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036B1 -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 - Google Patents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036B1
KR102292036B1 KR1020200138261A KR20200138261A KR102292036B1 KR 102292036 B1 KR102292036 B1 KR 102292036B1 KR 1020200138261 A KR1020200138261 A KR 1020200138261A KR 20200138261 A KR20200138261 A KR 20200138261A KR 102292036 B1 KR102292036 B1 KR 102292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accommodated
opening
endotheliu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
Original Assignee
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 filed Critical 김수
Priority to KR1020200138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036B1/ko
Priority to PCT/KR2021/014074 priority patent/WO202208602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2Siz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를 완전히 덮는 크기로 형성된 외피(10); 외피(10)의 내면과 이격되어 공간부(201)가 형성되도록 외피(10)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재봉되며, 공간부(201)로 양팔이 각각 투입되도록 양측에 투입공(202)이 형성되고, 일측에 제1개폐수단(203a)을 구비한 제1개구부(203)가 형성된 내피(20); 내피(20)의 내면에 부착되며, 제1투입구(301a)가 구비된 제1수납부(301)가 형성된 수납체(30); 제1수납부(301)에 수납되는 제1쿠션(401);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불 내부에 쿠션의 선택적인 수납이 가능케 됨과 동시에, 이불을 덮은 사용자의 양팔이 이불 내부로 투입되어 이불에 덮인 상태에서도 이불 내부의 쿠션이 수납된 수납체를 안고 편안한 수면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숙면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면 중 사용자가 쿠션을 안고 뒤척이더라도 이불이 걷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Functional futon that cushion is stored in}
본 발명은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불 내부의 수납체에 쿠션을 수납 가능케 하고, 사용자의 양팔이 이불 내부로 투입되어 쿠션이 수납된 수납체를 안을 수 있게 함으로써 포근하고 편안한 수면 자세의 유지가 용이하게 한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에 관한 것이다.
바쁜 현대 사회에서 적은 시간의 수면으로도 충분한 숙면을 취하기 위한 수면의 질 향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침구 등 관련 상품에 대한 개발과 출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바디필로우(또는 롱-쿠션)’라 불리는 전신 베개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바디필로우는 머리뿐만 아니라, 팔, 다리를 비롯하여 온몸을 기댈 수 있는 원통형으로 된 길이가 긴 쿠션을 말한다.
이러한 바디필로우는 옆으로 누운 자세를 선호하는 사용자들이 잠을 잘 때, 편안한 수면 자세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뿐만 아니라, 몸을 가누기 힘든 임신부에게 특히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바디필로우는 수면 중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게 되는데, 혼자서 잠을 잘 때 바디필로우를 사용하면 외로움을 덜 타게 되어 심리적으로 편안해 짐으로써 숙면을 취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런데 바디필로우를 사용하면 이불을 덮을 때 불편함이 있다.
즉, 일반적으로 바디필로우는 양팔로 감아서 끌어안은 것처럼 사용하게 되는데, 바디필로우를 안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면 중 뒤척이면 사용자가 덮은 이불이 바디필로우에 감기거나, 밀려나면서 사용자의 몸에서 멀어져 사용자의 몸을 보온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감기에 걸리는 사례가 빈번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바디필로우는 대부분 그 형상이 상단부와 하단부의 직경이 동일한 소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일부 사용자의 경우에 바디필로우를 양팔로 껴안은 수면 자세를 취할 때,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복부가 바디필로우에 과도하게 밀착되면서 복부에 압박됨으로써 불편감을 유발하는 단점도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16039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불 내부의 수납체에 쿠션을 수납 가능케 하고, 사용자의 양팔이 이불 내부로 투입되어 쿠션이 수납된 수납체를 안을 수 있게 한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쿠션을 이불 내부에 상하 소정 간격으로 수납 가능케 한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불 내부에 발열수단이 수납 가능케 한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은,
인체를 완전히 덮는 크기로 형성된 외피(10);
상기 외피(10)의 내면과 이격되어 공간부(201)가 형성되도록 외피(10)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재봉되며, 공간부(201)로 양팔이 각각 투입되도록 양측에 투입공(202)이 형성되고, 일측에 제1개폐수단(203a)을 구비한 제1개구부(203)가 형성된 내피(20);
상기 내피(20)의 내면에 부착되며, 제1투입구(301a)가 구비된 제1수납부(301)가 형성된 수납체(30);
상기 제1수납부(301)에 수납되는 제1쿠션(401); 을 포함한다.
상기 외피(10)는,
상기 투입공(202)과 연통되는 관통공(101)이 더 구비되어, 투입공(202)으로 투입된 양팔이 관통공(101)을 통과하여 외피(10)의 외부에서 교차하면서 제1쿠션(401)이 수납된 수납체(30)를 감싸 안을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공(202)은, 투입공(202)으로 투입되는 양팔을 감싸는 커버링수단(204); 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체는,
제2투입구(302a)가 형성되어 제2쿠션(402)이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납되도록 제1수납부(301)의 하측에 형성된 제2수납부(302);
상기 제1수납부(301)와 제2수납부(302)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30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납부(301)와 연결부(303)는 가장자리가 내피(20)의 내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수납부(302)는, 가장자리가 내피(20) 내면과 이격되도록 제2수납부(302)의 내측면 중앙부가 내피(20)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투입구(301a)에는 제3개폐수단(301b)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투입구(302a)에는 제4개폐수단(302b)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체(30)는 발열수단(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수단(50)은,
상기 제1수납부(301)의 내부에 형성된 포켓부(501);
상기 포켓부(501) 내부에 수납되어 발열되는 발열체(5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불 내부에 쿠션의 선택적인 수납이 가능케 됨과 동시에, 이불을 덮은 사용자의 양팔이 이불 내부로 투입 가능케 됨으로써, 사용자가 이불을 덮은 상태에서도 이불 내부의 쿠션이 수납된 수납체를 안고 편안한 수면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불 내부의 쿠션이 수납된 수납체를 안은 상태에서 이불의 내피가 수납체와 사용자의 몸 사이에 고정되기 때문에 수면 중 쿠션을 안고 뒤척이더라도 이불이 사용자의 몸에서 멀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보온 유지가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수납부를 구비하여 복수의 쿠션을 상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수납 가능케 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쿠션의 복부 압박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열수단을 일부 내부에 수납 가능케 됨으로써 발열수단을 이용해 보온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통공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링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수납부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수납부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열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은 쿠션을 이불 내부에 수납 가능케 하고, 이불을 덮은 사용자의 양팔이 이불 내부로 투입되어 이불 내부의 쿠션이 수납된 수납체를 안고 편안하고 안락한 수면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외피(10), 내피(20), 수납체(30), 제1쿠션(401)을 포함한다.
상기 외피(10)는 인체를 완전히 덮는 크기로 형성되되, 형상은 한정하지 않으나 통상의 이불과 같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피(10)는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유아동용, 청소년용, 성인용으로 구분하여 각 연령층의 평균 신체 지수를 고려하여 표준화된 몇 가지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외피(10)는 보온성 향상을 충진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충진부재의 구비를 위하여 외피(10)는 제1원단과 제2원단으로 구성되되, 제1원단과 제2원단 사이에 충진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원단과 제2원단은 서로 동일한 소재로 된 것을 사용하거나, 서로 다른 소재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충진부재는 천연솜, 합성솜, 양모, 오리털, 거위털 등과 같이 침구류에 주로 사용되는 다양한 충진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충진부재의 고정을 위하여 제1원단과 제2원단은 가로세로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누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내피(20)는 외피(10)의 내면과 이격되어 공간부(201)가 형성되도록 외피(10)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재봉되며, 공간부(201)로 양팔이 각각 투입되도록 복수의 투입공(202)이 형성되고, 일측에 제1개폐수단(203a)을 구비한 제1개구부(203)가 형성된다.
따라서 투입공(202)을 통해 양팔을 각각 투입하면, 양팔이 외피(10)와 내피(20) 사이의 공간부(201)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투입공(202)은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곡선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투입공(202)의 길이는 30 내지 40㎝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로 형성되는 투입공(202) 간의 간격은 40 내지 70㎝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불의 규격을 유아동용, 청소년용, 성인용으로 구분하여 제작하는 경우에는 각 연령층의 평균 신체 지수를 고려하여 투입공(202)의 길이 및 간격이 조절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내피(20) 일측에는 제1쿠션(401)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하여 제1개폐수단(203a)을 구비한 제1개구부(203)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개구부(203)는 내피(20)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제1개구부(203)는 내피(20)의 상단부 가장자리나, 측면 가장자리에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되거나, 내피(20)의 일측 단부에서 외피(10)와 접하게 형성되거나, 내피(20)의 일측에 소정 곡률의 호형으로 형성되거나, 더 바람직하게는 내피의 일측에 다중으로 꺾인 직선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개구부(203)를 통해 수납체(30)의 내부에 수납될 제1쿠션(401)을 투입하거나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제1개폐수단(203a)은 제1개구부(203)의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도록 침구류에 주로 사용되는 단추, 스냅단추, 슬라이드파스너(지퍼), 밸크로파스너, 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피(20)는 단일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내피(20)는 극세사 원단과 같이 침구류에 주로 사용되는 촉감이 부드럽고 보온성이 우수한 원단을 사용함으로써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내피(20)는 망사원단을 사용함으로써 인체와 직접 접촉되는 내피(20)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피(10)와 내피(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201)에 피부 각질 등의 오염 물질이 누적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세탁성 향상을 통해 공간부(201)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내피(20)는 보온성 유지를 위하여 충진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충진부재의 구비를 위하여 내피(20)는 제3원단과 제4원단으로 구성되되, 제3원단과 제4원단 사이에 충진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3원단과 제4원단은 서로 동일한 소재로 된 것을 사용하거나, 서로 다른 소재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충진부재는 천연솜, 합성솜, 양모, 오리털, 거위털 등과 같이 침구류에 주로 사용되는 다양한 충진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충진부재의 고정을 위하여 제3원단과 제4원단은 가로세로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누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납체(30)는 내피(20)의 내면에 부착되되, 제1쿠션(401)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제1투입구(301a)가 구비된 제1수납부(301)가 형성된다.
이때, 수납체(30)는 가장자리 전체가 내피(20)의 내면에 부착되거나, 가장자리 일부분만 내피(20)의 내면에 부착되고, 내피(20)의 내면에 부착되지 않은 수납체(30)의 나머지 부분은 내피(20)와 이격되게 할 수 있다.
수납체(30)를 내피(20)에 부착할 때는 재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납체(30)를 내피(20)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부착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착수단은 침구류에 주로 사용되는 단추, 스냅단추, 슬라이드파스너(지퍼), 밸크로파스너, 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제1수납부(301)는 일측에 제1투입구(301a)가 형성되어 제1쿠션(401)이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수납부(301)는 사용자의 상반신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제1쿠션(401)이 수납된 제1수납부(301)를 사용자가 양팔로 안았을 때 사용자의 가슴과 배 부분을 따뜻하고 포근하게 감쌀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쿠션(401)은 제1수납부(301)에 수납된다.
이때 제1쿠션(401)은 제1수납부(301)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제1쿠션(401)은 침구 제품에 주로 사용되는 라텍스, 메모리폼, 스펀지 등의 발포성형체로 형성되거나, 직물지로 커버 내부에 천연솜이나 합성솜, 천연 곡물이나 합성수지 펠릿 등이 충진되거나, 기밀성 커버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과 같이 된 본 발명은 이불 내부에 제1쿠션(401)의 선택적인 수납이 가능케 됨과 동시에, 이불을 덮은 사용자의 양팔이 이불 내부로 투입 가능케 됨으로써, 사용자가 이불을 덮은 상태에서도 이불 내부의 제1쿠션(401)이 수납된 수납체(30)를 안고 편안한 수면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불 내부의 제1쿠션(401)이 수납된 수납체(30)를 안은 상태에서 이불의 내피가 수납체(30)와 사용자의 몸 사이에 고정되기 때문에 수면 중 제1쿠션(401)을 안고 뒤척이더라도 이불이 사용자의 몸에서 멀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보온 유지가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통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외피(10)는 관통공(10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01)은 내피(20)에 형성되는 투입공(202)과 연통하도록 투입공(202)과 동일한 형상, 크기 및 간격으로 외피(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사용자가 잠을 잘 때, 수납체(30)의 수납부(301)에 쿠션을 수납한 상태에서 이불을 덮고, 양팔을 투입공(202)으로 투입한 후 양팔을 관통공(101)을 통해 외피 밖으로 배출하여 외피(10)의 외부에서 교차하면서 쿠션이 수납된 수납체(30)를 감싸 안으면, 외피(10), 내피(20) 및 쿠션이 수납된 수납체(30)가 한꺼번에 사용자의 품에 안기게 되어 편안한 수면 자세 유지가 용이함은 물론, 수면 중 쿠션을 안고 뒤척이더라도 이불이 사용자의 몸에서 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링수단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투입공(202)은, 커버링수단(20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커버링수단(204)은 투입공(202)을 가리는 덮개 형태가 되도록 삼면이 재봉되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투입공(202)으로 양팔을 각각 투입하고자 할 때, 투입공(202)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투입공(202)을 양팔을 투입하지 않을 때는 커버링수단(204)이 투입공(202)을 덮어줌으로써 이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투입공(202)이 벌어진 상태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걸리적거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커버링수단(204)에 탄성을 가진 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링수단(204)이 투입공(202)으로 투입되는 양팔을 밀착하면서 감싸기 때문에 보온성 저하가 방지될 뿐만 아니라, 수면 중 양팔이 투입공(202)에서 쉽게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커버링수단(204) 내부에는 투입공(20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수단(204a)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개폐수단(204a)은 슬라이드파스너(지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투입공(202)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2개폐수단(204a)을 이용해 투입공(202)을 폐쇄함으로써 이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투입공(202)으로 인한 걸리적거림이나 불편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수납부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수납부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납체는 제2쿠션(402)이 수납되는 제2수납부(30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제2수납부(302)는 제2투입구(302a)가 형성되어 제2쿠션(402)이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납되도록 제1수납부(301)의 하측에 형성된다.
이때, 제2수납부(302)는 제1수납부(301)보다 폭이 좁고, 길이는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쿠션(402)은 제2수납부(302)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제2쿠션(402)은 침구 제품에 주로 사용되는 라텍스, 메모리폼, 스펀지 등의 발포성형체로 형성되거나, 직물지로 커버 내부에 천연솜이나 합성솜, 천연 곡물이나 합성수지 펠릿 등이 충진되거나, 기밀성 커버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제2쿠션(402)이 수납된 제2수납부(302)를 사용자가 다리 사이에 끼웠을 때 관절의 부담 없이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체는 제1수납부(301)와 제2수납부(302)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30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03)는 제1수납부(301)와 제2수납부(302) 간을 연결하도록 제1수납부(301) 및 제2수납부(302)와 일체로 형성되되, 연결부(303)에는 내부 충진물이나 쿠션이 없이 납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수납부(301)와 연결부(303)는 가장자리가 내피(20)의 내면에 부착되고, 제2수납부(302)는, 가장자리가 내피(20) 내면과 이격되도록 제2수납부(302)의 내측면 중앙부가 내피(20)의 내면에 부착되되, 세로 방향으로 길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제2수납부(302)의 내측면 중앙부가 내피(20)의 내면에 부착할 때에는 재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침구류에 주로 사용되는 단추, 스냅단추, 슬라이드파스너(지퍼), 밸크로파스너, 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탈부착 가능케 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수납부(301)를 양팔로 안고, 제2수납부(302)를 양다리로 감싸는 수면 자세를 취할 때, 납작하게 형성된 연결부(303)는 인체와 이격되면서 인체에 밀착되거나 압박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형과 관계없이 편안한 수면 자세의 유지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제2수납부(302)를 양다리로 감싸는 수면 자세를 취할 때, 제2수납부(302)의 가장자리가 내피(20) 내면 간에 이격된 부분으로 사용자의 양다리가 투입되면서 양다리로 제2수납부(302)를 더욱 편안하게 감쌀 수 있게 됨으로써 더욱 편안한 수면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투입구(301a)에는 제3개폐수단(301b)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개폐수단(301b)은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도록 침구류에 주로 사용되는 단추, 스냅단추, 슬라이드파스너(지퍼), 밸크로파스너, 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투입구(302a)에는 제4개폐수단(302b)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개폐수단(302b)은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도록 침구류에 주로 사용되는 단추, 스냅단추, 슬라이드파스너(지퍼), 밸크로파스너, 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열수단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납체(30)는 발열수단(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열수단(50)은 포켓부(501), 발열체(502)를 포함한다.
상기 포켓부(501)는 제1수납부(301)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발열체(502)는 포켓부(501)에 수납되어 발열된다.
즉, 발열체(502)를 포켓부(501)에 수납하고자 할 때는 제1수납부(301)의 제1투입구(301a)를 통해 투입 및 배출이 가능케 된다.
이때, 발열체(502)는 반복적인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여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해 발열이 이루어지는 무선발열체(50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수납체(30)에 발열수단(50)이 더 구비됨으로써 이불을 덮은 상태로 쿠션을 안은 사용자의 인체는 쿠션에 의한 안락함과 포근함을 느끼게 됨과 동시에, 발열수단(50)의 발열에 의해 더욱 따뜻한 보온이 가능케 됨으로써 기온이 낮은 장소나 환경에서도 편안하고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열수단(50)에 의한 온열 기능을 통해 인체의 혈류를 개선하여 장 활동을 돕고, 여성의 생리통을 완화하는 등 건강에 유익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외피 101: 관통공
20: 내피 201: 공간부
202: 투입공 203: 제1개구부
203a: 제1개폐수단 204: 커버링수단
204a: 제2개폐수단 30: 수납체
301: 제1수납부 301a: 제1투입구
301b: 제3개폐수단 302: 제2수납부
302a: 제2투입구 302b: 제4개폐수단
303: 연결부 401: 제1쿠션
402: 제2쿠션 50: 발열수단
501: 포켓부 502: 발열체

Claims (6)

  1. 인체를 완전히 덮는 크기로 형성된 외피(10);
    상기 외피(10)의 내면과 이격되어 공간부(201)가 형성되도록 외피(10)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재봉되며, 공간부(201)로 양팔이 각각 투입되도록 양측에 투입공(202)이 형성되고, 제1개폐수단(203a)을 구비하여 외피(10)와 접하게 측면 단부에 제1개구부(203)가 형성된 내피(20);
    상기 양측 투입공(202)의 사이에 위치하게 내피(20)의 내면에 부착되며, 제1투입구(301a)가 구비된 제1수납부(301)가 형성된 수납체(30);
    상기 제1수납부(301)에 수납되는 제1쿠션(401); 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공(202)에는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제2개폐수단(204a);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투입구(301a)에는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제3개폐수단(301b);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
  2. 삭제
  3. 인체를 완전히 덮는 크기로 형성된 외피(10);
    상기 외피(10)의 내면과 이격되어 공간부(201)가 형성되도록 외피(10)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재봉되며, 공간부(201)로 양팔이 각각 투입되도록 양측에 투입공(202)이 형성되고, 일측에 제1개폐수단(203a)을 구비한 제1개구부(203)가 형성된 내피(20);
    상기 내피(20)의 내면에 부착되며, 제1투입구(301a)가 구비된 제1수납부(301)가 형성된 수납체(30);
    상기 제1수납부(301)에 수납되는 제1쿠션(401); 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체는,
    제2투입구(302a)가 형성되어 제2쿠션(402)이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납되도록 제1수납부(301)의 하측에 형성된 제2수납부(302);
    상기 제1수납부(301)와 제2수납부(302)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30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입구(301a)에는 제3개폐수단(301b)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투입구(302a)에는 제4개폐수단(302b)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부(301)와 연결부(303)는 가장자리가 내피(20)의 내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수납부(302)는, 가장자리가 내피(20) 내면과 이격되도록 제2수납부(302)의 내측면 중앙부가 내피(20)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
  6. 삭제
KR1020200138261A 2020-10-23 2020-10-23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 KR102292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61A KR102292036B1 (ko) 2020-10-23 2020-10-23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
PCT/KR2021/014074 WO2022086027A1 (ko) 2020-10-23 2021-10-13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61A KR102292036B1 (ko) 2020-10-23 2020-10-23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036B1 true KR102292036B1 (ko) 2021-08-23

Family

ID=77499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261A KR102292036B1 (ko) 2020-10-23 2020-10-23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2036B1 (ko)
WO (1) WO20220860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6027A1 (ko) * 2020-10-23 2022-04-28 김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039A (ko) 2001-08-20 2003-02-26 이경회 다기능 전신건강 베개
KR101021482B1 (ko) * 2010-09-16 2011-03-16 전대복 다기능 이불
KR101558514B1 (ko) * 2015-03-19 2015-10-13 유지선 발열 담요
US20150366382A1 (en) * 2013-06-25 2015-12-24 Ilia Annette Ostolaza-Torres Multifunctional Decorative Pillow Blanket Body Cover
KR20180100900A (ko) * 2017-03-02 2018-09-12 주식회사 스칸디맘코리아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영유아용 이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605U (ja) * 1992-09-18 1994-04-12 節子 室橋 枕付き布団
KR102292036B1 (ko) * 2020-10-23 2021-08-23 김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039A (ko) 2001-08-20 2003-02-26 이경회 다기능 전신건강 베개
KR101021482B1 (ko) * 2010-09-16 2011-03-16 전대복 다기능 이불
US20150366382A1 (en) * 2013-06-25 2015-12-24 Ilia Annette Ostolaza-Torres Multifunctional Decorative Pillow Blanket Body Cover
KR101558514B1 (ko) * 2015-03-19 2015-10-13 유지선 발열 담요
KR20180100900A (ko) * 2017-03-02 2018-09-12 주식회사 스칸디맘코리아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영유아용 이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6027A1 (ko) * 2020-10-23 2022-04-28 김수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6027A1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8014B1 (en) Pillow apparatus and method
US6041458A (en) Tubular pillow with casing and method of covering
EP2967237B1 (en) Sleeping bag
US6363554B1 (en) Head hugging pillow case
US20180064253A1 (en) Spine support insert for adjustable cushion device
US10702072B2 (en) Bedding assembly
US5707031A (en) Arm support
KR101597215B1 (ko) 신생아용 침구
KR102292036B1 (ko) 쿠션이 수납되는 기능성 이불
KR101021482B1 (ko) 다기능 이불
KR20100095922A (ko) 탄성쿳션부재 침구용 커버
WO2017014339A1 (ko) 신생아용 침구
KR101185692B1 (ko) 일체형 포켓침구세트
CN213786631U (zh) 一种新型枕套
CN205285790U (zh) 用于促进肩颈健康管理的枕头
CN216293581U (zh) 一种保健床垫
CN218852390U (zh) 一种可拆组合式多功能孕妇枕
JP3223936U (ja) 安眠茶シート
CN212261020U (zh) 一种新生儿用多功能毛巾被
JP2000279301A (ja)
JP4674733B2 (ja) 袋状寝具
KR20220135821A (ko) 신생아용 침구
KR200248381Y1 (ko) 베개
KR200205354Y1 (ko) 침구세트
JP3038768U (ja) 掛け布団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