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520A - 환자복 - Google Patents

환자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520A
KR20210036520A KR1020190118565A KR20190118565A KR20210036520A KR 20210036520 A KR20210036520 A KR 20210036520A KR 1020190118565 A KR1020190118565 A KR 1020190118565A KR 20190118565 A KR20190118565 A KR 20190118565A KR 20210036520 A KR20210036520 A KR 20210036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leg
clothing
unit
waterproof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평화
Original Assignee
신평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평화 filed Critical 신평화
Priority to KR1020190118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6520A/ko
Publication of KR20210036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4Removable 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하거나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착용 및 탈의시키기 용이하도록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형성되어 활동성을 향상시켜 외출복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배뇨 및 배변을 처리하기 위해 기저귀 등을 교체할 경우 환자의 특정신체부위를 편리하게 노출시키고 은폐시킬 수 있는 환자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의 상반신에 착용되는 상의부(10)와, 환자의 하반신에 착용되는 하의부(20)가 원피스형으로 연결된 환자복에 있어서, 상기 상의부(10)와 하의부(20)의 앞선이 개방되어 형성된 개방부(31)를 환자의 상반신에서 하반신 방향으로 잠그기 위한 업셋업셋지퍼(30)와,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환자의 용변이나 약품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천(40)과,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에 봉제되어 상기 하의부(20)가 말려 올라가 환자의 하반신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환자의 다리에 각각 끼워지는 중공형의 다리고정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환자복{PATIENT CLOTHES}
본 발명은 환자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착용 및 탈의시키기 용이하도록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형성되어 활동성을 향상시켜 외출복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배뇨 및 배변을 처리하기 위해 기저귀 등을 교체할 경우 환자의 특정신체부위를 편리하게 노출시키고 은폐시킬 수 있는 환자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복은 상의와 하의로 구분되며, 부드러운 면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환자복의 상의는 주로 저고리형태로 앞섶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의는 주로 바지형태로 허리 앞중앙에서 앞쪽을 개폐할 수 있도록 지퍼나 단추가 구성되거나 고무줄 등을 이용하여 착용과 탈의가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환자복은 거동을 할 수 있고 정신질환을 앓고 있지 않은 환자가 착용할 경우 불편함이 없었으나 거동이 불편하거나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착용할 경우 배뇨 및 배변을 처리하기 어려우며 몸을 씻기거나 치료하기 위해 간호사나 간병인 등이 탈의시키고 착용시키는 것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치매 등과 같이 정신질환을 앓고 있고 수족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환자의 경우 스스로 기저귀 등을 탈의하여 배뇨 및 배변의 처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신의 손으로 항문 등을 만져 배뇨 및 배변을 침상 등에 묻혀 청소와 위생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등록실용신안 제20-0429666호(등록일자: 2006년10월19일)에 게재된 바와 같이, 상하의를 일체로 형성하면서 상하의의 경계를 안전지퍼로 연결하여 일체화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의 앞쪽 중앙을 지퍼로 연결하여 입고 벗을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의에는 겨드랑이 부분에 체온계구멍을 형성하고, 양쪽 쇄골부위에 개폐식덮개가 부착된 산소줄 또는 위관영양줄용 줄구멍을 형성하며, 손부위에는 손싸개가 있고 하의에는 양쪽에 유치도뇨관구멍을 형성하며, 이는 덮개에 의해 보호 및 커버 된 치매환자복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치매환자복은 상의와 하의가 지퍼를 이용하여 일체화되거나 분리되고 손싸개가 형성됨으로써 환자가 스스로 움직임으로 인해 기저귀 등을 탈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환자의 활동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외출 시 다른 의복으로 갈아입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자의 특정신체부위만 노출시켜 치료하기 어려우며, 치료 등을 위해 상의 또는 하의를 완전히 탈의하여야 하기 때문에 빠른 치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환자에게 착용 및 탈의가 용이하면서 환자의 활동성을 향상시켜 외출복장으로도 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뇨 및 배변을 처리하기 용이한 환자복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거동이 불편하거나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착용 및 탈의시키기 용이하도록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기저귀 등을 교체하기 위해 환자의 특정신체부위를 편리하게 노출시키고 은폐시킬 수 있는 환자복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환자가 쉽게 탈의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스로 기저귀 등을 탈의하거나 자신의 손으로 항문 등을 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환자복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환자의 활동성을 향상시켜 외출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환자복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환자복은, 환자의 상반신에 착용되는 상의부(10)와, 환자의 하반신에 착용되는 하의부(20)가 원피스형으로 연결된 환자복에 있어서, 상기 상의부(10)와 하의부(20)의 앞선이 개방되어 형성된 개방부(31)를 환자의 상반신에서 하반신 방향으로 잠그기 위한 업셋업셋지퍼(30)와,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환자의 용변이나 약품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천(40)과,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에 봉제되어 상기 하의부(20)가 말려 올라가 환자의 하반신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환자의 다리에 각각 끼워지는 중공형의 다리고정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리고정수단(50)은, 환자의 허벅지 중간부부터 종아리 중간부까지 감싸지도록 형성되며, 환자의 다리 두께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환자의 다리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51)의 양단이 중첩되도록 탈착하기 위한 벨크로 파스너(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수천(40)은,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에 탈착 또는 부착하기 위한 방수천 벨크로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형성되어 거동이 불편하거나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용이하게 착용시키거나 탈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특정신체부위를 편리하게 노출시키고 은폐시킬 수 있어 기저귀 등을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어 간병인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자가 쉽게 탈의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스로 기저귀 등을 탈의하거나 자신의 손으로 항문 등을 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환자의 배뇨 및 배변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자의 활동성을 향상시켜 외출복으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외출 시 환자의 의복을 갈아입혀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환자복,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환자복이 펼쳐진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환자복의 다리고정수단,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환자복의 착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환자복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환자복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환자복이 펼쳐진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환자복의 다리고정수단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환자복의 착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환자복은,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상반신에 착용되는 상의부(10)와, 환자의 하반신에 착용되는 하의부(20)가 연결된 원피스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의부(10)와 하의부(20)의 앞선이 개방되어 형성된 개방부(31)를 잠그기 위한 업셋지퍼(30)와,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환자의 용변이나 약품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천(40)과,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에 봉제되어 환자의 다리에 각각 끼워지기 위한 중공형의 다리고정수단(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환자복은 상의부(10)와 하의부(20)가 일체인 원피스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간병인이나 간호사가 거동이 불편하거나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용이하게 착용시키거나 탈의시킬 수 있게 되며 환자의 특정신체부위를 편리하게 노출시키고 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상의부(10)는, 환자의 상반신에 착용될 수 있도록 면 등과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양측이 환자의 두 팔을 꿸 수 있도록 민소매, 긴소매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의부(10)는 조끼형이나 긴팔셔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의부(20)는, 상기 상의부(10)와 같은 재질로 제작되면서 환자의 하반신을 둘러 착용할 수 있도록 치마를 형성하는 치마폭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의부(20)는 환자의 종아리까지 덮을 수 있는 치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의부(20)가 치마로 형성됨으로써 환자의 활동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게 되며, 간병인이나 간호사가 환자에게 착용시키거나 탈의시키기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상의부(10)와 하의부(20)는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원피스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일체로 연결된 상의부(10)와 하의부(20)는 앞선을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부(31)가 형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 상의부(10)와 하의부(20)의 앞선이 개방되도록 개방부(31)를 형성한다.
상기 개방부(31)에는 환자에게 착용된 후 연결시키기 위해 업셋지퍼(30)가 구성된다.
상기 업셋지퍼(30)는, 상기 상의부(10)와 하의부(20)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개방부(31)를 연결시키거나 개방시키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상반신에서 하반신 방향으로 잠기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업셋지퍼(30)가 환자의 상반신에서 하반신 방향으로 잠기도록 구성함으로써 환자가 스스로 상기 개방부(31)를 개방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업셋지퍼(30)가 환자의 상반신에서 하반신 방향으로 상기 개방부(31)를 잠글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간병인이나 간호사가 환자에게 환자복을 착용시키거나 탈의시키기는 용이하지만 환자가 스스로 환자복을 탈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업셋지퍼(30)를 구성함으로써 간병인이나 간호사가 환자로부터 환자복을 완전히 탈의시키지 않아도 환자의 특정신체부위를 쉽게 노출시키고 은폐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긴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게 되며, 기저귀 교체 등을 위해 상기 환자복을 탈의시키고 다시 착용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지 않아도 되어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의부(20)에는 환자의 기저귀를 교체하거나 환자를 치료할 경우 환자의 용변이나 약품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천(40)이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방수천(40)은, 물 등이 흘려도 쉽게 흡수되지 않도록 방수 처리되어 있는 천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상기 개방부(31)를 통해 상기 상의부(10)와 하의부(20)를 개방시켰을 경우 환자의 신체와 밀착되는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 중앙에 부착되어 구성되어 환자의 용변이나 약품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수천(40)은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에 탈착되거나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수천(40)을 세탁하여야 할 경우 환자로부터 환자복을 완전히 탈의시키지 않고 상기 방수천(40)만 탈착한 후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방수천(40)이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천(40)을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에 탈착 또는 부착되도록 구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에 상기 방수천(40)을 부착시키기 위한 방수천 벨크로(미도시)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방수천 벨크로(미도시)를 사용할 경우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에 암 방수천 벨크로를 구성시키고, 상기 방수처리가 된 방수천(40)의 일면이 상기 환자의 신체와 접촉되도록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방수천(40)의 타면에 수 방수천 벨크로를 구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암수 방수천 벨크로가 구성되면,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에 구성된 암 방수천 벨크로에 상기 방수천(40)의 타면에 구성된 수 방수천 벨크로를 부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의부(20)의 내측면에 상기 방수천(40)을 탈착 또는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방수천(4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어 환자의 위생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간병인이나 간호사가 수시로 환자로부터 환자복을 탈의시켜 세탁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에는 상기 다리고정수단(50)이 구성된다.
상기 다리고정수단(50)은, 환자의 다리에 상기 하의부(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 폭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환자의 오른쪽 다리와 왼쪽 다리에 각각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다리고정수단(50)은 환자의 다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환자의 허벅지 중간부부터 종아리 중간부까지 감싸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고정수단(50)은 환자의 허벅지 중간부부터 종아리 중간부까지 감싸질 수 있기 때문에 환자가 무릎을 굽히거나 걷는 등의 활동성에 제한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축가능한 천 등을 사용하여 제작되거나 환자의 무릎위치에 구멍을 형성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갖도록 다리고정수단(50)이 형성될 경우 환자의 다리 둘레에 따라 크거나 작을 수 있어 환자의 다리에 상기 하의부(20)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다리고정수단(50)에 벨크로 파스너(52)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다리고정수단(50)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다리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절개부(51)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다리고정수단(50)은 중심을 기준으로 2등분되도록 환자의 다리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51)를 형성한다.
상기 다리고정수단(50)에 형성된 절개부(51)의 양단을 환자의 다리 둘레에 따라 서로 중첩시켜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환자의 다리 둘레에 맞게 중첩된 절개부(51)의 양단이 중첩되도록 탈착하기 위해 벨크로 파스너(52)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벨크로 파스너(52)는, 상기 다리고정수단(50)에 절개된 절개부(51)의 양단에 구성되며, 상기 다리고정수단(50)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벨크로 파스너(52)를 사용할 경우 환자의 다리 두께에 따라 상기 다리고정수단(50)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절개부(51)에 구성되는 암벨크로의 면적이 수벨크로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환자의 다리 두께에 따라 상기 수벨크로가 상기 암벨크로에 중첩되도록 하여 상기 절개부(51)를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리고정수단(50)이 구성되어 환자의 다리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하의부(20)가 말려 올라가 환자의 하반신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리고정수단(50)으로 인해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가 환자복을 쉽게 탈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추후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등을 미연에 대처할 수 있으며, 상기 하의부(20)가 올라가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환자의 활동성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상의부(10)의 외측면에 환자의 명찰 등을 인입시킬 수 있는 명찰포켓(미도시)과, 상기 하의부(20)의 외측면에 환자의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주머니(미도시) 등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명찰포켓(미도시)이 형성될 경우 의사와 간호사가 환자를 치료하거나 환자를 구별하기 용이해질 수 있으며, 상기 주머니(미도시)가 형성될 경우 환자의 휴대폰 등과 같은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어 착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켜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의부(10)와 하의부(2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환자의 허리사이즈에 따라 사이즈가 조절될 수 있도록 신축가능한 밴딩처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상의부(10)와 하의부(20)가 연결되는 부분에 밴딩처리함으로써 환자의 허리사이즈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어 환자의 움직임을 편하게 해줄 수 있음은 물론 환자의 허리사이즈별로 환자복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환자복은, 상기 상의부(10)와 하의부(20)가 일체인 원피스형으로 형성되어 거동이 불편하거나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용이하게 착용시키거나 탈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특정신체부위를 편리하게 노출시키고 은폐시킬 수 있어 기저귀 등을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어 간병인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업셋지퍼(30)를 환자의 상반신에서 하반신 방향으로 잠글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쉽게 탈의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스로 기저귀 등을 탈의하거나 자신의 손으로 항문 등을 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환자의 배뇨 및 배변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자의 활동성을 향상시켜 외출복으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외출 시 환자의 의복을 갈아입혀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상의부 20: 하의부
30: 업셋지퍼 31: 개방부
40: 방수천 50: 다리고정수단
51: 절개부 52: 연결재

Claims (3)

  1. 환자의 상반신에 착용되는 상의부(10)와, 환자의 하반신에 착용되는 하의부(20)가 원피스형으로 연결된 환자복에 있어서,
    상기 상의부(10)와 하의부(20)의 앞선이 개방되어 형성된 개방부(31)를 환자의 상반신에서 하반신 방향으로 잠그기 위한 업셋업셋지퍼(30)와,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환자의 용변이나 약품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천(40)과,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에 봉제되어 상기 하의부(20)가 말려 올라가 환자의 하반신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환자의 다리에 각각 끼워지는 중공형의 다리고정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환자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고정수단(50)은, 환자의 허벅지 중간부부터 종아리 중간부까지 감싸지도록 형성되며, 환자의 다리 둘레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환자의 다리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51)의 양단이 중첩되도록 탈착하기 위한 벨크로 파스너(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환자복.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수천(40)은, 상기 하의부(20)의 내측면에 탈착 또는 부착하기 위한 방수천 벨크로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환자복.
KR1020190118565A 2019-09-26 2019-09-26 환자복 KR20210036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565A KR20210036520A (ko) 2019-09-26 2019-09-26 환자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565A KR20210036520A (ko) 2019-09-26 2019-09-26 환자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520A true KR20210036520A (ko) 2021-04-05

Family

ID=7546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565A KR20210036520A (ko) 2019-09-26 2019-09-26 환자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65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723A (ko) 2021-06-29 2023-01-05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723A (ko) 2021-06-29 2023-01-05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9584B1 (en) Apparel for individuals with limited mobility
JPH01192808A (ja) 上衣及び下衣
KR20210036520A (ko) 환자복
US20110231978A1 (en) Child restraint device
JP2007239129A (ja) 衣類
JP5237481B1 (ja) 自立支援用衣服
CA3091693C (en) Zippered garment providing selective access
JP7112721B2 (ja) パジャマ
JPS6278203A (ja) パジヤマ
KR101103745B1 (ko) 신체 보호를 위한 전신 방호 가운 및 방호 바지 가운
JPH11172509A (ja) 被服の上衣・ズボン
JP3103462U (ja) 介護用衣服
JP2015063770A (ja) 介護用衣服
CN219323193U (zh) 一种针对长期卧床失能患者的功能性服装
JP7265074B1 (ja) 被介護者用下衣
JP3965374B2 (ja) ズボン
KR102580380B1 (ko)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
JP2019123956A (ja) パジャマ
JP3044239U (ja) 介護用寝衣
KR102343489B1 (ko) 와상 환자용 환자복
JP7191359B2 (ja) パジャマ
JP7236131B2 (ja) パジャマ
JP3103617U (ja) 衣服
JP3077874U (ja) 介護用パジャマの上着及びズボン
JPH08158121A (ja) 介護用被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