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611B1 -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 - Google Patents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611B1
KR102143611B1 KR1020190178011A KR20190178011A KR102143611B1 KR 102143611 B1 KR102143611 B1 KR 102143611B1 KR 1020190178011 A KR1020190178011 A KR 1020190178011A KR 20190178011 A KR20190178011 A KR 20190178011A KR 102143611 B1 KR102143611 B1 KR 102143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bath
main body
newbor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주
Original Assignee
박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주 filed Critical 박영주
Priority to KR1020190178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A47K3/127Body supports for children or bab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47K3/024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구조물로 이루어져 신생아의 돌봄 시 신생아를 안정적으로 안을 수 있도록 하고, 목욕시에도 신생아를 눕힌채로 목욕을 할 수 있도록 한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구조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바닥부와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벽체로 이루어지는 본체로 이루어며, 상기 본체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 {Cushion for baby}
본 발명은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구조물로 이루어져 신생아의 돌봄 시 신생아를 안정적으로 안을 수 있도록 하고, 목욕시에도 신생아를 눕힌채로 목욕을 할 수 있도록 한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산모들이 목을 가누지 못하는 영아들을 목욕시키고자 할 경우에 혼자서는 할 수 없어 대부분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서 목욕을 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영아가 목과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는 반드시 영아의 목을 받치거나 등을 받쳐야 함으로써 혼자서 한 손으로 제대로 영아를 목욕을 시킬 수 없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 영아를 의자에 앉도록 한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로 뉘일 수 있는 목욕다이가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반드시 이러한 목욕다이가 수용될 수 있는 또 다른 목욕통이 필요하다라는 것이어서 목욕을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이러한 목욕통을 구비하여야 하고 또한 목욕통에 목욕다이를 위치한 상태에서 목욕다이는 목욕통에 넣고 빼내는 작업이 요구됨으로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었다.
또한, 대부분 이렇게 목욕을 시킨 이후에는 영아가 배고프거나 잠을 재우기 위해서 수유를 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엄마들은 영아의 목을 받치게 되면서 안아주고 동시에 수유하는 분유 또는 젖이 넘어오지 않토록 일정한 각도를 유지해야 함으로 이러한 상태의 유지에 어려움이 존재했던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수유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한 여러가지 수유쿠션이나 수유받침대가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도 역시 수유용으로만 한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등록특허 제10-143892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구조물로 이루어져 신생아의 돌봄 시 신생아를 안정적으로 안을 수 있도록 하고, 목욕시에도 신생아를 눕힌채로 목욕을 할 수 있도록 한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구조물로 이루어져 신생아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상부에 덮개가 구비되어 신생아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보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영아용 보호 쿠션 및 욕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구조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바닥부와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벽체로 이루어지는 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체는 상측으로 갈수록 본체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는 오목부를 따라 다수개의 배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벽체 및 덮개에는 서로 대응되어 결합되는 고정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구조물로 이루어져 신생아의 돌봄 시 신생아를 안정적으로 안을 수 있도록 하고, 목욕시에도 신생아를 눕힌채로 목욕을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구조물로 이루어져 신생아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상부에 덮개가 구비되어 신생아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보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에 덮개를 구비한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에 덮개를 구비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공기구조물로 이루어져 신생아의 돌봄 시 신생아를 안정적으로 안을 수 있도록 하고, 목욕시에도 신생아를 눕힌채로 목욕을 할 수 있도록 한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100)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공기구조물로 이루어져, 바닥부(120)와 바닥부(120)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벽체(130)로 이루어지는 본체(11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10), 즉 바닥부(120) 및 벽체(130)는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에 공기주입구(미도시)가 형성되며,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한다.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영아의 신체에 대응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바닥부(120) 및 벽체(130)에 의해 내부에 공간(112)이 형성되어 영아를 바닥부(120)에 눕힐 수 있고, 벽체(130)에 의해 영아가 떨어지거나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이중공간지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이중공간지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섬유사로 연결하는 것으로, 섬유사가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사이를 연결하기 때문에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섬유사에 의해 본체(110)의 외형이 유지되고 일정 이상의 지지력을 가지게 되어 영아의 신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벽체(130)의 둘레에는 홈부(134)가 형성되는데, 상기 홈부(134)에 의해 타원형의 벽체(130) 형성이 용이하게 되고, 영아를 내부에 눕힌 상태로 이동 시 본체(110)에 약간의 변형을 줌으로써 보다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보호자가 손으로 잡기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 영아를 눕힌 상태로 영아를 안거나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영아를 보다 안정적으로 돌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영아는 목을 가누지 못하므로 안을 때 목을 받치는 등 주의가 필요한데, 본 발명에 따른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100)를 이용하게 되면,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100)의 본체(110)에 의해 영아의 신체가 지지되게 되므로 별도로 영아의 목을 받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영아를 안거나 돌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아의 경우 부모 외에 다른 사람의 접촉이 조심스러운 시기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100)를 이용하게 되면 다른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게 되어 영아의 면역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140)가 구비되어 보온효과를 높임으로써 영아의 체온 유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본체(110)의 벽체(130) 및 덮개(140)에는 서로 대응되어 결합되는 고정구(132,142)가 구비되어 덮개(140)가 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132,142)는 단추, 스냅단추, 매직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구(132,142)의 고정 시 소리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바닥부(120)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오목부(1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오목부(122)에 의해 바닥부(120)가 길이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영아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바닥부(120)의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벽체(130)는 상측으로 갈수록 본체(110)의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본체(110)를 이용하여 영아를 안을 때 보호자가 안정적으로 안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100)는 영아의 목욕 시 사용할 수 있도록 바닥부(120)의 오목부(122)를 따라 다수개의 배수홀(124)이 형성되며, 배수홀(124)을 통해 목욕 시 사용한 물이 배수되게 된다.
그래서, 영아를 씻길 때, 본체(110)에 눕힌 채로 별도의 욕조로 이동하여 목욕을 수행하게 되어, 영아의 신체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물에 들어갈때 놀라지 않게 되고, 본체(110)에 의해 영아의 신체가 지지되어 보호자가 영아를 별도로 지지하지 않아도 보다 안정적으로 수월하게 목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는 인조스웨이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영아 및 보호자가 보다 포근한 느낌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세탁이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100)에 따르면, 공기구조물로 이루어져 영아의 돌봄 시 영아를 안정적으로 안을 수 있도록 하고, 목욕시에도 영아를 눕힌채로 목욕을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공기구조물로 이루어져 영아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본체(110)의 상부에 덮개(140)가 구비되어 영아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보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구조물로 이루어져 신생아의 돌봄 시 신생아를 안정적으로 안을 수 있도록 하고, 목욕시에도 신생아를 눕힌채로 목욕을 할 수 있도록 한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100: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
110: 본체 112: 공간
120: 바닥부 122: 오목부
124: 배수홀 130: 벽체
132: 고정구 140: 덮개
142: 고정구

Claims (5)

  1.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에 있어서,
    공기구조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오목부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벽체로 구성되고,
    상기 벽체는 상측으로 갈수록 본체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둘레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본체가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에는 오목부를 따라 다수개의 배수홀이 형성되어 영아를 본체에 눕힌채로 목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영아의 신체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며,
    상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가 구비되고, 상기 벽체 및 덮개에는 서로 대응되어 결합되는 고정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78011A 2019-12-30 2019-12-30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 KR102143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011A KR102143611B1 (ko) 2019-12-30 2019-12-30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011A KR102143611B1 (ko) 2019-12-30 2019-12-30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611B1 true KR102143611B1 (ko) 2020-08-11

Family

ID=7204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011A KR102143611B1 (ko) 2019-12-30 2019-12-30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6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534A (ko) * 2004-03-19 2005-09-23 김철훈 튜브형 반욕기
WO2013051731A1 (ja) * 2011-10-07 2013-04-11 株式会社赤ん坊カンパニー 空気式バ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38928B1 (ko) 2012-11-30 2014-09-05 이재전 영아 목욕과 수유를 위한 받침대
JP2017190669A (ja) * 2017-07-26 2017-10-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浴室の排水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534A (ko) * 2004-03-19 2005-09-23 김철훈 튜브형 반욕기
WO2013051731A1 (ja) * 2011-10-07 2013-04-11 株式会社赤ん坊カンパニー 空気式バ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38928B1 (ko) 2012-11-30 2014-09-05 이재전 영아 목욕과 수유를 위한 받침대
JP2017190669A (ja) * 2017-07-26 2017-10-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浴室の排水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76459A (en) Device for holding infants
US3633222A (en) Device for holding a child in a reclining position to facilitate hair shampooing
US3965496A (en) Portable baby bathing and shampooing tray
RU182739U1 (ru) Переносное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оворожденных
KR101438928B1 (ko) 영아 목욕과 수유를 위한 받침대
KR102143611B1 (ko)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
US11013374B2 (en) Bathtub inser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1584860B1 (ko) 유아용 욕조
RU183074U1 (ru) Под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ладенцев
KR102403894B1 (ko) 영유아용 욕조
KR200459933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유아욕조
KR102316711B1 (ko) 유아용 욕조
US20110010838A1 (en) Toddler Tub
KR101320616B1 (ko) 유아용 샴푸 걸이대
RU180067U1 (ru) Детская переносная кроватка для детей первых месяцев жизни
KR100988174B1 (ko) 욕실용 목욕보조기구
KR200345813Y1 (ko) 착탈이 가능한 분리형 유아 욕조
JPH08699A (ja) 浴 槽
KR200441061Y1 (ko) 씻기기 편한 아기 목욕통
JP2899672B1 (ja) 乳幼児用のシャンプー台
JP3024351U (ja) 乳児用空気マット
KR200143718Y1 (ko) 유아용 목욕 기구대
KR200450840Y1 (ko) 접이식 유아용 욕조
JPS627191Y2 (ko)
KR101151491B1 (ko) 유아용 욕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