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529A - 나선형 이붙이 벨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나선형이붙이 벨트 - Google Patents

나선형 이붙이 벨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나선형이붙이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529A
KR20070008529A KR1020067010836A KR20067010836A KR20070008529A KR 20070008529 A KR20070008529 A KR 20070008529A KR 1020067010836 A KR1020067010836 A KR 1020067010836A KR 20067010836 A KR20067010836 A KR 20067010836A KR 20070008529 A KR20070008529 A KR 20070008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angle
helical
core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5897B1 (ko
Inventor
기요타카 마쯔다
다케시 오오타
Original Assignee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8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28Driving-belts with a contact surface of special shape, e.g. tooth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06Driving-belts made of rubber
    • F16G1/08Driving-belts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F16G1/10Driving-belts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with textile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16H7/023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with belts having a toothed contact surface or regularly spaced bosses or hollows for slipless or nearly slipless meshing with complementary profiled contact surface of a pull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Character Spaces And Line Spaces In Printers (AREA)
  •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풀리의 측면 상의 플랜지와의 접촉의 결과인 벨트의 내구성의 감소, 왕복 운동과 관련된 진동 및 위치결정 정확성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나선형 이의 효과에 기인하는 편향을 발생시키지 않는 구동 왕복대용 나선형 이붙이 벨트를 개발한다.
나선형 이붙이 벨트의 심선 꼬임각은 나선형 이 각도와 반대되는 수치로 설정되고, 나선형 이 각도는 5° 내지 15°, 그리고 심선 꼬임각은 15° 내지 2°로 설정된다.
나선형 이붙이 벨트, 나선형 이 각도, 심선 꼬임각, 추력, 편향력

Description

나선형 이붙이 벨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나선형 이붙이 벨트 {METHOD FOR PRODUCING HELICAL SYNCHRONOUS BELT, AND HELICAL SYNCHRONOUS BELT PRODUCED BY SAME}
본 발명은 나선형 이 (helical teeth)를 가진 구동 벨트 (driving belt)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형의 구동 벨트는 주로 프린터, 복사기 등에서 인쇄된 텍스트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확보하기 위한 왕복대 (carriage) 또는 다른 유사한 구성 요소의 왕복 운동 (reciprocating movement)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관련 분야의 설명
이붙이 벨트와 풀리의 이 (pulley teeth)의 맞물림 (meshing)은 동력을 전달하고, 프린터-헤드 (printer-head)를 탑재한 왕복대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상기 이붙이 벨트는 정확한 위치결정 제어 (positioning control)를 달성하기에 적합하고, 정보 기술 (IT)의 진보 및 컴퓨터의 보급에 따라 이붙이 벨트를 사용하는 다수의 장비가 사무실이나 일반 가정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이붙이 벨트는 작동 중에 발생하는 구동 불균일 (driving irregularity) 그리고 소음 문제와 같은 결점이 있고, 상기는 사무실의 작업 환경이나 일반 가정의 주거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붙이 벨트의 구동 불균일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나선형 이를 가진 나선형 이붙이 벨트가 개발되고 사용되게 되었다.
나선형 이붙이 벨트는, 상기 벨트의 이가 이의 전체 길이를 따라 풀리의 이에 동시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소음이 적다.
그러나, 소음은 감소하지만, 풀리의 회전 축에 대한 경사에서 형성되는 나선형 이가 벨트를 측면으로 편향 (tracking)시키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편향 (tracking)의 문제를 내포한다.
나선형 이붙이 벨트의 더 높은 편향력 (tracking force)은, 위치결정의 정확성 감소, 왕복 운동과 관련되는 진동, 그리고 풀리 측면 상의 플랜지 (flange)와의 접촉의 결과로서의 벨트의 내구성의 감소와 같은 문제를 발생시킨다.
나선형 이붙이 벨트를 사용하는 구동 메커니즘은 도 1 내지 3을 사용하여 간결하게 설명된다. 나선형 이붙이 벨트는 풀리의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로 형성된 이를 가진다 (필연적으로, 나선형 이붙이 벨트와 사용되는 풀리도 또한 풀리의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로 형성된 나선형 이를 가진다). 이러한 설계는 축 방향에서 추력 (thrust force)을 생성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벨트가 구동 풀리의 경사의 하류 측면을 향하여 편향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동 왕복대 (driving carriage)용 나선형 이붙이 벨트의 기본적인 구조는 구동 풀리 (driving pulley) (1), 종동 풀리 (driven pulley) (2) 그리고 나선형 이붙이 벨트 (3)로 이루어진다. 프린터-헤드 등을 가진 왕복대 (8)는 벨트 상에 설치되고 앞뒤로 움직이게 된다. 구동 풀리 (1) 및 종동 풀리 (2)는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 (7)를 가진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풀리의 축에 대한 경사에 형성된, 나선형 이붙이 벨트 (3) 상의 이는 벨트가 구동될 때 풀리 상의 나선형 이와 맞물린다. 상기 나선형 이붙이 벨트는 구동으로부터 더 적은 소음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가 풀리의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로 형성되어 추력이 생성되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벨트가 이의 경사를 따라 편향하게 된다. 상기 편향은 벨트를 플랜지에 접촉하게 하고, 이에 의해 마모 그리고 내구성의 감소가 일어난다.
편향 벨트 (tracking belt)는 또한 벨트의 폭 방향 (width direction)에서 벨트와 풀리 사이에 접촉 압력 (contact pressure)을 불균일하게 만들어, 결과적으로 진동이 발생한다. 벨트가 기울어지기 때문에, 왕복대가 또한 기울어지고 프린트 동작을 방해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수의 수단이 제시되어 왔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출원공개 No. 10-153240은, 잇줄 (tooth trace)의 경사 방향에 따라 단일 방향으로 심선 (core cord) (27)이 꼬여져서, 구동 모터에 의해 생성된 구동력 (driving force)이 부드럽게 왕복대로 전달되어 안정한 구동 동작이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더 높은 기록 품질을 달성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이붙이 벨트를 제안한다. 상기 발명은 또한 상기 이붙이 벨트를 사용하는 프린터-왕복대 구동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상기 발명의 효과는, 구동 기어의 잇줄의 경사 방향이 구동 풀리의 잇줄의 경사 방향에 반대이기 때문에, 나선형 기어 이 (helical gear teeth)에 의해 구동 기어 및 구동 풀리의 축 방향에서 생성되는 추력이 완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벨트는 높은 신뢰성 (reliability)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추가로, 이붙이 벨트를 포함하는 심선의 꼬임 방향 (twist direction)과 같은 방향에서 잇줄이 꼬이는 방식으로 이붙이 벨트의 나선형 이가 형성됨으로써, 종동 풀리 및 구동 풀리와 이붙이 벨트의 경사진 맞물림 (slant meshing)의 결과로, 폭 방향에서 생성된 추력이 심선의 회전력 (twisting force)에 거슬러 편향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문헌에서 개시된 전술한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탁월한 효과의 일부이다.
일본 특허출원공개 No. 10-184808에서, 타이밍 벨트 (timing belt)가 그 둘레를 회전하는 이가 있는 풀리 (toothed pulley)의 플랜지와의 마찰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나선형 이붙이 타이밍 벨트 (helical synchronous timing belt)가 제공되고; 상기에서 (a) 나선형 이 타이밍 벨트 (helical tooth timing belt)는, 상기 벨트 베이스 (base) 내에 묻힌 심선 및 상기 벨트 베이스의 이 표면 (tooth face side) 상에 부착된 캔버스로 이루어지고; (b) 심선의 경사 및 캔버스의 그레인 (grain)의 경사가, 상기 벨트의 운전 방향에 대하여 벨트 이의 잇줄의 경사에 반대 방향으로 설정되고; 그리고 (c) 잇줄이 수직 기준선을 나타내는 벨트의 운전 방향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하부로, 또는 시계 방향으로 상부로 기울어진 경우에, 상기 심선은 S-패턴으로, 또는 벨트 이가 시계 방향으로 하부로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상부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Z-패턴으로 꼬여진다. 상기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나선형 이붙이 타이밍 벨트는 경사진 잇줄을 갖는 벨트 이에 의해 생성된 추력이, 심선 및 캔버스로부터 생성된 추력에 의해 편향 되게 하고, 그 결과, 벨트에 의해 생성된 전체 추력이 감소한다.
일본 특허출원공개 No. 62-11222에서 먼저, 본 발명의 발명자는 벨트의 운전에 의해 생성되는 벨트 편향을 억제하는 발명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능직포 (twill woven cloth)의 융기선 (ridgeline)은 벨트의 운전 방향에 대한 텐션 코드 (tension cord)의 경사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따라서 캔버스와 풀리의 접촉에 의해 생성된 추력은 텐션 코드의 기울어짐에 기인하는 편향력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본 특허출원공개 No. 2001-159449에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벨트의 작동 중에 나선형 이붙이 벨트가 편향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또한 플랜지에 대한 벨트 측면의 미끄러짐에 기인하는 벨트 측면 상의 마모 또는 소음을 예방할 목적으로, 벨트가 감기는 종동 풀리 및 구동 풀리뿐만 아니라 나선형 이붙이 벨트로 이루어지는 나선형 이붙이 벨트 구동 시스템을 제안하였고; 상기에서 나선형 이붙이 벨트 구동 시스템은, 벨트 이와 풀리 홈의 접촉 면적이 구동 풀리 및 종동 풀리와 나선형 이붙이 벨트의 맞물림의 시작부터 끝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상기 발명의 목적은 풀리의 나선형 이와 벨트의 나선형 이의 접촉을 감소시킴으로써 추력 생성을 제한하여, 그에 의해 양 이의 마찰 면적을 제한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풀리의 측면 상에서 플랜지와의 접촉의 결과로 발생하는 벨트의 내구성의 감소, 왕복 운동에 관련된 진동, 그리고 위치결정 (positioning)의 정확성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선형 이 (helical teeth)의 영향에 기인하는 편향 (tracking)을 발생시키지 않는 구동 왕복대 (driving carriage)용 나선형 이붙이 벨트 (helical synchronous belt)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을 개발하면서, 본 발명자는 벨트 편향의 기여 인자로서 꼬여진 심선 (twisted core cord)에 주목하였고, 심선 (core cord)의 꼬여짐 (twist)의 수를 변화시킴으로써 편향력 (tracking force)이 감소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그 실용적인 용도로의 적합성의 견지에서, 보다 완전한 발명은, 꼬임각 (twist angle)에 의한 심선 꼬임법 (core cord twisting method)를 지정함으로써 완성되었다.
(1) 구동 왕복대용 나선형 이붙이 벨트가 후미층 (back layer), 이 (teeth) 및 심선 (core cord)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이 합성 수지로 되며, 나선형 이 각도 (helical tooth angle) 및 심선 꼬임각을 정하기 위하여, 구동 풀리 상에 설치된 스트레인 게이지 (strain gauge)를 사용하여, 심선의 꼬임각에 기인하여 나선형 이붙이 벨트 상에 가해지는 추력을 측정하는, 나선형 이붙이 벨트의 제조 방법.
(2) 나선형 이의 각도에 반대되는 각도에서 꼬여진 심선을 갖고, 상기 나선형 이 각도가 5° 내지 15° 그리고 심선 꼬임각이 15° 내지 2°로 설정되는 나선형 이붙이 벨트.
(3) (2)에 있어서, 10°, 7° 또는 5°의 나선형 이 각도 및 10.2° 또는 4.8°의 심선 꼬임각을 가지는 나선형 이붙이 벨트.
(4) (2) 또는 (3)에 있어서, 후미층 및 이가 우레탄 수지로 되고, 심선이 아라미드 섬유 (aramid fiber) 또는 유리 섬유 (glass fiber)로 되는 나선형 이붙이 벨트.
(5) (2), (3) 또는 (4)에 있어서, 구동 왕복대에 주로 사용되는 나선형 이붙이 벨트.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구동 왕복대용 일반적인 나선형 이붙이 벨트의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나선형 이붙이 벨트 및 풀리의 사시도 (oblique view)이다.
도 3은, 나선형 이붙이 벨트의 편향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캔버스 (canvas)에 덮인 나선형 이붙이 벨트의 도식적인 예시이다.
도 5는, 캔버스에 덮이지 않은 나선형 이붙이 벨트의 도식적인 예시이다.
도 6은, 연사 (twine)의 꼬임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벨트의 나선형 이 각도 및 심선 꼬임각의 도식적인 예시이다.
도 8은, 편향력을 측정하는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측정된 편향력과 내구성의 그래프이다.
부호의 설명
1: 구동 풀리
2: 종동 풀리
3: 나선형 이붙이 벨트
4: 편향 방향
a: 회전 방향
4: 이
5: 후미층
6: 심선
7: 플랜지
8: 왕복대
9: 캔버스
d: 나선형 이 각도
β: 꼬임각
L1: 풀리 축 방향선
4a: 이 경사선
6a: 꼬임 경사선
41: 스트레인 게이지
42: 브릿지
43: 증폭기
44: FFT
45: PC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나선형 이붙이 벨트는 이 (4), 후미층 (5) 및 심선 (6)을 포함한다. 상기 심선 (6)은 이 (4) 측면 상에서 후미층 (5)에 묻혀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위치 관계는 심선이, 벨트 길이와 같은 원주를 가지고, 또한 암 나선형 이 (female helical teeth)용 주형이 부착된 원통형의 주형을 감쌀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 심선에 감싸인 원통 (core cord-wrapped cylinder)은, 벨트 후미의 두께와 동등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큰 크기의 외각 원통 주형으로 덮이고, 그 후 합성 수지가 공동에 주입된다. 수지가 경화되면, 상기 주형이 제거되고, 형성된 생산품은 벨트 폭으로 잘리어져 링 형상의 나선형 이붙이 벨트가 형성된다. 암 나선형 이용 주형이 부착된 원통의 주위를 심선이 감싸고 있기 때문에, 완성된 벨트에서, 그 심선이 이 측면 상의 후미층의 표면 근처에 위치한다. 합성 수지는 이와 후미층 사이의 공간에 주입되고 채워져서, 후미층과 이는 완전하게 형성된다.
나선형 이붙이 벨트가 상기의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벨트 이 사이의 바닥은 풀리 이의 상부와 접촉한다. 도 5에 나타난 나선형 이붙이 벨트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나선형 이붙이 벨트 구조의 예시이다. 후미층과 이는 동일한 수지로 되고, 심선은 이 측면 상의 후미층에 위치한다.
도 4는 또 다른 벨트 구조의 예시이고, 상기에서 캔버스 (9)는 이 측면 상의 벨트 표면 상에 부착된다.
종래 벨트의 설명에서 인용된 특허 문헌 2에서 설명된 벨트는 이러한 유형이다. 그러나 캔버스가 부착될 때, 캔버스가 풀리에 접촉하고, 그러므로 벨트는 풀리와 캔버스 사이의 마찰력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상기 벨트는 캔버스의 웨빙 (weaving)에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유형의 구조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상기 벨트의 심선은 다수의 끈을 함께 꼬아서 만들어지는 연사 (twine)를 사용한다.
연사는, 꼬임 방향에 따라서 좌연 꼬임 (right-handed twist, Z-twist) 및 우연 꼬임 (left-handed twist, S-twist)으로 분류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연 꼬임은 반시계 방향으로 하부로 꼬여지는 반면에, 좌연 꼬임은 시계 방향으로 상부로 꼬여진다. 보통은, 벨트 심선은 함께 감긴 하나의 우연 꼬임과 하나의 좌연 꼬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형의 종래의 벨트의 예시에 대해서는, 일본특허출원공개 No. 10-278127 및 우연 꼬임 및 좌연 꼬임의 감김 및 벨트 제조 공정의 다른 예를 참조할 수 있다 (일본 특허출원공개 No. 10-278127의 도 11 참조).
본 발명은, 심선으로서 사용된 연사의 꼬임에 주목함으로써 나선형 이붙이 벨트에 가해지는 추력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동력이 벨트에 주어지고 응력 (tension)이 발생하면, 심선도 또한 응력을 받는다. 당겨질 때, 심선을 포함하는 연사는 상기 꼬임을 죄는 방향으로 회전 모메트 (rotational moment)를 생성한다.
본 발명자는 심선의 꼬임에 의해 생성되는 표면의 불균일 (surface irregularity)은 풀리 이의 상부와 접촉하고, 그에 따라 미끄러짐 (sliding)에 대한 마찰력과 저항력이 생길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연사를 포함하는 각각의 심선의 길이와 접촉각이 꼬임의 밀도 및 방향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상기 표면의 불균일은 또한 마찰 저항을 변화시킨다.
본 발명은, 끈 (cord)의 길이 및 접촉각이 심선 꼬임각에 따라 변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그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그리고 추력에 저항하는 나선형 이붙이 벨트를 제공한다.
수지에 묻힌 각각의 심선으로부터 유도되는, 추력에 저항하는 힘은 작고, 이 힘을 개별적으로 계산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는 상이한 꼬임각의 심선을 사용하여, 결과적으로 추력에 대한 상이한 수준의 저항력을 제공하는 실험용 나선형 이붙이 벨트를 제작하였고, 벨트 편향이 작아지는 꼬임각을 측정하기 위해 편향력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설치된 풀리를 사용하였다.
여기에서, 꼬임각은, 연사를 포함하는 끈이 심선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각도를 나타낸다. 도 7에서, 꼬임각은 β로 표시된다.
이 측정 결과는, 통상적인 심선의 꼬임각이 18.9°이지만, 나선형 이 각도 및 심선 꼬임각이 동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조절되었을 때, 2° 내지 15°의 꼬임각 범위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달성되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도 7은 벨트의 나선형 이 각도 및 심선 꼬임각의 도식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예시로서 도 7이 사용될 때, 나선형 이 각도 및 심선 꼬임각의 관계는 심선이 각도 β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상부로 꼬여진 (즉, 상기 끈이 우연 꼬임) 반면에, 나선형 이는 각도 α에서 시계 방향으로 상부로 꼬여진다.
도 7에 나타난 나선형 이붙이 벨트 (3)에서, 심선 방향과 연사 (6)를 포함하는 끈의 꼬임 경사선 (6a)에 의해 형성된 각도 β는 꼬임각을 제공하고, 풀리 축 방향선 (L1)과 나선형 이 경사선 (4a)에 의해 형성된 각도 α는 나선형 이 각도를 제공한다.
나선형 이붙이 벨트를 포함하는 후미층과 이 (teeth)에 사용되는 합성 수지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레탄 고무가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심선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재료로 될 수 있고, 상기 심선은 폴리아라미드 및 유리 섬유를 함께 꼬아서 만들어진다.
편향력을 측정하는 장치는 도 8에 나타난다.
도 8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하는 편향력의 측정을 나타낸다.
스트레인 게이지 (41)는 모터 (M)에 의해 조절되는 구동 풀리 (1)의 자유단 (free end) 상에 설치되고, 나선형 이붙이 벨트 (3)는 상기 풀리의 주위를 돈다. 생성된 추력의 결과로서 스트레인 게이지 (41)에 의해 수용되는 압력은 브릿지 (42) 및 증폭기 (43)에 의해 검출 및 증폭되어, 분석기 FFT (44) 그리고 그 후 PC (45)로의 출력에 의해 분석/표시된다.
<측정의 예시>
표 1 및 도 9는 10°, 7° 및 5°의 나선형 이 각도 및 18.9°, 10.2° 및 4.8°의 심선 꼬임각 각각에 기초한 편향력 및 내구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내구성은, 벨트가 마모 (tearing) 또는 파손 (breaking)에 의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을 때까지 이루어진 통과수 (the number of passes)로서 측정되었다.
심선 꼬임각 및 편향력, 그리고 내구성의 관계
Figure 112006039178963-PCT00001
시험 결과에서, 나선형 이 각도가 10°일 때, 통상적인 꼬임각 18.9°에서 편향력은 4.51 N이었지만, 10.2°의 꼬임각에서는 3.63 N으로 떨어졌고, 4.8°의 꼬임각에서는 2.75 N으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한편, 내구성은 통상적인 꼬임각에서 64,000의 통과수였던 것이 각각의 꼬임각에서는 150,000 통과수 (두 배 초과) 및 360,000 통과수 (다섯 배 초과)까지 증가하였다.
나선형 이 각도가 7°일 때, 통상적인 꼬임각 18.9°에서 편향력은 0.59 N이었지만, 10.2°의 꼬임각에서는 0.57 N이였고, 4.8°의 꼬임각에서는 0.52 N이였다. 내구성은 통상적인 꼬임각에서 5,340,000의 통과수였던 것이 각각의 꼬임각에서는 7,450,000 통과수 (2,000,000 통과수 이상) 및 9,250,000 통과수 (4,000,000 통과수 이상)까지 증가하였다.
나선형 이 각도가 5°일 때, 통상적인 꼬임각 18.9°에서 편향력은 0.51 N이었지만, 10.2°의 꼬임각에서는 0.50 N이였고, 4.8°의 꼬임각에서는 0.44 N이였다. 내구성은 30,000,000 통과수에서 33,000,000 통과수 및 35,000,000 통과수로 각각 증가하였다.
나선형 이 각도가 크면 소음을 줄이는 데에는 효과적이지만, 내구성이 또한 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나선형 이 각도가 클수록, 편향력이 작아지고 벨트의 수명이 길어진다. 중간의 나선형 이 각도인 7°에서, 편향력은 10°의 나선형 이 각도에서의 수준보다 현저하게 작아지고, 벨트 수명도 또한 매우 길다. 꼬임각이 작으면, 편향력의 변화가 최소가 되지만, 실제 벨트 수명이 상당히 증가한다.
그런데, 대략 2°인 최소 꼬임각은 심선을 연사 심선으로 만들기 위해서 필요하다.
도 9는 10°, 7° 및 5°의 나선형 이 각도 및 18.9°, 10.2° 및 4.8°의 꼬임각에서 내구성 및 편향력의 관계를 나타낸다. 수평 축은 시간 단위로 벨트 수명을 나타내고, 수직 축은 N 단위로 편향력을 나타낸다.
그래프는 상기 결과를 뒷받침하고, 나선형 이 각도가 클수록, 꼬임각이 감소하기 때문에 벨트 수명이 길어지고 편향력이 작아지는 것을 나타낸다. 7° 또는 4.8°의 꼬임각에서, 벨트 수명은 유효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 위에 고정된 왕복대와 함께 벨트가 앞뒤로 움직이기 때문에, 벨트를 구동하는 왕복대는 플랜지에 마찰되고 이가 나간다. 그 결과 인쇄 품질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떨어진다. 나선형 이 각도와 선에서 심선 꼬임각을 변화시킴으로써, 이가 나가기까지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성공적으로 나선형 이붙이 벨트의 편향력을 감소시키고, 벨트 내구성을 향상시켰다. 이 벨트가 프린터 등에서 왕복대 벨트로 사용될 때, 적은 소음으로 안정한 인쇄 품질이 달성될 수 있다.
나선형 톱니 각도가 클수록, 꼬임각이 감소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아지고 편향력이 작아진다. 나선형 이 각도가 작을 때, 꼬임각을 감소시키면 벨트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서비스 시간이 연장된다.

Claims (5)

  1. 구동 풀리 상에 장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하여 심선의 꼬임각에 기인하여 나선형 이붙이 벨트에 가해지는 추력을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측정된 추력에 근거하여 심선 꼬임각 및 나선형 이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로 되는 후미층, 이 및 심선을 포함하는 구동 왕복대용 나선형 이붙이 벨트의 제조 방법.
  2. 나선형 이 각도에 반대되는 각도에서 꼬인 심선을 갖고,
    상기 나선형 이 각도가 5° 내지 15° 그리고 심선 꼬임각이 15° 내지 2°로 설정된 나선형 이붙이 벨트.
  3. 제 2 항에 있어서,
    10°, 7° 또는 5°의 나선형 이 각도 및 10.2° 또는 4.8°의 심선 꼬임각을 갖는 나선형 이붙이 벨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로 되는 이 및 후미층, 그리고 아라미드 섬유 또는 유리 섬유로 되는 심선를 포함하는 나선형 이붙이 벨트.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왕복대에 사용되는 나선형 이붙이 벨트.
KR1020067010836A 2003-12-02 2004-11-30 나선형 이붙이 벨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나선형이붙이 벨트 KR101115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03239 2003-12-02
JP2003403239A JP3859640B2 (ja) 2003-12-02 2003-12-02 ハス歯ベルトの製造方法及びハス歯ベルト
PCT/JP2004/018109 WO2005054708A1 (en) 2003-12-02 2004-11-30 Method for producing helical synchronous belt, and helical synchronous belt produced by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529A true KR20070008529A (ko) 2007-01-17
KR101115897B1 KR101115897B1 (ko) 2012-02-13

Family

ID=3465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836A KR101115897B1 (ko) 2003-12-02 2004-11-30 나선형 이붙이 벨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나선형이붙이 벨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37766A1 (ko)
JP (1) JP3859640B2 (ko)
KR (1) KR101115897B1 (ko)
CN (1) CN100422595C (ko)
TW (1) TWI324229B (ko)
WO (1) WO20050547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620A (ko) * 2012-12-11 2015-08-28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이붙이 벨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7536B2 (ja) * 2007-07-02 2014-05-07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ウレタン製のハス歯ベルト
JP2012057711A (ja) * 2010-09-08 2012-03-22 Tsubakimoto Chain Co 動力伝達用歯付きベルト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5985817B2 (ja) * 2011-12-06 2016-09-06 株式会社ダイヘン ベルト駆動装置
WO2018198657A1 (ja) * 2017-04-27 2018-11-01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はす歯ベルト伝動装置
JP6748131B2 (ja) 2017-04-27 2020-08-26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はす歯ベルト伝動装置
JP6648198B2 (ja) * 2017-07-11 2020-02-14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はす歯ベルトおよびベルト伝動装置
JP6641513B2 (ja) * 2018-04-06 2020-02-05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はす歯ベルトおよびベルト伝動装置
DE102019212056A1 (de) * 2019-08-12 2021-02-18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Schrägverzahnter Antriebsriemen
CN110469631A (zh) * 2019-09-12 2019-11-19 齐齐哈尔大学 多段曲线耦合齿形同步带
DE102021210540A1 (de) 2021-09-22 2023-03-23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Schrägverzahnter Antriebsrieme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28Y2 (ja) * 1980-02-15 1984-01-09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巻掛伝動装置
JPS61167736A (ja) * 1985-01-18 1986-07-29 Bando Chem Ind Ltd 動力伝動用ベルト
JPS6426048A (en) * 1987-07-20 1989-01-27 Unitta Co Ltd Belt transmission device with helical teeth
US5346731A (en) * 1990-07-12 1994-09-13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Fiber-reinforced rubber
JPH07242102A (ja) * 1993-11-29 1995-09-19 Bridgestone Corp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JPH08233037A (ja) * 1994-12-28 1996-09-10 Mitsuboshi Belting Ltd 搬送用歯付ベルト
JPH1026048A (ja) * 1996-07-09 1998-01-27 Unisia Jecs Corp エンジンのアイドル判定装置
JPH11246019A (ja) * 1998-03-06 1999-09-14 Tsubakimoto Chain Co 搬送用歯付ベルト及び、歯付ベルト用被覆除去治具
JP3238896B2 (ja) * 1998-03-23 2001-12-1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はす歯歯付ベ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009186A (ja) * 1998-04-20 2000-01-11 Mitsuboshi Belting Ltd 歯付ベルト
GB2349113B (en) * 1999-04-21 2003-07-02 Gates Corp Wear resistant belts and a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JP2001018300A (ja) 1999-07-05 2001-01-23 Unitta Co Ltd はす歯タイミングベルトの製造方法
JP4469068B2 (ja) * 2000-07-31 2010-05-26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両面歯付ベ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ベルト伝動装置
US7008341B2 (en) * 2001-06-27 2006-03-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Reduced noise multi-ribbed power transmission bel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620A (ko) * 2012-12-11 2015-08-28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이붙이 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02414A (zh) 2007-01-24
TWI324229B (en) 2010-05-01
WO2005054708A1 (en) 2005-06-16
US20070137766A1 (en) 2007-06-21
JP2005161665A (ja) 2005-06-23
JP3859640B2 (ja) 2006-12-20
TW200528651A (en) 2005-09-01
KR101115897B1 (ko) 2012-02-13
CN100422595C (zh)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897B1 (ko) 나선형 이붙이 벨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나선형이붙이 벨트
US20100068495A1 (en) Single lay steel cord for elastomer reinforcement
JPS6011323B2 (ja) 光ファイバ
JP6321547B2 (ja) 歯付ベルト
JP4271578B2 (ja) 荷重支持アセンブリの状態を判定する方法
US20090139084A1 (en) Armored cable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 same
JP5416573B2 (ja) 歯付ベルト
CN102112673A (zh) 假捻带
US5984816A (en) Toothed power transmission belt and drive system using the power transmission belt
US4990125A (en) Flat belt, belt drive, and method
JP4861653B2 (ja) ベルト用心線の張力測定装置
JP7103997B2 (ja) ゴムスリーブの成形方法、及びゴムスリーブの成形装置
US4168340A (en) Reinforcement of resilient articles
Dalgarno et al. Stiffness loss of synchronous belts
JP4550985B2 (ja) 歯付ベルト伝動装置並びに事務用機器
Childs et al. Power transmission by flat, V and timing belts
JP2002364709A (ja) 歯付ベルトおよび歯付ベルトを使用するベルト伝動装置
JPS60241004A (ja) 光フアイバケ−ブルの製造方法
JP2961701B2 (ja) スチールコード
JP7223896B2 (ja) 歯付ベルト及び歯付ベルト伝動装置
CN218619553U (zh) 一种pvc包覆涤纶拉丝机
KR100873873B1 (ko)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의 태섬도화 방법
JPH069151A (ja) 金属コード用トラバースローラ
JP2002098201A (ja) 歯付ベルト伝動装置及び事務用機器
RU2774199C2 (ru) Нормализаци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натяжения и минимизация истирания боковых стенок в угловых ременных системах приво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