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275Y1 -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 Google Patents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275Y1
KR200474275Y1 KR2020130002503U KR20130002503U KR200474275Y1 KR 200474275 Y1 KR200474275 Y1 KR 200474275Y1 KR 2020130002503 U KR2020130002503 U KR 2020130002503U KR 20130002503 U KR20130002503 U KR 20130002503U KR 200474275 Y1 KR200474275 Y1 KR 2004742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infant
infants
cushi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
Priority to KR2020130002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2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2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2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A47K3/127Body supports for children or bab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엉덩이받침부; 상기 엉덩이받침부로
부터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길이방향 양단을 따라 마련되되, 영유아의 상체가 등받이부로부터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등받이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 머리쿠션거치부;를 구비한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쿠션거치부 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굴곡을 이루도록 형성된 상단부를 구비한 영유아용 다용도시트로서, 상기 몸체부를 감싸는 분리가능한 섬유소재의 커버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엉덩이받침부의 상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영유아 의 하체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다리관통구가 마련된 그물형안전벨트가 마련되고, 상기 엉덩이받침부의 저면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한 손가락걸이부가 마련된 영유아용 다용도시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상기 엉덩이받침부에는 슬립방지받침구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슬립방지받침구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 저면 에 마련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기둥형상의 삽입부로 구성되는 영유아용 다용 도시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본 고안에 있어서,상기 등받이부에는 머리쿠션부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머리쿠션부는 영유아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내부에 충전재가 충진된 쿠션부 와 일단은 쿠션부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벨크로테입이 마련된 한 쌍의 연결띠로 구 성되는 영유아용 다용도시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본 고안에 있어서,상기 엉덩이받침부의 저면에는 분리가능한 복수개의 흡착판을 구비한 흡착식다리가 장착될 수 있는 영유아용 다용도시트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본 고안에 따르면, 영유아의 낙상의 위험을 방지하고 영유아의 신체 성장에 맞추어 머리쿠션부를 조절할 수 있으며,탈착가능한 커버에 의해 세척을 용 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유아용 다용도시트{Multipurpose infants seat}
본 고안은 영유아용 다용도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목욕의자와 수유쿠션의 기능을 겸비한 영유아용 다용도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유시 유아와 산모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수유쿠션이 제공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수유 쿠션은 주로 내부에 솜을 넣어 형성되거나 평편한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등의 스펀지를 넣어 형성됨으로써 편안하게 유아의 수유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 제10-1123376호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쿠션을 이용하여 머리받이부(200)와 등받이부(300) 및 엉덩이받이부(400)가 일체로 성형된 시트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시트본체 전체에는 직물시트를 감싸 형성하되, 머리받이부(200)에는 함몰부(210) 및 함몰부(210)로부터 돌출된 융출부(230)를 형성하여 영아의 머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하고 등받이부(300)에는 반복의 통기홈부(310)를 형성하여 영아의 등 부분으로부터 원활한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엉덩이받이부(400)에는 걸림턱부(410)를 형성하여 영아의 신체가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수유용 영아받침시트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등록특허는 영유아의 신체를 고정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영유아의 낙상을 방지하기 어렵고, 직물시트가 발포쿠션으로 이루어진 시트 본체 표면에 부착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염이 되었을 경우 세척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등록특허는 머리받이부의 함몰부 및 융출부등의 위치 조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영유아의 신체성장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유아의 낙상의 위험을 방지하고 영유아의 신체성장에 맞추어 머리쿠션부를 조절할 수 있으며, 탈착가능한 커버에 의해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영유아용다용도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수유쿠션 뿐만 아니라 영유아가 목욕시 사용할 수 있는 목욕의자의 기능을 구비한 영유아용 다용도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엉덩이받침부; 상기 엉덩이받침부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공이 적어도 하나 이 상 형성된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길이방향 양단을 따라 마련되되, 영유아 의 상체가 등받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등받이부에 대해 수직방 향으로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 머리쿠션거치부;를 구비한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쿠션거치부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굴곡을 이루도록 형성된 상단부를 구비한 영유아용 다용도시트로서,상기 몸체부를 감싸는 분리가능한 섬유소재의 커버가 마련될 수 있고,상기 커버에는 상기 엉덩이받침부의 상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영유아의 하체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다리관통구가 마련 된 그물형안전벨트가 마련되고, 상기 엉덩이받침부의 저면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손 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한 손가락걸이부가 마련된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받침부에는 슬립방지받침구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슬립방지받침구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기둥형상의 삽입부로 구성되는 영유아용 다용도시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는 머리쿠션부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머리쿠션부는 영유아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내부에 충전재가 충진된 쿠션부와 일단은 쿠션부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벨크로테입이 마련된 한 쌍의 연결띠로 구성되는 영유아용 다용도시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받침부의 저면에는 분리가능한 복수개의 흡착판을 구비한 흡착식다리가 장착될 수 있는 영유아용 다용도시트를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영유아의 낙상의 위험을 방지하고 영유아의 신체성장에 맞추어 머리쿠션부를 조절할 수 있으며, 탈착가능한 커버에 의해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영유아용 다용도시트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수유쿠션 뿐만 아니라 영유아가 목욕시 사용할 수 있는 목욕의자의 기능을 구비한 영유아용 다용도시트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로 몸체부를 감쌌을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한국 등록특허 제10-1123376호에 개시된 수유용 영아 받침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다용도시트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로 몸체부를 감쌌을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엉덩이받침부(10)와 상기 엉덩이받침부(10)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등받이부(20)를 포함하는 몸체부(1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엉덩이받침부(10)와 등받이부(20)가 이루는 각도(α)는 수유자와 영유아가 모두 편안하게 느낄 수 있도록 대략 30°정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부(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엉덩이받침부(10)의 내부에는 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할 영유아의 목욕시 슬립방지받침구(40)가 상기 삽입홈(11)에 삽입고정되어 영유아의 다리 사이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영유아가 엉덩이받침부(10) 아래로 미끄러져 내리지 않고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상기 삽입홈(11)은, 도 1에서는 3개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슬립방지받침구(40)의 삽입부(42)와 대응되어 1이상의 적절한 수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등받이부(20)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20)의 내부에는 관통공(2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공(21)은 영유아의 수유시 등부분의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뿐만 아니라 수유 후 영유아를 시트에서 분리하지 않더라도 관통공(21)을 통해 보호자가 영유아의 등을 두드릴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겸비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21)은 바람직하게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보호자의 손바닥이 관통공(21)을 통해 영유아의 등에 닿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20)는 길이방향 양단을 따라 상기 등받이부(2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 머리쿠션거치부(30)를 구비하는데, 이 머리쿠션거치부(30)는 영유아의 상체의 수평이동을 간섭함으로써 영유아의 상체가 등받이부(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머리쿠션거치부(30)는 볼록부(31)와 오목부(32)가 교대로 배치되어 굴곡을 이루도록 형성된 상단부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후술할 머리쿠션부(50)가 영유아의 신장에 따라 적절히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엉덩이받침부(10)에는 영유아의 다리 사이에 위치되어 엉덩이받침부(10)로부터 영유아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립방지받침구(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받침구(40)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41)와 상기 돌기부(41)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삽입홈(11)에 삽입되는 기둥형상의 삽입부(42)로 구성되는데, 도 1에서, 돌기부(41)는 대략 원뿔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영유아의 다리 사이에 배치되어 엉덩이받침부(10)로부터 영유아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공지의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42)는 삽입홈(11)에 대응되는 형상의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삽입홈(11)과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는 사각형상의 3개의 삽입홈(11)에 대응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3개의 삽입부(42)를 구성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삽입부(42) 및 삽입홈(11)의 개수와 형상을 대응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등받이부(20)에는 머리쿠션부(50)가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머리쿠션부(50)는 영유아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내부에 충전재가 마련된 쿠션부(51)와 일단은 쿠션부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벨크로테입(53)이 마련된 한 쌍의 연결띠(5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션부(51)는 쿠션부 전체에 충전재가 마련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유아의 뒤통수가 위치되는 부분에 개구(54)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쿠션부(51)는 상기 등받이부(20)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띠(52)는 상기 머리쿠션거치부(30)의 오목부(32)에 안치되어 상기 등받이부(20)의 뒷면에서 벨크로테이프(53)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엉덩이받침부(10)의 저면에는 분리가능한 복수개의 흡착판(61)을 구비한 흡착식다리(60)가 마련될 수 있는데, 안정성을 위해 흡착식다리는 4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섬유소재의 커버(150)가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100)를 감쌀 수 있는데, 몸체부(100)의 저면측에 지퍼(120)를 마련함으로써 몸체부(100)로부터 커버(15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50)에는 상기 엉덩이받침부(10)의 상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영유아의 하체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다리관통구(161)가 마련된 그물형안전벨트(160)가 마련된다.
상기 그물형안전벨트(160)에 의해 영유아의 하체가 엉덩이받침부(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영유아가 시트로부터 낙상할 위험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50)의 상기 엉덩이받침부(10)의 저면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손가락삽입고리(171)를 구비한 손가락걸이부(170)가 마련되어 있다.
이는 수유시 수유자가 손가락걸이부(170)에 손가락을 걸어 시트를 단단히 움켜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유자가 시트를 놓쳐서 발생할 수 있는 영유아의 낙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150)에도 상기 등받이부의 관통공(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관통공(151)을 형성함으로써 수유시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수유 후 영유아를 시트에서 분리하지 않고 영유아의 등을 두드려 영유아가 쉽게 트림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다용도시트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수유시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를 커버(150)로 감싼 뒤, 영유아의 신장에 맞추어 머리쿠션부(50)를 등받이부(20)에 배치한다. 이 경우, 쿠션부(52)는 등받이부(20)의 내부에 안치시키고 연결띠가 머리쿠션거치부(30)의 오목부(32)에 걸리도록 하여 등받이부(20)의 후면에서 벨크로테이프(53)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한다.
머리쿠션거치부(30)에는 다수개의 오목부(32)가 등받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영유아의 신장에 맞추어 머리쿠션부(50)가 등받이부(20) 내부에 위치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그물형안전벨트(160)의 상부측으로 영유아의 다리를 삽입하여 하부측에 형성된 다리관통구(161)로 빼냄으로써 그물형안전벨트(160)에 영유아를 고정시키고 수유자는 저면에 있는 손가락걸이부(170)에 손가락을 걸어 안정적인 상태로 영유아에게 수유를 실시한다.
다음으로, 영유아를 목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몸체부(100)로부터 커버(150)를 분리한 후, 흡착식다리(60)를 엉덩이받침부(10)의 저면에 배치하고 슬립방지받침구(40)의 삽입부(42)를 삽입홈(11)에 끼워 슬립방지받침구(40)를 엉덩이받침부(10) 내부에 장착한다.
이후, 영유아를 몸체부(100)에 눕힌 뒤 목욕을 시키게 되면, 영유아의 다리 사이에 배치되는 슬립방지받침구(40)에 의해 영유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 머리쿠션거치부(30)에 의해 영유아의 상체가 등받이부(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관통공(21)을 통해 목욕물이 배출되면서, 안정적으로 영유아를 목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영유아를 안정적으로 고정지지하면서 영유아의 수유가 이루어질 수 있고, 몸체부로부터 커버를 분리하는 경우 목욕의자로도 사용할 수 있는 영유아용다용도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10 : 엉덩이받침부 11 : 삽입홈
20 : 등받이부 21 : 관통공
30 : 머리쿠션거치부 31 : 볼록부
32 : 오목부 40 : 슬립방지받침구
41 : 돌기부 42 : 삽입부
50 : 머리쿠션부 51 : 쿠션부
52 : 연결띠 52 : 벨크로테이프
60 : 흡착식다리 100 : 몸체부
150 : 커버 160 : 그물형 안전벨트
161 : 다리관통구 170 : 손가락걸이부

Claims (5)

  1. 내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엉덩이받침부;
    상기 엉덩이받침부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길이방향 양단을 따라 마련되되 , 영유아의 상체가 등
    받이부 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등받이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등받이 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 머리쿠션거치부;를 구비한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쿠션거치부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굴곡을 이
    루도록 형성된 상단부를 구비하는 영유아용 다용도시트로서,
    상기 몸체부를 감싸는 분리가능한 섬유소재의 커버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엉덩이받침부의 상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영유아의 하체가 삽입되어 지지 되도록 다리관통구가 마련된 그물형 안전벨트가 마련되고, 상기 엉덩이 받침부의 저면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한 손가락걸이부가 마련된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받침부에는 슬립방지받침구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슬립방지받침구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기둥형상의 삽입부로 구성되는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는 머리쿠션부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머리쿠션부는 영유아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내부에 충전재가 충진된 쿠션부와 일단은 쿠션부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벨크로테입이 마련된 한 쌍의 연결띠로 구성되는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받침부의 저면에는 분리가능한 복수개의 흡착판을 구비한 흡착식다리가 장착될 수 있는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5. 삭제
KR2020130002503U 2013-04-04 2013-04-04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KR2004742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503U KR200474275Y1 (ko) 2013-04-04 2013-04-04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503U KR200474275Y1 (ko) 2013-04-04 2013-04-04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275Y1 true KR200474275Y1 (ko) 2014-09-03

Family

ID=5200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503U KR200474275Y1 (ko) 2013-04-04 2013-04-04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27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831B1 (ko) 2013-08-08 2014-10-15 주식회사 다인 영유아용다용도포대기
KR101860650B1 (ko) * 2016-12-21 2018-05-23 정장교 유아용 대소변기
KR101941160B1 (ko) * 2018-04-27 2019-01-22 (주)시밀레 영유아용 수유비데
WO2019124579A1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엘드 유아용 비데 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663Y1 (ko) * 1985-05-17 1988-07-23 주식회사 대아휴먼엔지니어링 유모차겸 자동차용 유아의자
KR200438960Y1 (ko) * 2007-11-27 2008-03-13 (주)한스이엔지 유아용 카시트
KR200461464Y1 (ko) * 2010-05-28 2012-07-20 채규종 이동형 아동용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663Y1 (ko) * 1985-05-17 1988-07-23 주식회사 대아휴먼엔지니어링 유모차겸 자동차용 유아의자
KR200438960Y1 (ko) * 2007-11-27 2008-03-13 (주)한스이엔지 유아용 카시트
KR200461464Y1 (ko) * 2010-05-28 2012-07-20 채규종 이동형 아동용 의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831B1 (ko) 2013-08-08 2014-10-15 주식회사 다인 영유아용다용도포대기
KR101860650B1 (ko) * 2016-12-21 2018-05-23 정장교 유아용 대소변기
WO2019124579A1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엘드 유아용 비데 시트
KR101941160B1 (ko) * 2018-04-27 2019-01-22 (주)시밀레 영유아용 수유비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5137B1 (en) Portable diaper-changing restraint system
US8770663B2 (en) Combination shopping cart and high chair cover with plush character
KR101426752B1 (ko) 유아용 침대
EP3761833B1 (en) A comfort apparatus for use by a parent and an infant
US7641283B2 (en) Infant positioning seat insert
KR200474275Y1 (ko)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US8328278B2 (en) Child positioning insert
US20150121627A1 (en) Baby handling device
KR200389920Y1 (ko)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유아용 수유쿠션
KR101438928B1 (ko) 영아 목욕과 수유를 위한 받침대
KR20140005410U (ko) 헤드쿠션과 넥쿠션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아기용 베개.
US20120319438A1 (en) Infant car seat
US4892357A (en) Child's portable auxiliary seat cushion with upper body support ridge
RU2670055C1 (ru)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коврик для содействия глубокому сну ребенка
KR101447831B1 (ko) 영유아용다용도포대기
KR101635775B1 (ko) 유아 숙면 보조용 기능성 매트
US7481490B2 (en) Foot and leg protector for infant seat bouncer
KR20130034100A (ko) 유아용 가방을 겸한 의자 안전시트
JP7001339B2 (ja) 育児器具の座席マット
JP2003010010A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KR101581109B1 (ko) 유아용 캐리어의 힙 시트
KR20130001055U (ko) 유아용 소파
KR200437288Y1 (ko) 유아용 착석 기구
KR101320856B1 (ko) 수유용 받침시트
JP7440249B2 (ja) 乳幼児用座席装置用インナー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