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663Y1 - 유모차겸 자동차용 유아의자 - Google Patents

유모차겸 자동차용 유아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663Y1
KR880002663Y1 KR2019850005749U KR850005749U KR880002663Y1 KR 880002663 Y1 KR880002663 Y1 KR 880002663Y1 KR 2019850005749 U KR2019850005749 U KR 2019850005749U KR 850005749 U KR850005749 U KR 850005749U KR 880002663 Y1 KR880002663 Y1 KR 880002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urved
infant
stroller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5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4302U (ko
Inventor
염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아휴먼엔지니어링
염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아휴먼엔지니어링, 염희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아휴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9850005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663Y1/ko
Publication of KR860014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43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6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8Auxiliary dismountable seats ; Additional platforms for children in standing-up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모차겸 자동차용 유아의자
제1도는 본 고안으로 부터 머리받이를 분리하여 보인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의한 전체 종 단면도.
제3 (a)도는 좌판의 A-A선 단면도이고, 제3(b)도는 등받이의 B-B선 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을 유모차에 설치해서 각도 조절상태를 실시하여 보인 측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판 2 : 등받이
3 : 이면포 7,7',7'',8,8' : 만곡융기부
9,9' : 만곡요형부 10 : 통공
11 : 머리받이 12,12' : 접합편.
본 고안은 성장발육기에 있는 유아에 적합하도록 유모차에 구성한 기존의 좌판대와 등판대에 덧포개서 사용하는 유모용 덧의자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유아들의 척추(脊椎)이나 엉덩이(骨盤) 및 하지(下肢)와 머리부분(頭部)에 이르기까지 신체전반에 걸쳐 발육상태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이면포(裏面布)로 쿳숀력이 양호한 좌판과 등받이를 연결하고 양측면부와 중심부를 각각 만곡융기부와 만곡요형부로 형성한 상기 등받이의 상단부에 타원형의 통공이 뚫린 머리받이를 전면으로 부터 벨크로 테이프에 의한 접합편으로 착탈할수 있게 함과 동시에 등판대에 의해 등받이의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한 구성의 덧의자를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발육기에 있는 유아들은 신체적으로 균형되게 발달되어 있지 못한 시기이므로 유아의 일거일동을 보호자들이 보살펴 주어야 하는 불편과 번거러움이 있었다.
예를 들면 유아를 유모차에 태우거나 또는 유희구와 더불어 유희하는 경우 이 유모차와 유희구에 설치된 의자의 대부분이 유아의 신체적인 발육요건을 고려하지 않고 그대로 설계 제작되었기 때문에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데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이와 같은 의자들은 유모차나 유희구에 고정상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유아가 편안한 자세로 취할수 있는 등받이의 각도 조절작용이 전혀 불가능 하였을 뿐만 아니라 쿳숀력과 안정감이 저조한 결합을 지니고 있다.
특히 착석상태에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유아가 수면을 취할 경우 유아의 머리부분이 등받이에 밀착고정되어 있지 못하고 좌우나 또는 앞으로 숙으러지는 등의 불안전한 자세로 인해 유아의 발육상태가 정상적으로 이루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개중에는 신체의 성장발육 조건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의자(예를 들면 이발용 의자)가 없지는 않지만 이들은 모두 사용자가 자신이 직접 조작하여 착석상태의 자세를 편안하게 할수 있는 성인용에 적합한 의자들로서 유아용이나 유모차에는 사용할수 없는 것들이다.
여기서 본 고안이 인체공학적(人體工學的)으로 성장발육기에 있는 유아에게 적합한 이유를 의학적(醫學的)으로 설명하면 유아가 태아의 형태에서는 척추의 모양이자형으로 이루워져 있다가 신생아 일때는 허리부위와 꼬리뼈 부위를 제외하고는 거의 직선에 가까운모양의 척추형태를 유지하며 유아가 고개를 움직이기 시작할때는 경추(頸椎)가모양으로자형의 커브를 형성하기 시작하고 유아가 기어다니기 시작할때는모양으로자형의 커브를 갖추며 끝으로 걷기 시작할때는 완전히 성인과 같은자형의 커브를 이루는 발육과정을 밟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유아의 성장과정에 따른 척추모양의 변형상태를 고려하여 고안된 유모차용 덧의자로서 쿳숀력과 촉감이 좋은 재료를 주재로 하고 좌판과 등받이를 이면포로 연결하여 구성한 상기 덧의자의 양측면부를 만곡융기부로 형성하고 등받이의 상단부 전면으로 중앙에 타원형의 통공이 뚫린 머리받이를 벨크로 테이프에 의한 접합편으로 착탈시킬수 있게함과 동시에 등받이의 각도도 등판대의 조절장치에 의해 임의로(120°, 150°, 170°)조절할수 있도록 구성한 덧의자를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좌판(1)과 등받이(2)를 이면포(3)로 연결하여 구성한 유모차용 덧의자(A)에 있어서, 좌판(1)의 전면부(4)와 양측면부(5)(5') 및 등받이(2)의 양측면부(6)(6')에 각각 만곡융기부(7)(7')(7'')(8)(8')를 형성하고 상기 좌판(1)의 중심부는 만곡요형부(9)로 그 후면부(4')를 점차 낮게 형성하여 상체의 등이 등받이(2)에 밀착되도록 중심부가 종방향으로 상기 좌판(1)과 같이 그 양측면부(6)(6')의 만곡융기부(8)(8')로 인해 만곡요형부(9')가 이루워지게 함과 동시에 등받이(2)의 상단부 전면에는 타원형의 통공(10)이 뚫린 머리받이(11)를 벨크로 테이프에 의한 접합편(12)(12')으로 착탈시켜 머리받이(11)의 높이와 등받이(2)의 절첩전개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수 있게 하였다.
미설명 부호 13은 유모차, 13'는 등판대 13''는 좌판대, 14는 횡간, 14'는 핀축, 15는 발판대, 15'는 감합단추, 16은 체결부, 16'는 타단부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발육과정에 있는 유아의 신체적인 조건에 맞추워 쿳숀력과 촉감을 양호히 하여줌은 물론 특히 머리와 상체 그리고 하체에 이르기까지 신체의 각부위가 착석시 좌판(1)과 등받이(2)의 만곡요형부(9)(9')로 밀착되기 때문에 편안하고 안전한 착석자세를 유지하는 본 고안은 제4도에 도시한 실시상태의 측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 유모차(13)에 형성된 좌판대(13'')와 등판대(13')에 상기 좌판(1)과 등받이(2)를 연결하고 있는 이면포(3)가 이와 밀착되도록 그 위에 포개놓고 이 이면포(3)의 체결부(16)를 유모차(13)에 형성한 등판대(13')의 횡간(14)으로 돌려씌워서 이를 감합단추(15')로 상기 체결부(16)에 감합시켜주는 한편 타단부(16')는 발판대(15)로 늘어뜨려 주는 상태로 유모차(13)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덧의자(A)는 유모차(13)의 등판대(13')와 좌판대(13'')를 구성하고 있는 핀축(14')을 중심으로 절첩전개되는 상기 등판대(13')의 작동에 의해 수평을 이루고 있는 좌판(1)에 대해 등받이(2)의 각도를 120도와 150도 및 170도의 각으로 임의 조절할수 있다.
이와 같이 등받이(2)의 조절이 용이한 본 고안의 덧의자(A)는 좌판(1)과 등받이(2)의 전면부(4)와 후면부(4') 및 양측면부(5)(5')(6)(6')에 형성한 만곡융기부(7)(7')(7'')(8)(8')로 인해 만곡요형부(9)(9')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체의 등부가 등받이(2)에 기대어 질 경우 양측면부(6)(6')의 만곡융기부(8)(8')에 의해서 상체가 좌우로 벗어남이 없이 안전하고 편안한 자세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고 또 좌판(1)에 착석된 하체의 엉덩이와 하지가 전면부(4)와 양측면부(5)(5')에 형성한 만곡융기부(7)(7')(7'')에 의해 좌판(1)의 양측면부(5)(5')와 전면부(4)로 밀려남이 없을 뿐만 아니라 더우기 좌판(1)의 후면부(4')를 전면부(4)보다 약간 낮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하지와 골반부에 가해지는 근육의 압박작용(壓迫作用)을 제거하여 줌으로 덧의자(A)에 오래 앉아 있어도 피로를 느끼지 않는다. (예컨데 착석시 유아의 엉덩이가 좌판에서 앞으로 밀리면 척추가 후만이 되어 펠비스 로테이션(Pelvis Rotation)을 유발하며 이러한 현상은 경추(頸椎)의 후만만을 유발하는 척추의 쇠사슬 반응(Spine chain Reaction)을 일으켜서 결국 유아의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
본 고안의 덧의자(A)는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아의 성장발육에 따라 좌판(1)으로 부터 등받이(2)의 각도를 유모차(13)에 구성한 등판대(13')로 조절하여 그 각도를 120도와 150도 및 170도로 임의 조절할수 있기 때문에 착석시 머리로 부터 상체를 통해 내려오는 몸무게를 발에서 반작용(反作用)으로 상승하는 힘의 의해 1차적으로 무릎에서 상쇄시켜 주고 남은 힘이 골반부로 가는 중력상쇄현상(重力相殺現狀)에 의해 좌판(1)과 등받이(2)의 각도를 직각으로 형성했을대 보다 피로의 경감(輕減)상태를 더욱 높혀 줌으로 유아의 성장 발육에 따른 신체의 균형과 제반 기능을 올바르게 유도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2)에는 가로 방향의 봉직(封織)상태나 절단부가 전혀 나타나 있지 아니하여 여기에 밀착되는 등에 대한 균일한 압력부여(壓力附輿)에 따른 국부적(局部的)인 디스크(Disk)의 제거는 물론이거니와 특히 유아의 머리는 덧의자(A)에 착석된 상태에서 상체의 높낮에 따라 벨크로 테이프에 의한 접합편(12)(12')으로 머리받이(11)를 등받이이(2)에서 착탈시켜 유아의 머리가 머리받이(11)에 뚫린 통공(11)으로 정확히 안착될수 있도록 조절하여 신체의 그 어느 부분보다 무거운 머리를 안정된 자세로 위치시켜 줌으로서 유아가 덧의자(A)에서 수면중 앞쪽으로 숙여지거나 또는 등받이(2)의 양옆으로 기울어 지는데서 오는 목뼈(頸骨)의 이상을 정상으로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덧의자는 한창 발육과정에 있는 유아들이 보다 안정되고 편안한 자세로 장시간 이용하더라도 종래의 유모차에서와 같이 유아의 발육상태를 저해하거나 또는 건강이 쉽게 피로해지는 등의 장애를 일으키지 아니하고 신체의 각부위가 의자에 밀착되는 효과로 인해 의학적(醫學的)으로는 물론 인체공학적(人體工學的)으로도 실용성이 매우 높은 고안이다.

Claims (1)

  1. 좌판(1)과 등받이(2)를 이면포(3)로 연결하여 구성한 유모차용 덧의자(A)에 있어서, 전면부(4)와 양측면부(5)(5')에 형성한 만곡융기부(7)(7')(7'')로 인해 그 중심부가 만곡요형부(9)로 이루워진 좌판(1)의 후면부(4')를 점차 낮게 형성하고 또 등받이(2)의 양측면부(6)(6')에 만곡융기부(8)(8')로 인해 그 중심부에 종방향으로 만곡요형부(9')를 두고 중앙에 통공(10)이 뚫려진 머리받이(11)를 상기 등받이(2)의 상단부전면으로 부터 착탈할수 있도록 접합편(12)(12')을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덧의자.
KR2019850005749U 1985-05-17 1985-05-17 유모차겸 자동차용 유아의자 KR880002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5749U KR880002663Y1 (ko) 1985-05-17 1985-05-17 유모차겸 자동차용 유아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5749U KR880002663Y1 (ko) 1985-05-17 1985-05-17 유모차겸 자동차용 유아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302U KR860014302U (ko) 1986-12-08
KR880002663Y1 true KR880002663Y1 (ko) 1988-07-23

Family

ID=1924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5749U KR880002663Y1 (ko) 1985-05-17 1985-05-17 유모차겸 자동차용 유아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6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275Y1 (ko) * 2013-04-04 2014-09-03 주식회사 다인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20B1 (ko) * 2015-06-29 2016-09-09 김명국 유아용 엉덩이 보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275Y1 (ko) * 2013-04-04 2014-09-03 주식회사 다인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302U (ko) 198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6287A (en) Infant support and positioning system
US5354118A (en) Stuffed figure chair
US6089654A (en) Modular furniture for children
US4048679A (en) Toilet seat
US6755198B2 (en) Diapering restraint system
US6543844B1 (en) Seating furniture for children
US5374109A (en) Three point cross-legged support seat
KR880002663Y1 (ko) 유모차겸 자동차용 유아의자
EP1342438A2 (en) Seat structure
JP2007098007A (ja) 椅子
US4582362A (en) Seat-equipped nursing implement
US4541425A (en) Head and torso restraint
JP3146343B2 (ja) 椅 子
JP2008023061A (ja) 座位保持具
KR19990011946U (ko) 다기능 쿠션
KR200428121Y1 (ko) 유아용 식탁 의자
CN215533164U (zh) 腰凳
CA1280778C (en) Infant postural support stroller accessory
JP3059830U (ja) 障害者用シ―トベルト
KR102487012B1 (ko) 다리의 벌어짐을 고정하는 자세교정용 보조 의자
JPH02107359U (ko)
CN217743860U (zh) 一种防下滑枕头
JP7440249B2 (ja) 乳幼児用座席装置用インナーシート
KR200163618Y1 (ko) 요통을 방지하는 의자
JP2003164479A (ja) おむつ交換用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