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534A - 튜브형 반욕기 - Google Patents

튜브형 반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3534A
KR20050093534A KR1020040019012A KR20040019012A KR20050093534A KR 20050093534 A KR20050093534 A KR 20050093534A KR 1020040019012 A KR1020040019012 A KR 1020040019012A KR 20040019012 A KR20040019012 A KR 20040019012A KR 20050093534 A KR20050093534 A KR 20050093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th
tube
main body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훈
Original Assignee
김철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훈 filed Critical 김철훈
Priority to KR1020040019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3534A/ko
Publication of KR2005009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53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A47K3/062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E03C1/057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touchless, i.e. using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54Water heaters for bathtubs or pools; Water heaters for reheating the water in bathtubs or pools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형 반욕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 케이스(10)와, 본체 케이스(10)에 일측부가 연결되고 공기가 주입되어 저수실(21)을 이루게 되는 튜브(20)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20)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20)의 저수실(21)에 물을 순환시키는 물 순환펌프(40)와, 순환되는 물에 함유된 때와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50)와, 순환되는 물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기(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튜브형 반욕기는 물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요구되는 자세를 편안하게 취할 수 있으므로 사용 및 취급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반욕하는 중에 물이 순환되면서 물에 함유된 때와 이물질은 필터에 의해 걸러지고, 물 속의 균은 살균기에 의해 살균되어 위생적으로 반욕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니터를 이용하여 수위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므로 조작이 편리하고, 필요에 따라 으며, 영화 등의 동화상도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튜브형 반욕기{TUBE TYPE HALF BATHING APPRATUS}
본 발명은 튜브형 반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에 일측부가 연결되고 공기가 주입되어 저수실을 이루게 되는 튜브를 포함하여 물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요구되는 자세를 편안하게 취할 수 있게 되는 튜브형 반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신욕은 만병(萬病)이라고도 하는 모든 병의 근본적인 원인을 '냉(冷)'과 '과식(過食)'에 있다고 보고, 병의 원인을 해소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오랜기간 동안 임상 치료에 활용하여 그 효능이 인정되고 있다.
반신욕의 가장 좋은 방법은 체온보다 약간 높은 정도(38-39도)의 목욕물에 가슴(명치부근) 아래만을 20-30분간 담그는 것이고,. 그렇게 하면, 몸의 중심에서부터 점점 더워져 땀이 나오며, 욕조에서 나온 후에도 한기(寒氣)를 느끼지 않는다.
반신욕의 효과는 감기에서 부터, 어깨결림, 요통, 치통, 고혈압, 저혈압, 간장병, 위장병, 당뇨병, 치질 등 거의 모든 병에 걸쳐 치유되는 사례들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냉이야말로 만병의 원인이며, 이것을 치료하는 것이 근본적 치료이고, 냉을 제거하면 여러 가지 병이 낫는다는 사실을 많은 환자에게서 확인되고 있다.
어떤 사람은 반신욕을 소개받고 본인을 비롯하여 온식구가 시험삼아 실천하여보니 그 효과를 실감하게 되었다고 하며, 특별히 몸 어딘가가 나쁜 것은 아니었지만, 표준치보다 비만하고 하루 중 오전 오후에도 체중이 2키로 내에서 들죽 날죽하고, 운동을 계속하지 않으면 가끔 무릎에 절인감이 오는 정도를 경험하였는데 반신욕이후 3키로정도 줄인 상태에서 일정하며, 무릎의 절인감을 아직 못 느끼고 있다고 한다. 반신욕을 안 다음부터는 스트레스도 풀면서 신체적 건강도 유지하시고, 반신욕의 효과로 좀 더 나은 인생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가정의 욕실에 물을 받아 반신욕을 하므로 반신욕의 자세를 취하기가 불편하고, 물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적합한 반신욕을 하기가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에 일측부가 연결되고 공기가 주입되어 저수실을 이루게 되는 튜브를 포함하여 물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요구되는 자세를 편안하게 취할 수 있게 되는 튜브형 반욕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튜브형 반욕기는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에 일측부가 연결되고 공기가 주입되어 저수실을 이루게 되는 튜브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의 저수실에 물을 순환시키는 물 순환펌프와, 순환되는 물에 함유된 때와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와, 순환되는 물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기와, 물을 가열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히터와, 상기 저수실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저수실에 담기는 물을 상기 수위 센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고, 온도 센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며, 상기 에어 펌프, 물 순환펌프, 살균기 및 히터를 포함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본체 케이스의 개구부 내측으로는 물막이 벽이 형성되며, 상기 튜브는 바닥판과 주벽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주벽부의 개방된 양단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양측 연결통로에 각각 끼워져 접합되고, 바닥판이 본체 케이스의 물막이 벽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물막이 벽의 저면에 접합되어 튜브의 바닥판, 주벽부 및 물막이 벽에 의해 저수실이 이루어져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튜브식 반욕기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에는 튜브식 반욕기의 보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에는 튜브식 반욕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3에는 튜브식 반욕기의 부분 절결 평면도, 도 4에는 튜브식 반욕기의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욕조부를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 도 6에는 보온 커버를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0)와, 본체 케이스(10)에 일측부가 연결되고 공기가 주입되어 저수실(21)을 이루게 되는 튜브(20)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20)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튜브(20)의 저수실(21)에 물을 순환시키는 물 순환펌프(40)와, 순환되는 물에 함유된 때와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50)와, 순환되는 물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기(60)와, 물을 가열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히터(70)와, 상기 저수실(21)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80)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81)와, 상기 저수실(21)에 담기는 물을 상기 수위 센서(80)의 감지 신호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고, 온도 센서(81)의 감지 신호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며, 상기 에어 펌프(30), 물 순환펌프(40), 살균기(60) 및 히터(70)를 포함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전면부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되고, 본체 케이스(10)의 개구부(11) 내측으로는 물막이 벽(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 케이스(10)의 개구부(11) 양측에는 연결통로(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튜브(20)는 바닥판(22)과 주벽부(23)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주벽부(23)의 개방된 양단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연결통로(13)에 끼워져 접착제로 접합되고, 바닥판(22)이 본체 케이스(10)의 물막이 벽(12)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24)가 물막이 벽(12)의 저면에 접착제로 접합되어 튜브(20)의 바닥판(22), 주벽부(23) 및 물막이 벽(12)에 의해 저수실(21)이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일측 연결통로(13)에 구비된 공기 유입구(20a)에는 에어 펌프(30)가 호스(90)로 연결되고, 타측 연결통로(13)에는 공기 유출구(20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물막이 벽(12)의 양측부에 구비된 물 유입구(20c)와 물 유출구(20d) 사이에는 물 순환펌프(40)가 호스(91)로 연결되고, 이 호스(91)의 물 유출구(20d)와 물 순환펌프(40) 사이에 필터(50), 살균기(60) 및 히터(70)가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서 31은 에어 펌프(30)에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공급구, 71은 히터(70)에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구를 각각 보인 것이다.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일측면에는 제어부(100)의 조작패널(11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튜브(20) 위에는 필요에 따라 지지대(120)가 설치되고, 이 지지대(120)에는 사용자가 수위, 온도 등을 확인하고 조작하며, 필요한 동화상 등을 볼 수 있도록 모니터(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전면부에는 사용자가 반쯤 누운 자세로 머리를 받칠 수 있는 머리 받침(headrest)(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튜브(20)에는 필요에 따라 저수실(21)을 보온하기 위한 보온 커버(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보온 커버(150)는 그 주연부를 튜브(20)의 외주면에 지퍼(160)로 결합하여 간편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온 커버(150)의 상단 중간부에는 사용자가 보다 편안할 수 있도록 요입부(151)가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는 저수실(21) 상측부로 온기가 방출됨을 막기 위한 날개부(152)가 형성되어 저수실(21)의 수면 아래로 내려져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튜브식 반욕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관할 때에는 도 1과 같이 튜브(20)를 접어 보관하고, 사용할 때에는 본체 케이스(10)에 접혀져 있던 튜브(20)를 펼친 후, 에어 펌프(30)를 가동시켜 튜브(20)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튜브(20)가 도 1과 같이 팽창되어 저수실(21)이 형성된다.
이어서 히터(70)와 물 순환펌프(40)를 작동시켜 물을 36℃∼45℃의 범위에서 설정된 온도, 예를들어 42℃로 가열시켜 튜브(20)의 저수실(21)에 공급하여 저수실(21)을 일정한 높이로 채운다.
이와 같이 저수실(21)에 적정 온도의 물이 채워지면 사용자가 저수실(21)에 들어가 머리 받침(140)에 머리를 대고 반쯤 누운 편안한 상태로 반욕을 하게 되며, 이때 보온 커버(150)를 덮어 온기를 보온한다.
그리고 반욕하는 중에 수위 센서(80)와 온도 센서(81)에서 입력된 신호가 제어부(100)에 입력되면 제어부(100)의 출력 신호에 의해 히터(70), 물 순환펌프(40)가 작동되어 일정한 수위와 온도를 유지하게 되며, 물 순환펌프(40)에 의해 물이 순환되면서 물에 함유된 때와 이물질은 필터(50)에 의해 걸러지고, 물 속의 균은 살균기(60)에 의해 살균되어 위생적으로 반욕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욕을 하면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모니터(130)를 이용하여 수위와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영화 등의 동화상도 감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튜브식 반욕기는 제어부(100)를 설정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조작패널(110)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튜브형 반욕기는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에 일측부가 연결되고 공기가 주입되어 저수실을 이루게 되는 튜브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물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요구되는 자세를 편안하게 취할 수 있으므로 사용 및 취급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반욕하는 중에 물이 순환되면서 물에 함유된 때와 이물질은 필터에 의해 걸러지고, 물 속의 균은 살균기에 의해 살균되어 위생적으로 반욕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니터를 이용하여 수위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므로 조작이 편리하고, 필요에 따라 으며, 영화 등의 동화상도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튜브식 반욕기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은 튜브식 반욕기의 보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튜브식 반욕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
도 3은 튜브식 반욕기의 부분 절결 평면도.
도 4는 튜브식 반욕기의 종단면도.
도 5는 욕조부를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
도 6은 보온 커버를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케이스 11 : 의 개구부
12 : 물막이 벽 13 : 연결통로
20 : 튜브 20a : 공기 유입구
20b : 공기 유출구 20c : 물 유입구
20d : 물 유출구 21 : 저수실
22 : 바닥판 23 : 주벽부
24 : 연장부 30 : 에어 펌프
40 : 물 순환펌프 50 : 필터
60 : 살균기 70 : 히터
80 : 수위 센서 81 : 온도 센서
90,91 : 호스 100 : 제어부
120 : 지지대 130 : 모니터
150 : 보온 커버

Claims (6)

  1. 본체 케이스(10)와, 본체 케이스(10)에 일측부가 연결되고 공기가 주입되어 저수실(21)을 이루게 되는 튜브(20)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20)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반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20)의 저수실(21)에 물을 순환시키는 물 순환펌프(40)와, 순환되는 물에 함유된 때와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50)와, 순환되는 물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기(60)와, 물을 가열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히터(70)와, 상기 저수실(21)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80)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81)와, 상기 저수실(21)에 담기는 물을 상기 수위 센서(80)의 감지 신호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고, 온도 센서(81)의 감지 신호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며, 상기 에어 펌프(30), 물 순환펌프(40), 살균기(60) 및 히터(70)를 포함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반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전면부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되고, 본체 케이스(10)의 개구부(11) 내측으로는 물막이 벽(12)이 형성되며, 상기 튜브(20)는 바닥판(22)과 주벽부(23)가 일체로 구비되고, 주벽부(23)의 개방된 양단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양측 연결통로(13)에 각각 끼워져 접합되고, 바닥판(22)이 본체 케이스(10)의 물막이 벽(12)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24)가 물막이 벽(12)의 저면에 접합되어 튜브(20)의 바닥판(22), 주벽부(23) 및 물막이 벽(12)에 의해 저수실(21)이 이루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반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일측 연결통로(13)에 구비된 공기 유입구(20a)에는 에어 펌프(30)가 호스(90)로 연결되고, 타측 연결통로(13)에는 공기 유출구(20b)가 구비되며, 상기 물막이 벽(12)의 양측부에 구비된 물 유입구(20c)와 물 유출구(20d) 사이에는 물 순환펌프(40)가 호스(91)로 연결되고, 이 호스(91)의 물 유출구(20d)와 물 순환펌프(40) 사이에 필터(50), 살균기(60) 및 히터(70)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반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20) 위에는 지지대(120)가 설치되고, 이 지지대(120)에는 모니터(130)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반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20)에는 저수실(21)을 보온하기 위한 보온 커버(150)가 결합되고, 이 보온 커버(150)는 그 주연부를 튜브(20)의 외주면에 지퍼(160)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반욕기.
KR1020040019012A 2004-03-19 2004-03-19 튜브형 반욕기 KR20050093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012A KR20050093534A (ko) 2004-03-19 2004-03-19 튜브형 반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012A KR20050093534A (ko) 2004-03-19 2004-03-19 튜브형 반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534A true KR20050093534A (ko) 2005-09-23

Family

ID=3727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012A KR20050093534A (ko) 2004-03-19 2004-03-19 튜브형 반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35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425B1 (ko) * 2007-01-29 2008-07-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헬스케어용 욕조시스템
CN101893318A (zh) * 2010-03-01 2010-11-24 李仁胜 多功能微电脑浴缸及其控制方法
CN103536989A (zh) * 2013-10-30 2014-01-29 安徽英特电子有限公司 水浴槽水温控制结构
KR102143611B1 (ko) * 2019-12-30 2020-08-11 박영주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425B1 (ko) * 2007-01-29 2008-07-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헬스케어용 욕조시스템
CN101893318A (zh) * 2010-03-01 2010-11-24 李仁胜 多功能微电脑浴缸及其控制方法
CN101893318B (zh) * 2010-03-01 2012-07-11 李仁胜 多功能微电脑浴缸及其控制方法
CN103536989A (zh) * 2013-10-30 2014-01-29 安徽英特电子有限公司 水浴槽水温控制结构
KR102143611B1 (ko) * 2019-12-30 2020-08-11 박영주 영아용 돌봄쿠션 겸 목욕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7757B2 (ja) 自動排尿便処理装置
WO2002036063A2 (en) Chromatherapy shower system
KR101847784B1 (ko) 이동식 좌욕온수세정기
KR20050093534A (ko) 튜브형 반욕기
CN209270296U (zh) 一种集熏蒸、足浴和足底按摩于一体的多功能组合式熏洗治疗机
CN108324553A (zh) 一种集熏蒸、足浴和足底按摩于一体的多功能组合式熏洗治疗机
KR200352066Y1 (ko) 진공성형 반욕기
CN215016553U (zh) 泡澡装置及泡澡外衣
CN209253407U (zh) 一种褥疮防治床垫
KR200355484Y1 (ko) 이동식 반신 욕조
CN208243685U (zh) 可反复使用的保温毯
KR200328072Y1 (ko) 홈 사우나기
JPS6328418A (ja) 風呂湯浄化装置
JP2006006905A (ja) 半身浴健康器具及びその温水ボイラー
JPH09122035A (ja) 浴室用椅子
KR200366351Y1 (ko) 욕조 없는 반신욕기
JP2002136566A (ja) シャワー装置
CN216318828U (zh) 一种肛周术后坐浴装置
JP2000070169A (ja) シャワー装置と入浴装置
CN210932688U (zh) 一种中医科用熏蒸桶
KR100473408B1 (ko) 반신욕장치
KR100748735B1 (ko) 반신욕용 온수조절장치의 흡배수유닛
WO20230578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fluid overload
KR20110136003A (ko) 덮은 상태로 목욕이 가능한 에어워터이불
CN206062666U (zh) 水暖挡风成套卧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