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674B1 -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 - Google Patents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674B1
KR102328674B1 KR1020210064391A KR20210064391A KR102328674B1 KR 102328674 B1 KR102328674 B1 KR 102328674B1 KR 1020210064391 A KR1020210064391 A KR 1020210064391A KR 20210064391 A KR20210064391 A KR 20210064391A KR 102328674 B1 KR102328674 B1 KR 102328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edding
cover
quilt
fit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숙
Original Assignee
박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숙 filed Critical 박미숙
Priority to KR1020210064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69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body to beds, wheel-chairs or the like
    • A61F5/3776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body to beds, wheel-chairs or the like by means of a blanket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69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body to beds, wheel-chairs or the like
    • A61F5/3776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body to beds, wheel-chairs or the like by means of a blanket or belts
    • A61F5/3784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body to beds, wheel-chairs or the like by means of a blanket or belts directly connected to the trunk, e.g. with jacket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에 관한 것으로, 치매환자를 결박하지 않아 인권을 보호하면서도 무의식적인 자해와 배변을 만지는 행위를 막아 보호하고 또한, 누운 자세에서 편안한 자세로 자유롭게 바꿀 수 있도록 하고 취침 중에도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여 숙면도 유도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는, 팔 끼움구멍을 포함하는 이불과; 상기 이불에 형성되는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구는 상기 이불의 윗면에 가장자리가 고정되어 상기 팔 끼움구멍에 끼워진 팔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팔 덮개; 상기 팔 덮개를 좌우 양쪽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상기 팔 끼움구멍을 통과한 양팔이 서로 닿지 않도록 하는 격막을 포함하고, 상기 격막은 상기 팔 덮개의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둘레부가 상기 이불과 팔 덮개에 고정되어 상기 팔 덮개의 내부에 상기 팔 끼움구멍이 각각 통하며 서로 분리되는 2개의 공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Bedding protective equipment and bedding for dementia patient}
본 발명은 침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매환자를 결박하지 않아 인권을 보호하면서도 무의식적인 자해와 배변을 만지는 행위를 막아 보호하는 치매환자용 침구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치매환자와 같은 정신질환자는 수족을 자의적으로 움직일 수 없거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있는가 하면 수족을 자유롭게 구사하면서 지적능력을 상실하여 자기 손으로 자기 신체의 일부를 자해하거나 기저귀와 같은 장치물을 벗어버리는 행동으로 인해 대소변을 치우기가 불편할 뿐 아니라, 아무거나 집어삼켜 질병 또는 급사할 수 있고, 또 침상에서 이탈하여 주변을 돌아다니면서 기물을 파손 및 소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잦아 이러한 환자와 같은 경우 치료 및 자기 신체를 보호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었다.
또한, 중증 치매 환자는 스스로 자신의 대소변을 가리지 못해 화장실이 아닌 환자의 침대에서 성인용 기저귀에 배변 또는 배뇨를 하게 되는데 이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신체부위를 만지게 되어 민망함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로, 치매환자의 환자복(등록특허 제10-0816778호, 등록특허 제10-1319992호), 치매 환자 대소변 모니터링 시스템(등록특허 제10-1617212호) 등이 있다.
환자복의 경우 치매 환자를 결박하여 치매환자를 인격적으로 대우하고자 하는 현실(인천시, 치매환자 인권선언문 등)과 맞지 못하여 실용적이지 못하고, 모니터링 시스템 역시 활용성이 낮은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0816778호 등록특허 제10-1319992호 등록특허 제10-161721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매환자를 결박하지 않아 인권을 보호하면서도 무의식적인 자해와 배변을 만지는 행위를 막아 보호하고 또한, 누운 자세에서 편안한 자세로 자유롭게 바꿀 수 있도록 하고 취침 중에도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여 숙면도 유도할 수 있는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치매환자의 보호구는, 치매환자의 팔을 끼울 수 있는 팔 끼움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팔 끼움구멍을 통해 끼워진 팔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 보호하는 팔 덮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팔 끼움구멍을 포함하는 이불과; 상기 이불에 형성되는 팔 덮개인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고, 상기 팔 덮개는 상기 이불의 윗면에 형성되어 치매환자의 양팔을 이불 위쪽에 포개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치매환자의 침구는, 요와; 상기 요에 형성되는 팔 덮개인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고, 상기 팔 덮개는 상기 요의 윗면에 좌우 양쪽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치매환자의 가슴을 덮으면서 치매환자의 양팔을 치매환자의 신체로부터 떨어뜨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에 의하면, 치매환자가 요에 눕고 이불을 덮은 자세에서 양팔을 이불 위쪽으로 꺼내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면서 양손으로 얼굴 등의 신체를 자해하는 것과 호흡기용 호스를 빼는 것도 막아 치매환자를 자해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또한 배변 상태에서 양손이 항문쪽으로 가는 것도 막아 신체를 더럽히는 것도 막을 수 있으므로 치매환자를 청결하게 보호하며 숙면 유도를 통해 양호한 컨디션 유지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불이 치매환자로부터 젖히지 않도록 하여 이불을 덮은 상태로 취침할 수 있으므로 치매환자를 감기 등의 질환으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모든 자유로운 행동이 가능하지만 치매환자를 결박하지는 않아 인권을 존중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환자복을 사용하지 않고 취침 등을 위하여 침구에 누운 자세를 그대로 이용하여 치매환자에게 환자복을 입혀야 하는 불편함없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치매환자용 침구인 이불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치매환자용 침구인 이불에 적용된 팔 토시를 뺀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치매환자용 침구인 이불로서 팔 덮개가 분리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치매환자용 침구인 이불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치매환자용 침구인 이불에 적용된 팔 덮개의 평면과 내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치매환자용 침구인 이불에 적용된 팔 덮개에 내부측 개봉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치매환자용 침구가 요와 함께 사용되는 예를 보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치매환자용 침구는 이불(10)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가 이불(10)을 덮은 상태에서 양팔을 몸의 반대쪽인 이불(10)의 위쪽으로 빼낼 수 있도록 팔 끼움구멍(11)을 포함하고, 팔 끼움구멍(11)에 끼워 이불(10)의 위쪽으로 나온 팔을 덮어 보호하는 팔 덮개(20)를 포함한다.
팔 끼움구멍(11)은 사용자의 양팔을 상체와 하체로부터 떨어뜨리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며, 이불(10)의 양쪽을 절개하는 등의 방법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이불(10)을 덮어 이불(10) 밑에 있지만 양팔은 이불(10)의 위쪽에 놓여진다.
도 3과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이불(10)의 밑면 즉 사용자의 몸과 접하는 안쪽면을 보면 2개의 팔 끼움구멍(11)만 보이게 된다.
이불(10)을 침대 및/또는 매트리스(요)에 연결하기 위한 버클과 연결끈(12)을 포함한다. 연결끈(12)은 이불(10)의 좌우에 하나 이상이 재봉 등으로 연결되고 자유단부가 침대(매트리스)에 묶여 고정된다.
연결끈(12)은 사용자가 이불(10)을 움직이면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이 있는 고무줄이 바람직하다.
팔 덮개(20)는 팔 끼움구멍(11)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양쪽의 팔 끼움구멍(11)을 덮고 특히, 팔 끼움구멍(11)을 통해서 이불(10)의 위쪽으로 빼낸 양팔을 구속하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크기이며, 이불(10)의 윗면에 재봉으로 고정되거나 지퍼나 단추 등을 통해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팔 덮개(20)는 홑겹으로 가장자리가 이불(10)에 고정될 수 있고 또는 2겹으로 밑쪽이 팔 끼움구멍과 동일한 기능의 구멍을 포함하면서 이불(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팔 덮개(20)는 단독으로 사용되어 모든 침구류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팔 끼움구멍(11)을 통해 이불(10)의 위쪽으로 빼낸 양팔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면서 양손을 모으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2가지 방법이 있다.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하나는 팔 덮개(20)의 중앙부에 격막(21)을 형성하는 것이다. 격막(21)은 팔 덮개(20)의 대략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둘레부가 이불(10)과 팔 덮개(20)에 고정되어 팔 덮개(20)의 내부에 팔 끼움구멍(11)가 각각 통하며 서로 분리되는 2개의 공간을 형성하며, 따라서, 팔 끼움구멍(11)을 통해 팔을 팔 덮개(20)에 끼우게 되면 격막(21)으로 막혀 양 손을 모을 수는 없지만 팔 덮개(20) 내부의 각각의 공간에서는 손과 팔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격막(21)은 양팔을 움직일 수 있는 2개의 공간을 동일한 크기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개의 공간이 앞뒤로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옆으로 넓은 형태로 분할한다.
격막(21)이 있더라도 격막(21)을 여유 있는 길이로 하거나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사용하면 양손을 자유롭게 포개거나 만질 수 있으며, 이때도 피부의 접촉은 없기 때문에 손을 보호한다.
다른 하나는 팔 토시(22)이다. 내부가 팔 끼움구멍(11)과 통하도록 팔 토시(22)를 재봉 등으로 고정한다.
팔 토시(22)는 손가락쪽의 끝이 막힌 것과 뚫린 것 모두가 가능하지만, 사용자의 손으로 얼굴 등을 다치게 하지 못하도록 막힌 것이 바람직하다.
팔 토시(22)는 팔 덮개(20) 안에 수납되어 사용되며, 팔 덮개(20) 밖에서 팔을 움직일 수 있도록 팔 덮개(20)는 개봉부(23)를 포함한다. 개봉부(23)는 팔 덮개(20)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거나 중앙에 한 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지퍼 등을 통해 개폐되고 외부에서만 개봉할 수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내부에서도 열 수 있는 2중 개봉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개봉부(23)는 외부에서 열 수 있는 것은 물론 내부 즉 사용자(환자)도 직접 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즉, 외부에서 다른 사람만 개봉부(23)를 열 때 발생하는 인권침해의 오해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 덮개(20)는 격막(21)을 통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되는 것이며, 좌측과 우측 중 일측 이상에 내부에서 열 수 있는 내부측 개봉부(24)(도 6 참고)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팔 덮개(20)의 좌측쪽에 내부측 개봉부(24)를 만들어 사용자가 팔 덮개(20) 안에서 팔 토시(22)에 끼워진 손을 이용하여 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격막(21)에 의해 구분된 좌우측 공간의 팔 중 한 손을 이용하여 내부측 개봉부24)를 열고 팔을 외부로 빼내고 반대쪽의 개봉부(23)를 열어 반대쪽의 팔도 빼낼 수 있다.
내부측 개봉부(24)는 지퍼 등이 사용되며, 덮개(25)를 통해 덮혀 사용될 수 있다. 덮개(25)는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상태의 사용자가 내부측 개봉부(24)를 여는 것을 막는데 도움을 준다.
본 실시예는 어깨 덮개(30)(도 4 참고)를 더 포함한다.
어깨 덮개(30)는 양쪽의 어깨를 각각 덮을 수 있도록 2개가 구성되며, 바람직하게 대략 삼각형의 형태로 재단되어 어깨쪽과 대응하는 2개의 변이 이불에 재봉으로 고정되거나 탈착수단(지퍼, 벨크로 파스너, 단추 등)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어깨 덮개(30)는 이불에 고정된 상태에서 어깨를 감싸기 때문에 이불을 걷어차거나 밀어젖힐 수 없게 된다.
또한, 어깨 덮개(30) 부분에서 이불(10)이 몸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끈(31)이 포함될 수 있다. 고정끈(31)은 일측이 어깨 덮개(30)에 고정되고 반대쪽이 이불(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때, 2개의 고정끈(31)은 X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고정력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어깨 덮개(30)가 착탈식인 경우 보관을 위하여 이불(10)의 저면에 주머니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주머니는 어깨 덮개(30)를 접어 보관할 수 있는 크기이며 1개 이상이 형성된다.
또한, 다리나 허리를 묶을 수 있도록 연결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끈은 다리 연결끈의 경우, 좌우 2개로 분할되어 각각 일측이 이불(1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고 타측의 자유단부가 허벅지 안쪽을 지나서 이불의 외부에 버클 등으로 고정되는 방법 등이 가능하고 따라서 사용자가 움직일 때 이불이 벗겨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연결끈은 허리 연결끈의 경우, 일측이 이불(10)에 직간접적으로 고정되고 타측이 허리를 감싼 후 이불(10)에 버클 등으로 고정되는 방법이 가능하다.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다리 덮개(110)는 요(10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그 형성방법은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요(매트리스)에 형성되는 다리 덮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다리 덮개(110)는 요(100)의 윗면에 재봉으로 고정되거나 착탈수단(지퍼, 벨크로파스너, 단추 등)에 의한 착탈식으로 구성되며 다리를 넣고 뺄 수 있도록 머리쪽과 다리쪽이 개방되고 2개의 다리를 모을 수 있도록 하나의 공간만 갖거나 2개의 다리를 접촉하지 못하도록 2개의 공간을 갖도록 구성된다.
다리 덮개는 이불(10)의 저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요(100)는 베개를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베개 고정고리도 포함될 수 있다. 베개 고정고리는 베개를 감싸는 끈을 요(100)에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치매환자용 침구인 이불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치매환자)가 침대나 온돌 바닥에 요(100)를 깔고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양쪽 어깨를 어깨 덮개(30)로 감싸면서 양팔을 팔 끼움구멍(11)에 통과시켜 양팔을 팔 덮개(20) 안에 놓도록 하고, 고정끈(31)을 이불(10)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이불(10)을 덮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팔 덮개(20) 안에서 양팔과 양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자세도 자유롭게 바꿀 수 있어, 편안한 자세로 이불(10)을 덮고 취침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취침 중에도 무의식적인 움직임을 막지 않아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불편함으로 인하여 잠에서 깨는 것을 막고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격막(21)이 적용된 경우, 팔 덮개(20)가 격막(21)을 통해 좌우 공간을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양 손을 서로 모을 수 없고 결국 양손을 서로 긁거나 할퀴는 것을 막아 다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팔 토시(22)가 적용된 경우, 사용자의 양팔을 팔 토시(22)에 각각 끼운 후 팔 덮개(20) 안에서 양팔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필요한 경우 개봉부(23)를 열고 팔 토시(22)에 낀 양팔을 팔 덮개(20) 밖으로 꺼내어 사용자가 양팔을 움직이면서 더욱 자유롭고 편리한 자세로 사용하도록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양손이 이불(10)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 다른 신체부위를 상해하는 것을 막고 손을 항문쪽으로 가는 것도 막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다리가 다리 덮개에 삽입되어 다리 덮개 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지만, 이불(10)을 젖히지는 못하므로 항상 이불(10)을 덮어 몸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내부측 개봉부(24)가 있어, 사용자(환자)가 필요한 경우 내부측 개봉부(24)를 열고 팔을 외부로 꺼내어 활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호구는 전술한 구조를 동일하게 이용하여 요(100)의 윗면에 형성되는 것도 포함되며, 사용자가 요(100)에 누운 후 사용자를 덮고 가장자리가 요(100)에 연결(지퍼 등)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방법으로서 보호구의 좌우 양쪽만 요(100)에 연결하고 상하 양쪽을 외부와 통하게 하여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보호구와 요(100)사이를 위로 통과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 이불, 11 : 팔 끼움구멍
12 : 고정끈,
20 : 팔 덮개, 21 : 격막
22 : 팔 토시, 23 : 개봉부
24 : 내부측 개봉부,
30 : 어깨 덮개, 31 : 고정끈
100 : 요, 110 : 다리 덮개

Claims (9)

  1. 팔 끼움구멍을 포함하는 이불과;
    상기 이불에 형성되는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구는
    상기 이불의 윗면에 가장자리가 고정되어 상기 팔 끼움구멍에 끼워진 팔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팔 덮개;
    상기 팔 덮개를 좌우 양쪽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상기 팔 끼움구멍을 통과한 양팔이 서로 닿지 않도록 하는 격막을 포함하고,
    상기 격막은 상기 팔 덮개의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둘레부가 상기 이불과 팔 덮개에 고정되어 상기 팔 덮개의 내부에 상기 팔 끼움구멍이 각각 통하며 서로 분리되는 2개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가 상기 팔 끼움구멍과 통하며 팔이 끼워지는 팔 토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팔 덮개의 안에서 열어 외부로 손을 뺄 수 있는 내부측 개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불의 안쪽면에 고정되어 치매환자의 어깨를 덮는 어깨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매환자의 침구는 요를 포함하며, 상기 요는 치매환자의 다리가 삽입되는 다리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불의 둘레부에 일측이 고정되며 상기 이불을 상기 요 또는 침대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요에 일측이 고정되며 치매환자의 다리나 허리를 감싸 고정하는 연결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의 침구.


KR1020210064391A 2021-05-18 2021-05-18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 KR102328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391A KR102328674B1 (ko) 2021-05-18 2021-05-18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391A KR102328674B1 (ko) 2021-05-18 2021-05-18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674B1 true KR102328674B1 (ko) 2021-11-17

Family

ID=7870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391A KR102328674B1 (ko) 2021-05-18 2021-05-18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674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542Y1 (ko) * 2003-11-17 2004-02-18 신기현 학생용 보온 덮개.
JP3107013U (ja) * 2004-08-04 2005-01-27 ケーエスコーヨー株式会社 肩覆い毛布
KR200437196Y1 (ko) * 2007-01-05 2007-11-13 노청구 유아용 침구
KR100816778B1 (ko) 2007-04-28 2008-03-25 천숙자 치매환자 보호용 환자복
JP3142481U (ja) * 2008-04-04 2008-06-12 伊津子 黒木 手首固着ポケット付きベスト
KR20090106734A (ko) * 2008-04-07 2009-10-12 이정숙 기능성 이불
JP3159049U (ja) * 2010-02-15 2010-05-06 株式会社Calgic 毛布
KR101021482B1 (ko) * 2010-09-16 2011-03-16 전대복 다기능 이불
KR101319992B1 (ko) 2013-05-10 2013-10-18 주식회사굿유니폼 통풍 환자복
KR101361158B1 (ko) * 2012-11-30 2014-02-12 이승민 손가락의 욕창방지기능이 구비되는 치매환자용 보호복
KR101617212B1 (ko) 2014-12-01 2016-05-09 정한길 치매 환자 대소변 모니터링 시스템
CN212756051U (zh) * 2020-04-21 2021-03-23 德阳市人民医院 一种医用约束被套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542Y1 (ko) * 2003-11-17 2004-02-18 신기현 학생용 보온 덮개.
JP3107013U (ja) * 2004-08-04 2005-01-27 ケーエスコーヨー株式会社 肩覆い毛布
KR200437196Y1 (ko) * 2007-01-05 2007-11-13 노청구 유아용 침구
KR100816778B1 (ko) 2007-04-28 2008-03-25 천숙자 치매환자 보호용 환자복
JP3142481U (ja) * 2008-04-04 2008-06-12 伊津子 黒木 手首固着ポケット付きベスト
KR20090106734A (ko) * 2008-04-07 2009-10-12 이정숙 기능성 이불
JP3159049U (ja) * 2010-02-15 2010-05-06 株式会社Calgic 毛布
KR101021482B1 (ko) * 2010-09-16 2011-03-16 전대복 다기능 이불
KR101361158B1 (ko) * 2012-11-30 2014-02-12 이승민 손가락의 욕창방지기능이 구비되는 치매환자용 보호복
KR101319992B1 (ko) 2013-05-10 2013-10-18 주식회사굿유니폼 통풍 환자복
KR101617212B1 (ko) 2014-12-01 2016-05-09 정한길 치매 환자 대소변 모니터링 시스템
CN212756051U (zh) * 2020-04-21 2021-03-23 德阳市人民医院 一种医用约束被套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07013 UR*
JP3142481 UR*
JP3159049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7268B2 (en) Swaddling garment
US11490663B2 (en) Infant sleep garment
US20080221525A1 (en) Gastrostomy garment
US20080134432A1 (en) "Binket" miniature security blanket with attachment device for a pacifier or other soothing apparatus for children
JP2021512237A (ja) 調整可能なラップを備えるくるみデバイス
US6481032B2 (en) Infant prop
US8215313B1 (en) Medical garment systems
KR101597215B1 (ko) 신생아용 침구
US7425206B2 (en) Intravenous protector wrap with entertainment
US5241708A (en) Restraining device
KR101584240B1 (ko)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JP2009213522A (ja) 医療補助用ハンドカバー
KR102328674B1 (ko)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
KR101021482B1 (ko) 다기능 이불
CN204698871U (zh) 用在床上的约束装置
KR101313873B1 (ko) 욕창방지 기능을 갖는 치매환자용 장갑
KR101777191B1 (ko) 유아용 슬리핑 하우징
US20150034090A1 (en) Cannula cover and adjuster
KR20210036520A (ko) 환자복
KR200474967Y1 (ko) 영아용 다기능 구멍 담요
KR20230002279U (ko) 신생아 속싸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신생아 쿠션, 신생아 침대
CN210447326U (zh) 一种医用约束器
CN211961632U (zh) 一种婴童纱布护肚可拆袖睡袋
JP4233050B2 (ja) 介護用具
KR20130006914U (ko) 허리 보호용 아기 포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