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956B1 -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 Google Patents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956B1
KR101779956B1 KR1020160053506A KR20160053506A KR101779956B1 KR 101779956 B1 KR101779956 B1 KR 101779956B1 KR 1020160053506 A KR1020160053506 A KR 1020160053506A KR 20160053506 A KR20160053506 A KR 20160053506A KR 101779956 B1 KR101779956 B1 KR 101779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binding member
binding
weare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이
Original Assignee
김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이 filed Critical 김은이
Priority to KR1020160053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956B1/ko
Priority to PCT/KR2017/004536 priority patent/WO201718877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10Bi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를 다양한 종류의 결속 부재를 통해 결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벨크로 결합 방식이 가지는 다양한 위생적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보다 면적이 넓은 전면부 패드를 턱받이로서 변형하여 활용할 수도 있고, 보다 면적이 좁은 후면부 패드를 스카프로서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뛰어난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PAD FOR PROTECTING HEAD OF NEWBORN}
본 발명은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를 다양한 종류의 결속부재를 통해 결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벨크로 결합 방식이 가지는 다양한 위생적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는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보다 면적이 넓은 전면부 패드를 턱받이로서 변형하여 활용할 수도 있고, 보다 면적이 좁은 후면부 패드를 스카프로서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뛰어난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호자가 신생아를 안아주는 동작에 있어서 생후 5개월 미만의 신생아들은 목근육 발달이 미숙하여 자율의지대로 목을 가누기 힘들기 때문에, 보호자는 목근육이 발달하는 기간 동안에는 반드시 신생아의 목 부분을 받쳐 지탱한 후 신생아를 안아야 하며, 특히 보호자에게 안긴 신생아가 무거운 머리무게를 자율의지대로 꼿꼿이 지탱하고 유지하기란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보호자는 신생아의 뒷목을 받쳐주거나 또는 신생아의 머리를 보호자의 어깨 혹은 가슴쪽에 기대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도, 신생아가 목을 가누지 못함으로 인해 신생아의 머리와 보호자의 쇄골이 부딪힘에 따라 신생아 또는 보호자에게 타박상 혹은 찰과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신생아의 안면 피부와 보호자의 피부가 직접 적으로 맞닿는 경우,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낮은 신생아의 안면 피부에는 오염원으로 인한 태열, 땀띠 등과 같은 피부 트러블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산모는 수유 후 신생아로 하여금 트림을 유도하기 위해 신생아의 안면을 자신의 어깨에 기대게 한 채로 등을 두드리게 되는데, 신생아가 트림을 함과 동시에 식도를 통해 역류된 토사물이 산모의 옷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으며, 또한 토사물이 신생아의 안면 피부에 묻어 태열, 땀띠 등과 같은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신생아가 기댈 수 있는 산모의 어깨부분 혹은 가슴부분에 소정의 완충력을 가지는 패드를 덧댐으로써 신생아가 보호자의 쇄골 등에 부딪혀 찰과상을 입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신생아의 입과 코에서 나오는 이물질을 흡수시킴으로써 신생아의 안면 피부에 피부 트러블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신생아용 머리보호 패드 등이 개발 및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신생아용 머리보호 패드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보호자의 가슴쪽에 덧대는 전면부 패드 및 어깨쪽에 덧대는 후면부 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부드러운 벨크로(1mm)가 제공된다. 따라서, 보호자는 벨크로를 통해 전면부 패드를 후면부 패드 상측에 고정시키거나 혹은 자신의 목둘레에 맞게 전면부 패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벨크로 고정 방식을 이용한 머리보호 패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들을 야기할 수 있다.
먼저, 벨크로는 구조적 특성(날카로운 갈고리 형태)상 보호자의 머리카락이나 신생아의 머리카락 등이 달라붙어 뜯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호자나 신생아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날카로운 갈고리가 보호자의 의류나 신생아의 의류에 걸려 의류에 보푸라기를 발생시키는 등 의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신생아 및 유아의 피부는 매우 예민하고 연약하기 때문에 아무리 부드러운 벨크로를 적용하더라도 벨크로에 신생아의 안면 피부 등이 가볍게 스치는 경우 찰과상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으며 찰과상에 따른 피부 오염 등과 같은 위생 문제점들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벨크로는 구조적 특성상 다양한 재질의 실, 머리카락 및 각종 오염원들이 쉽게 걸려 엉킬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벨크로가 적용된 신생아용 머리보호 패드를 세탁하는 경우 다른 세탁물로부터 제거된 오염원들이 벨크로에 엉켜 달라붙을 수 있고, 특히 이러한 벨크로에 엉켜진 머리카락 및 각종 오염원들은 벨크로의 갈고리 내측으로 파고들기 때문에 잔여물 제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신생아용 머리보호 패드의 연결부분은 신생아 혹은 유아의 피부가 직접적으로 맞닿을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에, 보다 위생적으로 설계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벨크로를 적용한 신생아용 머리보호 패드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위생적인 문제점들 및 불편함들을 발생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벨크로 결합 방식이 적용된 신생아용 머리보호 패드가 가지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를 다양한 종류의 결속부재를 통해 결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벨크로 연결 방식이 가지는 다양한 위생적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고, 또한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 각각에 구비된 다양한 종류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보다 면적이 넓은 전면부 패드를 턱받이로서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보다 면적이 좁은 후면부 패드를 스카프로서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뛰어난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 10-1377181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를 다양한 종류의 결속부재를 통해 결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벨크로 연결 방식이 가지는 다양한 위생적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고, 또한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 각각에 구비된 다양한 종류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보다 면적이 넓은 전면부 패드를 턱받이로서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보다 면적이 좁은 후면부 패드를 스카프로서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뛰어난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는 전면부 패드의 일측에 제공되는 전면 결속부재 및 상기 전면부 패드와 결합 가능한 후면부 패드의 일측에 제공되는 후면 결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및 후면 결속부재가 가지는 결속력을 매개로 상기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의 적어도 일부분이 접하여 접합면을 형성함에 따라, 착용자의 목둘레를 감싸는 착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가 상기 착용자의 어깨 상측에 안착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결속부재는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접합면의 형성위치와 상응하게 제공되는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결속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와 각각 상응하게 제공되는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면 결속부재 및 상기 제1 후면 결속부재가 서로 상응하게 접하여 상기 제1 접합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전면 결속부재 및 상기 제2 후면 결속부재가 서로 상응하게 접하여 상기 제2 접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면 결속부재와 결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후면 결속부재가 특정한 간격으로 연속하게 위치하여 제1 후면 결속부재 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전면 결속부재가 상기 제1 후면 결속부재 라인 상에 위치된 복수의 제1 후면 결속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함에 따라, 상기 형성된 착용 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면 결속부재와 결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 후면 결속부재가 특정한 간격으로 연속하게 위치하여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전면 결속부재가 상기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 상에 위치된 복수의 제2 후면 결속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함에 따라, 상기 형성된 착용 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면부 패드로부터 분리된 상기 전면부 패드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목둘레를 감싼 후 상기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를 서로 결속시킴에 따라, 제3 접합면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 패드가 턱받이로서 상기 착용자의 어깨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부 패드로부터 분리된 상기 후면부 패드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목둘레를 감싼 후 상기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를 서로 결속시킴에 따라, 제4 접합면이 형성되어 상기 후면부 패드가 스카프(scarf)로서 상기 착용자의 목둘레에 착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는 상기 전면부 패드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여 신생아의 입이나 코에서 나오는 이물질로부터 상기 전면부 패드의 외측면을 보호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전면부 패드의 일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자성체, 도트 단추, 똑딱 단추(snap), 갈고리 단추, 구멍 단추, 기둥 단추 및 지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물질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가 오염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를 분리시켜 상기 전면부 패드로부터 오염된 커버부재를 분리 및 새로운 커버부재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새로운 커버부재를 상기 전면부 패드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에는 커버부재 개폐부가 구비되며, 상기 이물질의 흡수가 가능한 고흡수성 폴리머 흡수체가 상기 커버부재 개폐부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 내측에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는 상기 전면 결속부재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전면 결속부재를 수용하는 전면 결속부재 수용부 및 상기 후면 결속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후면 결속부재를 수용하는 후면 결속부재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결속부재 수용부 및 후면 결속부재 수용부 각각에 구비된 개폐부를 통해, 상기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 각각으로부터 상기 전면 결속부재 및 후면 결속부재의 착탈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결속부재 및 후면 결속부재는 외측이 보호 코팅된 자성체, 도트 단추, 똑딱 단추(snap), 갈고리 단추, 구멍 단추, 기둥 단추 및 지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가 각각 특정한 간격으로 연속하게 위치하여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 라인을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가 각각 특정한 간격으로 연속하게 위치하여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면 결속부재 라인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후면 결속부재 라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합 및 결속함에 따라 상기 제1 접합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전면 결속부재 라인이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합 및 결속함에 따라 상기 제2접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부 패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전면 개폐부를 통해, 소정의 완충력을 가지는 전면 충전재가 상기 전면부 패드 내측으로 삽입 및 내측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개폐부는 외측이 보호 코팅된 한 쌍 이상의 자성체, 한 쌍 이상의 도트 단추, 한 쌍 이상의 똑딱 단추(snap), 한 쌍 이상의 갈고리 단추, 한 쌍 이상의 구멍 단추, 한 쌍 이상의 기둥 단추 및 지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충전재는 우레탄, 스펀지, 라텍스, 메쉬(mesh) 및 메모리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은 메쉬(mesh)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는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를 자성체(예를 들어, 의류용 자성체), 도트 단추, 똑딱 단추, 갈고리 단추, 구멍 단추, 기둥 단추 및 지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속부재를 통해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결속부재를 통한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의 손쉬운 착탈 결합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날카로운 갈고리 형태의 벨크로 결합 방식을 배제함으로써, 신생아의 안면 피부에 스쳐 발생되는 찰과상 발생요인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날카로운 갈고리 형태의 벨크로 결합 방식을 배제함으로써, 착용자의 머리카락이나 신생아의 머리카락이 뜯겨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착용자의 의류나 신생아의 의류가 걸려 훼손 및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반드시 외부로 노출되어야만 고정기능의 수행이 가능한 벨크로와는 달리,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의 일측에 자성체(예를 들어, 의류용 자성체)를 삽입함으로써 자성체가 가지는 자력을 통해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를 얼마든지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벨크로 결합 방식을 적용한 제품 대비 보다 깔끔하고 완성된 느낌의 디자인 표현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심미적으로 보다 우수해지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날카로운 갈고리 형태의 벨크로 결합 방식을 배제함으로써, 세탁 시 세탁기 내부의 실, 머리카락 및 각종 오염원들이 엉켜 달라붙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보다 위생적인 세탁물 보관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날카로운 갈고리 형태의 벨크로 결합 방식을 배제함으로써, 보관 시 다른 의류들의 손상을 야기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보관공간 및 보호장치(예를 들어, 별도의 보관커버 등)가 필요치 않는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 턱받이가 필요한 상황(예를 들어, 유아가 음식을 섭취해야 하는 경우 등)에서 별도의 유아 턱받이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전면부 패드를 후면부 패드로부터 분리시킨 후 유아의 목에 둘러줌으로써, 즉시 턱받이로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의 목에 보온이 필요한 경우, 후면부 패드를 전면부 패드로부터 분리시킨 후 유아의 목에 둘러줌으로써 감기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목보호용 스카프로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이 코팅된 자성체를 이용함에 따라, 자성체에 의한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의 이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반복되는 세탁과정 등으로부터 자력 손실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개폐부를 통해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에 적용된 자성체의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파손되었거나 자력이 손실된 자성체을 새로운 자성체로 교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부 패드의 외측을 덮는 커버부재를 통해 신생아의 입이나 코로부터 나오는 이물질 혹은 트림시 나오는 토사물로부터 전면부 패드를 보호할 수 있고, 특히 오염된 커버부재는 고정부재를 통해 전면부 패드로부터 분리시킨 후 새로운 커버부재로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커버부재를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신생아의 안면 피부 트러블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100)의 전체적인 형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면 결속부재(111) 및 후면 결속부재(121)의 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가 결합됨에 있어서, 후면부 패드(120)의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122)를 통해 착용 공간의 크기가 조절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를 각각 유아용 턱받이로서 변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면부 패드(110)의 외측면에 결속되는 커버부재(200)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100)를 보호자 및 유아가 직접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면 결속부재 라인(112) 및 후면 결속부재(122)가 도트 단추로서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100)의 일측면에 제공되는 전면 개폐부(113)의 개폐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 패드(110')의 형태 및 전면 개폐부(113')의 개폐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서로 다른 형태의 전면 충전재(114, 114')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100)의 전체적인 형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100)는 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전면부 패드(110)는 전면 결속부재(111)를 포함할 수 있고 후면부 패드(120)는 후면 결속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전면부 패드(110)는 신생아 혹은 유아가 머리를 기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소정의 완충력(쿠션감)을 통해 신생아 혹은 유아가 머리를 기댈 시 보호자의 쇄골 등에 부딪혀 타박상 혹은 찰과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전면부 패드(110)는 소정의 완충력을 가지기 위해 0.5cm 내지 1cm 두께를 가진 라텍스 재질의 전면 충전재(후술되는 도 8 및 도 9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함)가 내측에 제공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머리를 기댄 신생아 혹은 유아로 하여금 푹신하고 포근한 안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목을 가누지 못하는 신생아 혹은 유아의 머리가 보호자의 쇄골과 부딪혀 발생되는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전면부 패드(110)는 신생아 혹은 유아의 안면 피부가 직접적으로 맞닿는 영역에 해당하기 때문에, 피부에 무해한 유기농(오가닉) 실로 직조된 면 혹은 유기농 식물로부터 추출된 천연 펄프로 직조된 재질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전면부 패드(110)는 신생아 혹은 유아의 코나 입을 통해 나오는 침, 콧물, 기타 이물질이나, 토사물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 세척이 용이하도록 물세척, 드라이크리닝 등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전면부 패드(110)가 오염될 경우 보호자는 언제든지 전면부 패드(110)를 세척하여 항시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면부 패드(110)가 상기와 같은 역할(신생아 혹은 유아가 머리를 기댈 시 보호자의 쇄골 등에 부딪혀 타박상 혹은 찰과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한, 전면부 패드(110)의 크기, 면적, 삽입된 전면 충전재의 두께 및 재질 등은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면부 패드(110)는 후술되는 전면 결속부재(111)를 수용하는 전면 결속부재 수용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전면 결속부재 수용부에는 별도의 개폐부(미도시)가 제공됨에 따라, 개폐부를 통해 전면 결속부재(111)를 분리시키거나 혹은 새로운 전면 결속부재(111)를 삽입할 수 있다.
전면 결속부재(111)는 전면부 패드(110)의 내측 혹은 외측에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면 결속부재(111)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 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후면부 패드(120)는 상술한 전면부 패드(110)와 적어도 일부분이 결합(혹은 접합)됨에 따라, 전면부 패드(110)를 착용자의 가슴쪽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면부 패드(120)는 전면부 패드(110)와 상응하되 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부 패드(110)와 하나 이상의 접합면(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접합면)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목둘레를 감싸는 착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접합면이라 함은, 전면부 패드(110)의 양측 말단부에서 날개형태로 돌출 형성된 부분과 후면부 패드(120)의 양측 말단부에서 날개 형태로 돌출 형성된 부분이 서로 접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후면부 패드(120)의 상측면에 전면부 패드(120)의 일부 영역이 포개어지는 형태가 될 수도 있고, 반대로 전면부 패드(110)의 상측면에 후면부 패드(120)의 일부 영역이 포개어지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면부 패드(110)의 날개형태로 돌출 형성된 부분과 후면부 패드(120)의 날개형태로 돌출 형성된 부분이 서로 포개어짐에 따라, 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 중심부에는 원형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빈 공간이라 함은 착용자의 목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고리 형태의 홀을 의미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전면 결속부재(111) 및 후면 결속부재(121)의 결속 방식에 의해 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는 착용자의 어깨 상에 착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면부 패드(120)는 전면부 패드(110)와 마찬가지로 신생아 혹은 유아의 안면 피부가 직접적으로 맞닿는 영역에 해당하기 때문에, 피부에 무해한 유기농(오가닉) 실로 직조된 면 혹은 유기농 식물로부터 추출된 천연 펄프로 직조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후면두 패드(120)는 전면부 패드(110)와 마찬가지로 신생아 혹은 유아의 코나 입을 통해 나오는 침, 콧물, 기타 이물질이나, 토사물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 세척이 용이하도록 물세척, 드라이크리닝 등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후면부 패드(120)가 오염될 경우 보호자는 언제든지 후면부 패드(120)를 세척하여 항시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후면부 패드(120)가 상기와 같은 역할(전면부 패드(110)를 착용자의 가슴쪽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한, 후면부 패드(120)의 크기, 면적 및 재질 등은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후면부 패드(120)는 후술되는 후면 결속부재(121)를 수용하는 후면 결속부재 수용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후면 결속부재 수용부에는 별도의 개폐부(미도시)가 제공됨에 따라 개폐부를 통해 후면 결속부재(121)를 분리시키거나 혹은 새로운 후면 결속부재(121)를 삽입할 수 있다.
후면 결속부재(121)는 후면부 패드(120)의 내측 혹은 외측에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후면 결속부재(121)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 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면 결속부재(111) 및 후면 결속부재(121)의 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도시된 도면의 기재 내용 및 하기를 통해 설명하는 결속부재는 소정의 자력을 가지는 '자성체'로서 기재, 설명 및 도시 하였지만, 본 명세서에서 결속부재는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함은 도트 단추, 똑딱 단추, 갈고리 단추, 구멍 단추, 기둥 단추, 지퍼 등과 같은 물리적 결속 도구를 의미할 수도 있고, 외측이 코팅된 자성체(예를 들어, 의류용 자성체)와 같이 자력을 통한 결속 도구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에폭시 접착제 등과 같은 화학적 성질을 통해 소정의 접착력을 가지되 반복접착이 가능한 화학물질을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자성체'라고 기재된 결속부재는 '도트 단추, 똑딱 단추, 갈고리 단추, 구멍 단추, 기둥 단추, 지퍼, 화학물질 접착제' 등과 같은 단어로도 통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먼저, 도 2(a)는 전면 결속부재(111) 중에서 제1 전면 결속부재(111a)의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 전면 결속부재(111b)는 제1 전면 결속부재(111a)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므로 도시하지 않았음을 유의하며, 제1 전면 결속부재(111a)와 동일한 형태로 해석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제1 전면 결속부재(111a) 및 제2 전면 결속부재(111b)로 구별한 이유는, 상술한 제1 접합면과 상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결속부재가 제1 전면 결속부재(111a) 이며 제2 접합면과 상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결속부재가 제2 전면 결속부재(111b)이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도 2(c)는 후면 결속부재(121) 중에서 제1 전면 결속부재(121a)의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 후면 결속부재(121b)는 제1 후면 결속부재(121a)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므로 도시하지 않았음을 유의한다.
또한, 제1 후면 결속부재(121a) 및 제2 후면 결속부재(121b)를 구별한 이유는 상술한 제1 접합면과 상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결속부재가 제1 후면 결속부재(121a) 이며 제2 접합면과 상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결속부재가 제2 후면 결속부재(121b)이기 때문이다.
즉, 제1 접합면에는 제1 전면 결속부재(111a) 및 제1 후면 결속부재(121a)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제2 접합면에는 제2 전면 결속부재(111b) 및 제2 후면 결속부재(121b)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면 결속부재(111a) 및 제1 후면 결속부재(121a)는 서로 다른 극성(예를 들어, 제1 전면 결속부재(111a)는 양극(+), 제1 후면 결속부재(121a)는 음극(-) 등)을 가지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면 결속부재(111a) 및 제1 후면 결속부재(121a) 사이에는 자력(보다 구체적으로, 인력)이 발생함에 따라 제1 전면 결속부재(111a) 및 제1 후면 결속부재(121a)는 서로 끌어당기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1 접합면을 형성하는 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는 자력을 매개로 서로 결합(혹은 자성 접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전면 결속부재(111b) 및 제2 후면 결속부재(121b)는 서로 다른 극성(예를 들어, 제2 전면 결속부재(111b)는 양극(+), 제2 후면 결속부재(121b)는 음극(-) 등)을 가지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면 결속부재(111b) 및 제2 후면 결속부재(121b) 사이에는 자력(보다 구체적으로, 인력)이 발생함에 따라 제2 전면 결속부재(111b) 및 제2 후면 결속부재(121b)는 서로 끌어당기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2 접합면을 형성하는 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는 자력을 매개로 서로 결합(혹은 자성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전면 결속부재(111) 및 후면 결속부재(121)가 상기와 같은 역할(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를 자력을 매개로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한, 전면 결속부재(111) 및 후면 결속부재(121)의 자력, 크기, 두께, 색상, 무게 등은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도 2(b)는 도 2(a)를 통해 설명한 전면 결속부재(111)를 특정한 간격으로 연속하게 위치시켜 형성된 전면 결속부재 라인(112), 특히 하나 이상의 제1 전면 결속부재(111a)를 특정한 간격(예를 들어, 3cm 혹은 5cm 간격)으로 연속하여 위치시켜 형성된 제1 전면 결속부재 라인(112a)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때 제1 전면 결속부재(111a)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특히 간격의 경우 제1 전면 결속부재(111a) 간의 간격에 따라 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 간에 형성되는 착용 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이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 이상의 제1 전면 결속부재(111a)를 특정한 간격으로 연속하게 위치시켜 형성된 제1 전면 결속부재 라인(112a)를 도시하였지만, 하나 이상의 제2 전면 결속부재(111b)를 특정한 간격으로 연속하게 위치시켜 형성된 제2 전면 결속부재 라인(112b)의 형태는 제1 전면 결속부재 라인(112a)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았음을 유의한다.
도 2(d)는 도 2(b)를 통해 설명한 후면 결속부재(121)를 특정한 간격으로 연속하게 위치시켜 형성된 후면 결속부재 라인(122), 특히 하나 이상의 제1 후면 결속부재(121a)를 특정한 간격(예를 들어, 3cm 간격 등)으로 연속하여 위치시켜 형성된 제1 후면 결속부재 라인(122a)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때 제1 후면 결속부재(121a)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특히 간격의 경우 제1 후면 결속부재(121a) 간의 간격에 따라 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 간에 형성되는 착용 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이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 이상의 제1 후면 결속부재(121a)를 특정한 간격으로 연속하게 위치시켜 형성된 제1 후면 결속부재 라인(122a)를 도시하였지만, 하나 이상의 제2 후면 결속부재(121b)를 특정한 간격으로 연속하게 위치시켜 형성된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122b)의 형태는 제1 후면 결속부재 라인(122a)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았음을 유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111a, 111b)는 소정의 높이(예를 들어, 1cm 등)를 가지는 돌출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121a, 121b)는 소정의 깊이(예를 들어, 1cm 등)를 가지는 함몰된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111a, 111b)가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121a, 121b)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된 후, 자력을 매개로 접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111a, 111b)가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121a, 121b)에 단순 접합되는 것보다 더욱 견고하게 접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전면 결속부재 라인(112) 및 후면 결속부재 라인(122)을 통해 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 간에 형성된 착용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과정은 후술되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가 결합됨에 있어서, 후면부 패드(120)의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122)를 통해 착용 공간의 크기가 조절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가 결함됨에 있어서, 전면부 패드(110)의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 라인(112)를 통해 착용 공간의 크기가 조절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살펴보면, 전면부 패드(110)의 양측 말단부에 형성된 날개형태의 돌출 부분에는 각각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111a, 111b)가 위치되어 있는데, 이때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111a, 111b)는 해당 위치의 내측에 삽입된 형태가 될 수도 있고, 또는 외측면에 부착 고정된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후면부 패드(120)의 양측 말단부에 형성된 날개형태의 돌출 부분에는 각각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122a, 122b)이 위치되어 있는데, 이때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122a, 122b)는 해당 위치의 내측에 삽입된 형태가 될 수도 있고 또는 외측면에 부착 고정된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도 3(b)를 살펴보면, 전면부 패드(110)의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111a, 111b)가 각각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122a, 122b)의 첫번째 자성체(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121a, 121b))과 접함에 따라, 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 사이에는 d1의 간격에 해당하는 착용 공간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 3(c)를 살펴보면, 전면부 패드(110)의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111a, 111b)가 각각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122a, 122b)의 두번째 자성체(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121a, 121b))과 접함에 따라, 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 사이에는 d2의 간격에 해당하는 착용 공간이 형성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d2는 d1보다 좁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도 3(d)를 살펴보면, 전면부 패드(110)의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111a, 111b)가 각각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122a, 122b)의 세번째 자성체(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121a, 121b))과 접함에 따라, 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 사이에는 d3의 간격에 해당하는 착용 공간이 형성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d3는 d2보다 좁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3을 통해, 본원발명은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122a, 122b)에 형성된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121a, 121b)의 간격에 따라 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 사이에 형성되는 착용 공간이 크기가 조절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d)에서는 후면부 패드(120)가 전면부 패드(110)의 상측에 포개어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제한되지 않고 전면부 패드(110)가 후면부 패드(120)의 상측에 포개어질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원발명에 따른 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는 각각 유아용 턱받이로서 활용될 수 있는데 이는 도 5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면부 패드(110) 및 후면부 패드(120)를 각각 유아용 턱받이로서 변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살펴보면, 전면부 패드(110)는 양측 말단부에 형성된 날개형태의 돌출 부분이 서로 접하도록 만곡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돌출 부분에 위치된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111a, 111b)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짐에 따라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111a, 111b)가 가지는 자력을 통해 서로 접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전면부 패드(110)의 양측 말단부에 형성된 날개형태의 돌출 부분이 서로 자력을 매개로 접하여 도 4(a)와 같이 유아용 턱받이로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도 4(b)를 살펴보면, 후면부 패드(120)는 양측 말단부에 형성된 날개형태의 돌출 부분이 서로 접하도록 만곡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돌출 부분에 위치된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121a, 121b)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짐에 따라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121a, 121b)가 가지는 자력을 통해 서로 접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후면부 패드(120)의 양측 말단부에 형성된 날개형태의 돌출 부분이 서로 자력을 매개로 접하여 도 4(b)와 같이 유아용 턱받이로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때, 후면부 패드(120)를 변형시킨 유아용 턱받이는 전면부 패드(110)를 변형시킨 유아용 턱받이보다 크기가 다소 작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신생아 혹은 유아의 목둘레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원발명은 전면부 패드(110)의 외측면 중 일부분을 커버하여 신생아 혹은 유아의 입이나 코에서 나오는 이물질로부터 전면부 패드(110)의 외측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되는 도 5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면부 패드(110)의 외측면에 결속되는 커버부재(200)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살펴보면, 전면부 패드(110)의 상측에는 상술한 커버부재(200)가 위치됨을 알 수 있으며, 이때 커버부재(200)의 면적은 전면부 패드(110)의 일부분을 덮거나 혹은 전면부 패드(110)의 전면을 모두 덮을 수 있는 정도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부재(200)는 신생아 혹은 유아의 머리가 올려지게 되는 전면부 패드(110)의 상부면 전체를 모두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200)는 상술한 전면부 패드(110)와 마찬가지로 신생아 혹은 유아의 안면 피부가 직접적으로 맞닿는 영역에 해당하기 때문에, 피부에 무해한 유기농(오가닉) 실로 직조된 면 혹은 유기농 식물로부터 추출된 천연 펄프로 직조된 재질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재(200)는 신생아 혹은 유아의 코나 입을 통해 나오는 침, 콧물, 기타 이물질이나, 토사물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 세척이 용이하도록 물세척, 드라이크리닝 등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커버부재(200)가 오염될 경우 보호자는 언제든지 커버부재(200)를 세척하여 항시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면부 패드(110) 및 커버부재(200)는 고정부재(300)를 통해 서로 결속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커버부재(200)는 전면부 패드(110)에 결속 고정 혹은 분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부재(300)라 함은 하나 이상의 도트 단추, 똑딱 단추(snap), 갈고리 단추, 구멍 단추, 기둥 단추, 지퍼, 자성체 및 반복 접착이 가능한 화학적 접착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정 도구를 의미할 수 있으며, 커버부재(200)를 전면부 패드(110)에 결속 고정 혹은 분리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한, 고정부재(300)의 종류 및 형태는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이러한 고정부재(300)는 전면부 패드(110) 상에 제공되는 제1 고정부재(300a) 및 커버부재(200) 상에 제공되는 제2 고정부재(30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제1 고정부재(300a)는 하나 이상의 똑딱 단추 중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며, 도 5(a)에 도시된 제2 고정부재(300b)는 하나 이상의 똑딱 단추 중에서 제1 고정부재(300a)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5(a)에 도시된 제1 고정부재(300a)가 제2 고정부재(300b)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됨에 따라, 커버부재(200)는 전면부 패드(110) 상에 고정될 수 있고, 만약 커버부재(200)가 신생아 혹은 유아의 코나 입을 통해 나오는 침, 콧물, 기타 이물질이나, 토사물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 제2 고정부재(300b)를 제1 고정부재(300a)로부터 결속 해제시킴으로써 커버부재(200)를 전면부 패드(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커버부재(200)를 전면부 패드(110)에 덮은 후 제1 고정부재(300a)를 제2 고정부재(300b)에 삽입함으로써 새로운 커버부재(200)가 전면부 패드(110) 일측면에 고정되어 교체가 완료 될 수 있다.
도 5(b)는 도 5(a)와 커버부재(200)는 동일하되 결속장치(300)의 차이가 있으므로 결속장치(3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b)에 도시된 제1 고정부재(300a)는 하나 이상의 자성체 중에서 양극(+)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며, 도 5(b)에 도시된 제2 고정부재(300b)는 하나 이상의 자성체 중에서 음극(-)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도 5(b)에 도시된 제1 고정부재(300a)가 제2 고정부재(300b)와 자력을 매개로 접합하여 고정됨에 따라 커버부재(200)는 전면부 패드(110) 상에 고정될 수 있고, 만약 커버부재(200)가 신생아 혹은 유아의 코나 입을 통해 나오는 침, 콧물, 기타 이물질이나, 토사물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 제2 고정부재(300b)를 제1 고정부재(300a)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커버부재(200)를 전면부 패드(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커버부재(200)를 전면부 패드(110)에 덮은 후 제1 고정부재(300a)를 제2 고정부재(300b)와 접합시킴에 따라 새로운 커버부재(200)가 전면부 패드(110) 일측면에 고정되어 교체가 완료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부재(200)의 일측에는 지퍼와 같은 개폐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데, 개폐부를 통해 이물질의 흡수가 가능한 고흡수성 폴리머 흡수체가 삽입 혹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신생아 혹은 유아의 코나 입을 통해 나오는 침, 콧물, 기타 이물질이나 토사물에 커버부재(200)에 묻는 경우 커버부재(200) 내측에 구비된 고흡수성 폴리머 흡수체가 이를 신속하게 흡수함으로써 커버부재(200)에 묻은 이물질이 흘러 내려 또 다른 오염원을 만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개폐부를 열어 새로운 고흡수성 폴리머 흡수체를 교체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보다 기능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6을 통해 본원발명에 따른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100)가 보호자(예를 들어, 산모)에게 실제로 착용된 상태 및 유아가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100)를 턱받이 혹은 스카프로서 착용한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100)를 보호자 및 유아가 직접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a)를 살펴보면, 보호자가 전면부 패드(110)를 자신의 전면을 향하도록 착용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보호자의 후면에는 후면부 패드(120)가 전면부 패드(110)와 함께 자력을 매개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호자는 신생아 혹은 유아를 안아줌으로써 신생아 혹은 유아의 머리가 보호자의 쇄골이나 가슴뼈 등에 부딪혀 타박상 혹은 찰과상을 입지 않게 되며, 전면부 패드(110) 내측에 제공되는 푹신한 라텍스 재질의 완충부재를 통해 신생아 혹은 유아는 편안함 및 안락함을 느끼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 6(a)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면부 패드(110)의 외측면에는 커버부재(200)가 덧씌워짐으로써, 만약 신생아 혹은 유아의 코나 입으로부터 나온 이물질이나 토사물에 의해 커버부재(200)가 오염되더라도, 전면부 패드(110)를 벗지 않고 커버부재(200)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도 6(b)를 살펴보면, 전면부 패드(110)의 양측 말단부에 형성된 날개형태의 돌출 부분을 유아의 목둘레를 따라 감싸줌으로써, 유아용 턱받이로서 변형 및 착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유아용 턱받이는 유아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경우 유아의 입으로부터 낙하되는 음식물에 의해 유아의 옷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전면부 패드(110)를 후면부 패드(120)로부터 분리시킨 후 유아의 목에 둘러주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신속하게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턱받이를 소지하거나 챙기지 않더라도 유아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경우 언제든지 턱받이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전면부 패드(110)는 음식물과 같은 오염물이 전면부 패드(110)에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수코팅처리 직조물 등이 고려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면부 패드(110)에 묻은 오염물이 손쉽게 제거될 수 있는 코팅처리가 된 직조물 등이 고려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도 6(c)를 살펴보면, 후면부 패드(120)의 양측 말단부에 형성된 날개형태의 돌출 부분을 유아의 목둘레를 따라 감싸줌으로써, 유아용 스카프로서 변형 및 착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유아용 스카프는 환절기 등과 같이 목에 보온이 필요한 경우 후면부 패드(120)를 전면부 패드(110)로부터 분리시킨 후 유아의 목에 둘러주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신속하게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스카프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언제든지 스카프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다음으로는, 도 7을 통해 전면 결속부재(111) 및 후면 결속부재(121)가 도트 단추로 적용된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면 결속부재 라인(112) 및 후면 결속부재(122)가 도트 단추로서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살펴보면, 전면부 패드(110)에 있어서 복수(2개가 한 쌍)의 제1 전면 결속부재(111a)(보다 구체적으로, 수도트 2개)가 모여 제1 전면 결속부재 라인(112a)을 형성하고 있고, 복수(2개가 한 쌍)의 제2 전면 결속부재(111b)(보다 구체적으로, 수도트 2개)가 모여 제2 전면 결속부재 라인(112b)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후면부 패드(120)에 있어서 복수(2개가 한 쌍)의 제1 후면 결속부재(121a)(보다 구체적으로, 암도트 4개)가 모여 두 개의 제1 후면 결속부재 라인(122a)을 형성하고 있고, 복수(2개가 한 쌍)의 제2 후면 결속부재(121b)(보다 구체적으로, 암도트 4개)가 모여 두 개의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112b)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전면부 패드(110)에 형성된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 라인(112a, 112b)는 각각 후면부 패드(120)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122a, 122b)에 선택적으로 결속됨으로써 착용 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후면부 패드(120)에 형성된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122a, 122b)의 개수는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히 제1 전면 결속부재 라인(122a)을 형성하는 제1 전면 결속부재(111a)의 개수, 제2 전면 결속부재 라인(122b)을 형성하는 제2 전면 결속부재(111b)의 개수는 상기와 같이 2개 혹은 4개 등과 같은 개수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3개가 한 쌍을 이루거나 혹은 4개가 한 쌍을 이룰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 7에서는 암도트 및 수도트를 가 한 쌍을 이뤄 결속되는 도트 단추를 실시예로서 도시하였지만, 도트단추뿐만 아니라 상술한 외측이 보호 코팅된 자성체, 똑딱 단추, 갈고리 단추, 구멍 단추, 기둥 단추 및 지퍼 등과 같이 서로 맞물려 결속될 수 있는 결속부재는 모두 도 7을 통해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다음으로는, 도 8을 통해 도 7에 도시된 전면부 패드(110) 내측에 완충력을 가지는 전면 충전재가 삽입된 상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100)의 일측면에 제공되는 전면 개폐부(113)의 개폐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전면부 패드(110)를 뒤집은 일측면(보다 구체적으로, 내측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전면부 패드(110)의 중심부에는 전면 개폐부(113)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전면 개폐부(113)가 벌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면 개폐부(113) 내측에는 전면 충전재(114)가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면 개폐부(113)는 외측이 보호 코팅된 한 쌍 이상의 자성체, 한 쌍 이상의 도트 단추, 한 쌍 이상의 똑딱 단추, 한 쌍 이상의 갈고리 단추, 한 쌍 이상의 구멍 단추, 한 쌍 이상의 기둥 단추 및 지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개폐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도 8에서는 그 중에서 특히 한 쌍의 도트 단추를 일 실시예로서 도시하였음을 유의한다.
이러한 전면 개폐부(113)는 전면부 패드(110)의 일측면이 절개된 절개면을 여미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절개면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서로 포개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포개어진 부분에는 상술한 외측이 보호 코팅된 한 쌍 이상의 자성체, 한 쌍 이상의 도트 단추, 한 쌍 이상의 똑딱 단추, 한 쌍 이상의 갈고리 단추, 한 쌍 이상의 구멍 단추, 한 쌍 이상의 기둥 단추 및 지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결속부재가 위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면 개폐부(113)의 결속부재의 개폐를 통해 전면부 패드(110)의 내측에는 소정의 완충력(쿠션감)을 가지는 전면 충전재(114)가 삽입되거나 혹은 전면부 패드(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면 충전재(114)는 우레탄, 스펀지, 라텍스, 메쉬 혹은 메로리폼과 같은 종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의 종류 외에도 영유아의 안면 피부가 보호자의 쇄골 등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완충력을 가진다면 전면 충전재(114)의 종류로서 제한되지 않고 얼마든지 적용 가능함을 유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100)는 다른 형태의 전면부 패드(1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되는 도 9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 패드(110')의 형태 및 전면 개폐부(113')의 개폐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9(a)를 살펴보면, 도 9(a)에 도시된 전면부 패드(110')는 상술한 전면부 패드(110)와는 형태가 다른 착용자의 가슴쪽 및 앞측 어깨부분을 모두 덮을 수 있는 덮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부 패드(110)와 마찬가지로 신생아 혹은 유아가 머리를 기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소정의 완충력(쿠션감)을 통해 신생아 혹은 유아가 머리를 기댈 시 보호자의 쇄골 등에 부딪혀 타박상 혹은 찰과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b)를 살펴보면,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전면부 패드(110')를 뒤집은 일측면(보다 구체적으로, 내측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전면부 패드(110')의 중심부에서 우측 방향에는 다른 형태의 전면 개폐부(113')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전면 개폐부(113')가 가로 방향으로 벌려짐에 따라, 전면 개폐부(113') 내측에는 다른 형태의 전면 충전재(114')가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면부 패드(110')의 상측에는 다른 형태의 전면 결속부재(111')(보다 구체적으로, 전면부 패드(1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형태)가 구비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때 전면 결속부재(111')는 다른 형태의 전면부 패드(110)의 전면 결속부재(111)와 결속될 수 도 있고, 또는 전면부 패드(110')의 양측 말단부에 날개 형태로 돌출 형성된 부분에 제공되는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111a', 111b') 끼리 서로 접하여 결속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면 개폐부(113')는 상술한 전면 개폐부(113)과 마찬가지로, 외측이 보호 코팅된 한 쌍 이상의 자성체, 한 쌍 이상의 도트 단추, 한 쌍 이상의 똑딱 단추, 한 쌍 이상의 갈고리 단추, 한 쌍 이상의 구멍 단추, 한 쌍 이상의 기둥 단추 및 지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 개폐부(113')는 전면부 패드(110')의 일측면이 절개된 절개면을 여미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절개면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서로 포개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포개어진 부분에는 상술한 외측이 보호 코팅된 한 쌍 이상의 자성체, 한 쌍 이상의 도트 단추, 한 쌍 이상의 똑딱 단추, 한 쌍 이상의 갈고리 단추, 한 쌍 이상의 구멍 단추, 한 쌍 이상의 기둥 단추 및 지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결속부재가 위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면 개폐부(113')의 결속부재의 개폐를 통해 전면부 패드(110')의 내측에는 소정의 완충력(쿠션감)을 가지는 전면 충전재(114')가 삽입되거나 혹은 전면부 패드(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면 충전재(114')는 상술한 전면 충전재(114)와 마찬가지로 우레탄, 스펀지, 라텍스, 메쉬 혹은 메로리폼과 같은 종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의 종류 외에도 영유아의 안면 피부가 보호자의 쇄골 등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완충력을 가진다면 전면 충전재(114')의 종류로서 제한되지 않고 얼마든지 적용 가능함을 유의한다.
한편, 서로 다른 형태의 전면부 패드(110, 110')의 내측에 삽입되는 충전재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후술되는 도 10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서로 다른 형태의 전면 충전재(114, 114')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를 살펴보면, 도 10(a)는 도 8에 도시된 전면부 패드(110)에 삽입 가능한 전면 충전재(114)(보다 구체적으로, 메모리폼 혹은 라텍스)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때 전면 충전재(114)는 전면부 패드(110)의 내측 공간(보다 구체적으로, 중심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전면부 패드(110)의 내측과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b)를 살펴보면,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전면 충전재(114)가 메쉬재질에 해당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때도 마찬가지로 전면 충전재(114)는 전면부 패드(110)의 내측 공간에 삽입 가능하도록 전면부 패드(110)의 내측과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c)를 살펴보면, 도 10(c)는 도 9에 도시된 전면부 패드(110')에 삽입 가능한 전면 충전재(114')(보다 구체적으로, 메모리폼 혹은 라텍스)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때 전면 충전재(114')는 전면부 패드(110')의 내측 공간(보다 구체적으로, 중심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전면부 패드(110')의 내측과 상응하는 형태(예를 들어, 만곡된 마름모 혹은 사다리꼴 형태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d)를 살펴보면, 도 10(d)는 도 10(c)에 도시된 전면 충전재(114')가 메쉬재질에 해당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때도 마찬가지로 전면 충전재(114')는 전면부 패드(110')의 내측 공간에 삽입 가능하도록 전면부 패드(110')의 내측과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면부 패드(110')의 내측에 삽입된 전면 충전재(114')가 전면부 패드(110')의 내측에서 이동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전면부 패드(110') 내측에는 전면 충전재(114')의 형태와 상응하는 전면 충전재 주머니(미도시)가 더 제공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면 충전재(114')는 전면 충전재 주머니 내에 삽입됨으로써 이동없이 전면부 패드(110')의 내측 중심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110, 110': 전면부 패드
111, 111': 전면 결속부재
111a: 제1 전면 결속부재
111b: 제2 전면 결속부재
112: 전면 결속부재 라인
112a: 제1 전면 결속부재 라인
112b: 제2 전면 결속부재 라인
113, 113': 전면 개폐부
114, 114': 전면 충전재
120: 후면부 패드
121: 후면 결속부재
121a: 제1 후면 결속부재
121b: 제2 후면 결속부재
122: 후면 결속부재 라인
122a: 제1 후면 결속부재 라인
122b: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
200: 커버부재
300: 고정부재
300a: 제1 고정부재
300b: 제2 고정부재

Claims (18)

  1. 전면부 패드의 일측에 제공되는 전면 결속부재;
    상기 전면부 패드와 결합 가능한 후면부 패드의 일측에 제공되는 후면 결속부재; 및
    상기 전면부 패드의 외측면 중 상부면의 전체면적을 커버하여 신생아의 입이나 코에서 나오는 이물질로부터 상기 전면부 패드의 상부면을 보호하며, 상기 전면부 패드의 상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교체 가능한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및 후면 결속부재가 가지는 결속력을 매개로 상기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의 적어도 일부분이 접하여 접합면을 형성함에 따라, 착용자의 목둘레를 감싸는 착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가 상기 착용자의 어깨 상측에 안착 고정되며,
    상기 전면 결속부재는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접합면의 형성위치와 상응하게 제공되는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결속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와 각각 상응하게 제공되는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를 포함하며,
    전면부 패드의 양 측과 후면부 패드의 양 측에는 각각 착용자의 어깨를 통과하여 착용자의 전방과 후방으로 연장되어 목의 일부분씩을 감싸는 부분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전면 결속부재와 결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후면 결속부재가 특정한 간격으로 연속하게 위치하여 제1 후면 결속부재 라인을 형성하되, 상기 제1 전면 결속부재와 상기 제1 후면 결속부재는 목의 일부분씩을 감싸는 부분에 각각 전, 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전면 결속부재와 결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 후면 결속부재가 특정한 간격으로 연속하게 위치하여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을 형성하되, 상기 제2 전면 결속부재와 상기 제2 후면 결속부재는 목의 일부분씩을 감싸는 부분에 각각 전, 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전면 결속부재가 상기 제1 후면 결속부재 라인 상에 위치된 복수의 제1 후면 결속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속되고, 상기 제2 전면 결속부재가 상기 제2 후면 결속부재 라인 상에 위치된 복수의 제2 후면 결속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속함에 따라, 상기 형성된 착용 공간의 크기가 착용자의 전, 후방 방향으로 조절되고,
    상기 전면부 패드는 양측 말단부에 형성된 날개형태의 돌출 부분이 서로 접하도록 만곡되어 양 단부 측을 연결하여 착용자의 목둘레를 감쌀 수 있고, 상기 후면부 패드로부터 분리된 상기 전면부 패드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목둘레를 감싼 후 상기 제1 및 제2 전면 결속부재를 서로 결속시킴에 따라, 제3 접합면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 패드가 턱받이로서 상기 착용자의 어깨 상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후면부 패드는 양측 말단부에 형성된 날개형태의 돌출 부분이 서로 접하도록 만곡되어 양 단부 측을 연결하여 착용자의 목둘레를 감쌀 수 있고, 상기 전면부 패드로부터 분리된 상기 후면부 패드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목둘레를 감싼 후 상기 제1 및 제2 후면 결속부재를 서로 결속시킴에 따라, 제4 접합면이 형성되어 상기 후면부 패드가 스카프(scarf)로서 상기 착용자의 목둘레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전면부 패드의 일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자성체, 도트 단추, 똑딱 단추(snap), 갈고리 단추, 구멍 단추, 기둥 단추 및 지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정부재가 구비 되며,
    이물질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가 오염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를 분리시켜 상기 전면부 패드로부터 오염된 커버부재를 분리 및 새로운 커버부재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새로운 커버부재를 상기 전면부 패드 상에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에는 커버부재 개폐부가 구비되며,
    상기 이물질의 흡수가 가능한 고흡수성 폴리머 흡수체가 상기 커버부재 개폐부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 내측에 삽입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는,
    상기 전면 결속부재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전면 결속부재를 수용하는 전면 결속부재 수용부 및 상기 후면 결속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후면 결속부재를 수용하는 후면 결속부재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결속부재 수용부 및 후면 결속부재 수용부 각각에 구비된 개폐부를 통해, 상기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 각각으로부터 상기 전면 결속부재 및 후면 결속부재의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결속부재 및 후면 결속부재는,
    외측이 보호 코팅된 자성체, 도트 단추, 똑딱 단추(snap), 갈고리 단추, 구멍 단추, 기둥 단추 및 지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패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전면 개폐부를 통해, 소정의 완충력을 가지는 전면 충전재가 상기 전면부 패드 내측으로 삽입 및 내측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개폐부는,
    외측이 보호 코팅된 한 쌍 이상의 자성체, 한 쌍 이상의 도트 단추, 한 쌍 이상의 똑딱 단추(snap), 한 쌍 이상의 갈고리 단추, 한 쌍 이상의 구멍 단추, 한 쌍 이상의 기둥 단추 및 지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충전재는,
    우레탄, 스펀지, 라텍스, 메쉬(mesh) 및 메모리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패드 및 후면부 패드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은,
    메쉬(mesh)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KR1020160053506A 2016-04-29 2016-04-29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KR101779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506A KR101779956B1 (ko) 2016-04-29 2016-04-29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PCT/KR2017/004536 WO2017188770A1 (ko) 2016-04-29 2017-04-28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506A KR101779956B1 (ko) 2016-04-29 2016-04-29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956B1 true KR101779956B1 (ko) 2017-09-19

Family

ID=60033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506A KR101779956B1 (ko) 2016-04-29 2016-04-29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79956B1 (ko)
WO (1) WO201718877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150B1 (ko) 2017-04-20 2018-12-06 김은이 영유아 머리 보호용 어깨 패드
KR20190001418A (ko) * 2017-06-27 2019-01-04 김은이 다용도 영유아 머리 보호용 어깨 패드
KR101965797B1 (ko) * 2018-11-28 2019-04-05 이진형 아기머리보호패드
KR102029159B1 (ko) 2018-11-27 2019-10-07 김은이 아기머리보호패드
KR20210115436A (ko) * 2020-03-13 2021-09-27 정재효 수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6524A1 (en) * 2011-08-10 2013-02-14 Rachel A. D'ascoli Portable burp cloth pouch
KR101377181B1 (ko) * 2012-10-26 2014-03-25 김은이 신생아용 머리 보호 패드
US8973163B1 (en) 2012-04-20 2015-03-10 Linda A. Kuever Infant caregiver protective garment having an athletic shoulder pad appearan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8699B2 (ja) * 2005-07-21 2011-08-31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ラック用クッション
JP3122747U (ja) * 2006-04-13 2006-06-29 株式会社東京エンゼル本社 長さ調整可能な衣服
KR101296296B1 (ko) * 2011-12-21 2013-08-14 한상희 유아용 수유쿠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6524A1 (en) * 2011-08-10 2013-02-14 Rachel A. D'ascoli Portable burp cloth pouch
US8973163B1 (en) 2012-04-20 2015-03-10 Linda A. Kuever Infant caregiver protective garment having an athletic shoulder pad appearance
KR101377181B1 (ko) * 2012-10-26 2014-03-25 김은이 신생아용 머리 보호 패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150B1 (ko) 2017-04-20 2018-12-06 김은이 영유아 머리 보호용 어깨 패드
KR20190001418A (ko) * 2017-06-27 2019-01-04 김은이 다용도 영유아 머리 보호용 어깨 패드
KR101954212B1 (ko) 2017-06-27 2019-05-17 김은이 다용도 영유아 머리 보호용 어깨 패드
KR102029159B1 (ko) 2018-11-27 2019-10-07 김은이 아기머리보호패드
KR101965797B1 (ko) * 2018-11-28 2019-04-05 이진형 아기머리보호패드
KR20210115436A (ko) * 2020-03-13 2021-09-27 정재효 수건
KR102444440B1 (ko) 2020-03-13 2022-09-16 전준호 수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88770A1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956B1 (ko)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US5960471A (en) Protective garment for use with feeding, burping, nursing and changing diapers of a baby
US7640598B1 (en) Infant caregiver padded pillow garment
US7032248B1 (en) Multipurpose baby and toddler bib
US6523200B2 (en) Neck support pillow with bib
US4873725A (en) Infant care apron
US6536047B1 (en) Infant holding garment
US8650685B1 (en) Supportive baby blanket
US20080092263A1 (en) Protective Bib
US7082617B1 (en) Mommy bib
US4713842A (en) Protective multiple feeding means garment
CN110099579A (zh) 围兜玩具出牙装置
US20060041275A1 (en) Infant clothing and accessories with permanent teething element
US8683614B2 (en) Pillow bib
WO2014039382A1 (en) Bib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141171B2 (en) Split cowl neck bib
US20170055593A1 (en) Onebib
KR200474945Y1 (ko) 영아 손싸개 대용 다기능 실리콘 공
US20130019369A1 (en) Bottle and cup holding bib buddy
US8082594B2 (en) Protection system
CN104768518B (zh) 用于幼儿的磨牙抚慰装置
US8132682B1 (en) Absorbent device for an infant feeding bottle
US2005025730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tecting a child from spills
US20090007308A1 (en) Multi purpose clothing protector
US7788734B2 (en) Waist bi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