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571U -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 Google Patents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571U
KR20200001571U KR2020190000061U KR20190000061U KR20200001571U KR 20200001571 U KR20200001571 U KR 20200001571U KR 2020190000061 U KR2020190000061 U KR 2020190000061U KR 20190000061 U KR20190000061 U KR 20190000061U KR 20200001571 U KR20200001571 U KR 202000015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ical
patient
disposable
suit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지은
Original Assignee
성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지은 filed Critical 성지은
Priority to KR2020190000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571U/ko
Publication of KR20200001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5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2Buttonholes; Eyelets for button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수술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회용 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수술시 착의 및 수술 후 일반 환자복으로 환복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입원 및 활동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균이 수술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수술 과정에서 환부의 감염을 미연에 방지하는 등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수술 과정에서 수술하고자 하는 환부에 대해서만 개방 노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환자로 하여금 수치심 예방과 수술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며, 또한 환자복의 상의 및 하의의 개방 위치에 따라 포장 구성함으로써, 간호사로 하여금 간편한 취급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및 그 수술복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및 그 수술복 포장체{Operating gown package and Disposable operating gown for patients}
본 고안은 일회용 수술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수술 과정에서 착의 및 수술이 가능하게 하되, 수술 과정에서 청결함을 유지하여 환부의 감염 등을 예방하기 위한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및 그 수술복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가 병원에 입원하는 경우, 환자의 활동성 과 의사나 간호사 등의 진료상의 편리함을 위해 환자복(환의)를 착용하게 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환자복은 환자로 하여금도 쉽고 간편하게 착의 및 탈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매우 간소화된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일예로 상의의 경우에는 전면이 단추 또는 매듭끈 등의 개폐 수단을 통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고, 하의의 경우는 허리 부분위 고무줄 밴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수술을 위해 입원한 환자의 경우에는 일정시간 동안 다양한 검사 등을 위한 대기시간이 소요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대기 과정에서 환자복을 미리 착의한 상태에서 검사 등을 수행하면서 대기하게 되며, 이후, 수술시 환자복을 착의한 상태에서 수술실에 입실 및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그러나, 입원 환자의 경우 수술하기 전에 식사나 화장실 등의 출입이나 채혈 등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과정에서 병원균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오염된 상태에서 수술실에 입실 및 수술을 수행하게 되면 수술 과정에서 환부가 감염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환자복을 착의한 상태에서 수술시에는 수술 과정에서는 발생하는 혈흔이나 사용되는 소독약 등이 환자복에 그대로 묻은 상태로 퇴실하게 되는 경우도 있는바, 이 또한 환부의 감염을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7-0017211호.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09-0008641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일회용 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수술시 착의 및 수술 후 일반 환자복으로 환복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입원 및 활동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균이 수술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수술 과정에서 환부의 감염을 미연에 방지하는 등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및 그 수술복 포장체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수술 과정에서 수술하고자 하는 환부에 대해서만 개방 노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환자로 하여금 수치심 예방과 수술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및 그 수술복 포장체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환자복의 상의 및 하의의 개방 위치에 따라 포장 구성함으로써, 간호사로 하여금 간편한 취급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및 그 수술복 포장체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전면은 단추 또는 매듭끈으로 된 개폐수단으로 개방되는 개폐부가 형성되어 환자의 상반시 착의가 가능한 상의와, 환자의 하반신 착의가 가능한 하의로 된 환자용 수술복에 있어서,
상의와 하의는 부직포로 된 일회용 구성하되,
상의에는,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수술시 환부의 노출이 가능하게 하는 상반신 트임부가 형성되게 구성하며,
하의에는,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수술시 환부의 노출이 가능하게 하는 하반신 트임부가 형성되게 구성하며,
상반신 트임부는,
상의의 좌측 팔부 또는 우측 팔부 또는 등판 중앙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선(線) 형태를 이루게 구성하며,
하반신 트임부는,
하의의 좌측 다리부의 외측 또는 우측 다리부의 외측 중 어느 한 곳에 선(線) 형태를 이루게 구성하며,
상반신 트임부 및 하반신 트임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부를 이루게 구성하되,
부착부는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부착되어 상반신 트임부 및 하반신 트임부를 사용시 간편하게 분리 개방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상의 또는 하의는 일회용 포장지에 멸균 포장하여 구성하되,
일회용 포장지에는,
상반신 트임부의 위치에 따라 상의와 일반 환자복 하의를 포장하거나,
하반신 트임부의 위치에 따라 하의와 일반 환자복 상의를 포장하거나,
상반신 트임부및 하반신 트임부의 위치에 따라 상의와 하의를 함께 포장하며,
일회용 포장지의 표면에는 환자복의 사이즈 및 상반신 트임부 또는 하반신 트임부의 트임 위치 구분에 따라 라벨지가 형성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및 그 수술복 포장체는, 일회용 사용이 가능한 부직포 재질로 구성된 것인바, 수술실에 입실하는 과정에서 환복한 상태에서 입실 및 수술이 가능하게 되는 등 수술에 앞서 입원중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균이 수술실오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른 수술 과정에서 환부의 감염이 방지되는 등 안전한 수술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의 양측 팔부와 등판에 선택적으로 트임부가 형성되고, 하의의 양측 다리부위에 선택적으로 트임부가 구성된 것인바, 수술 과정에서 수술복을 탈의 하지 않은 상태에서 꼭 필요한 부위만의 노출 및 수술이 가능하게 되는 등 환자로 하여금 수술부위의 청결함을 유지하여 감염률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의 전체도.
도 2는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의 상반신 트임부 실시예도.
도 3은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의 상반신 트임부 다른 실시예도.
도 4는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의 상반신 트임부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의 하반신 트임부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의 상반신 트임부 또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의 하반신 트임부 또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포장체를 나타낸 전체도.
도 9는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포장체 실시예도.
도 10은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사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 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을 살펴보면,
도 1은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의 전체도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1)은, 전면은 단추 또는 매듭끈으로 된 개폐수단으로 개방되는 개폐부(101)가 형성되어 환자의 상반시 착의가 가능한 상의(100)와, 환자의 하반신 착의가 가능한 하의(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1)은 상의(100)와 하의(200)를 비교적 저렴한 부직포재로 구성하여 일회용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의(100)와 하의(200)는 수술시 수술부위에 대하여 용이한 노출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상의(100)에는 수술시 상체 환부의 용이한 노출이 가능하도록 상반신 트임부(110)가 구성된 것으로, 상반신 트임부(110)는 상의(100)에 적어도 한 곳 이상에 구성되며, 선(線) 형태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반신 트임부(110)의 위치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먼저, (a)와 같이 좌측 팔부(102)에서 그 좌측 팔부(102)의 길이를 따라 구성하거나, (b)와 같이 우측 팔부(103)에서 그 우측 팔부(103)의 길이를 따라 구성하거나, (c)와 같이 좌,우측 팔부(102)(103)에 두모두 구성할 수 있게 되는 등 이는 환자의 상체 팔 부위 수술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반신 트임부(110)는 도 3을 참조하여 등판(106)의 중앙에서 수직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환자의 등 부위 수술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반신 트임부(110)는 도 4를 참조하여 좌,우측 팔부(102)(103)와 등판(106)에 적어도 두군데 이상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복수 위치의 구성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적용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며, 이는 환자의 상체에 대하여 복수 위치에 대한 수술이 필요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의(200)에는 수술시 하체 환부의 용이한 노출이 가능하도록 하반신 트임부(210)가 구성된 것으로, 하반신 트임부(210)는 하의(200)에 적어도 한 곳 이상에 구성되며, 선(線) 형태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하반신 트임부(210)의 위치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5를 참조하여 먼저, (a)와 같이 좌측 다리부(201) 외측에서 그 좌측 다리부(201)의 길이를 따라 구성하거나, (b)와 같이 우측 다리부(202) 외측에서 그 우측 다리부(202)의 길이를 따라 구성하거나, (c)와 같이 좌,우측 다리부(201)(202) 외측에 모두 구성할 수 있게 되는 등 이는 환자의 하체 다리 부위 수술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1)은, 수술 환자가 수술실에 입실시 수술 부위에 해당하게 수술복(1)을 착의 함으로 수술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1)을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반신 트임부(110) 및 하반신 트임부(210)에는, 수술전 환부의 보호를 위해 그 상반신 트임부(110) 및 하반신 트임부(210)의 폐쇄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하는 부착부(30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서 부착부(300)는 그 상반신 트임부(110) 및 하반신 트임부(210)에 대하여 전체적인 부착이 아닌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그 부착부(300)는 통상의 밸크로테이프(310)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부착되어 상반신 트임부(110) 및 하반신 트임부(210)를 사용시 간편하게 뜯어 개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포장체를 살펴보면,
도 8은 본 고안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포장체를 나타낸 전체도.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포장체(2)는 상기 상의(100)와 하의(200)는 비닐지로 된 일회용 포장지(10)를 이용하여 멸균 포장되어 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 일회용 포장지(10)에는 도 9를 참조하여 상의(100) 및 하의(200)의 다양한 포장이 가능한 것으로, 먼저, (a)와 같이 상반신 트임부(110)의 위치에 따라 상의(100)와 일반 환자복의 하의(도면중 미도시함)를 포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포장지(10)에는 (b)를 참조하여 하반신 트임부(210)의 위치에 따라 하의(200)와 일반 환자복의 상의(도면중 미도시함)를 포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포장지(10)에는 (c)와 같이 상반신 트임부(110) 및 하반신 트임부(210)의 위치에 따라 상의(100)와 하의(200)를 함께 포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포장되는 일회용 포장지(10)의 표면에는 환자복의 사이즈 및 상반신 트임부(110) 또는 하반신 트임부(210)의 트임 위치 구분에 따라 라벨지(11)가 형성된다.
즉, 본 고안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포장체(2)는, 상의(100) 및 하의(200)를 상반신 트임부(110) 또는 하반신 트임부(210)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포장 구성된 것인바, 수술시 환자의 환부에 따라 적절한 선택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및 그 수술복 포장체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수술을 위해 입실한 환자는 통상의 환자복을 착의한 상태에서 검사 등을 수행하게 됨은 당연할 것이며, 이후 수술을 위해 수술실에 입실시에는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1)으로 환복 입실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일회용 수술복(1)의 환복 입실은 수술실 외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균의 수술실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1)은 환자의 환부에 따라 다양하게 착의 가능한 것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일예로 상체의 좌측 팔을 수술시에는 상의(100)의 좌측 팔부(102)에 상반신 트임부(110)가 구성된 상의(100)를 선택 착의하면 된다.
즉, 간호사는 포장체(2)의 일회용 포장지(10)에 형성된 라벨지(11)를 통해 상의(100)의 좌측 팔부(102)에 상반신 트임부(110)가 형성된 상의(100)를 선택 및 환자에게 환복하게 하면 된다.
이에, 환자는 수술복(1)의 상의(100)를 착의한 상태로 수술실에 입실 및 수술을 수행하되, 그 수술시에는 좌측 팔의 수술 부위에 해당하게 형성된 상반신 트임부(110)를 개방하여 환부를 노출 및 환자의 수술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반신 트임부(110)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부착부(300)가 형성시에는 간편하게 밸크로테이프(310)를 분리하여 개방하면 될 것이다.
이후, 수술이 완료되게 되면 환자로부터 일회용 수술복(1)을 일반 환자복으로 환복시킨 상태에서 수술실을 퇴실하면 되는 것으로, 수술 과정에서 발생되는 혈흔이나 소독약 등이 묻은 수술복(1)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이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및 그 수술복 포장체는 수술 과정에서 멸균 포장된 일회용 수술복을 착의 및 수술실 입실과, 수술후 퇴실시에는 일반 환자복으로 환복 퇴실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매우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 : 수술복 2 : 포장체
10 : 일회용 포장지 11 : 라벨지
100 : 상의 101 : 개폐부
102 : 좌측 팔부 103 : 우측 팔부
106 : 등판 110 : 상반신 트임부
200 : 하의 201 : 좌측 다리부
202 : 우측 다리부 210 : 하반신 트임부
300 : 부착부

Claims (4)

  1. 전면은 단추 또는 매듭끈으로 된 개폐수단으로 개방되는 개폐부(101)가 형성되어 환자의 상반시 착의가 가능한 상의(100)와, 환자의 하반신 착의가 가능한 하의(200)로 된 환자용 수술복에 있어서,
    상의(100)와 하의(200)는 부직포로 된 일회용 구성하되,
    상의(100)에는,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수술시 환부의 노출이 가능하게 하는 상반신 트임부(110)가 형성되게 구성하며,
    하의(200)에는,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수술시 환부의 노출이 가능하게 하는 하반신 트임부(210)가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2. 제 1항에 있어서,
    상반신 트임부(110)는,
    상의(100)의 좌측 팔부(102) 또는 우측 팔부(103) 또는 등판(106) 중앙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선(線) 형태를 이루게 구성하며,
    하반신 트임부(210)는,
    하의(200)의 좌측 다리부(201)의 외측 또는 우측 다리부(202)의 외측 중 어느 한 곳에 선(線) 형태를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3. 제 1항에 있어서,
    상반신 트임부(110) 및 하반신 트임부(210)는,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부(300)를 이루게 구성하되,
    부착부(300)는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부착되어 상반신 트임부(110) 및 하반신 트임부(210)를 사용시 간편하게 분리 개방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4. 상의(100) 또는 하의(200)는 일회용 포장지(10)에 멸균 포장하여 구성하되,
    일회용 포장지(10)에는,
    상반신 트임부(110)의 위치에 따라 상의(100)와 일반 환자복 하의를 포장하거나,
    하반신 트임부(210)의 위치에 따라 하의(200)와 일반 환자복 상의를 포장하거나,
    상반신 트임부(110) 및 하반신 트임부(210)의 위치에 따라 상의(100)와 하의(200)를 함께 포장하며,
    일회용 포장지(10)의 표면에는 환자복의 사이즈 및 상반신 트임부(110) 또는 하반신 트임부(210)의 트임 위치 구분에 따라 라벨지(11)가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포장체.
KR2020190000061U 2019-01-07 2019-01-07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KR202000015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061U KR20200001571U (ko) 2019-01-07 2019-01-07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061U KR20200001571U (ko) 2019-01-07 2019-01-07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571U true KR20200001571U (ko) 2020-07-15

Family

ID=7152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061U KR20200001571U (ko) 2019-01-07 2019-01-07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57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587B1 (ko) 2023-01-27 2023-06-28 이충만 환자용 수술복 하의
KR102548585B1 (ko) 2023-01-27 2023-06-28 이충만 환자용 수술복 상의
KR102580380B1 (ko) 2023-01-31 2023-09-18 최형찬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641U (ko) 2008-02-23 2009-08-27 김정태 링거주사 투여환자의 전용 환자복
KR20170017211A (ko) 2015-08-06 2017-02-1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641U (ko) 2008-02-23 2009-08-27 김정태 링거주사 투여환자의 전용 환자복
KR20170017211A (ko) 2015-08-06 2017-02-1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587B1 (ko) 2023-01-27 2023-06-28 이충만 환자용 수술복 하의
KR102548585B1 (ko) 2023-01-27 2023-06-28 이충만 환자용 수술복 상의
KR102580380B1 (ko) 2023-01-31 2023-09-18 최형찬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98934B (zh) 净化室和类似场所穿用的工装套服
US5187815A (en) Needlestick protective glove
US8069495B2 (en) Wearable protective barrier with detachable hand and instrument covers
KR20200001571U (ko) 수술 환자용 일회용 수술복
JPH05125606A (ja) 外科用フード
JPH05125604A (ja) 保護衣
US20020162154A1 (en) Multi-purpose patient hospital gown
KR102267758B1 (ko) 의료용 가운
JP2023501076A (ja) 医療用途向け保護フード
CN210299634U (zh) 一种新型手术衣
KR200288087Y1 (ko) 개량 환자복
CN209864046U (zh) 一种一次性下肢套
JP3116212U (ja) 滅菌手術衣
US8790323B1 (en) Blood containment sleeve
CN220125151U (zh) 消毒组件
RU214621U1 (ru) Изолирующий костюм с капюшоном
CN204542405U (zh) 一次性手术用无菌四肢套
CN212488630U (zh) 一种病号服
KR102580380B1 (ko) 환자용 기능성 수술복
JP3114318U (ja) 左右両袖に切り込みを入れ、左右袖口に紐を通した病衣
CN210248489U (zh) 改良病号裤
CN210581119U (zh) 病员服
CN212728860U (zh) 一种可提供生理应急帮助的医用防护服
CN206372130U (zh) 一种适用于膝关节置换手术中的保护套
KR101261593B1 (ko) 일회용 위생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04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911

Effective date: 2020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