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200Y1 - 착용이 가능한 침구 - Google Patents

착용이 가능한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200Y1
KR200150200Y1 KR2019960015323U KR19960015323U KR200150200Y1 KR 200150200 Y1 KR200150200 Y1 KR 200150200Y1 KR 2019960015323 U KR2019960015323 U KR 2019960015323U KR 19960015323 U KR19960015323 U KR 19960015323U KR 200150200 Y1 KR200150200 Y1 KR 200150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ding
fastener
opening
head
sl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5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567U (ko
Inventor
임춘길
Original Assignee
임춘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춘길 filed Critical 임춘길
Priority to KR2019960015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200Y1/ko
Publication of KR9800005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5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2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8Sleeping bags
    • A47G9/083Sleeping bags for babies and infa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깔개와 덮개를 일체로 하여 체결구를 사용하여 벗겨지지 않도록 사용자의 신체를 기준하여 의복류와 마찬가지로 입을 수 있도록 한 착용이 가능한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섬유나 합성섬유의 직조물 또는 이들의 혼방으로 된 직물의 양단을 서로 인접하게 하여 원통형의 몸체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직물의 양단부 면접부 전부 또는 일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체결구를 취부시키며, 상기 원통형의 몸체부의 상단에 머리와 양팔이 돌출이 가능하도록 개구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개구부들 중 머리가 돌출되는 개구부에 베개를 체결구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취부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취침 중에 심하게 몸을 움직인다 하더라도 항상 침구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양호한 통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숙면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편안하고 쾌적한 취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용이 가능한 침구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착용이 가능한 침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되어진 침구의 몸체부 상단의 개구부들 중 머리가 돌출되어지는 개구부에 베개가 체결구에 의하여 착탈이 가능하게 취부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침구 4 : 몸체부
6 : 개구부 8 : 체결구
10 : 베개
본 고안은 착용이 가능한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깔개와 덮개를 일체로 하여 체결구를 사용하여 벗겨지지 않도록 사용자의 신체를 기준하여 의복류와 마찬가지로 입을 수 있도록 한 착용이 가능한 침구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정상적인 생활을 위한 세가지 기본적인 요소를 흔히 의, 식, 주의 3요소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사람이 정상적이고,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면서 동시에 사회생활을 정상적으로 수행해나갈 수 있도록 함에 필수적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중 주거생활에 있어서는 모든 다른 새활들의 기본이 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외기로부터 주거자를 편안하고, 그리고 쾌적하게 보호하여 그 내부에서 수면을 포함한 휴식과 식사 등의 많은 부분을 영위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장소를 제공하며, 특히 수면을 포함하는 휴식은 주거자의 건강한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것이다.
원만한 수면을 위하여는 흔히 주거지의 내부를 일정한 온도 및 환경으로 유지하고, 그 내부에서 인체의 수면 중의 보온 등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덮개(흔히 '이불'이라고 함)와 깔개(흔히 '요'라고 함) 및 인체의 머리부분을 받쳐주어 원활한 수면을 유도하도록 하는 베개 등의 침구를 사용하여 수면을 취하게 된다. 이는 동양권의 온돌문화에서나 또는 서양권의 침대문화에서를 불문하고 공통적으로 갖추어지는 것들로서, 편안하고 쾌적한 수면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데 필수적인 것들이라 할 수 있다.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어지는 주거지 내에서의 상기와 같은 침구의 사용은 보온의 기능이 절대적이지 않기는 하나, 수면 중에 수시로 변할 수 있는 체온과 주거지 내의 기온 등의 변화로 인하여 이들 침구를 사용치 않는 경우 국부적인 체온의 저하 등으로 인체에 부조화를 일으켜 병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곤 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는 흔히 정상적인 수면후의 복통을 호소하는 어린이 등의 경우에서 볼 수 있는데 수면 도중 덮개로부터 빠져나와 맨몸이나 잠옷 등 만을 걸친 상태에서 수면을 취하다가 기온과 체온 등의 일시적인 저하 등으로 인체에 부조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침구 중에서 여행 중의 수면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어지는 것으로서 '침낭'이라 불리우는 야외용 침구가 있기는 하나, 이는 주로 주거지가 아닌 야외에서 노숙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침구로서 주로 야외에서 수면이 필요한 경우에 보온성만을 중심으로 개발되어진 것으로서, 머리부분을 제외한 신체의 모든 부분을 침낭 속에 넣고 수면을 취하도록 되어 있어 비록 야외에서도 효과적인 보온이 이루어지기는 하나, 효과적인 보온을 위하여 통기성을 무시하고 거의 완전히 밀폐되어진 구조를 하고 있어 극히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쾌적하고 편안한 수면을 가능하게 하지는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국내 공개실용실안공보 공개번호 96-30298호에는 요와 이불이 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요와 이불의 좌우와 윗부분을 결합하여 자면서도 요와 이불에서 몸이 이탈하지 않아 체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보온침구를 기술하고 있으나, 베개 등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한 보온 등이 이루어지는 주거지 내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인체에 직접 착용이 가능한 침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착용이 가능한 침구는, 천연섬유나 합성섬유의 직조물 또는 이들의 혼방으로 된 직물의 양단을 서로 인접하게 하여 원통형의 몸체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직물의 양단의 면접부 전부 또는 일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체결부를 취부시키며, 상기 원통형의 몸체부의 상단에 머리와 양팔이 돌출이 가능하도록 개구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개구부들 중 머리가 돌출되는 개구부에 베개플 체결구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취부시켜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착용이 가능한 침구는 천연섬유나 합성섬유의 직조물 또는 이들의 혼방으로 된 직물의 양단을 서로 인접하게 하여 원통형의 몸체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직물의 양단을 서로 인접하게 하여 원통형의 몸체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직물의 양단의 면접부 전부 또는 일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체결구를 취부시키며, 상기 원통형의 몸체부의 상단에 머리와 양팔이 돌출이 가능하도록 개구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개구부들 중 머리가 돌출되는 개구부에 베개를 체결구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취부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직물이라 함은 덮개나 깔개와 같은 종래의 침구들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들은 물론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어지는 것들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알려진 것들임은 자명한 것이다. 직물에는 통상 면이나 마, 견 등의 천연섬유로 된 것들과,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의 합성섬유로 된 것들 및 천연섬유들과 합성섬유들을 혼합하여서 된 혼방들 중에서 적절한 보온성과 통기성을 갖는 소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체결구(8)라 함은 단추와 단추구멍의 체결을 사용하는 단추수단, 반복하여 접착 및 탈착이 가능한 접착테이프, 압입방식에 의하여 반복적인 암, 수 한 쌍의 압입단추 및 지퍼 등의 통상 널리 사용되어지는 체결구(8)들을 일컫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이들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본 고안은 이러한 체결구(8)에 의하여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직물지를 원통형으로 하여 형성되어진 몸체부(4)는 실질적으로 그 내부에로 사용자의 동체가 전체적으로 들어가서 보온되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 몸체부(4)는 종래의 침구에서의 덮개와 깔개의 기능을 모두 합한 기능을 그대로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취침시에는 몸을 움직여도 항상 종래의 침구에서의 덮개로 덮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4)내로 들어가기 위하여는 원통형의 몸체부(4)의 일측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개폐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체결구(8)를 개방시켜 이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4)내로 몸을 집어 넣고, 상기 체결구(8)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폐쇄시켜서 취침에 적절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취침중에 몸을 심하게 움직인다 하여도 상기 체결구(8)를 재개방시키기 전에는 상기 몸체부(4)내로 들어간 사용자의 몸이 다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4)의 상단에 형성되어지는 상기 개구부(6)에는 사용자가 침구(2)를 사용함에 있어 자유로운 호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침구(2)로부터 머리부분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취침 중에 침구(2)에 의하여 속박감을 느끼지 안도록 하기 위하여 양팔 역시 상기 침구(2)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은 모두 상기 원통형의 몸체부(4)의 상단 일부를 부분적으로봉합하여 봉합되지 않은 부분이 개구부(6)가 되도록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원통형의 몸체부(4)의 하단은 바느질 등에 의하여 밀봉시킨 상태로 하거나 또는 밀봉시키지 않은 채로 개방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양호한 통기성과 침구(2)에 의한 속박감의 감소를 위하여는 밀봉하지 않은 채로 개방된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개(10)는 몸체부(4) 상단에 개구부(6)들 중 머리가 돌출되어지는 개구부(6)에 통상의 체결구(8)에 의하여 착탈이 가능하게 취부되어 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 머리받침(10)은 통상 "베개"라 불리우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누워있는 바닥으로부터 머리를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 편안한 취침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역시 종래의 침구에서 널리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선택적으로 상기 몸체부(4)의 상단 특히, 머리가 돌출되어지는 개구부(6)에 연이어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 따른 착용이 가능한 침구는 취침 전에 침구(2)의 몸체부(4)에 형성된 체결구(8)의 일부를 개방시켜 사용자가 자신의 몸을 직접 몸체부(4)가 감싸도록 한 후, 상기 체결구(8)의 전부 또는 일부를 체결하여 취침 중에 심하게 몸을 움직인다 하더라도 항상 침구(2)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침 중에 변할 수 있는 체온이나 주변 기온의 감소로 인한 신체의 부조화 등을 예방하고, 몸체부(4)의 적어도 3곳 이상에 개구부(6)를 형성시켜 비록 본 고안에 따른 침구(2)를 착용한 채로 취침한다 하여도 심한 구속감 등을 느끼지 않으며, 양호한 통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숙면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편안하고 쾌적한 취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특히 유아나 어린이 등과 같이 취침시에 부주의하게 덮개등을 밀어버리거나 또는 심하게 몸을 뒤척여서 이불로부터 몸이 빠져나가는 경우가 빈발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

  1. 천연섬유나 합성섬유의 직조물 또는 이들의 혼방으로 된 직물의 양단을 서로 인접하게 하여 원통형의 몸체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직물의 양단의 면접부 전부 또는 일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체결부를 취부시키며, 상기 원통형의 몸체부의 상단에 머리와 양팔이 돌출이 가능하도록 개구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개구부들 중 머리가 돌출되어지는 개구부에 베개를 체결구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취부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침구.
KR2019960015323U 1996-06-10 1996-06-10 착용이 가능한 침구 KR200150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323U KR200150200Y1 (ko) 1996-06-10 1996-06-10 착용이 가능한 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323U KR200150200Y1 (ko) 1996-06-10 1996-06-10 착용이 가능한 침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567U KR980000567U (ko) 1998-03-30
KR200150200Y1 true KR200150200Y1 (ko) 1999-07-01

Family

ID=19458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5323U KR200150200Y1 (ko) 1996-06-10 1996-06-10 착용이 가능한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2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567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3886A (en) Baby blanket
US6065164A (en) Nap mat cover
US3857124A (en) Bedclothes
US6219847B1 (en) Cocoon garment
US20030106152A1 (en) Covering
US20210169247A1 (en) Pocket sheet, also convertible into a simplified duvet cover
US4811429A (en) Unitary sleepwear
WO2011146982A1 (en) A blanket or duvet enclosing cover
KR200150200Y1 (ko) 착용이 가능한 침구
US2586961A (en) Infant's sleeping garment and cover
AU665995B2 (en) Fitted bed covering
JPH0670834A (ja) 寝具用肩口保温装置
CN219661367U (zh) 一种多功能被套
WO1995028862A1 (en) A bed cover
JPH077821Y2 (ja) ふとんカバ−
KR102345411B1 (ko) 계절 적응형 매트리스 구조체
KR20090106734A (ko) 기능성 이불
KR20010069177A (ko) 침구
KR200241275Y1 (ko) 어린이용이불.
JPH0522135Y2 (ko)
JPH105101A (ja) 寝 袋
KR200188512Y1 (ko) 침구
JPH0527900Y2 (ko)
JP3033251U (ja) 足温用敷パット
JPH05213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