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296B1 - 유아용 수유쿠션 - Google Patents

유아용 수유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296B1
KR101296296B1 KR1020110138992A KR20110138992A KR101296296B1 KR 101296296 B1 KR101296296 B1 KR 101296296B1 KR 1020110138992 A KR1020110138992 A KR 1020110138992A KR 20110138992 A KR20110138992 A KR 20110138992A KR 101296296 B1 KR101296296 B1 KR 101296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infant
bottle
support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658A (ko
Inventor
김영윤
Original Assignee
한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희 filed Critical 한상희
Priority to KR1020110138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2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47D13/083Baby feeding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10Bi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가 보호자의 도움 없이도 안정적으로 수유를 받을 수 있는 유아용 수유쿠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수유쿠션은, 유아의 머리 뒷부분이 받쳐지도록 하측으로 요입된 요입부가 형성된 제1 쿠션부; 상기 유아의 목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쿠션부와 결합되는 제2 쿠션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쿠션부가 결합 및 분리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쿠션부에 마련된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쿠션부에는 젖병을 지지하는 젖병지지부재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유아용 수유쿠션{Nursing cushion for sucking}
본 발명은 유아용 수유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가 보호자의 도움 없이도 안정적으로 수유를 받을 수 있는 유아용 수유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음대로 거동을 할 수 없는 유아에게 젖병을 이용하여 수유를 할 때는 반드시 보호자가 직접 젖병을 잡은 상태에서 유아를 품에 안거나 곁에 눕혀놓고 수유를 해야 한다. 이에, 수유를 하는 동안에는 보호자가 아무런 일도 할 수 없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47357호와 제20-0194199호 등에는 유아용 수유기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문헌에 따르면 유아용 수유기는 상단에 젖병을 파지하는 젖병파지대가 마련된 스탠드 형식으로 이루어져, 유아의 머리맡에 스탠드를 세우고 스탠드 상단의 젖병파지대에 젖병을 파지시킨 상태에서 유아에게 수유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아용 수유기는 유아가 보호자의 품과 같은 안락함과 편안함을 느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스탠드가 쓰러져 유아를 위협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지 수유를 목적으로만 하고 있어 수유시 유아의 정서적 또는 뇌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놀이기구가 없어 놀이기구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은 물론, 놀이기구가 유아의 손으로부터 벗어날 경우 수유에 집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7357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41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유아가 보호자의 도움 없이도 안락함과 편안함을 느끼면서 안전하게 수유를 받을 수 있음은 물론, 뇌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아용 수유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아용 수유쿠션은, 유아의 머리 뒷부분이 받쳐지도록 하측으로 요입된 요입부가 형성된 제1 쿠션부; 상기 유아의 목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쿠션부와 결합되는 제2 쿠션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쿠션부가 결합 및 분리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쿠션부에 마련된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쿠션부에는 젖병을 지지하는 젖병지지부재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젖병지지부재는, 소정 압력으로 젖병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탄성밴드가 이격되어 형성된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부착되어 상기 탄성밴드 사이에 위치한 젖병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가압부가 늘어날 경우 확장가능하도록 주름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쿠션부가 결합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복수의 스냅 버튼 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벨크로 테이프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쿠션부는 상기 유아의 목이 끼워지도록 'U'자형 삽입부를 갖추고, 상기 삽입부에는 턱받이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쿠션부의 외측 테두리에는 유아가 파지하여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에는 소리가 나는 노리개가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쿠션부와 제2 쿠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쿠션부의 외관 형상과 대응하는 프레임이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이 형성된 쿠션부의 형상 변경이 자유롭도록 유연성을 갖는 수지재 또는 연성을 갖는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수유쿠션은 유아가 보호자의 도움 없이도 안락함과 편안함을 느끼면서 안전하게 수유를 받을 수 있다. 즉, 유아를 눕혀 수유를 행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유아를 팔로 지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안하게 수유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가 수유시 보호자가 별도의 다른 일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실용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유용 쿠션의 형상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유시 보다 안정적으로 수유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유아의 뇌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놀이기구 등이 마련됨에 따라 수유의 목적 이외에도 유아의 장난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수유쿠션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수유쿠션에 구비된 젖병지지대에 젖병이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수유쿠션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수유쿠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수유쿠션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유아용 수유쿠션에 구비된 젖병지지대에 젖병이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유아용 수유쿠션(100)은 유아의 머리 뒷부분을 받쳐주는 제1 쿠션부(110)와, 제1 쿠션부(110)와 결합되며 젖병(20)을 지지하는 젖병지지부재(124)가 마련된 제2 쿠션부(120) 및, 제1 쿠션부(110)와 제2 쿠션부(120)가 결합 및 분리되도록 마련된 체결부재(130)를 구비한다.
제1 쿠션부(110)는 유아가 누워서 수유시 유아의 머리 뒷부분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제1 쿠션부(110)에는 유아의 머리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측으로 요입된 요입부(112)가 형성된다. 요입부(112)는 유아가 편안함을 느끼도록 곡선형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시된 바에 의하면, 요입부(112)는 하측으로 관통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아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곡선으로 이루어져 하측으로 함몰된 구조를 갖는다면 관통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제1 쿠션부(110)는 후술할 체결부재(130)에 의하여 제2 쿠션부(120)와 착탈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하여 제1 쿠션부(110)에는 유아의 머리 아랫부분을 향하여 연장된 제1 결합부(111)를 갖는다. 즉, 제1 결합부(111)는 제2 쿠션부(120)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이 제1 결합부(111)에 후술할 체결부재(130)가 부착되게 된다.
제2 쿠션부(120)는 제1 쿠션부(110)와 결합시 유아의 목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된다. 즉, 제2 쿠션부(120)는 제1 쿠션부(110)에 유아의 머리가 안착시 목 아래측을 감싸도록 하여 결합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2 쿠션부(120)는 유아의 목이 끼워지도록 소위 'U'자형 삽입부(122)가 형성된다. 이때, 삽입부(122)를 형성하는 제2 쿠션부(120)의 끝단부는 제2 결합부(121)로서 제1 쿠션부(110)의 제1 결합부(111)와 결합되도록 제2 결합부(121)에는 후술할 체결부재(130)가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제1 쿠션부(110)와 제2 쿠션부(120)가 결합시 제2 쿠션부(120)는 삽입부(122)에 의해 유아의 목의 아래부분과 일정간격 이격되며, 유아의 가슴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도 5 참조).
또한, 제2 쿠션부(120)의 삽입부(122)에는 유아가 수유시 젖병으로부터 새어나오거나 수유시 흘린 모유 또는 분유 등에 의하여 유아의 옷이 젖지 않도록 턱받이(123)가 마련된다. 상기 턱받이(123)는 유아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촉감이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짐은 물론, 유체의 흡수가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턱받이(123)는 세탁을 위하여 제2 쿠션부(12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쿠션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아에게 수유할 수 있는 젖병(10)을 지지하는 젖병지지부재(124)를 갖는다. 젖병지지부재(124)는 젖병(10)을 지지시 젖병(10)의 니플(nipple)이 유아의 입에 위치하도록 제2 쿠션부(120)의 상면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젖병지지부재(120)는 소정 압력으로 젖병(10)을 가압하는 가압부(125) 및, 가압부(125)에 설치되어 젖병(10)을 지지하는 지지부(126)를 구비한다.
가압부(125)는 탄성력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탄성밴드(125)로 구성되며, 이 탄성밴드(125)는 일정 간격 이격된다. 즉, 도시된 바에 따르면, 가압부(125)는 두 개의 탄성밴드(125)로 구성되어 서로 일정 거리를 두도록 하여 형성된다.
지지부(126)는 두 개의 탄성밴드(125)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이 지지부(126)는 탄성밴드(125) 사이에 위치한 젖병(1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젖병(10)이 탄성밴드(125) 사이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젖병(10)이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지지부(126)는 메쉬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젖병(10)을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를 갖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지지부(126)에는 주름부(126a)가 형성된다. 주름부(126a)는 가압부(125) 즉, 탄성밴드(125)가 젖병(10)을 가압하기 위하여 늘어날 경우 지지부(126)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젖병지지부재(124)에 의하여 젖병(10)을 파지시 탄성밴드(125)가 늘어나 복원되려는 탄성력에 의하여 젖병(10)을 파지함은 물론, 지지부(126)가 탄성밴드(125) 사이에 위치한 젖병(10)을 지지함으로써 유아의 수유시 안정적으로 젖병(1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부가적으로, 제2 쿠션부(120)에는 손잡이부(128)가 마련된다. 손잡이부(128)는 제2 쿠션부(120)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손잡이부(128)의 설치 위치는 인체공학적으로 제1 및 제2 쿠션부(110,120)가 결합시 유아의 팔이 손잡이부(128)를 쉽게 잡을 수 있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28)는 유아가 파지하여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단지 촉감 뿐만 아니라 촉감과 함께 소리가 발생하도록 하여 유아의 뇌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손잡이부(128)는 소위 '바스락 손잡이'로서 손잡이부(128)를 잡으면 '바스락' 소리가 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별도로, 손잡이부(128)의 내부에 멜로디칩(미도시)을 내장하여 멜도디칩에 의하여 소리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부(128)는 제2 쿠션부(12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와 같은 손잡이부(128) 또는 제2 쿠션부(120)에 별도의 노리개를 장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는 손잡이부(128')에 노리개(129)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유아용 수유쿠션(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손잡이부(128')에는 별도의 노리개(129)가 설치되도록 장착홀(128a)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128a)은 노리개(129)를 착탈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이 장착홀(128a)에 노리개(129)에 설치된 결합고리(129a)를 이용하여 착탈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노리개(129)는 유아가 파지하여 흔들 경우 소리가 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노리개(129)는 방울이 달린 소위 '딸랑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노리개(129)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소리가 날 수 있는 공지된 유아용 놀이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수유쿠션(100,100')을 수유의 목적 이외에도 유아의 놀이기구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유아용 수유쿠션(100')은 앞서 전술된 실시예의 유아용 수유쿠션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단지 노리개(129)가 착탈되도록 손잡이부(128')에 장착홀(128a)을 형성한 것에 차이가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및 제2 쿠션부(110,120)는 그 내부에 충격완화를 위한 완충재가 마련되고, 상기 완충재를 감싸는 커버로 구성되되, 상기 커버는 촉감이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쿠션부(110,120)의 구조 즉, 완충재와 커버로 구성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쿠션부(110)와 제2 쿠션부(120)를 착탈시키는 체결부재(130)는 스냅 버튼 또는 벨크로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아용 수유쿠션(100,100')은 체결부재(130)에 의하여 결합시 제1 및 제2 쿠션부(110,120)의 결합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체결부재(130)는 스냅 버튼(130)의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냅 버튼(130)은 공지된 기술로서, 암 버튼(131)과 수 버튼(132)으로 구성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쿠션부(110)의 제1 결합부(111)에는 암 버튼(131)이 부착되고, 제2 쿠션부(120)의 제2 결합부(121)에는 수 버튼(132)이 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제1 결합부(111)에 수 버튼이 부착되고 제2 결합부(121)에 암 버튼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쿠션부(110,120)의 결합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스냅 버튼(130)은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체결부재(130)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1 및 제2 쿠션부(110,120)는 안정적이 체결을 위하여 쿠션부(110,120)의 양측을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결부재(130)는 전술된 스냅 버튼(130)은 물론, 벨크로 테이프나 버클 등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체결기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제1 쿠션부(110)의 상측으로 제2 쿠션부(120)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쿠션부(120)의 제2 결합부(121)가 제1 쿠션부(110)의 제1 결합부(111) 하측으로 위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쿠션부(110)와 제2 쿠션부(120)가 결합된 경우 제1 및 제2 쿠션부(110,120)의 양측이 결합되어 유압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수유시 유아의 고개가 돌아갈 경우 수유를 원활하게 할 수 없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쿠션부(110,120)의 결합된 부분이 유아의 머리가 돌아가지 않도록 지지해주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1 쿠션부(110)와 제2 쿠션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쿠션부(110,120)의 형상 변경이 자유롭도록 프레임(140)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프레임(140)이 제2 쿠션부(120)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쿠션부(11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40)은 유연성을 갖는 수지재 또는 연성을 갖는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프레임(140)의 강성은 소정 압력에 의하여 변형이 가능하며 변형된 후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는 강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프레임(140)은 각각 제1 쿠션부(110) 및/또는 제2 쿠션부(120) 내에 설치되어 그 쿠션부(110,120)의 외관 테두리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제1 쿠션부(110) 및/또는 제2 쿠션부(120)의 형상을 자유롭게 변형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수유쿠션(100,100')을 이용시 유아가 보호자의 도움 없이도 안정적으로 수유를 받을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노리개(129)나 손잡이부(128,128')를 통하여 뇌발달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유아용 수유쿠션(100,100')의 사용시 인체공학적인 구조에 따라 수유를 원활히 할 수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수유쿠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가 수유시 제2 쿠션부(120)는 제1 쿠션부(11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유아의 가슴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제2 쿠션부(120)는 인체공학적 구조에 따라 경사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에, 젖병지지부재(124)에 파지된 젖병(10)도 자연적으로 경사지게 되며, 이에 따라 유아가 수유시 모유 또는 수유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100' : 유아용 수유쿠션 110 : 제1 쿠션부
120 : 제2 쿠션부 123 : 턱받이
124 : 젖병지지부재 128 : 손잡이부
130 : 체결부재 140 : 프레임

Claims (8)

  1. 유아의 머리 뒷부분이 받쳐지도록 하측으로 요입된 요입부가 형성된 제1 쿠션부;
    상기 유아의 목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쿠션부와 결합되는 제2 쿠션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쿠션부가 결합 및 분리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쿠션부에 마련된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쿠션부에는 젖병을 지지하는 젖병지지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젖병지지부재는,
    소정 압력으로 젖병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탄성밴드가 이격되어 형성된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부착되어 상기 탄성밴드 사이에 위치한 젖병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수유쿠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가압부가 늘어날 경우 확장가능하도록 주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수유쿠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쿠션부가 결합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복수의 스냅 버튼 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벨크로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수유쿠션.
  5. 유아의 머리 뒷부분이 받쳐지도록 하측으로 요입된 요입부가 형성된 제1 쿠션부;
    상기 유아의 목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쿠션부와 결합되는 제2 쿠션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쿠션부가 결합 및 분리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쿠션부에 마련된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쿠션부에는 젖병을 지지하는 젖병지지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쿠션부는 상기 유아의 목이 끼워지도록 'U'자형 삽입부를 갖추고,
    상기 삽입부에는 턱받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수유쿠션.
  6. 유아의 머리 뒷부분이 받쳐지도록 하측으로 요입된 요입부가 형성된 제1 쿠션부;
    상기 유아의 목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쿠션부와 결합되는 제2 쿠션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쿠션부가 결합 및 분리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쿠션부에 마련된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쿠션부에는 젖병을 지지하는 젖병지지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쿠션부의 외측 테두리에는 유아가 파지하여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수유쿠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소리가 나는 노리개가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수유쿠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부와 제2 쿠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쿠션부의 외관 형상과 대응하는 프레임이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이 형성된 쿠션부의 형상 변경이 자유롭도록 유연성을 갖는 수지재 또는 연성을 갖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수유쿠션.
KR1020110138992A 2011-12-21 2011-12-21 유아용 수유쿠션 KR101296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992A KR101296296B1 (ko) 2011-12-21 2011-12-21 유아용 수유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992A KR101296296B1 (ko) 2011-12-21 2011-12-21 유아용 수유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658A KR20130071658A (ko) 2013-07-01
KR101296296B1 true KR101296296B1 (ko) 2013-08-14

Family

ID=4898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992A KR101296296B1 (ko) 2011-12-21 2011-12-21 유아용 수유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2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8770A1 (ko) * 2016-04-29 2017-11-02 김은이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326B1 (ko) * 2020-12-18 2023-04-11 이나래 수유용 쿠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566A (ja) * 2001-06-15 2002-12-24 Kumiko Horigome チャイルドシート等のほ乳瓶固定ベルト付きクッション
JP2004275571A (ja) * 2003-03-18 2004-10-07 Gowell Corp 携帯枕
KR20110009794U (ko) * 2010-04-09 2011-10-17 전철 산모용 다용도 쿠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566A (ja) * 2001-06-15 2002-12-24 Kumiko Horigome チャイルドシート等のほ乳瓶固定ベルト付きクッション
JP2004275571A (ja) * 2003-03-18 2004-10-07 Gowell Corp 携帯枕
KR20110009794U (ko) * 2010-04-09 2011-10-17 전철 산모용 다용도 쿠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8770A1 (ko) * 2016-04-29 2017-11-02 김은이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658A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0822B2 (ja) 授乳クッション
US9949575B2 (en) Child carrier
JP4823592B2 (ja) ベビーカー用クッション
US20150342264A1 (en) Baby Handling Device
US20120074182A1 (en) Mother's helper baby sling
US20150121627A1 (en) Baby handling device
KR200457649Y1 (ko) 유아용 수유쿠션
KR200483956Y1 (ko) 유아 식탁용 방수 턱받이
KR101296296B1 (ko) 유아용 수유쿠션
KR200474275Y1 (ko)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KR200469436Y1 (ko)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
JP3227907U (ja) 多機能マザーズクッション
JP3185589U (ja) 授乳カバー
JP2003010010A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KR20150000736U (ko) 젖병 고정기
KR200452635Y1 (ko) 수유용 방석
KR200387399Y1 (ko) 수유용 쿠션
KR200239677Y1 (ko) 수유용 포대기
CN105708235A (zh) 哺乳枕
JP2014133083A (ja) 哺乳瓶保持具
JP3110144U (ja) 授乳用覆い具
KR100602904B1 (ko) 유아용 무인 수유장치
CN211130447U (zh) 一种婴儿腰凳背带
KR200370931Y1 (ko) 유아용 무인 수유장치
KR200247357Y1 (ko) 유아용 수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