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003A - 덮은 상태로 목욕이 가능한 에어워터이불 - Google Patents

덮은 상태로 목욕이 가능한 에어워터이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003A
KR20110136003A KR1020100055750A KR20100055750A KR20110136003A KR 20110136003 A KR20110136003 A KR 20110136003A KR 1020100055750 A KR1020100055750 A KR 1020100055750A KR 20100055750 A KR20100055750 A KR 20100055750A KR 20110136003 A KR20110136003 A KR 20110136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jection
water
function
fu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욱
Original Assignee
오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욱 filed Critical 오병욱
Priority to KR1020100055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6003A/ko
Publication of KR20110136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7Sitting on the buttocks with stretched legs, like in a b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rsing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층과 물층이 내장되어있는 이불에 관한 것으로, 샤워(목욕)기능이 가능한 이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이불의 외부 층 과 내부의 공기(에어)주입튜브와 물 주입튜브 포함 된 목욕이불로서, 수족의 사용이 불편하거나 정신 질환 등의 질병을 가진 환자나 노인, 장애우 등을 위한 맞춤형 에어워터샤워 이불이라 할 수 있다.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은 목욕을 하기 위한 이동의 어려움과 목욕공간의 부족함이 존재하여, 목욕을 하거나 샤워를 하기 쉽지 않다. 이에 본 발명품은 누운 상태로 간단한 스위치(버튼) 조작으로 샤워(목욕)기능 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기존의 덮고 자는 이불에만 한정 짓지 않고, 반원의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반원형의 형태를 지지해주는 공기튜브와 목욕할 수 있도록 물이 주입되는 물 내장튜브와 건조기능이 가능한 추가의 공기 주입튜브가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을 통해 기존의 많은 환자와 노인, 장애인들이 쉽게 목욕을 할 수 있는 대체 목욕기기로서 편리함을 제공 할 수 있기에 본 발명을 고안 한 것이다.

Description

덮은 상태로 목욕이 가능한 에어워터이불{Air-Water Comforter}
본 발명은 목욕이 가능한 이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욕시 반원의 곡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태를 지지하기 위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튜브와 목욕을 할 수 있도록 물이 주입되는 물주입층 과 목욕 후 건조기능을 할 수 있는 추가되는 공기주입층을 가진 이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불은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때 신체를 덮음으로써 보온기능과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각종 천이나 면 소재로 가공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이불은 오래전부터, 보온과 휴식의 목적으로만 다양하게 가공, 제작되었으며 그 기능으로만 사용되어왔다. 이 같은 이불의 기능이 가장 절실한 사람들은 병원의 환자들이나 관절과 근육이 약해진 노인들이지만, 이불의 원초적 기능만으로는 이러한 사람들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없었다. 이에 본 고안을 통해 새로운 기능을 가진 이불을 고안했다.
이미 현대 사회는 고도의 고령화 사회뿐만 아니라, 복잡한 생활 속에서 큰 부상을 당한 사람들이 많이 존재하는 사회가 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병원과 요양원에서의 치료가 날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싼 요양비용 지출과 간병인의 부족한 보급과 의료기기의 구입의 어려움으로 인해, 적절한 신체의 청결을 유지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혼자서 거동을 할 수 없거나, 수족의 사용이 불편해서 혼자서 목욕을 하기 힘든 상황 속에 있는 사람은, 제 3자의 도움 없이는 원활한 목욕이 이루어 질수 없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 처해 있는 사람들을 위한 적절한 목욕기기가 현재 존재하지 않고, 원활하게 목욕을 할 수 있는 공간과 구조 또한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신체가 불편한 환자와 정신질환자, 노인들은 추운 겨울이나 더운 여름에도 이불을 덮고 지내는 생활이 많고, 이 상황에서 더욱더 신체적 불쾌감을 느끼고 몸을 세신하고 싶은 소망을 느끼나 현실적으로는 제3자의 도움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목욕이라는 것은 자신의 신체를 씻고, 닦음으로써 스스로 청결함 유지하고, 이로써 타인과의 소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무엇보다도 목욕이라는 것은 본능적 활동이라는 사람의 개인적 활동의 중요한 생활요소이므로, 가족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와 제3자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목욕은 당사자의 신체가 타인에게 노출된다는 수치심이 발생할 수 있고, 더욱이 이것으로 인해 그 당사자의 심리적, 정신적, 신체적으로 더욱 큰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많은 문제점이 존재하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안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본 발명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의 이불에다가 새로운 기능을 고안하여 목욕과 목욕 후 건조기능이 가능한 이불을 발명함에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새로운 기능을 가진 이불을 고안 함으로서 기존의 신체적 활동이 불편한 환자, 노인 또는 정신질환을 가진 자들을 위하고, 이 같은 사람들의 신체적 세신과 청결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목욕기기로써의 발명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욕이 가능한 이불을 구성하는 본체는,
최외각부(100)는 본체의 최외각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최외각부(100)를 구성하는 소재는 방수가 가능한 소재이면서 보온 기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고, 연결부(200)는 최외각부(100)와 내장공기튜브층(300)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200)는 내장공기튜브층(300)이 팽창 하였을 때, 최외각부(100)와의 원활한 부피변화에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 소재 구성을 포함하며, 내장공기튜브층(300)은 최외각부(100) 아래에 위치하며, 팽창시에 반원형의 공기튜브층을 형성하여 목욕기능이 가능한 이불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내장공기튜브층(300)은 공기의 흡출에 따라 부피가 용이하게 변할 수 있는 튜브를 제작할 수 있는 소재 구성을 포함하며, 팽창 시 돔 형태 또는 반원형태의 구조물형성이 가능하도록 디자인, 제작하는 것을 포함한다.
내장부(400)는 내장공기튜브층(300)과 주입부(500)의 사이공간을 채우는 것을 포함하며, 내장부(400)는 내장공기튜브층(300)의 아래에 존재하며, 내장부(400)아래의 주입부(500)와의 원활한 결합을 위해 방수기능과 보온기능을 가진 소재를 포함하고, 주입부(500)는 내장부(400) 아래에 십일 자형()으로 나란히 번갈아 가며 배치되어 있는 물주입튜브층(510)과 공기주입튜브층(540)의 구성을 포함하고, 내부윗면부(600)는 주입부(500)를 고정하거나 지지기능과 연결 하는 역할을 하며, 내장공기튜브층(300)으로 만들어진 내부공간의 윗면을 구성하고, 고정부(700)는 내장공기튜브층(300)에 공기가 들어가서 팽창되었을 때, 반원형을 유지 시켜주고 목욕기능을 실행 시에 안정적인 구조의 유지를 위한 기능을 포함하고, 고정부(700)는 공기주입 전과 후에 이불의 양쪽 끝을 지면과 닿을 수 있도록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을 포함하고, 덮개부(800)는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하여 반원형의 구조가 되었을 때 사용자의 신체가 밖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기능과 방수 기능을 가진 불투명성 소재구성이 가능하도록 하고, 조절부(900)는 따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내장공기튜브층(300)과 주입튜브층(510,540)의 상태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최외각부(100)는 아래에 존재하는 내장공기튜브층(300)의 부피변화에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쉽게 이완되거나 신축성을 지닌 소재나 주름 잡힌 소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최외각부(100)는 아래에 존재하는 내장공기튜브층(300)에 부피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팽창후의 충분한 부피까지 여유분을 두고, 주름을 넣는 봉재 기법의 사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장공기튜브층(300)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내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흡출부(310)가 존재하며, 흡출부(310)를 통한 공기의 투입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출부(310)는 탈착과 부착이 가능 한 흡출기(320)와의 연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출기(320)의 탈착 후에는 이미 흡입한 공기의 배출을 막아주는 차단부(330)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입부(500)는 목욕이 가능 하도록 물 분사를 위한 물주입튜브층(510)과 물의 분사가 가능한 형태의 분사부(5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입부(500)는 젖은 신체의 건조를 위한 공기주입튜브층(540)과 공기의 분사가 가능한 분사부(5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사부(520, 550)는 배치된 주입튜브층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존재하는 분사구(5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주입튜브층(510)은 외부로부터 물을 흡입하고 내부 물을 배출할 수 있는 흡출부(560)가 존재하며, 흡출부(560)를 통한 물의 투입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튜브층(540)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내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흡출부(570)가 존재하며, 흡출부(570)를 통한 공기의 투입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출부(560, 570)는 탈착과 부착이 가능한 흡출기(580)와의 연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입부(500)는 세정물질 혹은 치료물질을 분사할 수 있는 추가되는 추가분사부(590)와 제향기능 혹은 방향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추가분사부(591)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가분사부는 하나의 분사구(592)를 포함하며 주입부(500)의 중간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내부윗면부(600)는 팽창에 위쪽에 존재하는 내장공기튜브층(300)의 부피변화에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쉽게 이완되거나 신축성을 지닌 소재나 주름 잡힌 소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윗면부(600)는 위쪽에 존재하는 내장공기튜브층(300)에 부피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팽창후의 충분한 부피까지 여유분을 두고, 주름을 넣는 봉재 기법의 사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부윗면부(600)는 방수, 방염, 청소가 용이한 소재를 사용하며,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느낄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700)는 이불 내 공기가 주입되어 형태의 변화가 수행 되었을 때 이불의 양쪽 끝단에 존재하여, 이불의 형태적 또는 구조적 직립상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반고체형 혹은 액체형 물질로 내부가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800)는 방수가 가능한 불투명한소재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노출을 막고, 분사되는 물질의 외부유출을 막는 기능을 위해 최외각부(100)와 연결 되어 있는 구성요소이며, 본 이불의 부피팽창에서는 덮개부(800)가 확장되고, 이불의 부피축소에서는 덮개부(800)의 접힘이 가능하도록 한쪽 부분에만 가공을 하여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900)는 전자식회로를 내장한 구성과 간단한 버튼조절이 가능한 구성을 포함하며, 그 밖의 분사부(530,592)의 위치 조절이나 강도조절이 가능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의 제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벨브(910)는 흡출기와 흡출부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분리와 탈착과 부착이 용이하며, 휴대가 가능한 구성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불 자체가 새로운 목욕기능을 갖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수족이 불편한 자, 장기치료를 요하는 환자, 거동이 불편한 장애우, 무 보호자 노인들을 위한 새로운 목욕기기로서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의 의료기기로서 화상을 입은 자, 전신피부질환을 가진 자를 위한 새로운 맞춤형 형태의 가정용치료기의 역할을 제공 할 수 있고, 전신피부미용기구로서 사용 될 수 있어, 손쉬운 조작방법과 기능의 편리함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편리하게 목욕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이불의 본체에 공기를 주입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이불의 본체에 공기를 뺀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이불의 본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이불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부(400)와 주입부(500)와 덮개부(800)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이불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최외각부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이불을 상세히 설명한다.
처음, 도 1 내지 도 6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본 이불의 전체적 소재는 보온성 또는 방수성 기능이 있는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이불의 최외각층은 이불의 원초적 기능인 보온기능과 수면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신축성이 뛰어나고, 감촉이 뛰어난 불투명성의 다양한 천 또는 면 혹은 기타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이불은 공기의 흡출이 용이한 내장공기튜브층과 물질의 분사가 가능한 물튜브와 공기튜브을 내부에 포함한다.
본 이불의 분사부는 목욕 및 샤워기능 과 치료기능 또는 전신미용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물과 공기를 포함한 기타물질의 분사가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본 이불의 내장공기튜브층에 공기를 주입하였을 때, 이불의 팽창형태를 고정 또는 지지해주는 액체형 또는 반고체 물질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가지고있다.
본 이불은 외부로부터 이불의 내부로 물과 공기 및 기타물질의 주입과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흡출부를 포함하고, 이 흡출부와 흡출기를 이어주는 연결벨브를 통해 물질의 주입이 가능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이불의 부피 팽창시, 팽창된 이불의 아래쪽에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성하는 내부윗면부를 포함한다.
본 이불의 덮개부는 내부물질의 외부유출과 내부 사용자의 신체가 노출되는 것을 막는 차단효과 또는 차폐 효과를 가진 방수가 가능한 불투명성 소재를 포함한다.
본 이불의 연결벨브는 흡출기와 흡출부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며, 세척과 모양의 비틀림에 유리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이불의 조절부는 사용자가 이불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방수기능이 존재하고, 원거리 조절이 가능한 무선의 컨트롤러가 적당하다.
이 모든 것을 본 이불의 본체에 포함하고, 본 이불의 구성요소라 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연결에 대해 기술하면,
본 이불의 최외각을 구성하는 최외각부 아래 내장공기튜브층 및 주입튜브층과 주입부와 분사공간이 존재하며, 내장공기튜브층의 양 끝에는 본 이불을 지지하는 고정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고정부 또한 튜브층 및 주입부와 연결되어 있고 주입부내에는 외부로부터 물질을 주입받는 주입튜브층이 존재하고, 튜브 층과 연결된 분사부는 내부공간으로의 물질분사를 할 수 있는 분사구를 각각 가지고 있다. 분사구는 내부윗면부에 고정되어 있어서, 방향조절이 가능하며, 튜브 층과 연결되어 있는 흡출구는 외부 흡출기 하고 연결밸브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서 물질의 공급을 제공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부구성연결을 대해 기술하면,
수입부에 존재하는 물과 공기의 튜브 층은 각각의 흡출부를 가지며 이불 내부에서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번갈아 가며 놓여있다. 튜브 층은 내부윗면부와 주입부 사이에 존재하면서 양끝의 고정부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있다. 분사구는 분사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분사구의 노출 방향은 내부공간을 향해 있고, 내부윗면부를 통한 튜브 층은 보이지 않는다. 흡출부를 통해서 들어온 물질은 고르게 분사 내부공간으로 분사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방식에 대해 기술하면,
기존의 이불은 이불의 원초적 기능만을 가진 보온성물품 또는 수면물품으로서의 역할만 존재 하지만, 본 이불은 본체에 포함되어 있는 내장공기튜브층에 외부공기주입을 함으로서, 새로운 기능을 가진 이불이 되는 것이 가능하다.
처음으로 본 이불의 내장공기튜브층에 공기주입을 실행하여 본 이불의 외부형태를 반원형 또는 아치형의 형태로 유지한다.
그 후, 이불의 팽창 형태를 유지한 뒤, 내장되어 있는 물 주입튜브와 공기 주입튜브의 흡출부에 흡출기와 연결밸브를 연결함으로써 각각의 튜브 층에 물과 공기를 제공한다.
그 후, 조절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물질의 분사를 조절하여, 분사부의 분사구를 거쳐서 사용자의 신체에 분사한다.
분사되는 물질은 덮개부와 내부윗면부의 차단효과 혹은 차폐기능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지 않으며, 덮개부를 포함한 본 이불의 외각소재는 외부로부터 내부가 차단되고, 내부로부터 외부가 차단되는 불투명성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생활보호 또는 원활한 목욕활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본 이불의 사용자의 목욕이 종료 된 후에는 건조된 공기 또는 소독과 치료를 위한 약품의 분사를 통해 더욱더 사용자의 신체적 만족과 정신적 만족을 느낄 수 있는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이불의 본체는 조절부를 통해 이루어지며, 조절부는 무선기능을 가진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당하며, 사용자가 내부 또는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방수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의 샤워 또는 목욕 또는 미용과 치료를 위한 목적과 사용용도에 맞게 올바르게 조절부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본원리 및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고, 사용목적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최외각부 200: 연결부
300: 내장공기튜브층 310: 흡출부
320: 흡출기 330: 차단부
400: 내장부 500: 주입부
510: 물주입튜브층 520: 물분사부
530: 분사구 540: 공기주입튜브층
550: 공기분사부 560: 물흡출부
570: 공기흡출부 580: 흡출기
590: 치료물질분사부 591: 방향기능분사구
592: 추가분사구 600: 내부윗면부
700: 고정부 800: 덮개부
900: 조절부 910: 연결벨브
본체
사용자
내부공간

Claims (7)

  1. 공기층과 물층이 내장되어있는 샤워(목욕)기능이 가능한 이불에 관한 것으로, 냉수와 온수가 이불에서 분사되어 사용자가 샤워 또는 목욕을 할 수 있는 목욕기능과 목욕 후 이불의 공기분사를 통한 건조기능을 가지고, 보온과 방수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구성된 신체를 덮을 수 있는 이불 또는 담요.
  2. 제 1항에 있어서, 내부로의 공기주입을 통해 이불 및 담요의 형태 또는 구조가 반원형 또는 아치형의 팽창 또는 확장되는 것을 포함하여, 부피 팽창시 이불 아래쪽에 내부 공간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불 또는 담요.
  3. 제 1항에 있어서, 이불의 본체를 구성하는 구성물에 대하여,
    이불 안쪽의 공기주입을 통한 반원형 또는 아치형의 형태가 가능한 튜브 층;
    목욕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물 주입튜브가 내장된 것과 그것의 분사부;
    건조기능을 포함하는 공기 주입튜브가 내장된 것과 그것의 분사부;
    부피 팽창시 이불의 양끝을 지지할 수 있는 고정부;
    공기와 물의 주입과 배출할 수 있는 흡출부 및 탈착과 부착할 수 있는 흡출기와 연결벨브;
    분사되는 내부물질에 대해 외부로의 차폐 혹은 차단효과를 가진 덮개부와 내부윗면부;
    이불의 본체를 조절 할 수 있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이불 또는 담요.
  4. 제 1항에 있어서, 추가되는 용도는 치료약품의 분사 또는 미용관련효과를 지닌 물질의 분사 또는 방향효과를 포함한 물질의 분사를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의료보조기구 혹은 전신미용기구의 기능을 포함하는 이불 또는 담요.
  5. 제 1항에 있어서, 조절부, 흡출부, 고정부, 내부튜브충, 분사부, 불투명성 덮개부와 내부윗면부 등을 포함한 이불을 구성하는 기능별 부분들의 전체를 이불의 본체라 함에 있어서, 본체를 포함한 외부 조절부와 흡출기 및 연결밸브는 조립과 분리를 통한 휴대가 가능하여, 이동과 공간의 제약이 없는 휴대용 목욕이불기능을 포함하는 이불 또는 담요.
  6. 제 1항에 있어서, 팽창을 위한 공기튜브와 물의 분사가 가능한 물 층과 공기의 분사가 가능한 공기층을 내부에 포함하고, 분사하는 물과 공기의 분사부와 분사조절을 가능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공기와 물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 흡출부를 포함하는 이불.
  7. 제 5항에 있어서, 이불의 팽창형태 그리고 이불의 흡출부와 분사부를 조절 할 수 있도록, 전기전자 회로를 내장한 디지털 방식 또는 원거리 리모컨 방식 등의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포함하는 조절부.
KR1020100055750A 2010-06-14 2010-06-14 덮은 상태로 목욕이 가능한 에어워터이불 KR20110136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750A KR20110136003A (ko) 2010-06-14 2010-06-14 덮은 상태로 목욕이 가능한 에어워터이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750A KR20110136003A (ko) 2010-06-14 2010-06-14 덮은 상태로 목욕이 가능한 에어워터이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003A true KR20110136003A (ko) 2011-12-21

Family

ID=45502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750A KR20110136003A (ko) 2010-06-14 2010-06-14 덮은 상태로 목욕이 가능한 에어워터이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60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17810A1 (en) * 2020-10-19 2022-04-21 Kyu Song Lee Whole Body Scrub Machine for Washing General family and Bedridden Pati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17810A1 (en) * 2020-10-19 2022-04-21 Kyu Song Lee Whole Body Scrub Machine for Washing General family and Bedridden Patients
US11744751B2 (en) * 2020-10-19 2023-09-05 Kyu Song Lee Whole body scrub machine for washing general family and bedridden pati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07955A (zh) 一种多功能护理床
JPH09313549A (ja) 人体装着便器付排便排尿自動処理パンツ
KR100725903B1 (ko) 족욕기 부착식 수욕기
KR20110136003A (ko) 덮은 상태로 목욕이 가능한 에어워터이불
US20080047066A1 (en) Universal bed bath envelope system
US6871367B1 (en) Combination bed and bathing device
CN108143554A (zh) 多功能护理床
KR101039702B1 (ko) 욕조겸용 침대
CN210205164U (zh) 多功能护理床
CN203138270U (zh) 加热床上浴盆
CN102772284B (zh) 多功能护理床
JP2000271188A (ja) 下半身部並びに下肢部サウナカバー
CN205659068U (zh) 瘫痪病人洗澡护理床
CN2768741Y (zh) 多功能医疗保健护理床
KR20180132573A (ko) 다용도 찜질기
KR102298043B1 (ko) 오픈 셀 구조의 침대
KR200276897Y1 (ko) 욕조 겸용 침대 매트리스
JPH04108534U (ja) 介護用簡易浴槽
TWM545582U (zh) 洗澡護理床
JP2003220109A (ja) 組立式寝風呂およびこれを用いた入浴方法
JP3070459U (ja) 折りたたみ式風呂
TWI626039B (zh) Bath care bed
JP2016052493A (ja) 介護用組立式浴槽
JP3066547U (ja) 覆い部材支持器
JP2010179111A (ja) 暖房式入浴介護・介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