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928B1 - 영아 목욕과 수유를 위한 받침대 - Google Patents

영아 목욕과 수유를 위한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928B1
KR101438928B1 KR1020120137619A KR20120137619A KR101438928B1 KR 101438928 B1 KR101438928 B1 KR 101438928B1 KR 1020120137619 A KR1020120137619 A KR 1020120137619A KR 20120137619 A KR20120137619 A KR 20120137619A KR 101438928 B1 KR101438928 B1 KR 101438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pedestal
cushion cover
feeding
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846A (ko
Inventor
이재전
Original Assignee
이재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전 filed Critical 이재전
Priority to KR1020120137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928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47K3/024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47D13/083Baby feeding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A47K3/127Body supports for children or bab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젖먹이 영아를 목욕을 시킬 경우에 또는 수유를 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엄마들이 수유할 경우나 목욕을 할 경우에 엄마의 허벅지의 일측이나 세수대야와 같은 통으로 된 용기의 상부에 걸려지면서 영아의 다리를 받치는 걸림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면과 연장되어 엄마의 허벅지 사이에 놓여지거나 용기 내부에 담겨지지면서 영아의 엉덩이가 안착되고 공기 순환 및 물빠짐을 위한 통기공이 형성된 엉덩이받침면과 영아의 등 및 머리가 받쳐지는 등받침면으로 형성되고 걸림면과 엉덩이받침면과 등받침면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받침대를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하여 영아를 뉘운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로 유지토록 하여 수유 및 목욕을 위한 받침대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 받침대에 완충력이 쿠션커버를 씌워 영아가 안정되고 포근하게 받쳐지도록 하면서도 엉덩이와 등에 땀이 베이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아 목욕과 수유를 위한 받침대{A baby is bath or breast-feeding prop}
본 발명은 젖먹이 영아를 목욕을 시킬 경우에 또는 수유를 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지지력과 안정감을 줄 수 있게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것이이고 별도의 커버를 사용하여 완충과 통기가 우수하게 함은 물론 세척도 용이토록 한 것이다.
현재 산모들이 목을 가누지 못하는 영아들을 목욕시키고자 할 경우에 혼자서는 할 수 없어 대부분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서 목욕을 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는 영아가 목과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는 반드시 영아의 목을 받치거나 등을 받쳐야 함으로써 혼자서 한 손으로 제대로 영아를 목욕을 시킬 수 없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 영아를 의자에 앉도록 한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로 뉘일 수 있는 목욕다이가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반드시 이러한 목욕다이가 수용될 수 있는 또 다른 목욕통이 필요하다라는 것이어서 목욕을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이러한 목욕통을 구비하여야 하고 또한 목욕통에 목욕다이를 위치한 상태에서 목욕다이는 목욕통에 넣고 빼내는 작업이 요구됨으로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었다.
또한 대부분 이렇게 목욕을 시킨 이후에는 영아가 배고프거나 잠을 재우기 위해서 수유를 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엄마들은 영아의 목을 받치게 되면서 안아주고 동시에 수유하는 분유 또는 젖이 넘어오지 않토록 일정한 각도를 유지해야 함으로 이러한 상태의 유지에 어려움이 존재했던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수유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한 여러가지 수유쿠션이나 수유받침대가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도 역시 수유용으로만 한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받침대로 수유는 물론 목욕도 가능토록 하고, 또한 이러한 받침대를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상태에서도 단단함을 해소토록 함은 물론 우수한 완충력을 부여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엄마들이 수유할 경우에 허벅지의 일측이 걸려지면서 영아의 다리를 받치는 걸림면과 상기 걸림면과 연장되어 허벅지 사이에 놓여지면서 영아의 엉덩이가 안착되고 공기 순환 및 물빠짐을 위한 통기공이 형성된 엉덩이받침면과 영아의 등 및 머리가 받쳐지는 등받침면으로 이루어진 받침대를 내측으로 오목하게 굴곡지게 형성하여 영아를 뉘운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로 유지토록 하여 수유를 하거나 상기 걸림면과 등받침면가 세수대야 등의 일반적인 통형상으로 된 테두리에 걸쳐지도록 하고 상기 엉덩이받침면은 통의 내부에 내입되어 담겨지도록 함으로써 목욕을 위한 받침대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면에서 등받침면까지 완충력이 있는 친환경 소재이면서 통기성이 우수한 쿠션커버를 탈착가능하게 씌워 영아가 받침대에 편안하게 뉘워짐과 동시에 쿠션커버와 받침대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해 공기를 순환되도록 하여 등이나 엉덩이에 땀이 베이지 않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받침대로 목욕 및 수유를 동시에 사용가능토록 하여 사용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또한 영아가 받침대에 편안하게 누운 상태로 안정감 주면서 엄마들이 영아의 목욕이나 수유를 혼자서도 쉽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받침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목욕 받침대로 사용시 배수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수유 받침대로 사용되는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의 받침대에 쿠션커버가 씌워지는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받침대에 쿠션커버가 씌워진 상태의 단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통기공을 통해 쿠션커버와 받침대로 공기순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플라스틱의 딱딱한 재질로 형성되어 영아의 다리가 놓여지면서 엄마의 일측다리나 세수대야의 테두리에 걸림되는 걸림면과 영아의 엉덩이가 놓여지는 엉덩이받침면과 머리와 등이 놓여지는 등받침면으로 이루어져 영아가 안정되게 놓여지는 받침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2는 목욕을 할 경우 물이 세수대야의 테두리에 걸침으로 놓여지고 사용된 물이 통기공을 통해 배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3은 걸림면이 엄마의 허벅다리 일측에 걸려지고 엉덩이받침면이 허벅다리 사이에 놓여져 안정감 있게 수유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4는 받침대에 뉘어지는 영아가 푹신함을 제공하여 더욱 안정감을 갖도록 쿠션커버가 씌워지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5는 받침대에 쿠션커버가 씌워져 공기순환이 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6은 받침대에 뉘어진 영아의 엉덩이와 등에 땀이 차지 않도록 공기순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욕 및 수유를 위한 받침대(10)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영아가 앉혀질 경우 받침대(10)가 영아의 하중에도 지지력을 갖아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지지되면서 영아가 안정적인 상태로 받쳐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진 받침대(10)는 이면은 엄마의 허벅지의 일측에 걸려지거나 세수대야의 상부 테두리 일측에 걸려지고 상면에는 영아의 다리가 놓여지게 구부러진 형상의 걸림면(1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면(11)과 연장되어 후방으로 굴곡되게 형성되어 엄마들의 허벅지 사이에 놓여지거나 세수대야의 통 속에 내입되면서 영아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엉덩이받침면(12)이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받침면(12)의 상측 방향으로 영아의 등 및 머리가 놓여지는 등받침면(13)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10)는 목욕을 할 경우에는 세수대야와 같은 통 형상으로 된 용기의 상부 테두리에 받침대(10)의 걸림면(11)을 걸치고 엉덩이받침면(12)은 통 내부로 내입되고 등받침면(13)은 용기 테두리에 지지되어 놓여져 영아의 몸이 물에 잠겨지면서 목욕이 가능하게 되고, 수유를 할 경우에는 걸림면(11)을 엄마의 일측 허벅다리에 걸치고 엉덩이받침면(12)은 양 허벅다리 사이에 놓여져 끼워진 상태에서 등받이면(12)을 한 손으로 받친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여 안정되게 지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수유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타인에 도움을 받지 않고 엄마 혼자서 영아를 목욕시키거나 수유를 쉽고 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면(11)과 엉덩이받침면(12)과 등받침면(13)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받침대(10)는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영아가 받침대에 포근하게 감싸지는 형태로 받쳐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10)의 테두리(14) 전체를 외측방향에서 내측방향으로 말려지게 형성하여 받침대(10)의 파지가 용이토록 하면서도 테두리가 마감되어 외관이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받침대(10)에 형성된 엉덩이받침면(12)에는 통기공(15)을 형성하여 수유를 할 경우에는 공기가 통기공(15)을 통하여 순환되면서 엉덩이받침면(12)과 등받침면(13)으로 공기가 순환되어 받침대(10)에 받쳐진 영아의 엉덩이와 등에 땀이 차지 않게 되고, 목욕을 할 경우에는 사용되는 물이 통기공(1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받침대(10)의 외측으로 후면에 잠금수단(21)이 형성된 포켓형태로 되어 완충력이 있는 쿠션커버(20)를 씌워 받침대(10)에 받쳐지는 영아가 좀 더 푹신한 상태로 받쳐져 편안함을 제공하면서 쿠션커버(20) 내측으로 수납된 플라스틱 재질의 받침대(10)에 의해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영아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기 때문에 친환경 소재이면서 통기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이러한 쿠션커버(20)의 소재가 본 발명의 목적을 제안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포켓형태로 된 쿠션커버(20)가 받침대(10)에 씌워진 상태에서 영아가 뉘워질 경우 좀더 푹신함을 갖도록 포켓의 내측으로 통기성이 우수한 완충체(22)가 삽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쿠션커버(20)가 받침대(10)의 테두리(14)가 말려진 부분에 걸려지게 되면서 팽팽한 상태로 지지되어 받침대(10)에 쿠션커버(20)가 씌워져 밀착되어도 받침대(10)에 형성된 통기공(15)에 의하여 통기성이 우수한 완충체(22)와 쿠션커버(20)에 공기가 순환되어 영아의 엉덩이와 등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상기 엉덩이받침면(12)에 형성된 통기공(15)을 통하여 공기가 순환되어 등이나 엉덩이에 땀이 베이지 않도록 되는 것이고, 푹신한 쿠션재질의 쿠션커버(20)에 의해 영아가 편안하게 뉘어져 포근함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쿠션커버(20)는 잠금수단(21)에 의하여 받침대(10)와 탈착될 경우에 쿠션커버(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완충체(22)를 쿠션커버(20)의 일측에 봉재수단(23)에 의하여 쿠션커버(20)의 내측으로 봉착고정토록하여 봉재수단(23)의 노출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완충체(22)는 통기성이 우수한 필터폼을 사용하면서도 이들의 세척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기성이 우수한 커버체(24)를 합지토록 하거나 또는 커버체(24)를 팽팽하게 당긴상태에서 봉재수단(23)에 의하여 봉재토록 함으로서 세탁시 세탁기에 넣고 세탁할 경우에도 필터폼의 손상을 방지토록 함은 물론 통기가 우수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된 하나의 받침대(10)를 사용하여 엄마 혼자서 영아를 목욕시키거나 수유를 하게 되어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하게 됨은 물론 쿠션커버로 인하여 완충을 도모함은 물론 이러한 쿠션커버의 탈착으로 인하여 사용의 편리함과 쿠션커버의 우수한 통기성과 세탁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산모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10: 받침대 11: 걸림면
12: 엉덩이받침면 13: 등받침면
14: 테두리 15: 통기공
20: 쿠션커버 21: 잠금수단
22: 완충체 23: 봉재수단
24: 커버체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면으로 영아의 다리가 놓여지는 걸림면(1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면(11)에서 후방으로 영아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엉덩이받침면(12)이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받침면(12)의 상측으로 영아의 등 및 머리가 놓여지는 등받침면(13)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엉덩이받침면(12)에 물이 배수되거나 공기가 순환되는 통기공(15)이 형성되어 사용에 따라서 세수대야나 엄마의 허벅지 사이에 놓여져 수유 및 목욕 받침대로 동시에 사용되는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에 완충력이 있는 친환경 소재로 되어 통기성이 우수한 소재로 된 쿠션커버(20)를 씌워 상기 쿠션커버(20)가 받침대(10)의 테두리(14)에 동그랗게 말려진 부분에 걸려져 팽팽한 상태로 지지되어 엉덩이받침면(12)에 형성된 통기공(15)을 통하여 공기가 순환되어 등이나 엉덩이에 땀이 베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영아가 쿠션커버(20)에 의해 편안하게 뉘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목욕과 수유을 위한 받침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커버(20)는 완충체(22)가 내측에 봉재된 커버체(24)를 잠금수단(21)에 의해 받침대(10)와 탈착이 가능토록 하고. 상기 완충체(22)는 통기성이 우수한 필터폼으로 형성하여 커버체(24)의 내측에 봉재수단으로 합지하거나 팽팽하게 당긴 상태로 봉착고정하여 봉재수단(23)의 노출을 방지하면서 세탁시 필터폼으로 형성된 완충제(22)의 손상방지와 통기가 우수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목욕과 수유을 위한 받침대.
KR1020120137619A 2012-11-30 2012-11-30 영아 목욕과 수유를 위한 받침대 KR101438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619A KR101438928B1 (ko) 2012-11-30 2012-11-30 영아 목욕과 수유를 위한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619A KR101438928B1 (ko) 2012-11-30 2012-11-30 영아 목욕과 수유를 위한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846A KR20140069846A (ko) 2014-06-10
KR101438928B1 true KR101438928B1 (ko) 2014-09-05

Family

ID=51124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619A KR101438928B1 (ko) 2012-11-30 2012-11-30 영아 목욕과 수유를 위한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9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611B1 (ko) 2019-12-30 2020-08-11 박영주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8235A (zh) * 2016-04-22 2016-06-29 肖玉萍 哺乳枕
KR101941160B1 (ko) 2018-04-27 2019-01-22 (주)시밀레 영유아용 수유비데
CN109008728A (zh) * 2018-08-10 2018-12-18 李婷婷 一种儿科护理专用洗澡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4507U (ko) * 1989-12-18 1991-08-27
KR20090027797A (ko) * 2007-09-13 2009-03-18 안재철 유아용 욕조
KR100906369B1 (ko) 2009-01-14 2009-07-06 김세영 수유 쿠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4507U (ko) * 1989-12-18 1991-08-27
KR20090027797A (ko) * 2007-09-13 2009-03-18 안재철 유아용 욕조
KR100906369B1 (ko) 2009-01-14 2009-07-06 김세영 수유 쿠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611B1 (ko) 2019-12-30 2020-08-11 박영주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846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0822B2 (ja) 授乳クッション
US20110107511A1 (en) Standing baby shower seat
KR101438928B1 (ko) 영아 목욕과 수유를 위한 받침대
US20170181478A1 (en) Baby handling device
US20120074182A1 (en) Mother's helper baby sling
US20120005834A1 (en) Reversible Head-Support and Bottle-Support Baby Pillow
US20150121627A1 (en) Baby handling device
RU182739U1 (ru) Переносное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оворожденных
JP2012011191A (ja) 乳児用ベッド
KR200474275Y1 (ko)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KR200389920Y1 (ko)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유아용 수유쿠션
CA2505699A1 (en) Convert-a-pillow
KR200469436Y1 (ko)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
KR20110006436U (ko) 수유쿠션 및 다용도베개 세트
CN202604674U (zh) 一种浴盆
US20100200625A1 (en) Infant travel system
JP3227907U (ja) 多機能マザーズクッション
KR101447831B1 (ko) 영유아용다용도포대기
JP3210873U (ja) 沐浴補助具
KR101320616B1 (ko) 유아용 샴푸 걸이대
CN207370645U (zh) 沐浴垫
KR102143611B1 (ko)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
JP2934725B1 (ja) 乳幼児用の可撓性洗い桶
KR101320856B1 (ko) 수유용 받침시트
CN201290637Y (zh) 儿童坐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