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159B1 - 아기머리보호패드 - Google Patents

아기머리보호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159B1
KR102029159B1 KR1020180148904A KR20180148904A KR102029159B1 KR 102029159 B1 KR102029159 B1 KR 102029159B1 KR 1020180148904 A KR1020180148904 A KR 1020180148904A KR 20180148904 A KR20180148904 A KR 20180148904A KR 102029159 B1 KR102029159 B1 KR 102029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layer
front pad
head protection
baby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정
박지훈
Original Assignee
김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이 filed Critical 김은이
Priority to KR1020180148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10Bibs
    • A41B13/103Bibs with a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8Carrying facilities
    • A41D2400/482Carrying facilities for bab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아이들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들이 사용 가능하도록 길이 조절이 용이하면서도 결합이 간단한 아기머리보호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머리보호패드는 전면패드(10)와, 상기 전면패드(10)와 결합되는 후면패드(20)와, 상기 전면패드(10)와 후면패드(20)를 결합하는 결합부(30)를 포함하는 아기머리보호패드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드(10)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편물 소재의 외부층(100)과, 내측면에 형성되는 면 소재의 내부층(200)과, 상기 외부층(100)과 내부층(200) 사이에 삽입되는 직물 소재의 자바라층(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기머리보호패드{BABY HEAD PRETECTION PAD}
본 개시내용은 아이들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들이 사용 가능하도록 길이 조절이 용이하면서도 결합이 간단한 아기머리보호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태어난지 얼마 되지 않은 생후 4주까지의 신생아부터 1년 또는 그 이상이 되기까지는 보호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케어가 필요한 시기이다. 특히, 보호자들은 양 팔을 이용하여 아이를 품에 안거나 어깨에 걸친 상태에서 수유를 하거나 잠을 재울 수 있으며, 특히 어린 아이일수록 보호자들의 품 속에서 오랜 시간 보내는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보호자들이 아이들을 안아 올려 품속에 또는 어깨에 걸친 상태로 지내는 시간이 많아지게 되지만 스스로 신체활동을 제어할 수 없는 아이들의 경우 침을 계속 흘리게 되어 보호자들의 옷이 젖을 수 있으며, 특히 목 근육의 발달이 미약하여 아이의 머리가 보호자의 신체부위와 부딪혀 다칠 위험도 존재한다.
따라서, 아이를 가진 보호자들의 필수품 중 하나로서 턱받이가 존재한다. 그 중에서 아이용 턱받이는 아이가 직접 음식을 섭취하면서 흘리거나 침을 흘리는 경우에 아이의 목에 걸쳐서 옷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필요하고, 이를 직접 할 수 없는 신생아 단계에서는 보호자가 모든 것을 제어해야 하므로 보호자들이 아이를 안았을 때 보호자들의 옷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신생아의 머리가 다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호자용 턱받이(또는 머리보호패드)가 존재한다.
여기서, 보호자용 턱받이는 끈 등을 이용하여 보호자의 목에 걸친 상태에서 아이를 품속에 안았을 때 아이의 얼굴이 턱받이 중심부에 올 수 있도록 하여 침이나 음식물을 흘려도 보호자의 옷이 더렵혀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아이의 머리가 닿는 부분은 패드로 구성되어 머리를 다치치 않도록 할 수 있다. 소재는 일반적으로 면재질로 이루어져 아이가 침을 흘려도 쉽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보호자를 위한 턱받이에 대한 수 많은 기술들이 이미 개시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779956호(2017.09.19. 공고)에서는, 두 개의 패드부가 전면부 및 후면부에서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분리되면 큰 패드부는 턱받이로, 작은 패드부는 스카프로 활용 가능한 다용도의 보호자와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머리보호패드는 그 크기가 일정하여 어깨가 넓거나 큰 신체를 가진 보호자 또는 반대로 작은 신체를 가진 보호자들에게 범용으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다양한 사이즈별로 제품을 제작하게 되면 제작비용이 상당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779956호(2017.09.19. 공고)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들이 사용 가능하도록 길이 조절이 용이하면서도 결합이 간단한 아기머리보호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머리보호패드는 전면패드(10)와, 상기 전면패드(10)와 결합되는 후면패드(20)와, 상기 전면패드(10)와 후면패드(20)를 결합하는 결합부(30)를 포함하는 아기머리보호패드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드(10)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편물 소재의 외부층(100)과,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부층(200)과, 상기 외부층(100)과 내부층(200) 사이에 삽입되는 직물 소재의 자바라층(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면패드(1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자바라층(300)과 연결되어 전면패드(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끈(11)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전면패드(10)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돌기부(31a)와 제1관통홀(31b), 상기 후면패드(20)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전면패드(10)와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2돌기부(33a)와 제2관통홀(33b)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전면패드(10)와 후면패드(20)의 양측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부층(200)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주머니(13)가 더 형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호자 및 아이 겸용 머리보호패드에 있어서, 용이하게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호자의 신체 사이즈에 무관하게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면패드와 후면패드를 결합하는 결합부가 복수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도 길이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머리보호패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머리보호패드의 상세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머리보호패드에 있어서, 전면패드의 배면도.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머리보호패드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기머리보호패드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머리보호패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상세도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머리보호패드는 전면패드(10)와, 상기 전면패드(10)와 결합되는 후면패드(20)와, 상기 전면패드(10)와 후면패드(20)를 결합하는 결합부(30)를 포함하는 아기머리보호패드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드(10)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편물 소재의 외부층(100)과,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부층(200)과, 상기 외부층(100)과 내부층(200) 사이에 삽입되는 직물 소재의 자바라층(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호자가 상기 아기머리보호패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전면패드(10)를 보호자의 가슴부위에 위치시키고, 상기 후면패드(20)를 목 뒤쪽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30)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패드(10) 및 후면패드(20)는, 보호자가 아기머리보호패드를 착용하고 아이를 안아서 품속에 기대게 한 경우에 아이가 머리를 다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이 있는 젤이나 쿠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드(10) 및 후면패드(20)는 그 모양이나 형태에 대한 제한은 없으나, 보호자의 가슴부위를 커버할 수 있는 얇은 두께의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30)는 전면패드(10)와 후면패드(20)의 양측부에서 서로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머리보호패드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드(10)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편물 소재의 외부층(100)과,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부층(200)과, 상기 외부층(100)과 내부층(200) 사이에 삽입되는 직물 소재의 자바라층(300)으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패드(10)의 외측면을 구성하고 있는 외부층(100)은 편물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편물 소재는 한가지 방향에서 고리를 만들어 그 연결로 원단을 구성하는 방식으로서, 일반적으로 티셔츠나 니트 등에 사용된다. 후술할 직물 소재와는 달리 자체적으로 신축성이 상당하여 쉽게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다음으로, 상기 전면패드(10)의 내측면에는 내부층(200)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층(200)은 아이와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은 아니므로 그 소재가 한정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층(100)과 내부층(200) 사이에 직물 소재로 이루어진 자바라층(300)이 삽입된다. 여기서 직물 소재는 수직 방향의 경사와 수평 방향의 경사가 직각으로 만나 교차하여 짜여진 원단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다이마루라고도 불리며, 상기 편물 소재에 비하여 신축성이 우수하지는 않지만 한 방향으로 쉽게 신축될 수 있다는 성질이 띈다. 따라서, 상기 직물 소재로 이루어진 층을 외부층(100)과 내부층(200) 사이에 삽입시키되, 이를 자바라 방식으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전면패드(10)를 양 옆으로 당기면 상기 자바라층(300)이 연장되면서 패드가 좌우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면패드(1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자바라층(300)과 연결되어 전면패드(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끈(11)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길이조절끈(11)은 전면패드(10)의 상부와 하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자바라층(300)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며, 길이조절끈(11)을 양 옆으로 당기면 상기 자바라층(300)이 줄어들어 전면패드(10)의 좌우 길이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고, 다시 전면패드(10)의 양 옆을 좌우로 당기면 상기 축소된 자바라층(300)이 다시 펴지면서 원래 길이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기머리보호패드를 사용하는 보호자의 체형에 따라서, 작은 체형을 가진 사용자는 상기 길이조절끈(11)을 당겨서 좌우 길이를 좁게 만들어 사용할 수 있고, 큰 체형을 가진 사용자는 자바라층(300)을 늘려서 사용할 수 있어, 용이하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전면패드(10)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돌기부(31a)와 제1관통홀(31b), 상기 후면패드(20)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전면패드(10)와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2돌기부(33a)와 제2관통홀(33b)로 구성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전면패드(10)와 후면패드(20)의 양측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복수의 제1돌기부(31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복수의 제1관통홀(31b)이 형성된다. 또한, 후면패드(20)는 상기 전면패드(10)의 제1돌기부(31a)와 연결되는 부분에 제2관통홀(33b)이 형성되고, 제1관통홀(31b)과 연결되는 부분에 제2돌기부(33a)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전면패드(10) 및 후면패드(20)의 결합부(30)가 교차 형성되는 것은, 각 패드를 분리하여 전면패드(10)의 제1돌기부(31a)와 제1관통홀(31b)을 상호 결합하여 아이 턱받이로 활용할 수 있으며, 후면패드(20)의 제2돌기부(33a)와 제2관통홀(33b)을 상호 결합하여 스카프로 활용 가능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0), 즉 돌기부와 관통홀은 전면패드(10)와 후면패드(2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전면패드(10)의 자바라층(300) 구조에 의하여 전면패드(10)가 좌우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각 패드의 결합부가 복수개 형성됨에 따라 상하로도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아기머리보호패드를 착용하는 보호자의 체형에 따라서 결합부의 돌기부와 관통홀을 적절하게 결합하여 사용함과 동시에, 길이조절끈(11)을 활용하여 좌우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부층(200)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주머니(13)가 더 형성된다.
보호자가 아이를 안아 올려 상기 머리보호패드에 기댄 상태에서 보호자의 활동에는 큰 제약이 생길 수 있다. 그에 따라, 필요한 물건 예를 들어 아이의 입을 닦기 위한 손수건 등을 보관하기 위한 용도의 공간이 필요해지고, 상기 전면패드(10) 내부층(200)의 후면에 주머니(13)를 추가로 설치하여 손수건이나 장난감 등의 물건을 보관하고, 아이 또는 보호자가 필요로하는 물건을 상기 아기머리보호패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바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전면패드
11 : 길이조절끈
13 : 주머니
20 : 후면패드
30 : 결합부
31a : 제1돌기부
31b : 제1관통홀
33a : 제2돌기부
33b : 제2관통홀
100 : 외부층
200 : 내부층
300 : 자바라층

Claims (5)

  1. 외측면에 형성되는 편물 소재의 외부층(100)과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부층(200) 및 상기 외부층(100)과 내부층(200) 사이에 삽입되는 직물 소재의 자바라층(300)으로 구성되는 전면패드(10);
    상기 전면패드(10)와 결합되는 후면패드(20);
    상기 전면패드(10)와 후면패드(20)를 결합하는 결합부(30);를 포함하는 아기머리보호패드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드(1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자바라층(300)과 연결되어 전면패드(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끈(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머리보호패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전면패드(10)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돌기부(31a)와 제1관통홀(31b);
    상기 후면패드(20)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전면패드(10)와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2돌기부(33a)와 제2관통홀(33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머리보호패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전면패드(10)와 후면패드(20)의 양측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머리보호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200)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주머니(1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머리보호패드.
KR1020180148904A 2018-11-27 2018-11-27 아기머리보호패드 KR102029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904A KR102029159B1 (ko) 2018-11-27 2018-11-27 아기머리보호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904A KR102029159B1 (ko) 2018-11-27 2018-11-27 아기머리보호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159B1 true KR102029159B1 (ko) 2019-10-07

Family

ID=6842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904A KR102029159B1 (ko) 2018-11-27 2018-11-27 아기머리보호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1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694A (ko) * 2020-03-20 2021-09-29 주식회사 크로스포스트 밀착형 아기 침받이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7318A (ja) * 2001-05-07 2002-11-15 Rika Saito 母親用よだれガード
US7082617B1 (en) * 2004-04-21 2006-08-01 Michael Poindexter Mommy bib
US20100017930A1 (en) * 2008-07-24 2010-01-28 Annika Chase Specialized infant protective cover
KR200460607Y1 (ko) * 2009-10-26 2012-06-13 최신영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
JP3181018U (ja) * 2012-10-22 2013-01-24 慧琴 相村 染みカット肩掛け兼用乳幼児エプロン。
KR101377181B1 (ko) * 2012-10-26 2014-03-25 김은이 신생아용 머리 보호 패드
KR200473437Y1 (ko) * 2014-02-28 2014-07-03 조민희 어깨걸침용 아기 침받이
US8973163B1 (en) * 2012-04-20 2015-03-10 Linda A. Kuever Infant caregiver protective garment having an athletic shoulder pad appearance
KR101779956B1 (ko) 2016-04-29 2017-09-19 김은이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7318A (ja) * 2001-05-07 2002-11-15 Rika Saito 母親用よだれガード
US7082617B1 (en) * 2004-04-21 2006-08-01 Michael Poindexter Mommy bib
US20100017930A1 (en) * 2008-07-24 2010-01-28 Annika Chase Specialized infant protective cover
KR200460607Y1 (ko) * 2009-10-26 2012-06-13 최신영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
US8973163B1 (en) * 2012-04-20 2015-03-10 Linda A. Kuever Infant caregiver protective garment having an athletic shoulder pad appearance
JP3181018U (ja) * 2012-10-22 2013-01-24 慧琴 相村 染みカット肩掛け兼用乳幼児エプロン。
KR101377181B1 (ko) * 2012-10-26 2014-03-25 김은이 신생아용 머리 보호 패드
KR200473437Y1 (ko) * 2014-02-28 2014-07-03 조민희 어깨걸침용 아기 침받이
KR101779956B1 (ko) 2016-04-29 2017-09-19 김은이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694A (ko) * 2020-03-20 2021-09-29 주식회사 크로스포스트 밀착형 아기 침받이
KR102421814B1 (ko) * 2020-03-20 2022-07-20 주식회사 크로스포스트 밀착형 아기 침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0598B1 (en) Infant caregiver padded pillow garment
US5960471A (en) Protective garment for use with feeding, burping, nursing and changing diapers of a baby
US7587769B1 (en) Swaddling article
US2831193A (en) Garment for use in the care of infants
US9265357B2 (en) Nursing and infant support pillow
CA2629010A1 (en) Integrated, coordinated protective article and garment for continuous use
US11980326B2 (en) Bath cover for a child
KR200440481Y1 (ko) 휴대용 아기 침낭
US8683614B2 (en) Pillow bib
KR101779956B1 (ko)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KR102029159B1 (ko) 아기머리보호패드
US20110010816A1 (en) Baby carry all smock
KR200483956Y1 (ko) 유아 식탁용 방수 턱받이
KR200486170Y1 (ko) 식탁용 방수 턱받이
KR101584240B1 (ko)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JP2005052584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US2599355A (en) Baby garment
KR101926150B1 (ko) 영유아 머리 보호용 어깨 패드
US114577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child's head
KR200485084Y1 (ko) 턱받이
US2478239A (en) Safety garment
US20160235216A1 (en) Multi-Function Infant Pillow and Mat
KR101954212B1 (ko) 다용도 영유아 머리 보호용 어깨 패드
US2793367A (en) Protective garment
KR200460607Y1 (ko) 보호자용 의복 오염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