상대적으로 더 넓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리부(300)의 하단 양측에는 도 3과 같이 그 하단 중간보다 상대적으로 깊이가 더 깊은 발삽입공간(60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개폐부(400)를 개방하여 다리부(300)를 양측으로 갈라 벌릴 때 영유아의 발이 다리부(300)에서 빠져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막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개폐부(400)는 몸통부(100)와 허리부(200) 및 다리부(300)에 의해 내부에 구비되어 영유아가 수용되는 수용공간(500)을 개폐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개폐부(400)는 도 3 및 4와 같이 몸통부(100)의 전면과 허리부(200)의 전면과 다리부(300)의 전면과 후면 및 허리부(200)의 후면 중간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개폐몸통부(100)의 전면인 머리구멍(110)에서부터 시작하여 허리부(200)의 전면 및 다리부(300)의 전면과 후면을 지나 허리부(200)의 후면에 이르는 범위까지 형성되어 개폐수단의 조작에 따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영유아를 수용공간(500) 내부로 수용시킬 때 개폐부(400)를 완전히 열어서 사용하면 되고, 영유아를 포대기나 띠로 업거나 안을 때나 유모차나 카시트에 앉힐 때는 개폐부(400)의 일부인 다리부(300)의 전면과 후면에서만 열면 된다.
이때 개폐수단은 개폐부(400)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드패스너(410)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개폐부(400)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스냅단추(미도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단, 개폐수단이 슬라이드패스너(410)로 구성되는 경우 몸통부(100)의 전면 부분에 해당되는 개폐수단의 일단과 허리부(200)의 후면 부분에 해당되는 개폐수단의 타단에서 양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수단의 양단에 슬라이더(411)가 각각 설치되는 이중 슬라이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통부(100)의 전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더(411)는 개폐부(400)가 닫힌 상태에서 영유아의 손이나 얼굴에 상처를 줄 수 있으므로 몸통부(100)의 전면과 후면에 상기 슬라이더(411)를 덮어 가리는 가리개(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영유아가 수용공간(500)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영유아의 피부가 개폐수단의 일부와 접촉되면서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개폐수단에서 영유아의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을 몸통부(100)와 허리부(200) 및 다리부(300)를 구성하는 재질과 같이 영유아의 피부에 해를 주지 않는 직물 등으로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영유아가 기저귀만을 입힌 상태에서 착용하더라도 개폐수단과의 접촉으로 인한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의 사용 상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먼저, 영유아가 수면을 취할 때는 도 5와 같이 영유아를 몸통부(100)와 허리부(200) 및 다리부(3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공간(500) 내부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개폐수단을 조작하여 개폐부(400)를 닫으면 된다.
그러면 영유아는 몸통부(100)와 허리부(200) 및 다리부(300)에 의해 구비되는 수용공간(500)의 내부 형태에 따라 양팔을 위로 뻗고 양다리를 양측으로 벌린 자세를 취하면서 수면을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영유아를 포대기나 띠를 이용하여 업거나 안을 때 또는 유모차나 카시트에 앉힐 때는 상기 도 5의 상태에서 개폐수단을 조작하여 도 6과 같이 개폐부(400)를 다리부(300)의 전면과 후면에서만 열면 된다.
그러면 다리부(300)가 반으로 갈라지면서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태가 되면서 영유아의 다리도 다리부(300)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져 포대기나 띠로 업거나 안을 수 있고 유모차나 카시트에 앉힐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영유아가 손을 갖고 놀고 싶어할 때는 상기 도 5의 상태에서 몸통부(100)의 덮개(130)를 까뒤집어 도 7과 같이 손구멍(120)의 입구를 외부로 노출되게 하면 된다.
그러면 영유아의 손을 스스로 혹은 보호자가 손구멍(120)을 통해 밖으로 빼내는 것이 가능하므로 영유아가 손을 빨며 놀 수도 있고 손으로 노리개젖꼭지나 치발기 등과 같은 노리갯감을 가지고 놀 수도 있다.
여기서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의 실물 사진이다.
즉, 도 8은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고, 상기 도 9는 배면을 촬영한 사진이며, 상기 도 10은 개폐부를 일부 열어 다리부를 양측으로 벌린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고, 상기 도 11은 덮개를 까뒤집어 손구멍(120)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는 종래의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를 착용하면서 발생하는 불편하고 번거러운 문제점들을 일거에 해소하여 영유아 양육에 대한 부모들의 고충을 조금이나 덜어 줌으로써 영유아 양육의 어려움으로 인한 출산 기피 현상을 해소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몸통부
110: 머리구멍
120: 손구멍
130: 덮개
140: 가리개
150: 장식부재
160: 단추
200: 허리부
210: 연결고리
300: 다리부
400: 개폐부
410: 슬라이드패스너
411: 슬라이더
500: 수용공간
600: 발삽입공간

Claims (8)

  1. 상단에 머리구멍이 형성된 통체 형상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된 허리부; 및
    상기 허리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고 하단이 막힌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머리구멍을 통해 외부와 통하는 수용공간이 상기 몸통부와 허리부 및 다리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통부의 전면에서부터 상기 허리부의 전면 및 상기 다리부의 전면과 후면을 지나 상기 허리부의 후면까지 절개되어 개폐수단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개폐부에 의해 상기 다리부가 양측으로 갈라져 벌어지는 형태로 변형되고,
    상기 몸통부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몸통부의 전면 양측 상단에 손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손구멍은 상기 몸통부의 전면 양측 상단에 덧댄 덮개에 의해 입구가 덮여 상기 덮개를 까뒤집지 않는 이상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공간이 양측으로 더 넓어지면서 상단 양측이 상단 중간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높은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허리부에 비하여 상기 수용공간이 상대적으로 더 넓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개폐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드패스너 또는 상기 개폐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스냅단추 중의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패스너는
    슬라이더가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를 따라 양방향으로 개폐되는 이중 슬라이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부의 일측에는
    영유아용 악세사리가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하단 양측이 하단 중간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하단 양측 내부에 일정깊이의 발삽입공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에는
    상기 머리구멍을 따라 영유아용 모자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탈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KR1020140128232A 2014-09-25 2014-09-25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KR101584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232A KR101584240B1 (ko) 2014-09-25 2014-09-25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232A KR101584240B1 (ko) 2014-09-25 2014-09-25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240B1 true KR101584240B1 (ko) 2016-01-11

Family

ID=55169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232A KR101584240B1 (ko) 2014-09-25 2014-09-25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2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467B1 (ko) 2020-06-12 2020-09-17 문지영 신생아용 속싸개
KR102240073B1 (ko) 2020-06-25 2021-04-14 황금상 유아용 속싸개
KR102251738B1 (ko) 2020-10-15 2021-05-13 (주)쁘띠엘린 비드폼 파우치의 분리가 가능한 속싸개
KR20230002279U (ko) 2022-05-23 2023-11-30 송은경 신생아 속싸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신생아 쿠션, 신생아 침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091A (ja) * 1989-07-29 1991-03-15 Toshio Miyazaki 着色分色凸版
KR200369838Y1 (ko) * 2004-09-17 2004-12-16 엘피스코퍼레이션(주) 아기 보호용 싸개
KR200432892Y1 (ko) 2006-09-07 2006-12-07 전철 유아용 속싸개
KR20070001211U (ko) * 2007-11-04 2007-11-22 유윤명 유아의 외출용 겉싸개
KR20070001212U (ko) * 2007-11-04 2007-11-22 유윤명 유아 및 어린이용 입는 이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091A (ja) * 1989-07-29 1991-03-15 Toshio Miyazaki 着色分色凸版
KR200369838Y1 (ko) * 2004-09-17 2004-12-16 엘피스코퍼레이션(주) 아기 보호용 싸개
KR200432892Y1 (ko) 2006-09-07 2006-12-07 전철 유아용 속싸개
KR20070001211U (ko) * 2007-11-04 2007-11-22 유윤명 유아의 외출용 겉싸개
KR20070001212U (ko) * 2007-11-04 2007-11-22 유윤명 유아 및 어린이용 입는 이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467B1 (ko) 2020-06-12 2020-09-17 문지영 신생아용 속싸개
KR102240073B1 (ko) 2020-06-25 2021-04-14 황금상 유아용 속싸개
KR102251738B1 (ko) 2020-10-15 2021-05-13 (주)쁘띠엘린 비드폼 파우치의 분리가 가능한 속싸개
KR20230002279U (ko) 2022-05-23 2023-11-30 송은경 신생아 속싸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신생아 쿠션, 신생아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64390A1 (en) One piece, wearable sleep training system with illuminating section
CN111093410B (zh) 襁褓装置
US20160113331A1 (en) Pajama Swaddl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20120284893A1 (en) Caregiver Cover
US8276224B1 (en) Bed sheet with integrated sleeping garment
KR101584240B1 (ko)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US20130168422A1 (en) Upper-body infant bonding garment
US2469556A (en) Children's sleeping garment
US6481032B2 (en) Infant prop
CN111954472A (zh) 具有可调整包覆件的襁褓装置
KR101597215B1 (ko) 신생아용 침구
US2465622A (en) Baby sleeper
KR101922307B1 (ko) 영아용 속싸개
KR101191500B1 (ko) 아기띠용 커버
US20110231978A1 (en) Child restraint device
KR20170115348A (ko)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US20100293694A1 (en) Changing Garment For A Child
KR101926150B1 (ko) 영유아 머리 보호용 어깨 패드
US10226135B2 (en) Baby and toddler care and transfer pad
KR101954212B1 (ko) 다용도 영유아 머리 보호용 어깨 패드
KR101777191B1 (ko) 유아용 슬리핑 하우징
KR200460607Y1 (ko)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
KR20230002279U (ko) 신생아 속싸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신생아 쿠션, 신생아 침대
KR200474967Y1 (ko) 영아용 다기능 구멍 담요
TWM559665U (zh) 親子育兒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