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9177A - 침구 - Google Patents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9177A
KR20010069177A KR1020000014808A KR20000014808A KR20010069177A KR 20010069177 A KR20010069177 A KR 20010069177A KR 1020000014808 A KR1020000014808 A KR 1020000014808A KR 20000014808 A KR20000014808 A KR 20000014808A KR 20010069177 A KR20010069177 A KR 20010069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ding
interior material
cover
ventilation
out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오
Original Assignee
유동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오 filed Critical 유동오
Priority to KR1020000014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9177A/ko
Publication of KR20010069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1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쾌적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침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침구는 보온 부재와, 보온 부재를 감싸는 외피를 포함한다. 이 외피의 일부분에는 침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침구의 외부 공간간에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통기공들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 부분을 구비하여 쾌적한 잠자리 공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침구{A BEDCLOTHES}
본 발명은 침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쾌적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불은 보온재와 외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온재는 계절에 따라 그 두께 또는 내용물을 달리하여 사용한다. 통상 겨울철에는 이불을 덮었을 때 몸의 열기가 이불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솜을 두껍게 충전하여 사용하고, 여름철에는 솜을 얇게 충전하여 사용한다.
종래에는 이불의 보온 기능만을 강조(개발)하다 보니 이불의 통풍성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처럼 종래 이불은 이불 속 취침 공간과 이불의 외부 공간 간의 통풍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해서 취침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여름에는 무더운 날씨로 인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불을 덮지 않고 취침을 하거나, 이불을 덮고 취침하더라도 몸에서 배출되는 땀과 열기로 이불 속이 후덥지근해지기 때문에 나중에는 이불을 걷어차고 취침을 하게 된다. 이런 경우 복부부분의 노출로 복부가 냉해지면서 배탈이 나게 된다.
특히, 유아(젖먹이 또는 어린 아이)의 경우 어른이 덮어준 이불 속에서 수면을 취하게 되는데, 추후 이불 속이 후덥지근하더라도 어른의 도움 없이는 이불을 젖히지 못하기 때문에, 겨드랑이 등과 같이 열과 땀이 많이 나는 신체 부분에 땀띠가 생기거나 덥고 후덥지근한 쾌적하지 못한 잠자리로 인해 숙면을 취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보온 효과는 유지하면서 통풍성을 좋게 하여 취침시 쾌적한 잠자리 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침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불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외피 120 : 통풍 부분
122 : 덮개 124 : 단추
130 : 보온 부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침구는 보온 부재와; 상기 보온 부재를 감싸는 외피를 포함한다. 상기 외피의 일부분에는 침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침구의 외부 공간 간에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통기공들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 부분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통풍 부분은 망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외피는 상기 통풍 부분을 덮는 덮개를 더 구비하되; 상기 덮개의 일단은 상기 외피에 고정되고 덮개의 타단은 상기 외피에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의 타단은 단추 또는 벨크로 화스너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보온 부재는 하절기용 내장재와 동절기용 내장재를 포함하며, 하절기용 내장재 및 동절기용 내장재, 둘 다 또는 이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절기용 내장재는 하이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절기 내장재는 양모, 목화, 깃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보온 부재는 숯 입자, 황토, 옥, 맥반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외피는 면, 혼합 섬유, 삼베, 모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망사는 합성 섬유, 삼베 또는 모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병기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불(100)은 보온 부재(130)와 상기 보온 부재(130)가 직접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세탁이나 드라이 등이 가능한 외피(11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외피(110)는 상기 보온 부재(130)를 감싸기 위하여 상피(上被;112)와 하피(下被;114)를 갖는 포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지퍼(116a)에 의해 열고 닫히는 입구(1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피(110)에는 침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160)(이하 ;취침 공간'이라 칭함. 도 4에 표현되어 있음)과 침구의 외부 공간간에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풍(通風) 부분(120)을 갖는다. 상기 통풍 부분(120)은 상기 외피(110)의 상피(112)와 하피(114)에 각각 형성된다. 이 통풍 부분(120)은 복수의 통기공들이 형성된 망사로 이루어진다. 상기 망사의 재질은 섬유 또는 삼베 또는 모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풍 부분(120)은 외피(110)에 망사를 재봉하여 형성하지 않고 직접 외피에 복수의 통기공들을 뚫어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통풍 부분(120)은 사람이 누워있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위치는 도 4에서와 같이 사람이 이불(100)을 덮었을 때 들뜨는 부위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풍 부분(120)이 그 부위에 형성되어야만 침구에 의해 형성되는 이불속 취침 공간(160)과 침구의 외부 공간간의 통기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불(100)은 상기 하피(114)의 통풍 부분(120b)과 상피(112)의 통풍 부분(120a)에 의해 공기가 통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풍 부분(120)의 형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자로 연속하여 배열하거나, 원형, 사각형, 하트 등의 다양한 형태로 당업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한편, 상기 외피(110)의 상피(112)에는 통풍 부분(120a)을 덮기 위한 덮개(1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불(110)은 상기 덮개(122)를 사용하여 상기 통풍 부분(120a)에 의해 형성된 통기 통로를 열거나 닫아 둘 수 있는 것이다. 이 덮개(122)의 일단은 상기 외피(110)에 재봉(박음질)되어 고정되며, 덮개(122)의 타단은 단추(124)(예를 들면 똑딱단추)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예컨대, 상기 덮개(122)의 타단은 지퍼나 벨크로 화스너(Velcro Fastener) 등으로 상기 외피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피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순면(유아용에 적합함) 또는 혼합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온 부재(130)는 상기 입구(116)를 통해 상기 외피(110)에 수용되며, 내피에 의해 감싸진 하절기용 내장재(132)와, 동절기용 내장재(1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기 보온 부재(130)는 하절기용 내장재(132) 및 동절기용 내장재(134) 둘 다 또는 이들 중 하나를 계절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절기용 내장재(132)는 하이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절기용 내장재(134)는 양모, 목화, 깃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보온 부재는 보온 기능을 갖는 상술한 내장재(132,134) 이외에도 공기정화, 탈취, 방부제, 제습 및 전자차 차단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는 숯 입자가 함유된 부직포(136)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피(110)속에 숯 입자가 함유된 부직포를 상기 내장재(132,134)와함께 넣으면 상기 부직포의 숯 입자가 땀이나 수분, 냄새 등을 흡수함은 물론 항균 작용 등의 효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온 부재에는 숯 성분이 함유된 부직포 이외에 황토나 옥, 맥반석, 쑥가루 등이 함유된 기능성(건강 증진) 부직포를 더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황토, 옥, 맥박선 등이 함유된 부직포에 대한 기술은 이미 공지된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구성 및 효과)은 생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구조적인 특징은 통풍 부분과 이 통풍 부분을 덮는 덮개가 구비된 외피와 하절기용과 동절기용으로 이루어진 보온 부재를 갖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불의 사용상태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이불(100)을 덮었을 때, 이불(100)과 요(140)에 의해 형성된 취침 공간(160)과 이불(100)의 외부 공간간의 통기가 상기 통풍 부분(120)을 통해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불(100)은 이불 고유 기능인 보온 효과는 유지함과 동시에 통풍성도 뛰어나 이상적인 취침 환경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여름철에는 더욱 각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무더운 여름날 상기 이불(100)을 덮고 취침을 하더라도 몸에서 배출되는 땀(습기)과 열기가 상기 하피(114)에 형성된 통풍 부분(120b)으로 유입되어 상피(112)의 통풍 부분(120a)을 통해 밖(대기중)으로 방출됨으로써, 취침 공간(잠자리 공간)(160)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이불(100)은 어른의 도움 없이는 이불을 젖히지 못하는 유아를 위한 이불로 사용할 경우 보다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불(100')은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이불(100)과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는 외피와 보온 부재를 가지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기에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불(100')은 외피(110')의 상피(112') 전면을 일반 순면이나 합성 섬유가 아닌 삼베(120')로 만들어 통풍성을 월등히 향상시킴과 함께 추운 겨울철 보온을 위해 상기 외피(110')의 상피 전면(120';삼베로 이루어진 통풍 부분)을 덮기 위한 덮개(12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이불(100')은 외피(110')의 상피 전면이 삼베로 되어 있어 첫 번째 실시예의 이불(100)에 비하여 통풍성이 월등히 뛰어나기 때문에 특히, 무더운 여름철에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겨울철에는 상기 덮개(122')로 상기 외피(110')의 상피 전면(삼베로 이루어진 통풍 부분;120')을 덮어서 사용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외피의 상피 전면에는 삼베 대신 모시를 적용하여 만들 수도 있다.
본 이불의 통풍 부분은 침대 커버, 쿠션, 방석, 담요, 베개, 침낭 등의 침구류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이불은 겹이불, 홑이불, 침대보, 누비이불, 솜을 두어 만든 핫이불(cotton padded bedclothes) 등으로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불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이불에 의하면, 보온 효과는 유지되면서 통풍성이 좋아 취침시 쾌적한 잠자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온 부재가 하절기용과 동절기용의 2중 구조로 되어 있어 계절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침구에 있어서:
    보온 부재와;
    상기 보온 부재를 감싸는 외피를 포함하되;
    상기 외피의 일부분에는 침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침구의 외부 공간 간에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통기공들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 부분을 구비하여 쾌적한 잠자리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부분은 망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상기 통풍 부분을 덮는 덮개를 더 구비하되;
    상기 덮개의 일단은 상기 외피에 고정되고 덮개의 타단은 상기 외피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타단은 단추 또는 벨크로 화스너에 의해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 부재는 하절기용 내장재와 동절기용 내장재를 포함하며, 하절기용 내장재 및 동절기용 내장재, 둘 다 또는 이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절기용 내장재는 하이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절기 내장재는 양모, 목화, 깃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 부재는 숯 입자, 황토, 옥, 맥반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면, 혼합 섬유, 삼베, 모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는 합성 섬유, 삼베, 모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KR1020000014808A 2000-03-23 2000-03-23 침구 KR20010069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808A KR20010069177A (ko) 2000-03-23 2000-03-23 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808A KR20010069177A (ko) 2000-03-23 2000-03-23 침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273U Division KR200188512Y1 (ko) 2000-01-06 2000-01-06 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177A true KR20010069177A (ko) 2001-07-23

Family

ID=1965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808A KR20010069177A (ko) 2000-03-23 2000-03-23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917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266B1 (ko) * 2007-04-06 2008-03-19 차도영 남성용 이불
KR100985709B1 (ko) * 2002-02-15 2010-10-06 세이프티 루 인코포레이티드 시트가 부착된 유아용 안전 담요
WO2019134030A1 (en) * 2018-01-05 2019-07-11 Richard Ropchan Split panel bed cover
KR102470203B1 (ko) * 2022-03-25 2022-11-25 김영식 개폐식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침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5412U (ko) * 1975-02-21 1976-08-24
KR960009856U (ko) * 1994-09-10 1996-04-12 장인혜 아동용 침낭
JPH1099177A (ja) * 1992-09-21 1998-04-21 Hiroshi Ise 一定保温掛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5412U (ko) * 1975-02-21 1976-08-24
JPH1099177A (ja) * 1992-09-21 1998-04-21 Hiroshi Ise 一定保温掛具
KR960009856U (ko) * 1994-09-10 1996-04-12 장인혜 아동용 침낭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709B1 (ko) * 2002-02-15 2010-10-06 세이프티 루 인코포레이티드 시트가 부착된 유아용 안전 담요
KR100815266B1 (ko) * 2007-04-06 2008-03-19 차도영 남성용 이불
WO2008123678A1 (en) * 2007-04-06 2008-10-16 Do Yung Cha Blanket for men
WO2019134030A1 (en) * 2018-01-05 2019-07-11 Richard Ropchan Split panel bed cover
KR102470203B1 (ko) * 2022-03-25 2022-11-25 김영식 개폐식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침구
WO2023182592A1 (ko) * 2022-03-25 2023-09-28 김영식 개폐식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침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7312C2 (ru) Покрывало
US6065164A (en) Nap mat cover
JP3619686B2 (ja) 機能可変式の布団セット
KR20010069177A (ko) 침구
JP3061360B2 (ja) エアーコントロール敷ふとんカバー
KR200188512Y1 (ko) 침구
JP2009201961A (ja) 最適な枕
CA2290164A1 (en) Mattress system with insertable inside panel
KR102345411B1 (ko) 계절 적응형 매트리스 구조체
KR20090106734A (ko) 기능성 이불
CN212591419U (zh) 一种透气效果好的化纤被
JPH0626226Y2 (ja) 掛布団
KR200331968Y1 (ko) 건강 침구
JPH052139Y2 (ko)
JP3055999U (ja) 寝具用敷布団およびその上布団
KR200150200Y1 (ko) 착용이 가능한 침구
KR200258932Y1 (ko) 유아용 양모 겉싸개
JP3042505U (ja)
JPH0527900Y2 (ko)
JP2001211980A (ja) 掛け布団
JP3061475U (ja) 羊毛皮布団
JP2003144274A (ja) 敷布団
CN2930487Y (zh) 香熏枕
JPS62224313A (ja) 寝具
JPH052789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