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607Y1 -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607Y1
KR200460607Y1 KR2020090013908U KR20090013908U KR200460607Y1 KR 200460607 Y1 KR200460607 Y1 KR 200460607Y1 KR 2020090013908 U KR2020090013908 U KR 2020090013908U KR 20090013908 U KR20090013908 U KR 20090013908U KR 200460607 Y1 KR200460607 Y1 KR 2004606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s
main body
prevention device
infant
guard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335U (ko
Inventor
최신영
Original Assignee
최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신영 filed Critical 최신영
Priority to KR2020090013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60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3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3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6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6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유아의 침이나 영,유아의 토사물에 의해 보호자의 의복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영,유아가 품에 안기거나 등에 업힌 상태에서도 그 착용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착용한 상태에서 영,유아를 품에 안거나 등에 업기만 하더라도 영,유아의 시각발달을 향상시키고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는, 의복을 입은 상태에서 보호자의 상체에 착용되며 허리라인보다 길이가 짧은 볼레로 또는 조끼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에 구비되어 보호자의 품에 안기거나 등에 업힌 영,유아의 시각을 자극하는 시각자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 중앙부에는 개폐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주름처리부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에는 흡수력 증가와 완충을 위한 덧댐처리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시각자극수단은 흑백 또는 원색의 직물이 서로 대비되게 조합된 장신구(단추, 리본 등 다양한 형태 가능) 또는 흑백 또는 원색의 스팽글이 서로 대비되게 조합된 장신구 또는 은사나 금사를 이용한 각종 반짝이원단으로 제조되는 장신구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보호자, 오염방지장치, 본체, 볼레로, 조끼, 시각자극수단, 흑백, 원색

Description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CLOTHES CONTAMINATION PREVENTING APPARATUS FOR PARENTS}
본 고안은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유아를 육아(育兒)하는 보호자의 의복이 영,유아의 침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유아의 경우에는 침을 잘 삼키지 못해 침을 흘리는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위장의 발달 미숙으로 인해 먹은 젖이나 분유를 토해 내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영,유아는 보호자의 품에서 잠드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통상 보호자가 안거나 등에 업어 재우고 있으며, 특히 젖이나 분유를 먹은 후에는 트림을 강제적으로 시키기 위해 세워 안은 상태에서 등을 쓰다듬거나 두드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 영,유아의 침이나 영,유아의 토사물에 의해 보호자의 의복이 오염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영,유아를 안을 때 보호자가 착용하여 영,유아의 침에 의해 보호자의 의복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자의 어깨부분에 가재수건을 덧대기도 하는데, 이러한 가재수건은 보호자의 어깨에 고정되지 않아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 들어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가 개발되기는 하였으나, 종래의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의 경우에는 대부분 어깨끈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형태로서 그 착용도 불편할 뿐만 아니라 그 착용상태가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영,유아는 통상 생후 약 3개월까지 눈으로부터 30cm 거리의 흑백만을 구분하다가 점차 색상을 인지하게 되는데, 이 시기에 시각을 자극해 주는 것이 시각발달에 많은 도움이 된다. 그러나 종래의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의 경우에는 영,유아의 시각을 자극하는 구성은 전혀 고려되지 않음에 따라 영,유아의 시각발달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영,유아의 시각발달을 위한 기존의 방법들로는 흑백과 컬러 모빌, 시각자극용 책 등이 있었으나, 모빌의 경우 누워있을 때에만 시각자극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시각자극용 책의 경우 보호자가 따로 시간을 내어 손으로 들고 보여주어야 함에 따라, 보호자의 시간적, 심리적, 체력적인 여유가 있어야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시각이 발달한 영,유아의 경우에는 등에 업힌 상태에서 보호자의 머리카락을 잡아당기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의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의 경우에는 영,유아의 주의를 끌 수 있는 구성은 전혀 고려되지 않음에 따 라 보호자의 품에 안기거나 보호자의 등에 업힌 영,유아의 주의를 환기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영,유아의 침이나 영,유아의 토사물에 의해 보호자의 의복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영,유아가 품에 안기거나 등에 업힌 상태에서도 그 착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착용한 상태에서 영,유아를 품에 안거나 등에 업기만 하더라도 영,유아의 시각발달을 향상시키고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의복을 입은 상태에서 보호자의 상체에 착용되며 허리라인보다 길이가 짧은 볼레로 또는 조끼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에 구비되어 보호자의 품에 안기거나 등에 업힌 영,유아의 시각을 자극하는 시각자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 중앙부에는 벨크로테이프, 스냅단추 또는 일반단추로 형성되는 개폐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탄성밴드에 의해 주름처리부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에는 흡 수력 증가와 완충을 위한 덧댐처리부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시각자극수단은 흑백 또는 원색의 직물이 서로 대비되게 조합된 장신구(단추, 리본 등 다양한 형태 가능), 또는 흑백 또는 원색의 스팽글이 대비되게 조합된 장신구, 또는 은사나 금사를 이용한 각종 반짝이원단으로 제조되는 장신구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시각자극수단은 벨크로테이프 또는 스냅단추으로 형성되는 착탈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에 의하면, 영,유아의 침이나 영,유아의 토사물에 의해 보호자의 의복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본체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 중앙부가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착용이 매우 용이하고, 하단 가장자리에 주름처리부까지 형성되어 영,유아를 품에 안거나 등에 업더라도 그 착용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에 의하면, 흑백대비, 원색대비, 반짝이 효과를 이용한 장신구 형태로 형성된 시각자극수단이 본체에 구비됨에 따라, 목을 가눌 수 있을 때까지는 대부분의 시간을 누워있거나 보호자의 품에 안겨 있어야 하는 영,유아를 단지 품에 안거나 등에 업기만 하더라도 영,유아의 시각발달을 향상시키고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영,유아의 시각발달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이후에도 영,유아의 토사물로 인한 오염방지에 대한 기능이 여전히 제공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벨크로테이프 또는 스냅단추에 의해 시각자극수단이 본체 상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됨에 따라 영,유아의 시각발달에 알맞은 다른 시각자극수단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의 정면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의 배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의 전개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1)는, 영,유아의 침이나 영,유아의 토사물에 의해 보호자의 의복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영,유아가 품에 안기거나 등에 업힌 상태에서도 그 착용상태가 유 지될 수 있으며, 착용한 상태에서 영,유아를 품에 안거나 등에 업기만 하더라도 영,유아의 시각발달을 향상시키고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의복을 입은 상태에서 보호자의 상체에 착용되며 허리라인보다 길이가 짧은 볼레로 또는 조끼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에 구비되어 보호자의 품에 안기거나 등에 업힌 영,유아의 시각을 자극하는 시각자극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10)는 의복을 입은 상태에서 보호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것으로, 영,유아를 안거나 업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착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볼레로 또는 조끼와 유사한 의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체(10)의 배면측 중앙부에는 개폐수단(11)이 구비되는데, 이 개폐수단(11)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1)를 착용하거나 벗을 때 본체(10)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 중앙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벨크로테이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냅단추 또는 일반단추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개폐수단(11)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배면측 중앙부가 개폐되도록 본체(10)의 배면측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체(10)의 전면측 중앙부가 개폐되도록 본체(10)의 전면측 중앙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체(10)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주름처리부(13)가 형성되는데, 이 주름처리부(13)는 본체(10)의 하단 가장자리가 보호자의 상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보호자의 다양한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그 착용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고무줄과 같은 탄성밴드가 본체(10)의 하단 가장자리에 개재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통상 영,유아를 돌보는 보호자는 다양한 자세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은 바, 본체(10)가 헐렁한 상태로 보호자의 상체에 착용될 경우에는 보호자의 움직임에 따라 착용감이 떨어질 수 있는데, 본 고안에 따른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1)에는 이 주름처리부(13)에 의해 보호자의 다양한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체(10)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에는 본체(10)와 동일재질로 덧댄 덧댐처리부(15)가 구비되는데, 이 덧댐처리부(15)는 영,유아의 침이나 영,유아의 토사물이 더 많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10)의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보호자의 품에 안기거나 등에 업힌 영,유아의 얼굴에 대해 자체 쿠션에 의한 완충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본체(10)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에는 시각자극수단(20)이 구비되는데, 이 시각자극수단(20)은 보호자의 품에 안기거나 등에 업힌 영,유아의 시각을 흑백대비, 원색대비, 반짝임 등을 통해 자극함과 동시에 주의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흑백 또는 원색의 직물이 서로 대비되게 조합된 장신구(단추, 리본 등 다양한 형태 가능) 또는 흑백 또는 원색의 스팽글이 서로 대비되게 조합된 장신구 또는 은사나 금사를 이용한 각종 반짝이원단으로 제조되는 장신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각자극수단(20)은 실시예에 따라 시각자극수단(20)은 각종 금속성 원단 또는 핫픽스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이나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시각자극수단(20)은 도면상에 본체(10)의 전면측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됨없이 본체(10)의 배면측에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시각자극수단(20)는 바느질이나 접착에 의해 본체(10)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에 고정될 수도 있지만 벨크로테이프 또는 스냅단추으로 형성되는 착탈수단(21)에 의해 본체(10)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각자극수단(20)이 본체(10)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될 경우에는 생후 3개월정도까지는 영,유아가 흑백만을 인지하는 바 흑백대비형 시각자극수단(20)을 사용하다가 그 이후에는 원색대비형 시각자극수단(20)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1)를 사용할 경우에는, 영,유아의 침이나 영,유아의 토사물에 의해 보호자의 의복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본체(10)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 중앙부가 개폐수단(21)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착용 및 착용해제이 매우 용이하고, 본체(10)의 하단 가장자리에 주름처리부(13)까지 형성되어 영,유아를 품에 안거나 등에 업은 상태에서 다양한 움직임을 취하더라도 그 착용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며, 덧댐처리부(15)를 통해 영,유아의 침이나 영,유아의 토사물에 대한 흡수용량이 증대될 수 있고 영,유아의 얼굴부분에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 상에 흑백대비, 원색대비, 반짝임 등을 통해 통해 영,유아의 시각을 자극하는 장신구(단추, 리본 등 다양한 형태 가능) 형태의 시각자극수단(20)이 구비됨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영,유아를 품에 안거나 등에 업기만 하더라도 영,유아의 시각을 자극하여 시각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영,유아의 주의를 환기시켜 영,유아가 보호자의 머리카락을 잡아당기거나 하는 일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벨크로테이프 또는 스냅단추와 같은 착탈수단(21)에 의해 시각자극수단(20)이 본체(10) 상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됨에 따라 예를 들어 흑백대비형에서 원색대비형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영,유아의 시각발달에 알맞은 다른 시각자극수단(20)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의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의 전개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 고안에 따른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
10 : 본체
11 : 개폐수단
13 : 주름처리부
15 : 덧댐처리부
20 : 시각자극수단
21 : 착탈수단

Claims (5)

  1. 의복을 입은 상태에서 보호자의 상체에 착용되며 허리라인보다 길이가 짧은 볼레로 또는 조끼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에 구비되어 보호자의 품에 안기거나 등에 업힌 영,유아의 시각을 자극하는 시각자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 중앙부에는 벨크로테이프, 스냅단추 또는 일반단추로 형성되는 개폐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탄성밴드에 의해 주름처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측 또는 배면측에는 흡수력 증가와 완충을 위한 덧댐처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각자극수단은 흑백 또는 원색의 직물이 서로 대비되게 조합된 장신구, 또는 흑백 또는 원색의 스팽글이 대비되게 조합된 장신구, 또는 은사나 금사를 이용한 각종 반짝이원단으로 제조되는 장신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각자극수단은 벨크로테이프 또는 스냅단추으로 형성되는 착탈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
KR2020090013908U 2009-10-26 2009-10-26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 KR2004606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908U KR200460607Y1 (ko) 2009-10-26 2009-10-26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908U KR200460607Y1 (ko) 2009-10-26 2009-10-26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35U KR20110004335U (ko) 2011-05-04
KR200460607Y1 true KR200460607Y1 (ko) 2012-06-13

Family

ID=4424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908U KR200460607Y1 (ko) 2009-10-26 2009-10-26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6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437Y1 (ko) 2014-02-28 2014-07-03 조민희 어깨걸침용 아기 침받이
KR102029159B1 (ko) * 2018-11-27 2019-10-07 김은이 아기머리보호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062Y1 (ko) * 2002-01-19 2002-04-20 서의석 유아 교사용 에이프런
KR200316888Y1 (ko) * 2003-03-20 2003-06-18 노순덕 의복 오염방지구
US7082617B1 (en) * 2004-04-21 2006-08-01 Michael Poindexter Mommy bib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062Y1 (ko) * 2002-01-19 2002-04-20 서의석 유아 교사용 에이프런
KR200316888Y1 (ko) * 2003-03-20 2003-06-18 노순덕 의복 오염방지구
US7082617B1 (en) * 2004-04-21 2006-08-01 Michael Poindexter Mommy bib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437Y1 (ko) 2014-02-28 2014-07-03 조민희 어깨걸침용 아기 침받이
KR102029159B1 (ko) * 2018-11-27 2019-10-07 김은이 아기머리보호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35U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0471A (en) Protective garment for use with feeding, burping, nursing and changing diapers of a baby
US7448089B2 (en) Baby bib with protective neckline
US6536047B1 (en) Infant holding garment
US10080390B2 (en) Clothing clip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same
US7640598B1 (en) Infant caregiver padded pillow garment
CN111093410B (zh) 襁褓装置
US20160113331A1 (en) Pajama Swaddl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NO318577B1 (no) Klesplagg for kontakt mellom en person og et lite barn
US20130168422A1 (en) Upper-body infant bonding garment
CN111954472A (zh) 具有可调整包覆件的襁褓装置
US20130205463A1 (en) Pillow bib
US20110010816A1 (en) Baby carry all smock
KR200460607Y1 (ko)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
KR101584240B1 (ko)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US20180021224A1 (en) Pacifier Holder ("PH") & Eye Cover ("EC" attachment)
KR101926150B1 (ko) 영유아 머리 보호용 어깨 패드
KR101954212B1 (ko) 다용도 영유아 머리 보호용 어깨 패드
US2005025730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tecting a child from spills
KR102029159B1 (ko) 아기머리보호패드
KR200473837Y1 (ko) 허리 보호용 아기 포대기
CN108903078B (zh) 一种可辅助裹抱婴儿的衣服
KR101361158B1 (ko) 손가락의 욕창방지기능이 구비되는 치매환자용 보호복
KR20070099704A (ko) 유아보호용 보호자 재킷
CN211933829U (zh) 一种颈套式多功能婴童浴巾
US20230051552A1 (en) Sensory chewing neck gai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