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380B1 -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 - Google Patents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380B1
KR102580380B1 KR1020230012551A KR20230012551A KR102580380B1 KR 102580380 B1 KR102580380 B1 KR 102580380B1 KR 1020230012551 A KR1020230012551 A KR 1020230012551A KR 20230012551 A KR20230012551 A KR 20230012551A KR 102580380 B1 KR102580380 B1 KR 102580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patient
detachment means
upper body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2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찬
Original Assignee
최형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찬 filed Critical 최형찬
Priority to KR102023001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은,
전면 중앙부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 1상의본체(112)와 제 2상의본체(114)로 분리 가능하고, 서로 마주 보는 부위에 다수의 착탈수단이 구비되며, 후면 중앙부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 3상의본체(116)와 제 4상의본체(118)로 분리 가능하고, 서로 마주 보는 부위에 다수의 착탈수단이 구비되며, 환자의 가슴과 배를 감싸는 상의본체(110);,
일측의 오른팔부(122)와 타측의 왼팔부(124)를 포함하고, 다수의 착탈수단에 의해 상기 상의본체(110)에 대해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양팔부(120); 및
수술 부위에 대응하여 필요한 부분을 다수의 착탈수단에 의해 개방시키며, 환자가 하체에 긴 바지 형태로 입는 하의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Functional scrubs for patient}
본 발명은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가 상의를 모두 탈의하지 않고, 신체 일부만 오픈시킨 상태에서 수술이 가능하므로 수술에 따른 감염우려를 불식시키고, 환자의 인권침해 발생을 감소시키며, CT, MRI 촬영에 따른 방사선 피해를 줄이고, 저체온증 발생우려를 불식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 입원한 상태에서 환자들은 치료를 위하여 일반 의복은 착용하지 않고 별도의 환자복을 착용한 상태로 치료생활에 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환자복의 경우 주로 면재질로 이루어진 관계로 환자가 입고 치료받는 과정에서 혈액이나 기타 이물질로 오염되고, 오염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세탁하여 주기적으로 교환하여 환자에게 지금되는 실정이다.
한편, 수술이 필요한 경우 착용하는 수술복의 경우, 일부 부위를 개봉된 상태로 두고 이를 커버하기 위한 수단으로 끈타입의 연결고리를 두고 수술시에는 연결고리를 풀어서 개방시키고, 수술전에는 연결고리를 묶어서 개봉부위를 가리고 있는 실정이어서 상당한 불편이 따른다.
상기한 수술복은 보통 환자의 상체에 입는 상의(上衣)와, 하체에 입는 하의(下衣)로 구성되는 바, 상체의 특정 부위 가령, 어깨, 가슴, 배, 등을 수술하고자 할 경우 상의의 앞부분 단추를 풀고 수술을 시행하거나, 단추가 없는 경우 해당 부위를 일부 절개한 후, 수술을 시행하는 실정이다.
또한, 하체의 특정 부위 가령, 사타구니, 엉덩이등을 수술하고자 할 경우, 대개는 하의를 탈거한 후 수술을 시행하거나, 상기와 같이 해당 부위를 일부 절개한 후, 수술을 시행하는 실정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환자가 옷을 모두 탈의하고 알몸인 상태에서 신체 일부만 가리고 수술을 진행하기도 하며, 이 경우 수술에 따른 감염우려와 더불어 환자의 인권침해(특히, 여성)가 발생된다.
또한, CT, MRI 촬영에 따른 방사선 피해와 더불어 저체온증 발생우려(수술실 온도 약 20℃)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88087호(2002.09.05)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20-0001571호(2020.07.1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가 상의를 모두 탈의하지 않고, 신체 일부만 오픈시킨 상태에서 수술이 가능하므로 수술에 따른 감염우려를 불식시키고, 환자의 인권침해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T, MRI 촬영에 따른 방사선 피해를 줄이고, 저체온증 발생우려를 불식시키는 것이 가능한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면 중앙부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 1상의본체(112)와 제 2상의본체(114)로 분리 가능하고, 서로 마주 보는 부위에 다수의 착탈수단이 구비되며, 후면 중앙부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 3상의본체(116)와 제 4상의본체(118)로 분리 가능하고, 서로 마주 보는 부위에 다수의 착탈수단이 구비되며, 환자의 가슴과 배를 감싸는 상의본체(110);,
일측의 오른팔부(122)와 타측의 왼팔부(124)를 포함하고, 다수의 착탈수단에 의해 상기 상의본체(110)에 대해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양팔부(120); 및
수술 부위에 대응하여 필요한 부분을 다수의 착탈수단에 의해 개방시키며, 환자가 하체에 긴 바지 형태로 입는 하의유닛(200)을 포함하는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의유닛(200)은,
앞면 상부에 벨크로테이프(230)로 부분 탈부착되는 사각 형태의 가림부(212)가 구비된 하의본체(210)와,
다수의 착탈수단에 의해 상기 하의본체(210)에 대해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양다리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부(212)는 일단부가 상기 하의유닛(200)에 재봉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부 둘레를 따라 벨크로테이프(230)가 구비되어 이 벨크로테이프를 탈거하여 상기 가림부(212)를 부분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착탈수단은,
스냅단추(300), 벨크로테이프(velcro tape), 지퍼(zipper) 중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환자의 수술 부위(가령, 좌측 가슴)에 대응하여 착탈수단을 통해 제 1상의본체(112)와 제 2상의본체(114)를 부분적으로 개방한 후 수술하는 것이 가능하며, 종래와 달리 환자가 상의를 모두 탈의하지 않고, 신체 일부만 오픈시킨 상태에서 수술이 가능하므로 수술에 따른 감염우려를 불식시키고, 환자의 인권침해 발생을 감소시킬수 있다.
둘째, 상의본체(110) 및 하의본체(210)를 모두 입은 상태이므로 CT, MRI 촬영에 따른 방사선 피해를 줄이고, 저체온증 발생우려를 불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에 있어서의 상의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의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에 있어서의 하의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의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하의유닛의 정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하의유닛의 배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에 있어서의 상의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의유닛의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에 있어서의 하의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의유닛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하의유닛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하의유닛의 배면도이다.
우선,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은 크게 상의유닛(100)과 하의유닛(200)을 포함한다.
상의유닛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의유닛(100)은 수술이 필요한 환자가 허리 상부 즉, 상체에 입기 위한 것으로서, 환자의 가슴과 배를 감싸는 상의본체(110)와, 양팔부(120)를 포함한다.
상의본체(110)는 전면 중앙부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도 2를 참조하면,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측의 제 1상의본체(112)와 우측의 제 2상의본체(114)로 분리 가능하며, 서로 마주 보는 부위에 다수(본 발명에서는 5개)의 착탈수단이 구비된다.
이때, 착탈수단은 본 발명에서는 스냅단추(300)를 사용한 것이 나타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벨크로테이프(velcro tape) 또는 지퍼(zipper)도 가능하다.
또한, 상의본체(110)는 전면은 물론 후면 중앙부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도 3을 참조하면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측의 제 3상의본체(116)와 우측의 제 4상의본체(118)로 분리되어 전체적으로 4개의 구성을 가지며, 상의본체(110)의 후면 역시 전술한 다수의 착탈수단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환자의 수술 부위(가령, 좌측 가슴)에 대응하여 착탈수단을 통해 제 1상의본체(112)와 제 2상의본체(114)를 부분적으로 개방한 후 수술하는 것이 가능하며, 종래와 달리 환자가 상의를 모두 탈의하지 않고, 신체 일부만 오픈시킨 상태에서 수술이 가능하므로 수술에 따른 감염우려를 불식시키고, 환자의 인권침해 발생을 감소시킬수 있다.
또한, 상의본체(110)를 입은 상태이므로 CT, MRI 촬영에 따른 방사선 피해를 줄이고, 저체온증 발생우려를 불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양팔부(120)는 도 2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이 오른팔부(122), 우측이 왼팔부(124)이다. 이와 같은 양팔부(120)는 상의본체(110)에 대해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즉, 제 1~제 4상의본체(112,114,116,118)와 맞닿는 양팔부(120)의 일단부는 다수(본 발명에서는 3개)의 착탈수단에 의해 상의본체(110)에 대해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환자의 수술 부위(가령, 우측 어깨)에 대응하여 착탈수단을 통해 오른팔부(122)를 부분적으로 개방한 후 우측 어깨를 수술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환자가 상의를 탈의하지 않고, 신체 일부만 오픈시킨 상태에서 수술이 가능하다.
하의유닛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하의유닛(200)은 수술이 필요한 환자가 허리 하부 즉, 하체에 긴 바지 형태로 입기 위한 것으로서, 하의본체(210)와, 양다리부(220)를 포함한다.
이러한 하의본체(210) 및 양다리부(220)는 양측 길이방향과, 허벅지 안쪽 폭 방향, 그리고 뒷면 엉덩이쪽 길이 방향을 따라 전술한 다수의 착탈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수술 부위에 대응하여 바지의 필요한 부분을 스냅단추(300)를 통해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착탈수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스냅단추(300) 외에 벨크로테이프 또는 지퍼도 가능하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하의본체(210)의 앞면 상부에는 벨크로테이프(230)로 부분 탈부착되는 사각 형태의 가림부(212)가 구비된다. 이러한 가림부는 일단부가 하의본체(210)에 재봉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부 둘레를 따라 벨크로테이프(230)가 구비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벨크로테이프(230)를 탈거하여 가림부(212)를 부분 개방시켜서 가령, 남성 환자의 국부 수술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양다리부(220)는 좌측이 왼다리부(222), 우측이 오른다리부(224)이다. 이와 같은 양다리부(220)는 하의본체(210)에 대해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즉, 하의본체(210)와 맞닿는 양다리부(220)의 상단부는 다수(본 발명에서는 3개)의 착탈수단에 의해 하의본체(210)에 대해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하의유닛(200)은 상기한 착탈수단을 통해 환자의 수술 부위(가령, 허벅지 바깥쪽, 허벅지 안쪽, 무릎, 종아리 등)에 대응하여 개방한 후 수술하거나, 엉덩이쪽 스냅단추(300)를 탈거하여 가령 치핵절제술과 같은 항문 부위에 대한 수술이 가능하며, 종래와 달리 환자가 하의를 모두 탈의하지 않고, 신체 일부만 오픈시킨 상태에서 수술이 가능하므로 수술에 따른 감염우려를 불식시키고, 환자의 인권침해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하의본체(210)를 상태이므로 CT, MRI 촬영에 따른 방사선 피해를 줄이고, 저체온증 발생우려를 불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상의유닛 110 : 상의본체
120 : 양팔부 122 : 오른팔부
124 : 왼팔부 200 : 하의유닛
210 : 하의본체 212 : 가림부
220 : 양다리부 230 : 벨크로테이프

Claims (3)

  1. 전면 중앙부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 1상의본체(112)와 제 2상의본체(114)로 분리 가능하고, 서로 마주 보는 부위에 스냅단추(300), 벨크로테이프(velcro tape), 지퍼(zipper) 중 선택된 다수의 착탈수단이 구비되며, 후면 중앙부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 3상의본체(116)와 제 4상의본체(118)로 분리 가능하고, 서로 마주 보는 부위에 상기 착탈수단이 구비되며, 환자의 가슴과 배를 감싸는 상의본체(110);
    일측의 오른팔부(122)와 타측의 왼팔부(124)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수단에 의해 상기 상의본체(110)에 대해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양팔부(120); 및
    수술 부위에 대응하여 필요한 부분을 상기 착탈수단에 의해 개방시키며, 환자가 하체에 긴 바지 형태로 입는 하의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의유닛(200)은,
    앞면 상부에 벨크로테이프(230)로 부분 탈부착되는 사각 형태의 가림부(212)가 구비된 하의본체(210)와,
    상기 착탈수단에 의해 상기 하의본체(210)에 대해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양다리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부(212)는 일단부가 상기 하의유닛(200)에 재봉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부 둘레를 따라 벨크로테이프(230)가 구비되어 이 벨크로테이프를 탈거하여 상기 가림부(212)를 부분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
  2. 삭제
  3. 삭제
KR1020230012551A 2023-01-31 2023-01-31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 KR102580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551A KR102580380B1 (ko) 2023-01-31 2023-01-31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551A KR102580380B1 (ko) 2023-01-31 2023-01-31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380B1 true KR102580380B1 (ko) 2023-09-18

Family

ID=8819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551A KR102580380B1 (ko) 2023-01-31 2023-01-31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3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087Y1 (ko) 2002-05-24 2002-09-05 민경식 개량 환자복
KR20110126241A (ko) * 2010-05-17 2011-11-23 김길원 입히고 벗기기가 편한 기능성 환자복
KR20170017211A (ko) * 2015-08-06 2017-02-1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복
KR20200001571U (ko) 2019-01-07 2020-07-15 성지은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US20210030078A1 (en) * 2019-07-30 2021-02-04 Elle House Specialty Pants for Wheelchair Bound Pati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087Y1 (ko) 2002-05-24 2002-09-05 민경식 개량 환자복
KR20110126241A (ko) * 2010-05-17 2011-11-23 김길원 입히고 벗기기가 편한 기능성 환자복
KR20170017211A (ko) * 2015-08-06 2017-02-1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복
KR20200001571U (ko) 2019-01-07 2020-07-15 성지은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US20210030078A1 (en) * 2019-07-30 2021-02-04 Elle House Specialty Pants for Wheelchair Bound Pati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0139B2 (en) Cowl neck barrier gown with attachments
US11812797B2 (en) Clothing configurations with multiple reclosable access regions
US5097535A (en) Garment for use in health care situations
US5367710A (en) Medical gown for preserving privacy
US6484321B1 (en) Multi-purpose patient hospital gown
US9089173B2 (en) Pants and similar types with a convenient flap
US10918144B2 (en) Patient garment
US20090031464A1 (en) Restraint free garment
JP2007239129A (ja) 衣類
KR102580380B1 (ko)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
US11304462B2 (en) Medical gown
WO2015175650A1 (en) Accessible fashion wear
KR101103745B1 (ko) 신체 보호를 위한 전신 방호 가운 및 방호 바지 가운
KR20210036520A (ko) 환자복
KR102343489B1 (ko) 와상 환자용 환자복
CN214967380U (zh) 精神科多功能约束服
CN217906440U (zh) 一种连体病号服
CN217218257U (zh) 一种反穿长袍式病号服
CN214127144U (zh) 一种盆腔手术病员裤
CN215381671U (zh) 重症监护室患者专用病服
CN211510656U (zh) 一种适用于外科患者的功能性病员服
CA2507247A1 (en) Garment to be worn by a convalescent patient
CA2513005A1 (en) Medical clothing
KR101424792B1 (ko) 탈의 방지 기능을 갖는 환자용 전신보호복
JP2024000921A (ja) 被介護者用下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