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307Y1 - 아기용 이불 - Google Patents

아기용 이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307Y1
KR200489307Y1 KR2020180000299U KR20180000299U KR200489307Y1 KR 200489307 Y1 KR200489307 Y1 KR 200489307Y1 KR 2020180000299 U KR2020180000299 U KR 2020180000299U KR 20180000299 U KR20180000299 U KR 20180000299U KR 200489307 Y1 KR200489307 Y1 KR 200489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filling
pressing
receiving sp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혜정
Original Assignee
박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665157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89307(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혜정 filed Critical 박혜정
Priority to KR2020180000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3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3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기용 이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기의 신체사이즈에 따라 아기를 덮는 폭과 가압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충전물이 저장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충전체가 내부에 수용되는 누름부가 아기를 덮는 이불본체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누름부 중 적어도 이불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누름부는 수용된 충전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수용공간으로 구획되어, 상기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충전체를 수용시킴으로써 아기의 신체사이즈에 맞도록 가압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아기용 이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기용 이불{Blanket for baby}
본 고안은 아기용 이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기의 신체사이즈에 따라 폭을 조절하여 아기의 놀람을 방지할 수 있는 아기용 이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신생아)가 생애 초반부에 보이는 대부분의 운동 행동은 반사 행동으로 이루어진다. 아기의 반사는 특정 자극에 대한 무의식적, 자동적 반응을 말하며, 중추 신경계의 하부 영역에 의해 관장되는 행동을 일컫는다. 또한, 대부분의 아기 반사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지거나 자발적 운동으로 대치된다.
아기는 보통 40여 개의 다양한 반사 행동을 가지고 태어나며, 일부 반사 행동에는 생존 가능성을 높여주는 명백한 이유와 기능이 존재하나, 반사 행동 중 그 기능이 명백하지 않은 것들이 존재하며 이에 대해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아기 반사 행동의 대표적인 예로는 젖 찾기 반사와 빨기 반사, 쥐기 반사, 갈란트 반사, 모로 반사, 바빈스키 반사, 밥킨 반사, 토닉넥 반사, 걷기 반사 등이 있다.
그 중 모로 반사는 큰 소리나 신체 위치의 갑작스러운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아기 반사를 말하며, 아기가 놀라는 반응이라고 하여 놀람 반사(startle reflex)라 하기도 한다. 이러한 아기의 놀람을 방지하기 위한 신생아용 침구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7215호(이하, '인용고안'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인용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생아의 몸을 덮는 덮개부(10)와, 상기 덮개부(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신생아를 눌러줄 수 있도록 충진물(30)이 저장되는 가압부(20)로 구성되어 있어, 아기가 수면 중 팔다리를 허우적거리며 깨는 것을 방지하여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인용고안의 경우 덮개부(10)의 폭이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는바, 아기의 빠른 성장에 따라 팔과 발이 덮개부(10)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며, 특히 팔의 경우 덮개부(10)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가압부(20)에 아기의 팔이 눌리게 되므로 아기의 놀람에 의해 가압부(20)가 이동하며 자칫 아기의 얼굴 등에 가압부가 놓여질 수 있어 자칫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인용고안과 같은 아기용 침구는 아기의 신체사이즈 별로 덮개부(10)의 폭을 달리하여 가압부(20) 간의 간격이 좁은 제품, 가압부(20) 간의 간격이 넓은 제품을 별도로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기의 신체사이즈에 따라 아기를 덮는 폭과 가압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아기용 이불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아기용 이불은 충전물이 저장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충전체가 내부에 수용되는 누름부가 아기를 덮는 이불본체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누름부 중 적어도 이불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누름부는 수용된 충전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수용공간으로 구획되어, 상기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충전체를 수용시킴으로써 아기의 신체사이즈에 맞도록 가압되는 폭을 조절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이불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누름부 중 적어도 이불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누름부에 수용된 충전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아기의 신체사이즈에 맞도록 가압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가압되는 폭을 조절함에 따라 아기를 덮는 부분의 폭도 조절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아기용 이불은 아기의 신체사이즈가 작거나 크더라도 이를 이용하여 아기의 놀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기가 성장하더라도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아기용 이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아기용 이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아기용 이불에 적용되는 충전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아기용 이불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충전체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아기용 이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아기용 이불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충전체가 삽입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아기용 이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아기용 이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아기용 이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아기용 이불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충전체가 삽입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아기용 이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조를 보여저는 평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아기용 이불의 제5 실시예에 따라 고정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4는 본 고안에 의한 아기용 이불의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고안에 의한 아기용 이불에 착용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고안에서는 아기의 신체사이즈에 따라 아기를 덮는 폭과 가압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충전물이 저장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충전체가 내부에 수용되는 누름부가 아기를 덮는 이불본체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누름부 중 적어도 이불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누름부는 수용된 충전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수용공간으로 구획되어, 상기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충전체를 수용시킴으로써 아기의 신체사이즈에 맞도록 가압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아기용 이불을 제안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아기용 이불은 첨부된 도 2 내지 도 15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인 아기용 이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를 덮는 이불본체(200)와, 상기 이불본체(200)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내부에 충전체(10)가 수용될 수 있는 누름부(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불본체(200)와 누름부(100)가 일체로 연장형성되었다고 함은 일 예로, 하나의 천에 이불본체(200)와 누름부(100)를 형성하도록 이불본체(200)와 누름부(100) 사이를 재봉할 수 있음은 물론, 각기 다른 천을 이용하여 이불본체(200)와 누름부(100)를 형성한 다음 각 측단을 서로 재봉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불본체(200)와 누름부(100)는 재봉이 되어 일체로 연장형성된 형태를 이루는바, 사용자가 사용하는 과정에서 분리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상기 이불본체(200)는 내부에 솜, 털 등이 수용되어 아기를 보온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은 물론, 통풍이 용이하도록 통기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이불본체(200)는 아기의 배, 가슴, 팔, 다리를 포함하는 몸을 감싸는 역할을 한다.
상기 누름부(100)는 내부에 충전물(11)이 저장되는 충전체(10)가 내부에 수용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불본체(200)의 양측에 형성되어 충전물(11)의 무게로 아기를 덮고 있는 이불본체(200)를 지탱하므로, 아기가 누워있거나 수면을 취하고 있는 도중에 아기의 반사 행동, 특히 놀람 반사로 아기가 울거나 수면에서 깨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상기 이불본체(200)의 양측에 형성된 누름부(100) 중 적어도 이불본체(200)의 일측에 형성된 누름부(100)에는 수용된 충전체(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0)이 형성된다. 따라서, 해당 수용공간(110)의 폭은 하나의 충전체(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불본체(200)의 양측에 형성된 누름부(100)에 수용된 충전체(10)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아기의 신체사이즈에 맞도록 가압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가압되는 폭을 조절함에 따라 아기를 덮는 부분의 폭도 조절되므로, 아기의 신체사이즈가 작거나 크더라도 이를 이용하여 아기의 놀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기가 성장하더라도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의 충전체(10)는 누름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충전체(10)는 내부가 하나의 공간을 이루어 해당 공간에 충전물(11)이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 다수의 충전공간(13)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로, 상기 충전체(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을 따라 재봉된 스티치라인(12)에 의해 다수의 충전공간(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충전공간(13)에 충전물(11)이 충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충전체(10)를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충전물(11)을 저장하였을 경우에 발생되는 충전물(11)의 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전체(10)의 제작시 충전공간(13)의 크기를 달리하여 각 부분마다 저장되는 충전물(11)의 양을 달리하여 이불본체(200)를 지탱하는 정도가 더 필요한 부분에 더 많은 양의 충전물(11)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충전공간(13)에 한 종류로 이루어진 충전물(11)을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각 충전공간(13)에 다른 종류로 이루어진 충전물(11)을 수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의 충전물(11)은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솜, 털 등일 수 있으며, 향균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나무조각(편백나무 조각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열을 식혀주는 효과가 있는 곡물(좁쌀 등)일 수 있으나, 곡물의 경우 습기에 약하여 각종 세균과 벌레 등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곡물보다는 원적외선 등을 방출하는 황토, 음이온 등을 방출하는 광물(게르마늄 등)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설시한 충전물(11)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기 충전체(10)는 누름부(100)에 형성된 수용공간(110)에 수용되어 외부로의 출입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10)의 일측이 개방되어 있거나 개방 및 밀폐를 할 수 있는 지퍼, 벨크로 등과 같은 밀폐수단이 구비되어 세탁 등을 위하여 상기 충전체(10)가 외부로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이불본체(200)의 양측에 형성된 누름부(100) 중 적어도 이불본체(200)의 일측에 형성된 누름부(100)에 충전체(10)를 수용시킬 수 있는 수용공간(110)이 적어도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불본체(200)의 일측에 형성된 누름부(100)에는 하나의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이불본체(200)의 타측에 형성된 누름부(100)에는 적어도 2개의 수용공간(110)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불본체(200)의 양측에 형성된 누름부(100) 각각에 적어도 2개의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도록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누름부(100)에는 수용공간(1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충전체(10)를 수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아기의 신체사이즈에 맞도록 가압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100)에 적어도 2개의 수용공간(110)이 구획되는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10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구획부(114)가 누름부(10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되어 수용공간(110)이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획부(114)는 길이방향을 이루는 일측이 누름부(100)의 상부면 내측에 재봉되고, 타측이 누름부(100)의 하부면 내측에 재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획부(114)가 누름부(100)에 재봉되는 지점, 즉 누름부(100)의 상부면 내측과 하부면 내측에 재봉된 지점이 수직방향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재봉될 수 있으나, 누름부(100)의 상부면 내측과 하부면 내측에 재봉된 지점이 대각선 상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부(100) 역시 이불본체(200)나 누름부(100)와 같이 천 소재로 형성되거나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부(114)가 누름부(100)의 상부면 내측과 하부면 내측에 재봉된 지점이 대각선 상에 위치하도록 재봉하는 경우,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재봉하는 경우보다 누름부(100)의 폭을 작게 형성하더라도 충전체(10)를 수용시키기에 충분한 수용공간(110)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체(10)의 폭을 고려하여 누름부(100)의 폭을 최소한으로 하면서도 아기의 성장에 맞춰 수용공간(1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충전체(10)를 수용시킬 수 있다. 즉, 아기의 성장시, 사용자가 일 수용공간(110)에 수용되어 있던 충전체(10)를 빼낸 다음, 타 수용공간(110)으로 충전체(10)를 삽입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누름부(100)에 적어도 2개의 수용공간(110)이 구획되는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된 구획라인(111)에 의해 수용공간(110)이 구획될 수 있으며, 이때, 구획라인(111)은 누름부(100)의 상부면의 일 지점과 하부면의 일지점이 서로 접하도록 재봉된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충전체(10)는 수용공간(110)의 일단을 통해 삽입될 수 있어 아기의 성장에 따라 사용자가 일 수용공간(110)에 수용되어 있던 충전체(10)를 빼낸 다음, 타 수용공간(110)으로 충전체(10)를 삽입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누름부(100)에 적어도 2개의 수용공간(110)이 구획되는 제3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누름부(100)의 전면과 후면을 결합시키는 탈착수단(112)이 형성되어, 상기 탈착수단(112)에 의해 수용공간(110)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탈착수단(11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추일 수 있음은 물론, 벨크로 등과 같이 누름부(100)를 형성하는 천의 전면과 후면의 내측을 결합시키는데 적합한 것이면 충분하다. 다만, 똑딱단추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외관으로 단추가 형성된 부분을 용이하게 알 수 있는바, 손쉽게 누름부(10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탈착수단(112)에 의해 결합된 누름부(10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분리시킨 다음, 일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충전체(10)를 인접한 타 수용공간(11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용공간(10)에 수용되는 충전체(10)에 스티치라인(12)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탈착수단(112)은 수용공간(10)에 충전체(10)를 수용시, 스티치라인(12)이 위치하는 곳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완전히 밀폐되어 독립된 수용공간(10)을 가지지 않는 경우 수용된 충전체(10)가 인접한 수용공간(110)으로 밀릴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체(10)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무게를 가지는 부분인 스티치라인(12)에 맞추어 탈착수단(112)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상기 누름부(100)에 형성된 탈착수단(112)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충전체(10)에 스티치라인(12)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누름부(100)에 적어도 2개의 수용공간(110)이 구획되는 제4 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100)는 각 수용공간(110)의 일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된 구획라인(111)에 의해 수용공간(110)이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획라인(111)에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수용공간(110)의 경계 중간 부분일 수도 있으나, 수용공간(110)의 경계 중간 부분은 아기의 팔과 배가 위치하는 부분인바,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충전체(10)의 움직임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므로, 수용공간(110)의 경계 일단부를 제외하고 구획라인(1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누름부(100)의 일단부를 통해 일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충전체(10)를 인접한 수용공간(110)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도 8 및 도 9에 해당되는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세탁 등을 위하여 수용공간(110)의 일단이 개방되어 있거나 개방 및 밀폐를 할 수 있는 밀폐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으나, 충전물(11)의 종류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세탁 등을 하더라도 충전체(10)를 분리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완전히 누름부(100) 내에 충전체(10)가 수용되어 분리가 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 해당되는 실시예는 누름부(100)에서 충전체(10)가 분리되지 않더라도 가압되는 폭과 아기를 덮는 부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불본체(200)의 양측에 형성된 누름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누름부(100)의 폭이 충전체(1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충전체(1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누름부(100)의 수용공간(110) 내에서 충전체(10)의 위치를 누름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가압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공간(110)을 개방 및 밀폐할 수 있는 밀폐수단이 구비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100)에서 충전체(10)가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누름부(100) 내에 충전체(10)가 수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불본체(200)의 양측에 형성된 누름부(100) 중 어느 하나의 누름부(100)의 폭을 충전체(10)의 폭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불본체(200)의 양측에 형성된 누름부(100) 모두에 각각 수용된 충전체(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앞선 도 10에 도시된 아기용 이불보다 가압되는 폭을 더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수용된 충전체(10)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위치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100)와 충전체(10)를 상호 결합시키는 고정수단(1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13)은 벨크로, 단추 등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탈부착의 편의와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벨크로를 이용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113)은 도 10 내지 도 12,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100) 또는/및 충전체(10)의 폭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100) 또는/및 충전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수단(113)은 누름부(100) 또는 충전체(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누름부(100)의 내측에 고정수단(113)으로 벨크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충전체(10)의 외피를 벨크로에 부착되는 부직포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충전체(10)의 외피에 벨크로를 구비하고, 누름부(100)의 내피를 벨크로에 부착되는 부직포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13)은 누름부(100) 및 충전체(10)에 모두 구비되어 각각에 구비된 고정수단(113) 간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13)은 적어도 누름부(100) 내측과 충전체(10)의 외측 각각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누름부(100)의 내측과 충전체(10)의 외측 각각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벨크로가 구비되어, 벨크로 상호 간의 결합으로 인해 충전체(10)가 수용공간(11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수단(113)이 누름부(100) 또는 충전체(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경우보다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충전체(10)에 폭방향을 따라 재봉된 스티치라인(12)에 의해 다수의 충전공간(13)이 형성되고 각 충전공간(13)에 충전물(11)이 충전된 경우, 앞서 설명한 고정수단(113)은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누름부(100)와 충전체(10) 각각에 폭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스티치라인(12)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충전공간(13)의 중앙부가 스티치라인(12)에 비해 상대적으로 누름부(100)의 내측과 접하기 용이하므로, 상기 고정수단(113)을 충전공간(13)의 중앙부에서 상호 결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수단(113)을 누름부(100) 내측과 충전체(10)의 외측 각각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비롯하여, 각 충전공간(13)의 모든 중앙부에서 상호 결합되도록 하여 고정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인 아기용 이불의 사용 예에 대하여 살펴보면, 아기가 작은 경우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내측에 위치한 각 수용공간(110)에 충전체(10)를 수용시켜 사용하고, 아기가 성장할 경우 아기의 신체사이즈에 맞도록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체(10)가 수용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한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불본체(200)의 내측에는 착용구(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용구(20)는 아기의 발 또는 팔 등의 움직임에도 이불본체(2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 형태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10 : 충전체 11 : 충전물
12 : 스티치라인 13 : 충전공간
20 : 착용구
100 : 누름구 110 : 수용공간
111 : 구획라인 112 : 탈착수단
113 : 고정수단 114 : 구획부
200 : 이불본체

Claims (8)

  1. 충전물(11)이 저장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충전체(10)가 내부에 수용되는 누름부(100)가 아기를 덮는 이불본체(200)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누름부(100) 중 적어도 이불본체(200)의 일측에 형성된 누름부(100)는 수용된 충전체(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수용공간(110)으로 구획되어, 상기 수용공간(1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충전체(10)를 수용시킴으로써 아기의 신체사이즈에 맞도록 가압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이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10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이루는 일측이 누름부(100)의 상부면 내측에 재봉되고 타측이 누름부(100)의 하부면 내측에 재봉된 구획부(114)에 의해 수용공간(110)이 구획되되,
    상기 충전체(10)는 수용공간(110)의 일단을 통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이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114)는 누름부(100)의 상부면 내측과 하부면 내측에 재봉된 지점이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이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된 구획라인(111)에 의해 수용공간(110)이 구획되되,
    상기 충전체(10)는 수용공간(110)의 일단을 통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이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100)는 각 수용공간(110)의 일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일단부를 제외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된 구획라인(111)에 의해 수용공간(110)이 구획되어, 상기 누름부(100)의 일단부를 통해 일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충전체(10)를 인접한 수용공간(110)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이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누름부(10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결합시키는 탈착수단(112)에 의해 수용공간(110)이 구획되어, 상기 탈착수단(112)에 의해 결합된 누름부(10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분리시킨 후, 일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충전체(10)를 인접한 수용공간(110)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이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체(10)는 폭방향을 따라 재봉된 스티치라인(12)에 의해 다수의 충전공간(13)이 형성되고 각 충전공간(13)에 충전물(11)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이불.
  8. 삭제
KR2020180000299U 2018-01-19 2018-01-19 아기용 이불 KR200489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299U KR200489307Y1 (ko) 2018-01-19 2018-01-19 아기용 이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299U KR200489307Y1 (ko) 2018-01-19 2018-01-19 아기용 이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307Y1 true KR200489307Y1 (ko) 2019-05-30

Family

ID=6665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299U KR200489307Y1 (ko) 2018-01-19 2018-01-19 아기용 이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30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821A (ko) *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래빗앤린맘 신생아용 침구
KR20230020374A (ko) 2021-08-03 2023-02-10 송은경 영유아용 수면 이불
KR20230002278U (ko) 2022-05-23 2023-11-30 송은경 영·유아의 모로 반사 방지용 수면 이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6971A (ja) * 1999-12-27 2001-07-10 France Bed Co Ltd 羽毛掛け布団
KR20160012555A (ko) * 2014-07-24 2016-02-03 이지혜 신생아용 침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6971A (ja) * 1999-12-27 2001-07-10 France Bed Co Ltd 羽毛掛け布団
KR20160012555A (ko) * 2014-07-24 2016-02-03 이지혜 신생아용 침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821A (ko) *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래빗앤린맘 신생아용 침구
KR102488474B1 (ko) * 2021-03-31 2023-01-13 주식회사 래빗앤린맘 신생아용 침구
KR20230020374A (ko) 2021-08-03 2023-02-10 송은경 영유아용 수면 이불
KR20230020191A (ko) 2021-08-03 2023-02-10 송은경 영유아용 수면 이불
KR102502931B1 (ko) * 2021-08-03 2023-02-23 송은경 영유아용 수면 이불
KR102502939B1 (ko) 2021-08-03 2023-02-23 송은경 영유아용 수면 이불
KR20230002278U (ko) 2022-05-23 2023-11-30 송은경 영·유아의 모로 반사 방지용 수면 이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183B1 (ko) 아기 업개
US4759082A (en) Garment for small children
KR200489307Y1 (ko) 아기용 이불
US6662390B1 (en) Infant sleeping and receiving blanket
US7640598B1 (en) Infant caregiver padded pillow garment
US6041458A (en) Tubular pillow with casing and method of covering
JP6330106B1 (ja) 乳幼児用寝具
BR102014002357A2 (pt) Travesseiro de corpo de múltiplos componentes e métodos
JP2007503879A (ja) 外囲システムを備えたベビーキャリア
US4087874A (en) Infant carrier bag with movable filler beneath pillow
US20130168422A1 (en) Upper-body infant bonding garment
KR20180100900A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영유아용 이불
US6481032B2 (en) Infant prop
KR101597215B1 (ko) 신생아용 침구
US200700283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nuggling a baby
JP2019071809A (ja) 四足動物用クッション
KR101584240B1 (ko)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JP3202267U (ja) 乳幼児用防寒具
KR101021482B1 (ko) 다기능 이불
US2478239A (en) Safety garment
CN208081023U (zh) 一种负离子双层鹅绒被
KR101361158B1 (ko) 손가락의 욕창방지기능이 구비되는 치매환자용 보호복
AU665995B2 (en) Fitted bed covering
KR101185692B1 (ko) 일체형 포켓침구세트
JP4674733B2 (ja) 袋状寝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3771;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