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649Y1 - 유아용 수유쿠션 - Google Patents

유아용 수유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649Y1
KR200457649Y1 KR2020090002644U KR20090002644U KR200457649Y1 KR 200457649 Y1 KR200457649 Y1 KR 200457649Y1 KR 2020090002644 U KR2020090002644 U KR 2020090002644U KR 20090002644 U KR20090002644 U KR 20090002644U KR 200457649 Y1 KR200457649 Y1 KR 200457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cushion
nursing
present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118U (ko
Inventor
권오용
이의천
Original Assignee
이의천
권오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천, 권오용 filed Critical 이의천
Priority to KR2020090002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64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1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1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6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47D13/083Baby feeding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수유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에게 수유시 오랫동안 안고 있는 자세를 취하게 되는 수유모가 편안한 자세로 수유할 수 있고 유아가 정서적으로 보다 안정되도록 할 수 있는 유아용 수유쿠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수유쿠션은 수유시 적절한 높이와 기울기를 가지므로 수유하는 사람이 유아를 끌어당기지 않고 쿠션에 기댄 상태로 수유 가능하여 자세가 편안해지고 유아를 끌어당기면서 느끼게 되는 무게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유아, 수유, 수유쿠션, 보조받침대

Description

유아용 수유쿠션{Nursing cushion for suckling}
본 고안은 유아용 수유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에게 수유시 오랫동안 안고 있는 자세를 취하게 되는 수유모가 편안한 자세로 수유할 수 있고 유아가 정서적으로 보다 안정되도록 할 수 있는 유아용 수유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에게 모유 혹은 분유 수유시 유아를 직접 팔로 안은 채 또는 옆으로 누워서 행하여지고 있다.
엄마 또는 기타 가족들이 행하는 수유 동작은 유아에게 수유를 하는 어른에게 많은 힘을 필요로 하며, 안겨있는 유아에게도 베김현상이 있기 때문에 오래 안겨 있을수록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젖병을 사용해 수유를 할 때에는 한 손으로 젖병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유아를 안아서 먹여야 되며, 유아의 머리가 몸보다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팔을 올려 주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튜브형의 수유쿠션을 이용하였다. 첨부된 도 6은 종래 튜브형 수유쿠션을 착용한 수유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종래 튜브형 수유쿠션은 솜이나 스펀지가 충진된 'C'자 형상의 쿠션으로서, 허리에 끼워지는 원형의 홈으로 된 허리삽입요홈이 편재하여 형성되며 쿠션의 몸체는 이어진 부분이 보다 넓은 면을 형성하고 끊어진 부분이 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면을 형성한다. 상기 허리삽입요홈은 수유하는 사람의 허리가 타이트하게 끼워질 정도의 크기를 갖고, 쿠션의 몸체의 상부면은 아기를 누일 수 있을 만큼의 넓은 면을 확보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 튜브형 수유쿠션은 허리에 끼워지는 원형의 홈을 통해 착용한 다음 쿠션본체의 저면은 허벅지로 지지한다. 그리고, 유아를 안은 수유모가 상기 쿠션본체의 상면에 상체(특히 유아를 안은 팔)를 기댄 상태로 수유를 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튜브형 수유쿠션은 수유하는 사람에 따라 허리 사이즈가 다르므로 착용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고, 움직임이 많은 유아에게는 누일 면적이 협소하여 안정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모유 수유시 수유모는 유아를 흉부 쪽으로 끌어당기고 상체를 숙여서 밀착된 상태로 수유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약 20분 내외 정도 장기적으로 지속하게 되면 수유모가 허리 통증 및 유아를 안은 팔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분유 수유시에는 유아와 수유하는 사람 사이에 거리로 인해 유아가 정서적으로 불안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유아에게 수유시 수유하는 사람이 편안한 자세로 수유할 수 있고 유아가 정서적으로 보다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쿠션본체 및 보조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아용 수유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받침대를 수유베개로 활용가능하게 구비하여 제품의 사용기한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수유쿠션을 제공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기댈 수 있는 쿠션본체와, 상기 쿠션본체에 설치되는 보조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수유쿠션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쿠션본체에 상기 보조받침대가 삽입되는 보조받침대삽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수유쿠션은 수유시 적절한 높이와 기울기를 가지므로 수유하는 사람이 유아를 끌어당기지 않고 쿠션에 기댄 상태로 수유 가능하여 자세 가 편안해지고 유아를 끌어당기면서 느끼게 되는 무게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경질의 우레탄형 스펀지와 순면 등의 천연원단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제작하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한 장점도 가지고 있다.
특히, 분유 수유시 수유하는 사람과 유아가 매우 근접하게 되어 수유의 편리함은 물론, 유아가 수유하는 사람의 심장박동을 느끼게 되어 정서적으로 큰 안정감을 가지게 된다.
본 고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본 고안은 수유하는 사람의 복부에 착용하여 유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편안하게 수유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수유쿠션에 관한 것으로, 수유시 수유하는 사람(이하, 수유모라고 함)이 상체를 숙이지 않고도 수유하기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해주어 장기 수유시 발생할 수 있는 허리 및 팔의 통증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수유쿠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수유쿠션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받침대의 활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유쿠션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라 바람직하게 구현된 유아용 수유쿠션은 수유모가 복부 및 허리에 착용할 수 있는 쿠션본체(100)와, 상기 쿠션본체(100)의 높이 및 기울기를 보조할 수 있는 보조받침대(200)로 구성된다.
상기 쿠션본체(100)는 유아를 안고 있는 수유모의 상체(특히 팔 부분)를 지지하고 흉부를 기댈 수 있는 지지대(110)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수유모가 쿠션본체(100)를 착용시 통상 가로방향이나 대각방향으로 유아를 안고 수유를 하게 되므로 본 고안에서 쿠션본체(100)는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타원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본체(100)는 수유모의 착용을 위해 내측에 수유모의 복부 사이즈에 상응하는 수용홈(S)이 마련되고, 수유모가 착용하기 편리하도록 일측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며, 쿠션본체(100) 착용 후 절개된 부분을 고정하기 위하여 쿠션본체(100)의 측면에 고정수단(130)을 부착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30)은 쿠션본체(100)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결착부재(131)와, 상기 결착부재(131)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걸고리(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착부재(131)는 쿠션본체(100)의 일측 면에 부착된 연결띠(135)에 결합되어 장착되고, 상기 걸고리(132)는 쿠션본체(100)의 타측면에 부착되는 수용홈조절띠(134)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조절띠(134)는 쿠션본체(100)와 걸고리(132) 사이에 구비되는 밴드클립(133)에 의해 고정되면서 상기 걸고리(132)가 수용홈조절띠(134)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에서 수용홈조절띠(134)는 수용홈(S)의 사이즈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마련되므로, 수유모의 복부 사이즈에 따라 쿠션본체(100)의 타측면과 걸고리(132) 사이에 배치되는 수용홈조절띠(134)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밴드클립(133)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탄성을 이용하여 착탈될 수 있는 걸고리와, 이러한 걸고리에 상응하는 구조를 가지는 결착부재를 포함하는 통상의 고정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쿠션본체(100)는 수용홈(S)의 후방으로 수유모의 허리를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는 허리받이부(120)가 배치되고, 상기 허리받이부(120)는 직선 형상으로 구비된다.
본 고안은 수유모가 상체를 숙이지 않고도 유아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에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쿠션본체(100)를 보조하기 위하여 보조받침대(200)가 구비되고, 쿠션본체(100)의 저면에는 상기 보조받침대(200)를 삽입 설치하기 위한 보조받침대삽입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받침대삽입부(140)는 상기 보조받침대(200)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가지고 구성되며, 삽입된 보조받침대(200)가 밀착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받침대(200)의 사이즈에 상응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받침대삽입부(140)는 후술되는 본체외피(101)와 마찬가지로 천연원단으로 제작된다.
본 고안은 상기 보조받침대(200)를 보조받침대삽입부(140)에 끼워넣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받침대삽입부(140)의 저면 양측에 단추와 같은 피걸착부재(141)를 부착한다. 상기 피걸착부재(141)가 후술되는 걸착고리(211)에 끼워짐에 따라 걸착고리(211)를 구비하는 보조받침대(200)가 상기 보조받침대삽입부(140)의 저면에 고정되게 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쿠션본체(100)는 부드러운 원단으로 형성되는 본체외피(101)와, 상기 본체외피(101)의 내부에 수용되는 본체내장재(10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외피(101)는 수유모는 물론 유아가 직접적으로 접하게 되는 표면이므로 합성원단이 아닌 천연원단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본체내장재(102)는 수유모의 상체 일부와 유아의 무게를 지탱해야 하므로 가벼우면서도 일정치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경질의 스펀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외피(101)는 수유과정에서 이물질이 묻어나기 쉬워 잦은 세탁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체내장재(102)와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외피(101)에는 본체내장재(102)의 출입을 위해 테두리를 따라 개폐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11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111)는 도 2와 같이 유아와의 접촉 가능성이 적은 쿠션본체(100)의 저면 테두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받침대(200)는 보조받침대삽입부(140)에 삽입되어 쿠션본체(100)의 높이 혹은 기울기를 보조하는 구성요소로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10)을 가지는 입체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받침대(20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측면에 직삼각 형상을 가지는 오면체로 형성되지만, 본 고안에 따른 보조받침대(200)가 오면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보조받침대(200)의 경사면(210) 또는 저면 양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걸착부재(141)가 끼워질 수 있는 걸착고리(211)가 구비된다.
상기 걸착고리(211)는 신축성 있는 끈, 예를 들어 고무줄로 만들어진 링 형상의 고리로서, 이 걸착고리(211)를 신장시킨 상태로 피걸착부재(141)에 끼우면 신장된 걸착고리(211)가 복원되면서, 상기 보조받침대(200)가 피걸착부재(141)에 의해 보조받침대삽입부(140)의 저면에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조받침대(200)는 보조받침대삽입부(140)의 상면에 올려놓고 사용하거나, 또는 수유시 유아가 베고 누울 수 있는 수유베개로 활용하는 등 다용도로 이용 가능하다.
유아는 약 7 ~ 8개월부터 혼자 젖병을 잡고 수유 가능한데, 이때 유아가 혼자 누워서 수유하는 각도는 약 15 ~ 20° 정도가 적당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받침대(200)를 수유베개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기 위해서는 경사면(210)의 기울기에 의한 경사각을 약 15 ~ 20° 정도로 설정한다.
본 고안에서 보조받침대(200)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원단으로 이루어진 외피(201)와, 상기 외피(20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내장재(202)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보조받침대(200)의 외피(201)는 내장재(202)의 인입을 위한 절개부(213)가 구비되며, 상기 절개부(213)는 유아의 안전을 위해 개폐를 위한 파스너 등의 기구가 부착되지 않고, 상기 절개부(213)에서 외피(201)가 겹쳐지도록 마련된다.
상기 외피(201)는 유아가 직접적으로 접하게 되는 표면이므로 합성원단이 아닌 천연원단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내장재(202)는 유아의 머리 무게를 지탱해야 하므로 가벼우면서도 일정치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경질의 스펀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유아용 수유쿠션은 수유모의 복부에 착용하는 쿠션본체(100)에 장착할 수 있는 보조받침대(200)를 구성하므로써 유아와 수유모 사이가 근접해지므로 수유시 수유모가 팔에 안겨있는 유아를 향해 숙일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장기 수유시, 예를 들어 20분 내외의 수유시 유아를 보다 가까이 끌어당겨 안으면서 발생하는 팔의 통증 및 허리 통증 등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아가 수유모와 밀착되어 심장박동을 느끼면서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에 첨부된 청 구범위 안에 속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수유쿠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수유쿠션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받침대의 활용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유쿠션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쿠션본체 101 : 본체외피
102 : 본체내장재 110 : 지지대
120 : 허리받이부 130 : 고정수단
140 : 보조받침대삽입부 141 : 피걸착부재
S : 수용홈 200 : 보조받침대
201 : 외피 202 : 내장재
210 : 경사면 211 : 걸착고리
213 : 절개부

Claims (4)

  1. 삭제
  2. 기댈 수 있는 쿠션본체와, 상기 쿠션본체에 설치되는 보조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아용 수유쿠션에 있어서, 상기 쿠션본체에 상기 보조받침대가 삽입되는 보조받침대삽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수유쿠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받침대삽입부의 피걸착부재가 상기 보조받침대의 걸착고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수유쿠션.
KR2020090002644U 2009-03-09 2009-03-09 유아용 수유쿠션 KR200457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644U KR200457649Y1 (ko) 2009-03-09 2009-03-09 유아용 수유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644U KR200457649Y1 (ko) 2009-03-09 2009-03-09 유아용 수유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18U KR20100009118U (ko) 2010-09-17
KR200457649Y1 true KR200457649Y1 (ko) 2011-12-28

Family

ID=4556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644U KR200457649Y1 (ko) 2009-03-09 2009-03-09 유아용 수유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64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027B1 (ko) 2013-01-22 2014-04-18 주식회사 퓨라인터내셔널 수유 시트
KR102134330B1 (ko) * 2019-07-23 2020-07-15 (주)윌비스 머리 보호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쿠션
KR102284281B1 (ko) 2021-02-08 2021-08-02 성유진 역류방지 수유쿠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442Y1 (ko) * 2012-05-25 2013-01-02 임지호 수유용 쿠션
KR102278113B1 (ko) * 2018-12-21 2021-07-14 허항 유아용 쿠션
KR200495824Y1 (ko) * 2020-06-15 2022-08-29 홍형석 유아용 역류 방지 쿠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027B1 (ko) 2013-01-22 2014-04-18 주식회사 퓨라인터내셔널 수유 시트
KR102134330B1 (ko) * 2019-07-23 2020-07-15 (주)윌비스 머리 보호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쿠션
KR102284281B1 (ko) 2021-02-08 2021-08-02 성유진 역류방지 수유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18U (ko) 201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564Y1 (ko) 역류방지 수유쿠션
KR200457649Y1 (ko) 유아용 수유쿠션
US5790999A (en) Nursing pillow adapted for use with twins
JP2013500055A (ja) ベビーキャリア
JP2004236736A (ja) 子守帯
KR102377913B1 (ko) 멀티 기능 아기띠 패키지
US20100288803A1 (en) Infant sleep sling
JP2009207848A (ja) 交差式折畳み抱っこ紐
US20180021224A1 (en) Pacifier Holder (&#34;PH&#34;) &amp; Eye Cover (&#34;EC&#34; attachment)
JP2004181268A (ja) 子守帯および使用者装着部材
KR200469436Y1 (ko)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
KR20110006436U (ko) 수유쿠션 및 다용도베개 세트
CN212521260U (zh) 生理体位哺乳椅
CN105853107A (zh) 一种婴儿体位固定床垫
KR101028579B1 (ko) 아기 수면보호대
KR20100002801U (ko) 수유쿠션
KR200369588Y1 (ko) 다용도 쿠션
KR200352129Y1 (ko) 유아 수유용 받침대 세트
CN215081213U (zh) 一种早产儿体位管理充气床垫
KR200452635Y1 (ko) 수유용 방석
KR20130071658A (ko) 유아용 수유쿠션
KR20110008959U (ko) 수유쿠션
CN212466405U (zh) 一种新生儿护理鸟巢
CN214905679U (zh) 一种婴儿安抚枕
CN107495744B (zh) 婴儿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