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196Y1 - 유아용 침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196Y1
KR200437196Y1 KR2020070000229U KR20070000229U KR200437196Y1 KR 200437196 Y1 KR200437196 Y1 KR 200437196Y1 KR 2020070000229 U KR2020070000229 U KR 2020070000229U KR 20070000229 U KR20070000229 U KR 20070000229U KR 200437196 Y1 KR200437196 Y1 KR 200437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ding
bamboo
infant
mat layer
bamboo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청구
Original Assignee
노청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청구 filed Critical 노청구
Priority to KR2020070000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1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1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47G9/0223Blan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4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with fastening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8Sleeping bags
    • A47G9/083Sleeping bags for babies and inf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닥에 까는 요에 덮는 이불이 고정되는 유아용 침구에 있어서, 상기 요는 개폐수단이 구비된 외피; 상기 외피의 내부에 수납되는 대나무 돗자리 층; 및 상기 외피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대나무 돗자리 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쿠션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의 구성으로 하는바, 요 내부에 대나무 돗자리 층이 구비되어 유아가 심하게 뒤척여도 요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대나무의 특성상 열전도율이 우수한 친환경 제품이기에 유아의 건강에 이로우며, 길이 조절용 띠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이불과 요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유아의 신체에 맞게 이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아용, 침구, 요, 이불, 길이조절, 대나무, 돗자리

Description

유아용 침구{Small child bad se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유아용 침구 110: 요
111: 외피
111a, 111c, 115a, 153: 고정부재
111b: 지퍼 113: 쿠션층
115: 대나무 돗자리 층 130: 이불
150: 길이 조절용 띠 151: 띠
155: 길이 조절용 클립
본 고안은 유아용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아의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며, 요에 고정된 이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수면 중에 몸부림을 많이 치게 되는데, 주로 몸을 좌우 로 구르며 뒤척이고 이불을 발로 차거나 손으로 걷어 내게 됨에 따라 이불을 덮지 않은 상태로 수면을 취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로 인하여 면역성이 약한 유아는 쉽게 배탈이 나거나 감기에 걸리게 되고, 심지어는 감기가 심해져 폐렴에까지 걸리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불과 요를 고정시킨 유아용 침구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0-0011290호 '유아용 침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6-0000166호 '어린이들이 잠잘 때 이불 걷어차냄 방지용 이불, 요 세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4821호 '어린이용 기능성 침구'에 개시되었는바, 유아가 수면을 취할 때 몸부림을 치더라도 이불을 덮지 않는 상태로 수면을 취하게 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아용 침구는 이불이 요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지만, 이불이 요에 고정되어 있어 유아가 몸부림을 치며 몸을 좌우로 구르게 되면 이불이 유아의 몸에 말리거나 유아의 몸에 의해 당겨져 이불과 요가 동시에 뒤집어지거나 이불이 요와 함께 반으로 접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유아는 불편한 자세로 수면을 취하게 되고, 심하게는 호흡장애를 일으켜 불상사를 유발하는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유아용 침구는 유아의 신체 크기에 따라 이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어 신체가 큰 유아의 경우에는 이불이 유아의 몸을 압박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요에 대나무 돗자리를 내장시킴으로써, 유아가 심하게 뒤척여도 요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친환경소재의 내장으로 인해 유아의 건강에도 이로운 유아용 침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요와 이불의 고정을 길이 조절용 띠로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이불과 요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유아의 신체에 맞게 이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침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유아용 침구는 바닥에 까는 요에 덮는 이불이 고정되는 유아용 침구에 있어서, 상기 요는 개폐수단이 구비된 외피; 상기 외피의 내부에 수납되는 대나무 돗자리 층; 및 상기 외피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대나무 돗자리 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쿠션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유아용 침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구(100)는 요(110), 이불(130) 및 요(110)와 이불(130)을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길이 조절용 띠(150)로 이루어진다.
먼저 바닥에 까는 요(110)는 개폐수단(111b)이 구비된 외피(111); 외피(111) 의 내부에 수납되는 대나무 돗자리 층(115); 및 외피(111)의 내부에 수납되며, 대나무 돗자리 층(115)의 상부에 위치하는 쿠션층(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개폐수단(111b)은 다양한 수단으로 달성될 수 있으나 지퍼가 바람직하며, 외피(111)는 직물재 즉, 천이 바람직하고, 쿠션층(113)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솜시트로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대나무 돗자리 층(115)은 대나무로 제작된 일반적인 돗자리로써 본 고안에서와 같이 요(110)에 삽입되는 경우 유아의 몸부림에도 요(110)가 쉽게 휘어지지 않도록 하며, 대나무의 특성상 온도전달이 탁월하고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발생되며, 은은한 향이 발산되어 유아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이용되는 대나무(bamboo)는 대나무과에 속하는 식물의 총칭이다. 줄기는 땅위줄기와 땅속줄기로 이루어지며 모두 세포벽이 목질화하여 딱딱하다.
이러한 대나무는 전세계에 40속 600여종이 있으며, 한국에는 4속 14종이 있는바, 대나무과는 크게 둘로 나뉘는데 대나무의 껍질이 죽순의 성장에 따라 아랫부분의 것부터 차례로 떨어지는 것을 대나무, 줄기의 성장 후에도 떨어지지 않는 것을 조릿대라 한다.
대나무는 종류와 양이 풍부하고, 재료를 구하기 쉽다는 점과 가공이 용이하다는 장점 때문에 건축재ㅇ가정용구ㅇ농기구ㅇ어구ㅇ악기ㅇ완구ㅇ다도구 등 여러 방면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대나무는 열전도율이 높고 약 80℃의 온도에 견디는 특성이 있으며, 열이 가해지면 다량의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렇게 방출된 원적외 선과 음이온은 사용자의 스트레스 해소와 피로회복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준다. 또한 대나무는 자체의 은은한 향이 발산되어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시켜 주어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며 편안한 휴식 및 잠자리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더하여 더운 여름의 경우 사용자에게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는 효과를 줄 수도 있다.
이러한 대나무로 만들어진 일반적인 대나무 돗자리(115)는 다수개의 조각편을 연결하여 제조하거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나무살을 연결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바와 같이 대나무 돗자리 층(115)과 쿠션층(113)은 외피(111)에 순서대로 수납되는데, 쿠션층(113)의 하측에 수납되는 대나무 돗자리 층(115)은 재질의 특성상 외피(111)의 내부에서 미끌릴 수 있는바, 대나무 돗자리 층(115)의 하면과 외피(111)의 내부 하면에 고정부재(111c)(115a)를 구비시켜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고정부재(111c)(115a)는 후크 또는 단추로 달성될 수 있으나 밸크로가 바람직하다.
다음 이불(130)은 일반적인 이불로 달성될 수 있는바, 양측에는 이불(130)을 요(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길이 조절용 띠(150)가 구비된다.
상술한 길이 조절용 띠(150)는 직물재로 이루어진 띠(151); 띠(151)의 양단에 구비되어 일 단은 요(110)에 고정시키며, 타 단은 이불(13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53); 및 고정부재(153) 사이에 구비되어 양단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용 클립(1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고정부재(153)는 후크 또는 단추로 달성될 수 있으나 밸크로가 바람직하며, 길이 조절용 클립(155)은 멜빵에 적용되는 클립으로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나무 돗자리 대신 참나무 돗자리를 이용하는 등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아용 침구는 요 내부에 대나무 돗자리 층이 구비되어 유아가 심하게 뒤척여도 요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대나무의 특성상 열전도율이 우수한 친환경 제품이기에 유아의 건강에 이로우며, 길이 조절용 띠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이불과 요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유아의 신체에 맞게 이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바닥에 까는 요(110)에 덮는 이불(130)이 고정되는 유아용 침구에 있어서,
    상기 요(110)는 개폐수단(111b)이 구비된 외피(111);
    상기 외피(111)의 내부에 수납되는 대나무 돗자리 층(115); 및
    상기 외피(111)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대나무 돗자리 층(115)의 상부에 위치하는 쿠션층(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불(130)은 다수개의 길이 조절용 띠(150)에 의해 상기 요(110)에 고정되되,
    상기 길이 조절용 띠(150)는 직물재로 이루어진 띠(151);
    상기 띠(151)의 양단에 구비되어 일 단은 요(110)에 고정시키며, 타 단은 이불(13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53); 및
    상기 고정부재(15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양단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용 클립(1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돗자리 층(115)의 하면 및 상기 외피(111)의 내부 하면에는 상기 대나무 돗자리 층(115)을 상기 외피(11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11c)(115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11b)은 지퍼이며, 상기 모든 고정부재(111c)(115a)(153)는 밸크로, 후크 또는 단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KR2020070000229U 2007-01-05 2007-01-05 유아용 침구 KR200437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229U KR200437196Y1 (ko) 2007-01-05 2007-01-05 유아용 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229U KR200437196Y1 (ko) 2007-01-05 2007-01-05 유아용 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196Y1 true KR200437196Y1 (ko) 2007-11-13

Family

ID=4163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229U KR200437196Y1 (ko) 2007-01-05 2007-01-05 유아용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1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244B1 (ko) * 2017-07-31 2019-02-08 윤영자 배가리개
KR102328674B1 (ko) * 2021-05-18 2021-11-17 박미숙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244B1 (ko) * 2017-07-31 2019-02-08 윤영자 배가리개
KR102328674B1 (ko) * 2021-05-18 2021-11-17 박미숙 치매환자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침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547B1 (ko) 3차원 메시 원단이 적용된 매트리스
KR200437196Y1 (ko) 유아용 침구
KR100930289B1 (ko) 유아 침구
KR20180002727U (ko) 탈착식 유아용 침구세트
GB2510925A (en) Bed Sheet
KR101021482B1 (ko) 다기능 이불
US10226135B2 (en) Baby and toddler care and transfer pad
US20060272094A1 (en) Safety blanket assembly
JP5377571B2 (ja) 寝袋兼担架
KR101058801B1 (ko) 필로우 탑 매트리스
KR101292237B1 (ko) 기능성 라텍스 이불
KR101289724B1 (ko) 사진인쇄물의 교체가 가능한 볼륨 이불
JP3112803U (ja) ユニット詰物体型敷布団
TWM554756U (zh) 舒適墊組
KR200408189Y1 (ko) 유아용 이불
KR20130006150U (ko) 휴대용 유아침구
CN219289099U (zh) 一种新型哺乳枕
KR20090106734A (ko) 기능성 이불
KR20010069177A (ko) 침구
KR200188512Y1 (ko) 침구
TWI649050B (zh) Comfort mat set
JPS6310776Y2 (ko)
JP3190816U (ja) 脚保温具
KR200228112Y1 (ko) 어린이용 침구
KR200389057Y1 (ko) 침구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